KR102033088B1 -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088B1
KR102033088B1 KR1020170168667A KR20170168667A KR102033088B1 KR 102033088 B1 KR102033088 B1 KR 102033088B1 KR 1020170168667 A KR1020170168667 A KR 1020170168667A KR 20170168667 A KR20170168667 A KR 20170168667A KR 102033088 B1 KR102033088 B1 KR 10203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mposition
dermatiti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361A (ko
Inventor
김성아
정광선
김명옥
Original Assignee
스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킨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88B1/ko
Priority to CN201811474002.9A priority patent/CN109893475A/zh
Publication of KR2019006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꿀풀(Prunella vulgaris), 자목련(Magnolia liliflora), 돌콩(Glycine soya), 감초(Glycyrrhiza glabra), 병풀(Centella asiatica)의 다섯 가지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균, 항산화, 항염증 및 피지분비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질환 관련 미생물의 생육 억제,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세포 산화 방지, 피부염증 개선, 피지세포(sebocyte) 분열 및 피지분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또는 여드름성 피부의 유분함유량, 피지분비값, 폐쇄면포 및 개방면포의 수를 감소시켜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lant Extract Complex for Anti-bacteria,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Inhibiting Sebum Secretion and Improving Dermatitis}
본 발명은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꿀풀(Prunella vulgaris), 자목련(Magnolia liliflora), 돌콩(Glycine soya), 감초(Glycyrrhiza glabra), 병풀(Centella asiatica)의 다섯 가지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신체를 구성하는 기관 중에서도 가장 큰 기관으로 보통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으로 구분한다. 피부는 늘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환경 변화에 따라 다양한 자극을 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스트레스나 방어기작으로 인하여 다양한 피부 질환이 발현되기도 한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곽 기관으로서 제1차 생체 보호막의 기능을 담당하는데, 인체 내의 수분 손실을 막아주고, 그와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각종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의 침투를 차단하고,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추운 환경에서는 수축을 통해서 열손실을 낮춰주고, 더운 환경에서는 땀을 배출하여 체열을 발산함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피부는 심각한 미세먼지나 다양한 공해물질 또는 급격한 온도변화와 같은 변화무상한 외부환경적 요인, 찰과상이나 강한 태양 자외선와 같은 물리적 요인, 모기, 벌, 진드기와 같은 벌레물림 또는 옻나무 수액접촉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 세균성 미생물 감염 등 이상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하여 내분비계의 이상이나, 피부면역체계의 과민반응으로 인해 피부 트러블, 건조증, 소양증(가려움증), 자극, 버닝(Burning), 염증, 부종 등의 여러 가지 피부 질환들이 표출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피부 질환 중에서도 만성적으로 나타나면서도 명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은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과 여드름성 피부염 (Acnic dermatitis)을 꼽을 수 있다.
먼저, 아토피성 피부염은 대표적인 접촉성, 알러지성 피부염으로 피부가 가렵고, 건조하며, 민감해짐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괴로움을 주고 있다. 주로, 5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하지만, 소아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할 경우 소양증(가려움증)으로 인해 자주 긁게 되면서 상처가 발생하게 되고, 이 상처를 통해서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붉은 발진, 진물, 출혈, 과각화 현상 등이며, 주로 피부가 맞닿는 부위, 즉 관절 안쪽으로 팔꿈치 안쪽, 무릎 뒤쪽 그 밖에, 사타구니나 겨드랑이, 목 등에서 발생하지만, 심할 경우 얼굴을 포함하여 특정 부위를 가리지 않고 나타날 수도 있다.
날이 갈수록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주된 요인으로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공기 중에 알러지(Allergy) 유발 원인 물질인 알러젠(Allergen)의 증가(대표적인 예로, 미세먼지), 접촉 항원으로 작용하는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진균, 반려동물의 털, 바퀴벌레 등 주거 환경에 의한 원인, 그리고 육류나 고지방, 고칼로리의 음식물 섭취 등 식생활의 변화, 유전적 요인인 가족력, 각박한 사회생활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나 수면부족으로 인한 바이오리듬의 이상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이 아토피성 피부염은 어느 하나의 특정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병리과정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타고난 유전적 요소와 더불어 면역학적, 비면역학적인 메카니즘이 연관되어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피부염은 면역글로불린 E(IgE)와 관련된 면역기작에 의해 발생되는데, 특정 알러젠에 대해 즉각적인 면역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T-세포 이상에 의한 점진적 면역반응이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작용기작을 살펴보면, 알러젠이 피부 각질층을 통해 유입된 후 표피세포에 다다르게 되면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 (Macrophage)에 의해 포식ㅇ분해된다. 이때 유입된 알러젠의 양이 많으면 대식세포가 미처 처리하지 못하게 되어 알러젠이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잔존 알러젠에 대한 정보를 T-세포에 전달하고, T-세포는 다시 호산구(Eosinophil)에 전달함으로써 혈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호산구들을 알러젠이 침투한 장소로 결집하게 되면서, 밀집된 호산구가 화학전달물질을 과도하게 방출함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태열이라 부르는 영아기 습진에서 시작하며, 급성기에는 소양증으로 인해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며, 붓거나 물집이 생기기도 하며, 만성기에는 피부가 경화되거나 비후해질 수 있으며, 하얗게 인설이 일어나고, 환부가 검게 변하기도 한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증상이 단발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재발한다는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방법은 기본적으로 피부 건조 및 소양증을 완화시켜 주는 것인데, 주로 항히스타민제나 국소 내지는 전신적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며 부가적으로 피부감염조절제, 세라마이드, 원적외선이나 특정 파장의 광파치료를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스테로이드제는 염증완화 및 면역억제 작용이 뛰어나고,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는 것을 막아 소양증을 경감시켜 준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나 항히스타민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적용 부위 발모, 피부 위축, 피부 색소 감소, 여드름 발생, 대사장애, 성장장애, 위점막약화, 위궤양, 골다공증, 면역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여드름은 피부 속 모낭 피지선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주로 호르몬 변화가 심한 사춘기 때 많이 발생하지만, 성인 여드름이라고 해서, 20~40 대 사이의 성인들에게서도 발생한다. 아토피와 마찬가지로 아직 그 발생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유전적, 환경적 요인 외에도 체내 호르몬 분비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특히 남성호르몬(Androgen) 중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에 의해 피지의 과다 분비가 일어나 모낭 피지선의 과각화로 인해 모공이 막히게 되고, 모공이 폐쇄되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혐기성균이 번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대표적인 여드름균이라 지목되고 있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가 증식하게 된다. 폐쇄된 모공 속에 쌓여있던 피지가 여드름균이 분비한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Lipase)에 의해 유리지방산으로 분해되고, 유리지방산과 더불어 여드름균이 분비한 기타 저분자물질을 포식하기 위해 백혈구가 모낭주위에 모이게 되면서, 모낭 벽을 자극, 파괴함으로 인해 모낭 속 내용물들이 진피로 유출되어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남성호르몬 외에 피지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히스타민(Histamine), IGF-I(Insulin-like growth factor I), 그리고 지방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퍼옥시좀증식체활성화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등이 있다. 여드름을 유발하는 간접적인 요인으로는 아토피와 마찬가지로 환경오염으로 인한 모공 막힘, 스트레스로 인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안드로겐 분비 증가, 수면부족이나 음주로 인한 면역력 약화에 따른 염증 악화, 그 밖에 고지방식품의 섭취나 오일성분을 많이 함유한 화장품의 사용, 청결하지 못한 생활습관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서 크게 4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피지 과다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 모낭각화의 정상화 방법, 항균 작용에 의한 여드름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 그리고 염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피지 과다 분비를 억제하기 위해서 항안드로겐제(스피로놀락톤, 플루타마이드, 케토코나졸, 피나스테라이드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모낭각화를 정상화하기 위해 살리실산, 글라이콜릭산, 레티노익산 등을 이용한다. 셋째, 항균제로 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에리쓰로마이신, 클린다마이신, 아젤라익산, 트리클로산, 레조시놀, 유황 등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항염제로 감초산, 레즈베라트롤, 로즈마리산, 살리신 그 밖에 항산화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항안드로겐제나 항생제, 항균제 등은 표피의 생장억제, 기형아 출산, 피부 자극,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반응, 광과민 반응, 피부 발적, 부종, 홍반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여드름 치료에 있어서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식물을 포함한 천연물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 졌는데, 항균, 항염증 작용이 알려진 천연물로는 봉독, 녹차, 티트리오일, 알로에, 키토산, 구기자, 약모밀, 버드나무, 매실, 황금, 감초, 삼백초, 상황버섯, 후박, 황백, 남실, 관중, 죽염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187호(등록일자: 2016.08.08.)는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곰보버섯 균주로 발효시킨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267호(공개일자: 2016.02.03.)는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8066호 (공개일자: 2012.12.24.)는 숙지황, 고삼, 마늘, 구기자, 검은콩 발효추출물과 알로에 추출물을 혼합한 아토피 및 여드름 개선용 천연 한방 생약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5146호(공개일자: 2007.10.30.)는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드름균(Propione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들의 천연 추출물은 효과적인 면에서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물질이나 여드름 치료 물질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무해하고 아토피성 또는 여드름성 피부염 등 다양한 피부염을 치료,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항균, 항산화, 항염 및 피지분비억제 효과가 있어 아토피성 피부의 특징인 피부 건조, 발열, 가려움증, 과각화 등을 개선해주며 여드름 증상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을 억제하고, 남성호르몬의 과잉 분비로 인한 피지 과다 분비를 감소시켜 아토피 및 여드름성 피부염 등의 피부 질환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꿀풀(Prunella vulgaris), 자목련(Magnolia liliflora), 돌콩(Glycine soy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병풀(Centella asiatica)을 이용한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항산화, 항염 및 피지분비억제 효과가 있는 아토피성 또는 여드름성 피부염을 포함한 각종 피부염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꿀풀(Prunella vulgaris), 자목련(Magnolia liliflora), 돌콩(Glycine soy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병풀(Centella asiatica)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한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꿀풀(Prunella vulgaris)은 우리나라 각 지역의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쌍떡잎식물의 다년생초본으로'가지골나물'이라고도 하며 생약명은 '하고초(夏枯草)'라고 하는데, 하지가 지나면 시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키는 약 30cm 정도이며, 잎은 길이가 2~5cm이고 긴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 마주나며 줄기는 네모지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붉은색을 띤 보라색으로 길이가 3~8cm이고, 줄기 위에 꽃이 층층이 모여 달리며 앞으로 나온 꽃잎은 입술 같은 모양이다. 열매는 7~8월 경에 황갈색으로 달리고 꼬투리는 마른 채로 가을에도 남아 있다. 한방에서는 꿀풀을 임질, 결핵, 소염, 종기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꿀풀의 꽃, 잎 및 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목련(Magnolia liliflora)은 약 100여 년 전에 목련과 함께 중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로,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목련과의 낙엽교목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데, 높이가 15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잎자루의 길이는 7~15mm이다. 잎은 마주나고 계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있으나 자라면서 점차 없어진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검은 자주색을 띄며 열매는 타원형으로 10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삼각형 모양의 빨간색 종자가 흰색 실에 매달린 것처럼 보인다. 한방에서는 자목련의 개화 전 꽃봉오리를 신이(辛荑) 또는 신이화 (辛荑花)라고 칭하는데, 주로 두통, 치통, 비염치료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목련의 꽃봉오리(신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콩 (Glycine soya)은 쌍떡잎식물강 콩과 식물로 우리나라 각 지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덩굴성 1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토양의 비옥도에 관계없이 반그늘 혹은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약 2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호생(어긋나기)하며, 잎자루 길이는 7~15cm 정도이고 짧은 털이 있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며 길이는 2~5cm로 뭉쳐서 피고 길이는 약 6mm 정도이다. 열매는 9월에 성숙하고 종자는 신장형으로 흑갈색이며 작은 콩알과 비슷하다. 본 발명에서는 돌콩의 씨앗(종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남유럽과 인도에서 자생한다. 키는 1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깃모양으로 길이는 7~15cm로 9~17개의 잎새가 돋아 있다. 꽃은 0.8~1.2cm 정도 크기이며, 보라색 또는 흰색이 감도는 연한 파란색을 띤다. 열매는 2~3cm 크기의 타원형 깍지 속에 7~8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감초는 체내에 쌓인 중금속과 독성물질을 배출시켜 몸을 정화시켜주는 작용이 뛰어나 식중독이나 약물중독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며, 특히 감초산(Glycyrrhizic acid)은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뱀독, 복어독 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으며 니코틴이나 알콜을 분해하고 해독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초의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풀(Centella asiatica)은 쌍떡잎식물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호랑이가 상처를 입었을 때 그 위에서 뒹굴었다고 해서 '호랑이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주로 아시아 지역에 분포해 있는데,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옆으로 뻗어가면서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고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다. 정상적인 잎은 마디에서 밀생하고, 잎자루가 길며 타원형으로 지름은 2~5cm이며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피는데, 2~5개의 꽃이 긴 꽃자루 끝에 달리고, 꽃잎은 5개로 넓은 원형이며, 수술은 5개다. 열매는 납작한 원형이고 겉에 튀어나온 그물눈이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나중에는 없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등 남쪽 섬 지방의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병풀의 잎, 줄기 또는 잎과 줄기 모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꿀풀, 자목련, 돌콩, 감초 및 병풀 각각을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건조물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말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추출하는 추출용매에 따라 식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등 알코올을 이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에탄올을 용매를 이용한다.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추출 혼합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해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이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과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은 꿀풀, 자목련, 돌콩, 감초 및 병풀을 혼합한 것을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하여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건조물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추출 혼합물"은 꿀풀, 자목련, 돌콩, 감초 및 병풀 각각을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건조물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혼합한 것을 말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꿀풀, 자목련, 돌콩, 감초 및 병풀 각각을 추출하여 분말화한 것을 혼합하여 추출 혼합물을 제조할 경우, 각각의 식물 추출물 분말을 일정한 혼합비로 친수성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이는 식물 추출물을 분말화한 경우 난수용성을 띄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추출 혼합물 제조시 친수성 용매를 이용하여 액상화제 형태로 만들 경우 수상 제형의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용매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알코올;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알콕시화 알코올; 글리콜 또는 알콕시화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을 이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판디올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친수성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추출 혼합물의 피부 침투력을 높여 유효성분이 피부 내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하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 혼합물은 꿀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목련 추출물 1 내지 20 중량부, 돌콩 추출물 10 내지 70 중량부, 감초 추출물 60 내지 140 중량부 및 병풀 추출물 160 내지 2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꿀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목련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돌콩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130 중량부 및 병풀 추출물 180 내지 2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꿀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목련 추출물 7 내지 12 중량부, 돌콩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감초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및 병풀 추출물 190 내지 2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각 추출물의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아토피 및 여드름성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고, 혼합 용매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잔존하며, 제품 적용시 침전현상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은 세균이나 진균등의 미생물의 생장 및 증식을 억제 또는 제어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피부 상제균의 생장 및 증식을 억제 또는 제어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는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세포, 생체지질, 생체막 인지질, 단백질, DNA 등의 파괴 또는 손상을 억제, 개선 또는 제어하는 작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염증의 억제, 염증의 발병지연, 염증 상태의 호전 또는 염증 상태를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지분비억제"는 피지세포(sebocyte) 분화를 억제 또는 조절하여 지성 피부를 억제,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염"은 피부에 생긴 염증, 발적, 종창, 열감, 동통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성 피부염, 1차성 자극성 피부염, 접촉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선상 피부염 등의 질환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여드름성 피부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은 개체에서 피부염 질환의 (a) 발전의 억제 (b) 경감 및 (c) 제거를 의미하며, "예방"의 의미를 포함한다.
상기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드,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본 발명의 항균, 항산화, 항염증,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 혼합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양이 0.5중량% 미만일 경우 여드름 피부 개선 효능이 미약하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여 비경제적이고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 혼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항균, 항산화, 항염증,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추출 혼합물을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양이 0.0001중량% 미만일 경우 여드름 피부 개선 효능이 미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여 비경제적이고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제 또는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지감소 및 피부진정 효과가 있으며, 투여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꿀풀, 자목련, 돌콩, 감초 및 병풀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균, 항산화, 항염증 및 피지분비억제 효과가 뛰어나 피부 질환 관련 미생물의 생육 억제,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세포 산화 방지, 피부염증 개선, 피지세포(sebocyte) 분열 및 피지분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또는 여드름성 피부의 유분함유량, 피지분비값, 폐쇄면포 및 개방면포의 수를 감소시켜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항염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피지분비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결과 중 EASI score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결과 중 소양증에 대한 VAS(Visual analogue scale)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결과 중 수면장애에 대한 VAS(Visual analogue scale)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결과 중 경피수분손실도(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결과 중 IGA(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경과를 사용 전과 후로 비교한 사진이다.
도 10은 여드름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경과를 사용 전과 후로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꿀풀(Prunella vulgaris) 잎과 줄기, 자목련(Magnolia liliflora) 꽃봉오리, 돌콩(Glycine soya) 씨앗, 감초(Glycyrrhiza glabra) 뿌리, 병풀(Centella asiatica) 잎과 줄기를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후 20 내지 25℃에서 음건한 다음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분쇄된 각각의 분말 100g을 70% 에탄올 10L에 침지하여 24시간씩 2회 초음파 추출한 다음 그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식물 추출물의 최대용해도 측정
우선, 본 발명의 각각의 식물 추출물에 대해 프로판디올에 용해될 수 있는 최대용해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식물 추출물 10g을 프로판디올 90g에 분산시킨 후 80℃ 항온수조에 2시간 동안 용해시켰다. 그 결과 병풀 추출물 분말은 프로판디올에 완전히 용해되었으나, 꿀풀 추출물, 자목련 추출물, 돌콩 추출물, 감초 추출물은 일부 용해되지 않고 침전물 형태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해되지 않고 남아 있는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 용액을 400 메쉬 여과포에 걸러 내고 이를 가온 건조한 후 잔여량의 무게를 측정하여 프로판디올에 용해되어 있는 각 추출물의 함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각 식물 추출물이 프로판디올에 용해될 수 있는 최대용해도를 추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분 종류 함량 (g) 프로판디올 (g) 용해도 잔량 (g) 최대용해도 (%)
시료 1 꿀풀 추출물 10 90 불완전용해 4.2 5.8
시료 2 자목련 추출물 10 90 불완전용해 8.8 1.2
시료 3 돌콩 추출물 10 90 불완전용해 7.4 2.6
시료 4 감초 추출물 10 90 불완전용해 4.4 5.6
시료 5 병풀 추출물 10 90 완전용해 - ??10.0
실시예 2: 추출 혼합물 제조
상기 시험예 1에서 얻은 각 식물 추출물(시료 1 내지 5)의 최대용해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시험예 1의 다섯 종류의 식물 추출물 분말을 일정한 10가지로 비율로 혼합하여 프로판디올에 용해하여 시료 6 내지 15를 제조하였다. 용해 방법은 상온에서 각 식물 추출물 분말을 일정한 비율로 먼저 혼합하고 여기에 총 중량이 100g이 되도록 프로판디올을 첨가하고 골고루 분산시킨 다음 80℃ 수조에 2 시간 동안 가온 용해하여 완전 가용화가 되는 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A (g) B (g) C (g) D (g) E (g) P (g) 용해
시료 6 7.0 3.0 5.0 7.0 10.0 68.0 불완전용해
시료 7 6.0 2.0 4.0 6.0 10.0 72.0 불완전용해
시료 8 5.8 1.5 2.6 5.6 10.0 74.5 불완전용해
시료 9 5.8 1.2 2.6 5.6 10.0 74.8 완전용해
시료 10 5.5 1.0 2.5 5.5 10.0 75.5 완전용해
시료 11 5.5 1.5 2.5 5.5 10.0 75.0 불완전용해
시료 12 5.0 1.5 2.5 5.0 10.0 76.0 불완전용해
시료 13 5.0 1.2 2.5 5.0 10.0 76.3 완전용해
시료 14 5.0 1.0 2.0 5.0 10.0 77.0 완전용해
시료 15 5.0 0.5 2.0 5.0 10.0 77.5 완전용해
A, 꿀풀추출물; B, 신이추출물; C, 돌콩추출물; D, 감초추출물; E, 병풀추출물; P, 프로판디올
시험예 2: 추출 혼합물의 침전현상 유무 확인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 6 내지 15 중 완전 가용화된 용액인 시료 9, 10 및 13 내지 15를 상온에서 1일, 10일, 20일, 30일 및 60일 경과 단위로 관찰하면서 침전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석출 또는 침전현상의 유무에 대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시험예 2 구분 1일 경과 10일 경과 20일 경과 30일 경과 60일 경과
시험예 2-1 시료 9 - + + + +
시험예 2-2 시료 10 - - - + +
시험예 2-3 시료 13 - + + + +
시험예 2-4 시료 14 - - - + +
시험예 2-5 시료 15 - - - - -
+, 침전현상 있음; -, 침전현상 없음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에 따라, 시료 15에서의 각 식물 추출물의 혼합비를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비교예 1: 각각의 식물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의 효능 검증을 위하여, 비교예로 각각의 식물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시료 16 내지 20을 제조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및 피지분비억제 효과가 향상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식물 추출물만 포함하는 시료들(시료 16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과 동일한 조건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상기 시료 16 내지 20은 프로판디올을 용매로 하여 시료 15 제조시 사용된 각 식물의 함량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즉, 꿀풀 추출물은 5.0g, 자목련 추출물은 0.5g, 돌콩 추출물 2.0g, 감초 추출물 5.0g, 병풀 추출물 10.0g으로 하도록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시료 구분 식물 추출물 함량 (g) 프로판디올 함량 (g)
시료 16 꿀풀추출물 5.0 95.0
시료 17 신이추출물 0.5 99.5
시료 18 돌콩추출물 2.0 98.0
시료 19 감초추출물 5.0 95.0
시료 20 병풀추출물 10.0 90.0
시험예 3: 항균 효과 측정
여드름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균으로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가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원인균으로 포도상구균 (Staphylococous)이나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엔테로박터 (Enterobacter) 등 또는 이들 균의 복합적인 감염에 의해서도 종종 발생한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여드름성 피부염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통한 병원성 세균의 2차 감염의 위험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아토피나 여드름성 피부염의 치료나 개선을 위한 물질의 경우 항균 효능은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시험예 3에서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 대장균(Escherichia coli, KCTC 2571), 검은곰팡이균(Aspergillus niger, ATCC 16404), 효모균(Candida albicans, KCTC 7965)을 사용하였으며, 항균활성 측정은 페이퍼 디스크 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method)을 사용하여 상기 시료 15 내지 20의 항균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균주를 RC (Reinforced clostridial) 액체 배지에서 3일간 배양한 후, 균 현탁액을 λ620 nm에서 흡광도 0.5의 값이 되도록 조절한 것을 RC 아가로스평판배지(Agarose plate)에 100 ㎕ 접종하여 골고루 도말하였다. 페이퍼 디스크(ㅨ8 mm, Adventec. USA)를 균주가 접종된 평판배지 표면 위에 올려놓고 시료 15 내지 20을 각각 50 ㎕씩 흡수시켰다. 음성대조군으로는 프로판디올 50 ㎕를, 양성대조군으로는 1.0% 트리클로산 50 ㎕를 사용하였다. 시료가 처리된 평판배지를 혐기성균배양조(Anaerobic jar)에서 가스팩 시스템(Gaspack system)을 이용하여 3일간 배양 한 후, 페이퍼 디스크 주위에 나타난 생육 억제환(Inhibition zone)의 크기를 기준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육 억제환의 크기는 페이퍼 디스크의 말단부위를 기준점으로 하여 가장 긴 영역과 가장 짧은 영역의 합을 이분한 값으로 측정하였다. 각 시험결과에 대한 생육 억제환의 크기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균주 생육 억제환의 크기 (mm)
프로판디올 트리클로산 시료 15 시료 16 시료 17 시료 18 시료 19 시료 20
P. acnes - 12.5 12.0 6.0 4.5 - - -
S. aureus - 14.0 12.5 7.5 5.0 - - -
E. coli - 15.5 9.5 6.5 4.0 - 1.0 -
A. niger - 11.0 1.5 1.5 1.0 - - -
C. albicans - 9.0 - - - - - -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항균활성 결과를 살펴보면, 꿀풀 추출물 시료 16과 자목련 추출물 시료 17의 경우 여드름균 (P. acnes), 황색포도상구균 (S. aureus) 그리고 대장균 (E. coli)에 대해 어느 정도의 항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곰팡이균 (A. niger)에 대해서는 아주 약한 효능을 보였고, 효모균 (C. albicans)에 대해서는 항균 효능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인 시료 15의 경우에는 시료 16 또는 시료 17에 비하여 여드름균 (P. acnes), 황색포도상구균 (S. aureus), 대장균 (E. coli)에 대해서 각각 1.5~2.0 배 이상의 월등한 항균 효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혼합물(시료 15)이 단일 식물 추출물(시료 16 내지 20)보다 더 강한 항균능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강력한 항균성분 중 하나인 트리클로산의 항균능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항균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토피나 여드름성 피부염의 치료나 개선에 있어서 뛰어난 효능을 가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4: 항산화 효과 측정
현대인의 질병 중 약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요 원인으로, 과도한 활성산소가 거론되기도 한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활성산소를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활성산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항산화능이 뛰어난 물질이 필요하다. 또한 항산화 효과는 여드름의 주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염증유발물질의 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여드름성 피부염의 완화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시험예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제거 분석(radical scavenging assay)을 실시하였다. DPPH는 특히 양성자 라디칼 제거제(Proton-radical scavenger)에 의하여 탈색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예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인 시료 15를 용량별(10, 20, 50, 100 및 200 ㎕)로 사용하였다. 0.2 mM DPPH 용액 2 ml에 각 농도별 시료를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λ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타민 C 50 ㎍/mL와 트롤록스(Trolox) 50 ㎍/mL를 이용하였다. 시험 결과 값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료 15의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 결과,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시료 15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상승함을 알 수 있었고, 100 ㎕ 용량에서는 비타민 C와 트롤록스의 항산화능과 거의 유사할 정도로 뛰어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항염 효과 측정
여드름성 피부염은 여드름균과 더불어 염증반응 또한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또한 소양증에 의한 피부 가려움으로 인하여 무의식적으로 계속 피부를 긁게 됨으로써 염증을 악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항균 효과와 함께 항염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물질은 여드름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거나 개선함에 있어서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각질형성세포에 NF-κB (Nuclear factor κB) 루시페라제 리포터 플라스미드(luciferase reporter plasmid)를 형질주입 시약(Transfection reagent)을 이용하여 일시적 형질주입(transient transfection)한 후, 여기에 미생물 독소(microbial toxin)인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게 되면 NF-κB 프로모터(promoter)가 활성화되어 염증을 유발하는 IL-8(Interleukin 8),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촉진하게 된다. 따라서 LPS에 의해 유도된 NF-kB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항염작용을 통해 여드름이나 아토피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시험예 5에서는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NF-κB 억제 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NF-κB 프로모터 가우시아 루시퍼라제 벡터(Gaussia luciferase vector)를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 형질주입 시약(Superfect, Qiagen, Germany)을 이용하여 형질주입하였다. 형질주입 후 24시간 후, 단일 식물 추출물 용액인 시료 16 내지 20 및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인 시료 15를 상기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50 ㎕, 100 ㎕씩 처리하고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동안 전처리 배양하였다. 전처리 배양 완료 후 0.5 ㎍/ml 농도의 LPS 100 ㎕를 첨가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을 수집하여 가우시아 루시퍼라제 기질(NEB, USA)과 반응시킨 후 루미네선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Luminescence 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 Pro, Tecan, Swiss)를 이용하여 발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LPS에 의해 유도된 NF-kB 프로모터의 활성 억제 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단일 식물 추출물 중에서 돌콩 추출물(시료 18)을 제외한 나머지 4 가지 식물 추출물(시료 16, 17, 19 및 20)은 항염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항염 효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의 경우, 단일 식물 추출물에 비해서 항염 효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로부터 각각의 식물 추출물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이 훨씬 더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피지분비억제 효과 특정
남성호르몬의 과잉분비는 피지세포의 피지 과다 분비를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공이 막히게 됨으로써 혐기성균인 여드름균의 증식을 촉진하게 된다. 모공폐쇄에 의한 여드름균의 과다 증식은 피부의 염증반응을 유발함으로써 결국에는 피부염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피지세포의 과잉 피지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1 차적으로 모공폐쇄를 차단할 수 있고, 연쇄적으로 여드름균의 증식 또한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드름성 피부염의 치료나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 시료 15와 비교예인 시료 16 내지 20의 피지분비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지세포(Sebocyte)의 지방소립(Lipid droplet) 형성 저해 정도를 통해 피지분비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DMEM/Ham's F-12 (1:1)에 10%의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을 첨가한 배지에서 피지세포를 배양하였으며,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5 x 103의 세포를 살포(Seeding)하여 2 일간 추가 배양하였다. 여기에 200 nM의 22(R)-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Hydroxycholesterol)을 처리하여 피지생성을 유도한 후, 시료 15 내지 20를 각각 용량별로 50㎕, 100 ㎕씩 추가로 처리하여 2 일간 더 배양하였다.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한 후 피지세포 내에 유도된 지질을 나일 레드(Nile red) 시약으로 염색한 후, 다기능 효소 면역분석기(HTS Multi label reader,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여기(Excitation) λ485 nm, 방출(Emission) λ565 nm에서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형광 강도는 피지생성량에 비례하며, 시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 16 내지 20 중에서 피지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자목련 추출물(시료 17), 돌콩 추출물 (시료 18), 감초 추출물 (시료 19)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에 비례하여 피지분비 억제능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돌콩 추출물에서 가장 좋은 피지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꿀풀 추출물 (시료 16)과 병풀 추출물 (시료 20)은 피지생성 억제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의 경우 그 어떤 단일 식물 추출물보다 강력한 피지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와 같이 피지세포에서의 피지생성 억제능을 갖는다는 것은 여드름성 피부염 치료나 개선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7: 아토피 환자에 대한 피부염 개선 효과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을 이용하여 로션 제형(하기 제제예 1-4)으로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용 전ㅇ후의 피부상태를 EASI(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score, VAS(Visual analogue scale),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IGA(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의 4 가지 평가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피험자 모집 결과 45명이 1 차 선정되었으나, 이 중 5명은 자의에 의해 시험참가를 철회하여, 최종 40명을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염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19명, 시험군은 21명으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대조군에는 제제예 1-4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 혼합용액 대신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로션을 사용하였으며, 시험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으로 제조한 로션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참가한 피험자의 정보는 하기 표 6에 나나난 바와 같다.
구분 총인원 (40 명) 대조군 (19 명) 시험군 (21 명)
연령 (세) 20.2 ± 17.8 19.6 ± 17.4 20.4 ± 17.6
성별 남성 23 (57.5%) 10 (52.6%) 13 (61.9%)
여성 17 (42.5%) 9 (47.4%) 8 (38.1%)
EASI score 10.1 ± 5.1 9.6 ± 4.0 10.6 ± 6.0
통계 분석은 반복 측정된 결과값에 대해 프리드먼(Friedman)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결과를 보인 변수에 대해서는 사후 검증을 통해 시점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변수들의 각 군 내에서 시기별 차이와, 변수들의 각 군 사이에서 변화량 차이와 같은 짝지어진 연속형 변수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하여 Wilcoxon's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sion 18, IBM, New York, NY, USA)를 통계소프트웨어로 이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험 결과를 도 4 내지 8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구분 평가 시기 사후 비교 (p value)
시점 2 주 경과 4주 경과 시점 대비
2주
시점 대비
4주
2주 대비
4주


(40명)
EASI score 10.1 ± 5.1 9.7 ± 5.1 9.1 ± 5.2 0.064 0.065 0.054
VAS 소양증 4.4 ± 1.8 3.8 ± 1.8 3.8 ± 2.2 0.011 0.058 0.968
수면장애 0.8 ± 1.0 0.5 ± 0.7 0.3 ± 0.5 0.000 0.001 0.073
TEWL (팔) 21.4 ± 12.4 16.6 ± 10.4 17.8 ± 11.4 0.002 0.025 0.341
IGA 1.8 ± 0.7 1.5 ± 0.6 1.4 ± 0.7 0.003 0.002 0.210



(19명)
EASI score 9.6 ± 4.0 9.6 ± 4.0 9.4 ± 4.7 0.909 0.728 0.648
VAS 소양증 4.4 ± 1.7 3.7 ± 2.0 3.8 ± 2.1 0.027 0.094 0.672
수면장애 1.1 ± 1.1 0.6 ± 0.8 0.3 ± 0.7 0.000 0.007 0.172
TEWL (팔) 24.0 ± 13.8 19.4 ± 12.5 20.9 ± 13.8 0.036 0.235 0.482
IGA 1.6 ± 0.7 1.5 ± 0.6 1.5 ± 0.7 0.667 0.542 0.667



(21명)
EASI score 10.6 ± 6.0 9.8 ± 6.0 8.9 ± 5.8 0.012 0.004 0.017
VAS 소양증 4.4 ± 2.0 3.8 ± 1.6 3.7 ± 2.3 0.143 0.232 0.853
수면장애 0.6 ± 0.7 0.3 ± 0.6 0.2 ± 0.4 0.000 0.042 0.267
TEWL (팔) 18.5 ± 10.1 14.6 ± 6.6 14.2 ± 6.4 0.022 0.021 0.525
IGA 1.9 ± 0.7 1.4 ± 0.7 1.3 ± 0.6 0.000 0.000 0.186
먼저, 상기 표 7과 도 4를 참조하여 EASI(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점수를 보면, 대조군의 EASI 점수는 시점에 비하여 시간에 따라(2주, 4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시험군의 EASI 점수는 시점에 비하여 시간에 따라 (2주, 4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를 보였다. 시점과 비교한 2주와 4주의 EASI 점수 감소량은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더 컸으며, 2주에서 4주 사이의 EASI 점수 감소량 또한 시험군이 더 컸다. EASI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했다는 것은 아토피성 피부염 임상증상의 중증도가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VAS (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한 소양증의 감소정도를 평가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소양증의 경우, 대조군의 시각척도 점수는 시점에 비하여 2주에는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며, 4주에는 다시 증가하였으나 시점보다는 감소하였다. 시험군의 소양증에 대한 시각척도 점수는 시점에 비하여 시간에 따라(2주, 4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점과 비교한 소양증에 대한 시각척도 점수의 감소량은 2주에 대조군이 컸으며, 4주에는 시험군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주와 4주 사이에 대조군은 소양증에 대한 시각척도 점수가 오히려 증가한 것에 비해 시험군에서는 감소하였다.
도 6은 VAS (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한 수면장애의 감소정도를 평가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시각척도 점수는 대조군 및 시험군 모두 시점에 비하여 시간에 따라 2주와 4주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게 감소하였다.
도 7은 경피수분손실도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를 측정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의 경우 시점에 비하여 2주에는 감소하였으나, 4주에는 오히려 2주 때보다 증가하였지만, 시점과 비교했을 때는 경피수분손실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군은 시점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2주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4주에는 2주보다 감소는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경피수분손실도는 대조군 및 시험군에서 2주에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4주에는 2주에 비해서 감소 정도가 미미하거나 대조군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경피수분손실도가 감소했다는 것은 피부 보습력이 증가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보습효과가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연구자에 의한 전반적인 평가(IGA, 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점수로, 대조군은 시점에 비해서 시간 경과에 따라 2주, 4주에 모두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시험군은 시점에 비해 시간에 따라 2주와 4주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9는 시험군에 속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들의 시간 경과에 따른 증상의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사진으로 비교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환자에 따라 차이는 보이지만, 빠르게는 사용 후 2주 만에 확연하게 개선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며, 3주 또는 4주 만에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시험예 8: 여드름 환자에 대한 피부염 개선 효과
본 시험예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시료 15)를 이용하여 하기 제제예 1-3에 따라 세럼을 제조한 다음 여드름성 피부염에 대한 효능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아 시험군만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시험은 별도로 진행하지 않았다. 피험자는 총 12 명으로 피부 타입에 따라 지성 8 명, 건성 4 명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마, 턱, 뺨 등 주로 안면부에 발생한 여드름 부위에 매일 아침과 취침 전에 세럼을 바르게 하여 4 주간 진행한 후 여드름성 피부염의 치료나 개선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해 시험하였다. 임상 시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8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피험자 연령/성별/피부타입 여드름성 피부염의 종류 호전율 (%)
1 17세/남성/지성 구진 + 농포 + 결절 80
2 17세/여성/지성 구진 + 농포 70
3 18세/남성/지성 구진 70
4 18세/여성/지성 구진 80
5 19세/남성/건성 구진 + 농포 + 결절 60
6 20세/여성/지성 구진 90
7 21세/여성/건성 구진 + 농포 70
8 23세/여성/지성 구진 80
9 24세/남성/건성 구진 70
10 24세/여성/지성 구진 + 농포 40
11 26세/여성/건성 구진 70
12 27세/여성/지성 구진 80
1) 구진: 여드름 균이 번식하여 염증 반응이 진행되어 홍반이 시작되며, 피부가 솟아오른 붉은색 염증
2) 농포: 염증이 진행되어 백혈구의 농이 차있는 작은 융기로 염증세포와 액의 혼합물로 구성
3) 결절: 구진과 같은 형태이지만, 화농성 여드름이 진행되어 농포가 피부 내에서 주변 조직과 심부 조직으로 확대되어 그 직경이 약 5~10 mm 정도로 더 크거나 깊게 형성된 것
상기 표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12명의 여드름성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혼합물을 포함한 세럼을 4주간 환부에 도포한 결과, 피부 타입과 무관하게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여드름성 피부염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 효과를 보였다. 다만, 24세 지성피부 여성의 경우는 그 개선 정도가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개선 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진, 농포, 결절 등 여드름성 피부염 등 피부염 질환의 종류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피부상태가 호전된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구진에 대해서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및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개시된 제조예, 시험예, 제형예들은 한정된 관점이 아니라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도록 하기 위한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
1-1. 워시
성분 함량 (%)
추출 혼합물(시료 15) 3.0
다이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20.0
라우릴글루코사이드 10.0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10.0
씨드릭애씨드 2.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위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1-2. 스킨
성분 함량 (%)
추출 혼합물(시료 15) 3.0
판테놀 0.5
트레할로스 1.0
글리세린 2.0
베타인 2.0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1
잔탄검 0.05
알로에베라잎추출물 0.0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스킨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1-3. 세럼
성분 함량 (%)
추출 혼합물(시료 15) 5.0
판테놀 0.5
솔비톨 1.0
글리세린 2.0
베타인 2.0
카보머 0.5
잔탄검 0.2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1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스킨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1-4. 로션
성분 함량 (%)
추출 혼합물(시료 15) 5.0
판테놀 0.5
글리세린 1.0
베타인 2.0
카보머 0.5
잔탄검 0.2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1
레시틴 1.0
비즈왁스 2.0
쉐어버터 1.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1-5. 크림
성분 함량 (%)
추출 혼합물(시료 15) 5.0
판테놀 0.5
글리세린 1.0
베타인 2.0
하이드록시에칠우레아 1.0
카보머 0.5
잔탄검 0.2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5
레시틴 1.5
비즈왁스 3.0
쉐어버터 2.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크림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약학적 제제
2-1. 연고
성분 함량(g)
추출 혼합물(시료 15) 10.0
올리브 오일 14.5
밀랍 3.7
1,3-부틸렌글리콜 6.3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가수분해 피브로인 2.0
15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기로 교반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2-2. 크림
성분 함량(g)
추출 혼합물(시료 15) 5
스테아린산 1.5
스테아릴 알코올 2.2
스테아린산 부틸 0.5
프로필렌글리콜 0.5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수산화칼륨 0.3
크림베이스 4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탈기, 여과 및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Claims (7)

  1. 꿀풀(Prunella vulgaris), 자목련(Magnolia liliflora), 돌콩(Glycine soy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병풀(Centella asiatica)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염증 개선,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혼합물은 꿀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목련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돌콩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감초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병풀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혼합물은 꿀풀 추출물, 자목련 추출물, 돌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친수성 용매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스트,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밤, 팩, 파우더, 파운데이션, 포밍클렌저, 바디워시, 샴푸, 린스 및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꿀풀(Prunella vulgaris), 자목련(Magnolia liliflora), 돌콩(Glycine soya), 감초(Glycyrrhiza glabra) 및 병풀(Centella asiatica)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혼합물은 꿀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목련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돌콩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감초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병풀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혼합물은 꿀풀 추출물, 자목련 추출물, 돌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친수성 용매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70168667A 2017-12-08 2017-12-08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3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67A KR102033088B1 (ko) 2017-12-08 2017-12-08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N201811474002.9A CN109893475A (zh) 2017-12-08 2018-12-04 包含植物提取混合物的抗菌、抗炎、抗氧化、皮脂分泌抑制及皮肤炎改善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67A KR102033088B1 (ko) 2017-12-08 2017-12-08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61A KR20190068361A (ko) 2019-06-18
KR102033088B1 true KR102033088B1 (ko) 2019-10-17

Family

ID=6694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667A KR102033088B1 (ko) 2017-12-08 2017-12-08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3088B1 (ko)
CN (1) CN1098934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66B1 (ko) 2021-06-02 2021-12-28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8B1 (ko) * 2019-07-26 2019-12-12 (주)티이엔 여드름 피부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47777B1 (ko) *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6000B1 (ko) * 2022-07-11 2023-01-10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9094T1 (de) * 2003-01-27 2011-11-15 Vitamin C60 Biores Corp Zusammensetzung zur äusseren anwendung
KR20110092971A (ko) * 2010-02-11 2011-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370761B (zh) * 2010-08-18 2013-11-06 上海科鑫生物工程有限公司 用于预防或抗过敏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147773B (zh) * 2015-09-21 2020-11-06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抑制痤疮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395441B (zh) * 2015-12-30 2019-10-11 广州蜜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全效控油、祛痘、净痘美肌精华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66B1 (ko) 2021-06-02 2021-12-28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61A (ko) 2019-06-18
CN109893475A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33088B1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CN109260054B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20200018879A (ko)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항염성 천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EP3256142B1 (de) Immunologisch aktives phyto-gemisch und seine anwendung bei der prävention und in einem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effloreszenzen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9278B1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183484B1 (ko)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07786A (ko)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으름덩굴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0946690B1 (ko) 유기농 토마토, 매실, 진피, 복숭아 및 알로에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2995B1 (ko) 레몬머틀, 맥문동 및 당귀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