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84B1 -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484B1
KR101183484B1 KR1020090130758A KR20090130758A KR101183484B1 KR 101183484 B1 KR101183484 B1 KR 101183484B1 KR 1020090130758 A KR1020090130758 A KR 1020090130758A KR 20090130758 A KR20090130758 A KR 20090130758A KR 101183484 B1 KR101183484 B1 KR 101183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palmetto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almetto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947A (ko
Inventor
강현식
김기환
이혁재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4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쏘팔메토 추출물(Saw Palmetto extract)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쏘팔메토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0 ~ 10.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토피피부염은 유전적 소인 외에 식생활의 변화,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태열이라 불리는 영아기 습진으로부터 시작하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치료약 중 스테로이드제의 효과가 우수하나, 부작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은 세균감염을 동반함이 일반적이므로 항생물질의 사용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천연 약용 식물 자원인 쏘팔메토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효과, 보습효과, 항염효과는 물론 경시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부작용이 적으며,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를 지닌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쏘팔메토, 화장료 조성물, 항염증, 항균, 항진균, 보습효과, 면역세포 생육 활성, 홍반완화 효과, 아토피

Description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w Palmetto extra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쏘팔메토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0 ~ 10.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항균 또는 항진균, 보습효과, 면역세포 생육활성, 홍반완화효과,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쏘팔메토 열매를 증류수로 세척 및 건조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물을 열수추출법 또는 초임계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allergy)는 그리스어인 ‘allon argon’에서 유래되었는데 ‘정상에서 벗어나 다르게 반응하려 하는’이란 의미이며, 1910년 뷔르케란 소아과 의사가 책에 쓴 제목으로 사용된 용어로 사람의 변화된 반응능력(changed action)을 의미한다. 알러지의 경우에는 이물질이 실제로 크게 해롭지 않은 것인데도 과잉면역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우리 몸에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즉, 외부 침입자가 해롭지 않은 것인데 해로운 것으로 착각하여 과잉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알러지는 Coombs and Gell에 의한 분류법에서 기본적으로 Ⅰ~Ⅳ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에서도 Ⅰ형 알러지는 ‘즉시형’알러지라고 말하고 아토피성 질환 등을 일으킨다. 또, Ⅳ형 알러지는 ‘지연형’ 알러지라고 말한다. 이 중 알러지 Ⅰ형은 과도한 면역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IgE 항체에 의한 히스타민 매개반응이 대표적이며 크게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과민증으로 나뉘는데, 4가지 질환 중 피부에 관련된 것은 아토피성 피부염이다.
아토피(Atopy)란 용어는 1923년 Coca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a(no)+top(place)+y(ness)로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이란 의미로 음식물이나 흡입물에 알러지를 쉽게 일으키는 유전적 성향이 있는 체질을 지칭한다. 말 그대로 다양한 원인이 복잡하게 경로로 발병하고, 완화와 재발을 반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인이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것은 그 만큼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아토피 소인은 유전되어 가족력으로 나타난다. 아토피 소인에 의한 알러지 질환으로 알레르기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 피부염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은 단독 또는 여러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아토피 유발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음식물, 꽃가루, 곰팡이 등과 같이 자주 외부환경에서 접하는 단백물질에 대한 피부반응검사에서 흔히 두드러기 반응을 나타내고, 특정한 단백물질을 먹거나 흡입할 때 가려움증, 피부발작, 두드러기, 혈관부종, 재채기, 콧물, 코막힘, 결막충혈,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아토피 알레르기의 메카니즘을 보면 알레르겐이 각질층을 통해 침입해서 표피세포에 까지 이르게 되면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가 이를 포식하여 조각조각 분해시키게 된다. 침입한 알레르겐의 양이 많아 대식세포가 다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처 처리하지 못한 알레르겐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같은 백혈구의 일종인 T세포에 보내주고 T세포는 그 정보를 다시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성 백혈구에 전하여 혈중에 널리 분포된 호산구를 알레르겐이 침입한 장소로 불러 모으게 된다. 이때 환부에 집적된 호산구가 활성산소를 과잉으로 방출시켜 염증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이 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며, 급성기에는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거나 붓거나 좁쌀처럼 돋아 오르거나, 작은 물집이 잡히거나 습하고 딱지가 앉거나 하며, 만성기에는 가렵고, 피부가 딱딱하거나 두꺼워지거나 줄이 가거나 쌀가루 같은 비늘이 앉거나 검어지거나 또는 희게 탈색되거나 하는 모양을 보인다. 대개 아토피 피부염은 흔히 태열이라 부르는 영아기 습진으로부터 시작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치료약 중 부신피질호르몬제인 스테로이드제는 크게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으며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바르면 바른 부위의 피부에 털이 나고 피부가 위축될 수 있으며, 피부색소가 적어 지고 세균의 감염이 생기며, 여드름이 돋고, 피부가 얇아지고 실핏줄이 드러나 아주 흉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약을 중지하면 다시 폭발적으로 증상이 심해지므로 이 약을 중지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아토피 환자의 피부는 장기간 긁고 건조해진 결과로 세균감염이 병행됨이 일반적이다. 아토피 환자의 90% 이상이 포도상구균에 감염되어 있는데 이 균은 환자가 가려움을 참지 못해 긁어서 생기기도 하지만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이 세균의 외독소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나오게 하여 아토피를 악화시킨다고 한다. 즉, 이 세균 자체가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토피의 치료에는 적절한 항생물질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 외 약물치료로 비스테로이드 연고제로는 보습제 종류인데 피부가 좋아진 후에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진정시키기 위해 진정제나 신경안정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밤에는 보습을 위해 연고를 바른 후 랩으로 도포 부위를 감싸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토피의 특성으로 볼때, 아토피 치료제의 필수 사항으로 항균효과, 보습효과, 항염효과를 지닌 물질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쏘팔메토는 허브과의 일종인 톱야자라는 식물이다. 이 열매는 미국동남부에 거주하는 인디안들이 최음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그들은 열매를 요리하여 코에 병이나거나 막힌 코를 뚫기위한 약으로 사용하였다.
최근 쏘팔메토의 열매에서 추출한 엑기스를 약용과 각종 건강식품으로 쓰이 고 있으며 천연식품으로 유럽 및 미국등지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이 진행중이며, 가장 큰 효능은 항염증작용으로 미국의 Read와 Salomons등의 의사들은 쏘팔메토의 항염증 우수성을 소개하였다.
쏘팔메토의 열매는 여러 종류의 필수 지방산과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유류(oil)을 지니고 있다. 이들 지방산은 Carpic, Caprylic, Caproic, Lauric, Palmitic 및 Oleic산과 이들의 에틸-에스터들이다. 주요 피토스테롤들은 베타-시토스테롤, Stigmasterol, Cycloartenol, Lupeol, Lupenone 및 24-methyl-cyclo-artenol이다. 쏘팔메토 열매의 가장 중요한 화학적 구성요소는 식물성 스테롤, 지방, 탈 지방산, 카로테노이드, 필수오일 그리고 폴리사카라이드이다. 1960년대에는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피토스테롤이 검출되었다.
한 연구에 의하면 테스토스테론과 5-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에 비교하여 쏘팔메토열매가 식물성 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화학적 성분들은 쏘팔메토 열매가 가지고 있는 성분에 소염효과가 있음을 화학적 결합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탈 지방산과 에텔 에스테르 성분이 5-알파-환원제의 억제에 대한 역할이 있는 것으로 추정이 된다. 약학연구에 의하면 쏘팔메토 엑기스에서 분리된 산 다당류에 대해서 항염증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기술은 한국특허등록 10-0863267(인삼, 황기, 감초, 흑축, 녹차 및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로서 유효성분인 상기 허브 추출물 또는 허브 추출물-함유 제올라이트는 세포내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미백 효과, 주름 개선 효능,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10-0719761(산양유와 양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아토피 피부의 예방 또는 완화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본 발명과 기술적구성이 다른 것이다.
현재 아토피 피부염에 주료 사용하고 있는 치료약 중 스테로이드제는 부작용이 크다. 장기간 바르면 피부가 위축될 수 있으며, 피부색소가 적어져 세균의 감염이 생기며, 여드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약을 중지하면 다시 폭발적으로 증상이 심해지므로 이 약을 중지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항생제는 아토피 치료에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아토피 환자의 피부는 장기간 긁고 건조해진 결과로 세균감염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아토피의 특성으로 감안하여, 아토피 치료제의 필수 사항으로 항균효과, 보습효과, 항염효과를 지닌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발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상기 쏘팔메토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0 ~ 10.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쏘팔메토를 증류수로 세척 및 건조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물을 열수추출법 또는 초임계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통해, 최근 급증하는 추세에 있는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경시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부작용이 적은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 보습효과 뿐 아니라 면역세포 생육활성 증진 효과 및 피부 1차 자극 후 홍반완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상기 쏘팔메토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0 ~ 10.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뚜렷한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는 함유량이 증가하더라도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및 제품 안정성 면에서 큰 변화가 없어 비효율적이며 비경제적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쏘팔메토의 열매를 증류수로 세척 및 건조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쏘팔메토 분쇄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쏘팔메토 분쇄물의 추출법은 열수 추출법 또는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다. 상기 열수추출법의 추출용매는 에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액; 또는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의 혼합액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액에 의한 열수추출법은 쏘팔메토 열매의 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액 1,400~1,600중량부를 가하여 55~65℃에서 6~8시간동안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액은 에탄올 및 증류수가 중량비 3:1 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의 혼합액에 의한 열수추출법은 쏘팔메토 열매의 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의 혼합액 1,400~1,600중량부를 가하여 55~65℃에서 6~8시간동안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액은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가 중량비 2:1:1 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열수추출법은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 밀봉하는 단계;와 이산화탄소를 추출조에 투입하는 단계;와 1,3-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과 95% 에탄올(ethanol)의 혼합용액을 추출조에 투입하는 단계;와 추출조 내부의 온도를 35~45℃까지 승온시킨 후, 290~310기압으로 45~55분간 유지시키는 단계; 및 추출물을 포집한 후 탈수, 탈색, 탈취 단계;를 포함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3-부틸렌글리콜과 95% 에탄올의 혼합용액은 중량비 100:5 인 것을 사용한다.
이하에서 실시예, 제조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탄올 및 증류수를 추출용매로 하는 열수 추출법에 의한 쏘팔메토 추출물의 제조
미국 대서양 연안에서 자생하는 쏘팔메토 열매를 수입하여, 깨끗이 증류수로 씻은 다음, 햇빛이 쪼이지 않는 서늘한 곳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다음, 균질화기(AM-7, 하이론켐)로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 100g에 에탄올 및 증류수가 중량비 3:1로 혼합된 혼합액 1500g을 가하여 60℃에서 7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200메쉬 여과포(청계상공사)로 1차 여과를 하고, 2차 여과를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 20.4g의 쏘팔메토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를 추출용매로 하는 열수 추출법에 의한 쏘팔메토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한 소팔메토의 분쇄물 100g에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증류수가 중량비 2:1:1로 혼합된 혼합액 1500g을 가하여 60℃에서 7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200메쉬 여과포(청계상공사)로 1차 여과를 하고, 2차 여과를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 21.2g의 쏘팔메토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쏘팔메토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한 소팔메토의 분쇄물 600g을 내부용적 1.2L의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 밀봉하고 고압용 기체펌프를 이용하여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하고 추출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압력을 높였다.
동시에 고압용 액체펌프를 이용하여 수용성(water soluble) 공용매인 1,3-butylene glycol과 95% ethanol의 혼합용액을 1.1g/min속도로 이산화탄소와 동시에 추출조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은 중량비 100:5 인 것을 사용하였다.
압력이 300기압에 달하면 이산화탄소와 공용매의 공급을 중단하고,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온도제어기를 이용하여 추출조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열선을 이용하여 추출조 내부의 온도를 0.5℃/min 속도로 40℃까지 승온시켰다. 승온으로 인한 추출조의 압력은 추출조의 출구에 부착된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일부 배출하여 압력을 300기압으로 조절하고, 추출조의 온도와 압력을 40℃, 300기압으로 50분간 유지시켰다.
고압용 기체펌프를 재가동하여 20L/min의 유량으로 이산화탄소를 추출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고압용액체펌프를 재가동하여 수용성 공용매를 1.1g/min 속도로 공급하였다. 동시에 출구쪽에 부착된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방출시키며 추출조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압력조절기를 통하여 방출된 압력 및 온도강하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 고체 드라이아이스로 전이되어 최종 출구쪽의 튜브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조절기의 온도를 70℃로 유지하였다. 방출된 추출물은 상압으로 감압되어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었고, 원료의 수용성 유효성분과 공용매를 함께 포집기 내로 회수하였다.
상기 과정을 6시간 동안 수행한 후 수용성 공용매 투입을 중단하고 추출조업을 종료하였다. 추출종료 후 탈수, 탈색, 탈취공정을 거쳐 최종 쏘팔메토 추출물 142g을 얻었다.
<시험예 1> 항염증 효과 측정
본 소팔메토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 귀에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 하여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 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이는 다음 수학식 1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80170278-pat00001
............[수학식 1]
A: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도포군 귀의 두께(시료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표 1]
시 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 전 시료처리 후
아라키돈산 2㎎/ear 에탄올 296 547 -
실시예 1 추출물 0.5 에탄올 289 502 15.1
실시예 1 추출물 1.0 에탄올 279 484 18.3
실시예 1 추출물 2.0 에탄올 293 492 20.7
실시예 2 추출물 0.5 에탄올 285 495 16.3
실시예 2 추출물 1.0 에탄올 295 498 19.1
실시예 2 추출물 2.0 에탄올 287 483 21.9
실시예 3 추출물 0.5 에탄올 274 479 18.3
실시예 3 추출물 1.0 에탄올 284 478 22.7
실시예 3 추출물 2.0 에탄올 294 478 26.7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쏘팔메토 추출물이 처리군으로 사용된 아라키돈산 보다 염증 억제율이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보다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가 염증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균 및 항진균 효과 측정
쏘팔메토 추출물 상기 실시예 1, 2, 3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균성 및 항진균성 실험은 종이 디스크(paper disc)를 이용한 한천 확산법 (agar diffusion)으로 측정하였다. 균주를 액체배지 100㎖에 한 백금이를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표2).
상기 균주 배양액 100㎕을 탑 한천(top agar; 0.75% agar) 플레이트에 접종 (107-108cfu/㎖)하고 플레이트 위에 도포하였다. 쏘팔메토 추출물을 멸균된 종이 디스크에 20㎕씩 주입하고 건조한 후, 디스크를 플레이트 표면 위에 올려놓았다. 36시간 배양하여 한천 플레이트 주위에 생성된 투명 범위 (clear zone)로 항균력 및 항진균력을 측정하였다.
균주로는 다음과 같은 미생물 공시균주를 사용하였다; 칸디다 알비칸(Candida albicans, ATCC 10259)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바실러스 섭틸리 스(Bacillus subtilis, ATCC 6633), 상기 균주의 생육배지는 보통 한천 (nutrient agar) 또는 트립티케이스 콩 한천(trypticase soy agar; Difco)을 사용하였으며 균주별 배양조건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2 (균주별 배양조건)]
번호 균주 배지 타입
1 칸디다 알비칸 보통 한천 호기
2 대장균 트립티케이스 콩 한천 호기
3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스 보통 한천 호기
4 바실러스 섭틸리스 보통 한천 호기
[표 3]
균주 대장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스
바실러스
섭틸리스
칸디다
알비칸
추출물
농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0.5 3 4 6 3 5 7 4 4 6 3 4 5
1.0 5 6 8 6 6 9 5 6 8 5 5 8
3.0 6 7 9 7 8 10 6 7 10 7 7 9
5.0 8 9 11 8 9 12 7 8 11 8 9 12
10.0 9 9 15 10 11 14 10 10 16 9 10 14
상기 표 3에서 볼수 있듯이 쏘팔메토 추출물은 탁월한 항균작용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초임계추추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이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보다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있었고,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보습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2, 3의 추출물에 대하여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 825, Courage+Khazaka 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30대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2 ㎠, 8구획을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없이 수분을 제거한다. 5분 경과 후, 정제수, 실시예 1의 추출물, 실시예 2의 추출물, 실시예 3의 추출물을 각각 2구획에 대하여 10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하였다. 10분 후, 수분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당 5회 측정하였다. 1구획에 대하여 5분 간격으로 6회 다음 수학식에 의해 측정하고, 데이터 값은 20명에 대한 평균치로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조건은 실내온도 20℃, 상대습도 30%로 항온항습을 유지하였다.
수분율(%) = 시료 도포 후 수분측정기의 수치 - 시료 도포전 수분측정기의 수치
[표 4]
시 료

시간(분)
정제수 실시예 1 추출물 실시예 2 추출물 실시예 3 추출물
10 25 28 30 31
15 14 17 21 26
20 8 10 13 23
25 4 6 9 21
30 2 5 7 18
35 1 3 4 17
40 0 2 3 17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쏘팔메토 추출물이 대조군 정제수 보다 시간에 따른 수분보유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 3의 추출물이 다른 실시예 1, 2의 추출물 보다 보습력이 월등히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쏘팔메토 추출물은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증명 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면역세포의 생육활성 측정
MTT assay 시험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증식이나 독성에 많이 사용되는 실험법으로, 살아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수용성이고 노란색의 염인 MTT(3-[4,5-dimethylthiazole-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숙신산탈수소효소에 의해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formazan 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성된 formazan 유도체에 용해제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람 면역세포인 Raji(Human B cell)과 Jurkat(Human T cell)을 MTT(3-[4,5-dimethylthiazole-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세포의 생육은 RPMI1640(GIBCO, USA) 배지에서 10% FBS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면역세포 생육활성 측정은 24well plate에 세포농도를 4× 104 cells/㎖로 하여 배양 24시간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적용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각각의 well에 있는 배지를 버리고 MTT 용액을 well당 1000㎕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00㎕씩 가한 후 하룻밤 37℃에서 인큐베이션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쏘팔메토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를 총 8일에 걸쳐 측정하여 세포의 생육활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실시예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쏘팔메토 추출물의
최종농도(㎍/㎖)
생육활성(%)
B 세포 T 세포
실시예 1 200.0 101 102
실시예 2 200.0 104 103
실시예 3 200.0 112 119
상기 표 5에서 볼수 있듯이 사람 면역세포인 Raji(Human B cell)과 Jurkat(Human T cell)을 사용하여 면역세포의 생육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3의 추출물을 적용한 경우 가장 좋은 생육활성을 보여 면역활성을 높여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에센스(essence)의 제조
하기 조성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80± 2℃에서 따로 혼합, 용해하고, 유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중화제인 원료 13를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5℃까지 냉각시켰다. 냉각 후, 원료 14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
처방1 처방2 처방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실시예 1의 쏘팔메토 추출물 5.000 - -
3 실시예 2의 쏘팔메토 추출물 - 5.00 -
4 실시예 3의 쏘팔메토 추출물 - - 5.00
5 카보머 0.10 0.10 0.10
6 디소듐이이디티에이 0.05 0.05 0.05
7 부티렌글리콜 3.50 3.50 3.50

8 천연방부제 0.01 0.01 0.01
9 마카데미아넛 오일 4.00 4.00 4.00


10 미네랄 오일 3.00 3.00 3.00
11 디 메치콘 1.00 1.00 1.00
1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 2.00
중화 13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14 향료 0.01 0.01 0.01
*비교 제조예 1은 실시예 3의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쏘팔메토 추출물 대신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처방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센스를 제조하 였다.
<시험예 5> 피부 1차 자극 후 홍반완화 효과 측정(폐쇄첩포실험)
처방 1, 2, 3과 비교 제조예 1의 에센스에 피부자극제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ly Sulfate)이 0.5% 되도록 도포하고, 홍반 완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과 다른 습진의 현병력 및 과거력이 없는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단된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의 양측 전완부 내측 부위에 시료를 도포하기 전에 홍반지수(erythema index: E-index)를 측정하고 large finn chamber(Epitest, Hyryla Finland)와 여과지를 이용하여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동안 첩포를 부착하였다. 첩포를 제거하고 홍반지수측정은 공기의 이동이 없고 직사광선이 없는 공간에서 피험자가 검사 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30분동안 안정을 취한 후 시행하였다.
Mexameter(Courage+Khazaka 사)를 이용하여 측정후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내온도 23℃, 상대습도 6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표 6]
시 료 BL DAY0 DAY1 DAY2 WEEK1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5% 210 340 309 273 256
처방 1 211 315 289 250 224
처방 2 211 312 280 239 217
처방 3 210 285 254 226 212
비교 제조예 1 209 329 293 264 248
상기 표 6의 결과로 볼때 쏘팔메토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처방 1, 2, 3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 제조예 1보다 피부 홍반완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의 임상평가 측정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비교 제조예 1의 화장료에 대한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의 임상평가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비교 제조예 1의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아토피성 피부를 가지고 병원 및 한의원에 내원하여 치료받는 소인 2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시료를 이중 맹검법(double-blinded test)에 의하여 각각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어 전신에 도포하되, 시험시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보습제의 사용은 금지하였다. 시험 시료를 도포한 지 1, 2, 3, 4주 후의 효과를 스코래드 SCORAD(SCORing Atopic Dermatitis) 측정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1) 판정기준
① 정도 기준 (Extent criteria) : 면적 = 피손부위/100
② 강도 기준 (Intensity criteria)
- 홍반 (1/2/3)
- 부종 (1/2/3)
- 삼출 (1/2/3)
- 피부 벗겨짐 (1/2/3)
- 태선화 정도 (1/2/3)
- 건조 정도 (1/2/3)
③ 주관적 기준
- 가려움 (1-10)
- 불면증 (1-10)
* 스코래드 계산 = (정도기준/5) + (강도기준/7) + 주관적 기준
[표 7]
분류 0주 1주 2주 3주 4주
처방 1 62.4 43.2 30.7 24.8 19.5
0% 30.8% 50.8% 60.3% 68.8%
처방 2 65.3 43.1 31.4 25.6 18.9
0% 34.0% 51.9% 60.8% 71.1%
처방 3 61.7 32.8 17.5 11.6 8.3
0% 46.8% 71.6% 81.2% 86.5%
비교 제조예 1 63.2 47.9 42.7 38.1 36.5
0% 24.2% 32.4% 39.7% 42.2%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처방 3에서 제조된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처방예는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가 뚜렷이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비교 제조예 1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4주 후의 결과를 보면 68% 이상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한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처방 3은 86% 정도의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보호자가 느끼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비교 제조예 1의 화장료를 1개월 동안 사용한 후, 사용자의 부모가 하기 기준에 따라 피부염의 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에 대한 만족도와 함께 전반적인 피부염 개선 정도 및 시험시료에 의한 부작용 여부 등을 평가하도록 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1 2 3 4 5
효과없음 약간있음 보통 우수 매우우수
매우불만 불만 보통 만족 매우만족
[표 8]
분류 피부 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 전반적 개선효과 부작용
처방 1 4.5 4.5 4.0 4.0 4.0
처방 2 4.0 4.5 4.0 4.0 4.0
처방 3 4.5 4.5 4.5 4.5 4.0
비교제조예 1 2.5 2.5 3.5 3.0 3.5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처방 1 내지 처방 3은 피시험자인 아토피성 피부를 갖는 사람에 대하여 전 평가항목에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유연 화장수의 제조
하기 조성에 따라 수상과 에탄올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따로 혼합, 용해시키고, 에탄올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첨가제를 넣고 혼합하였다. 이를 멤브레인 필터(삼덕여과상사, 페이퍼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
처방1 처방2 처방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실시예 1의 쏘팔메토 추출물 5.00 - -



3 실시예 2의 쏘팔메토 추출물 - 5.00 -
4 실시예 3의 쏘팔메토 추출물 - - 5.00
5 글리세린 1.00 1.00 1.00
6 소듐피씨에이액 3.00 3.00 3.00


7 변성알코올 10.00 10.00 10.00
8 천연방부제 0.01 0.01 0.01


10 향료 0.01 0.01 0.01
<제조예 3> 영양 화장수의 제조
하기 조성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80 ± 2℃에서 따로 혼합, 용해하고, 유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중화제인 원료 14를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5℃까지 냉각시켰다. 냉각 후, 원료 15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
처방1 처방2 처방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실시예 1의 쏘팔메토 추출물 5.00 - -
3 실시예 2의 쏘팔메토 추출물 - 5.00 -
4 실시예 3의 쏘팔메토 추출물 - - 5.00
5 카보머 0.15 0.15 0.15
6 디소듐이이티에이 0.02 0.02 0.02
7 부틸렌글리콜 1.00 1.00 1.00



8 천연방부제 0.01 0.01 0.01
9 마카데미아넛오일 2.00 2.00 2.00
10 미네랄오일 6.00 6.00 6.00
11 디메티콘 2.00 2.00 2.00
12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40 0.40 0.40
13 폴리소르베이트 60 1.60 1.60 1.60

14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5 향료 0.01 0.01 0.01
<제조예 4>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80± 2℃에서 따로 혼합, 용해하고, 유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중화제인 원료 12를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5℃까지 냉각시켰다. 냉각 후, 원료 13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
처방1 처방2 처방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실시예 1의 쏘팔메토 추출물 5.00 - -
3 실시예 2의 쏘팔메토 추출물 - 5.00 -
4 실시예 3의 쏘팔메토 추출물 - - 5.00
5 디소듐이이디티에이 0.05 0.05 0.05
6 하이알루론산 추출물 2.50 2.50 2.50
7 글리세린 8.00 8.00 8.00
8 카보머 0.20 0.20 0.20



9 천연방부제 0.01 0.01 0.01
10 레시틴 0.60 0.60 0.60
11 마카데미아넛오일 10.0 10.0 10.0

12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3 향료 0.01 0.01 0.01
최근 들어 알레르기 질환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치료약 중 스테로이드제의 효과가 우수하나, 부작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아토피 피부염은 세균감염을 동반함이 일반적이므로 항생물질의 사용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천연 약용 식물 자원인 쏘팔메토(Saw Palmetto)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항균효과, 보습효과, 항염효과는 물론 경시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부작용이 적다는 점에서 산업상이용가능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쏘팔메토 추출물(Saw Palmetto extract)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i) 쏘팔메토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0 ~ 10.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ii) 에센스, 화장수,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ii) 항염증, 항균 또는 항진균, 보습효과, 면역세포 생육활성 증진효과, 홍반완화효과 및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090130758A 2009-12-24 2009-12-24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758A KR101183484B1 (ko) 2009-12-24 2009-12-24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758A KR101183484B1 (ko) 2009-12-24 2009-12-24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947A KR20110073947A (ko) 2011-06-30
KR101183484B1 true KR101183484B1 (ko) 2012-09-20

Family

ID=4440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758A KR101183484B1 (ko) 2009-12-24 2009-12-24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242A (ko) 2021-03-16 2022-09-2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쏘팔메토 오일 및 이의 불포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중 병원성 미생물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960B1 (ko) * 2023-01-27 2023-06-08 유광호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7776A1 (en) * 2006-11-02 2008-05-08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Phytoestrogen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7776A1 (en) * 2006-11-02 2008-05-08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Phytoestrogen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242A (ko) 2021-03-16 2022-09-2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쏘팔메토 오일 및 이의 불포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중 병원성 미생물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947A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883B1 (ko)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4079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2033088B1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431076B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KR101142977B1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3484B1 (ko)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7331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20087834A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23600B1 (ko)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