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000B1 -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000B1
KR102486000B1 KR1020220085220A KR20220085220A KR102486000B1 KR 102486000 B1 KR102486000 B1 KR 102486000B1 KR 1020220085220 A KR1020220085220 A KR 1020220085220A KR 20220085220 A KR20220085220 A KR 20220085220A KR 102486000 B1 KR102486000 B1 KR 10248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e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우
박진
이예지
박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Priority to KR102022008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 중 1종 이상; 매실, 사과, 파파야 및 포도로 이루어진 녹색 과일 추출물; 및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EBUM FROM PET SKIN}
본 발명은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강아지나 고양이 같이 털이 많은 반려동물의 경우,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어 굳어지면, 모낭에 각질이 쌓이고, 분비물이 축적되어 까맣게 보이는 소위 블랙 헤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 스스로 그루밍을 할 수 없는, 턱, 인중, 이마, 코리 등에 주로 나타나는데, 그 중 턱은 피지선이 발달해 염증이 발생하기 쉽고, 사료의 유분, 식기에 번식하고 있는 세균과 지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위이기 때문에,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한편, 인간의 피지를 제거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반려동물의 피지를 제거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반려동물의 피부는 인간의 피부에 비해 약하고, 피부의 성질도 다르기 때문에, 인간에게는 적합한 성분이라도 반려동물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예컨대, 강아지와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의 피부는 긴 털로 덮여 있고, 땀구멍이 없으며, 피부의 표피가 3∼5겹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간의 피부보다 약하고, 피부의 성질도 pH가 8∼9의 약알칼리성으로서, 약산성을 나타내는 인간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져 반려동물의 피부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블랙헤드의 원인이 되는 피지 및 각질의 제거는 물론,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 중 1종 이상; 매실, 사과, 파파야 및 포도로 이루어진 녹색 과일 추출물; 및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 합계로 65∼75 중량부; 녹색 과일 추출물 1∼3 중량부; 및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의 혼합 추출물 0.01∼0.0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을 10:5 ∼ 10:8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녹색 과일 추출물은, 매실, 사과, 파파야 및 포도를 건조하고,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용매를 첨가하여 고주파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를 건조하고,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용매를 첨가하여 고주파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울금뿌리 발효물 0.1∼0.2 중량부; 알란토인 0.05∼0.15 중량부; 및 아연 화합물 0.1∼1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연 화합물은 징크 락테이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2중량부의 천연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방부제는 부틸렌 글라이콜 65∼85중량부, 사철쑥 추출물 15∼35중량부 및 올리브 추출물 0.5∼2.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0.1중량부의 에틸헥실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블랙헤드의 원인이 되는 피지 및 각질을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져 반려동물의 피부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블랙헤드 증상을 보이는 3그룹의 고양이에게 처리하기 전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값의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이의 구체적인 범위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값은 유효 숫자에 대한 화학에서의 표준규칙에 따라 제공된 유효 숫자의 정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10은 5.0 내지 14.9의 범위를 포함하며, 숫자 10.0은 9.50 내지 10.49의 범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용매에 침지한 후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 성분 내지 상기 액상 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의 용매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열수추출; 냉수추출; 초고압 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 중 1종 이상; 매실, 사과, 파파야 및 포도로 이루어진 녹색 과일 추출물; 및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 중 1종 이상
"병풀(Centella asiatica)"은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으며, 잎은 마디에서 밀생하고, 신장형, 지름 2 내지 5cm, 표면은 광택이 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4 내지 20cm이다. 예로부터 호랑이가 몸에 상처가 났을 때 이 풀 밭에서 뒹굴었다고 하여 호랑이풀이라고도 한다. 병풀은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마데카식 애시드(Madecass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아시아틱 애시드(Asiatic Acid)와 같은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아이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식 애시드는 콜라겐의 생성과 분비에 관여를 하며, 이에 따라, 상처받은 피부 재생과 진피의 탄력을 높이는데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어 피부의 진정 및 치유에 효과적이다.
"약모밀(Houttuynia cordata)"는 삼복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 자생하며 특유의 생선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어성초라고도 불린다. 약모밀은 통상 응달진 숲 속에서 자라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가늘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개의 세로줄이 있고,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3∼8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턱잎이 잎자루 밑 부분에 붙어 있다. 약모밀은 잡초와 같이 왕성한 번식력을 나타내며, 강한 생력력만큼이나 뛰어한 효능을 갖고 있다. 약모밀에 들어있는 퀘르시트린이라는 성분은 항균 및 소염 효과가 있어, 독소를 제거하고 피부를 맑게 해준다. 피부염증, 각종 트러블, 아토피, 여드름에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피지나 각질이 제거된 피부에 강력한 진정 및 치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을 합계로 65∼7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의 함량은 합계로 65중량부, 66중량부, 67중량부, 68중량부, 69중량부, 70중량부, 71중량부, 72중량부, 73중량부, 74중량부 또는 75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지나 각질이 제거된 피부에 강력한 진정 및 치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을 10:5 ∼ 10:8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의 중량비는 10:5, 10:5.5, 10:6, 10:6.5, 10:7, 10:7.5, 10:8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부의 진정 및 치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용매 추출법에 이용되는 추출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녹색 과일 추출물
매실(청매실)은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피로회복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중국, 한국에서 약용 과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 대표 한방 의학서인 동의보감에서는 매실은 맛이 시고 독이 없으며, 기를 내리고 가슴앓이를 없앨뿐만 아니라 마음을 편하게 하고, 갈증과 설사를 멈추게 하고 근육과 맥박이 활기를 찾게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매실은 주요성분으로서 구연산, 사과산 및 숙신산 등의 각종 유기산과 K, P, Ca 등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탄닌(tannin)과 루틴(ru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품질이 뛰어나며, 이러한 매실의 생리활성 성분들은 항균 활성, 피로회복, 항비만, 항산화, 노페물 제거 등과 같은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과(청사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유기산류, 아미노산, 칼슘 이온 등이 많이 존재하며, 특히 식물에 함유된 화학물질인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로서 퀘르세틴(quercetin), 프로사이아니딘(procyanidin) 등이 많이 함유되어 항산화능이 뛰어나고, 비타민 C가 함유되어 피부 미용에도 좋으며, 유기산도 많이 포함하고 있어 피로 회복에도 좋다.
파파야(그린파파야)는 풍부한 베타카로틴으로 노화방지 및 암 예방에 좋고 체중 조절, 만성 호흡기 질환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엽산, 피리독신(비타민B6), 리보플라빈(비타민B2), 티아민(비타미B1), 등 비타민 B군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피부/면역/신경계를 강화한다. 특히, 그린파파야는 완숙 과일보다 비타민, 파파인 효소 및 항산화 기능을 하는 폴리페놀 등이 더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도(샤인머스켓)는 일반 적포도에 비해 약 20배 많은 칼륨을 함유하고 있어 몸 속 노폐물 처리를 돕고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구연산과 유기산이 풍부하여 신체 내 피로물질인 젖산을 연소시켜 세포조직을 건강한 약알카리성을 유지하게 만들어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고 해독작용을 해 피로해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그 껍질에는 항산화 효능이 있는 레스케라트롤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녹색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피지나 각질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녹색 과일 추출물을 1∼3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색 과일 추출물의 함량은 1중량부, 1.1중량부. 1.2중량부, 1.3중량부, 1.4중량부, 1.5중량부, 1.6중량부, 1.7중량부, 1.8중량부, 1.9중량부, 2.0중량부, 2.1중량부, 2.2중량부, 2.3중량부, 2.4중량부, 2.5중량부, 2.6중량부, 2.7중량부, 2.8중량부, 2.9중량부 또는 3.0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피지나 각질을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녹색 과일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매실, 사과, 파파야 및 포도를 열풍 건조하고, 이들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50배의 혼합용매(물:유기용매=3:2)를 첨가하여 초음파로 추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열풍 건조는 55∼65℃에서 23∼25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일 수 있고, 초음파 추출은 유기용매로서 프로판올 또는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72시간 10min/day 고주파(100W, 1초 초음파 on, 10초 off, 10분간 반복)의 조건으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혼합 추출물
솔잎(대왕송잎)은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잎으로, 한국, 중국, 일본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으로 우리 민족과 오랜 역사를 같이한 나무의 잎과 새순이다. 신선한 솔잎에는 다량의 아스코르빈산과 비타민 A, B, K, 쓴맛을 내는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7 내지 12%의 수지(송진), 5% 정도의 타닌질, 탄수화물, 정유(精油)등이 함유되어 있다. 솔잎은 비타민 C의 원료이며 공급원이다. 솔잎은 훨씬 짙은 녹색을 품고 있어서 풍부한 카로틴을 섭취할 수 있다. 솔잎의 경우, 약리학적 가치는 테르펜, 페놀 화합물, 타닌 등이 가진 일반 효과를 말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고혈압, 중풍, 당뇨, 치매 및 노화방지, 항암효과, 간과 위, 변비와 빈혈, 만성 알코올 중독 및 숙취해소, 니코틴제거, 피부미용과 체질개선 다이어트 남성들의 스태미나 각종 스트레스와 과다한 흡연, 음주로 머리가 무겁고 눈이 침침할 때 특히 머리를 맑게 하여 공부하는 학생이나 수험생들에게 좋다.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 Jacq.)은 굵고 곧은 뿌리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50∼90cm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나 있다. 주요성분으로서 꽃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종자는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종자유에는 리놀레산(Linolenic acid)과 천연의 감마리놀렌산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 물질이다. 효능으로는 감기로 인한 고열과 인후염에 복용하고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질성분의 과다한 축적 작용을 억제시키므로 고지혈증 등에 활용한다. 민간에서는 종자에서 뽑은 기름을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병 치료에 이용한다.
느릅나무(Ulmus pumila L.)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춘유(春楡) 또는 가유(家楡)라고도 하는데, 높이는 20m, 지름은 60cm이며,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고, 작은 가지에 적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선박재, 세공재, 땔감 등으로 쓰인다. 느릅나무의 뿌리 껍질을 유근피 혹은 유백피라 하여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붓기, 소변 불리, 변비, 기침, 옹종, 단독, 젖앓이 등에 쓰인다.
칡(Pueraria)은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덤불과 숲의 가장자리에 서식한다. 어린 줄기는 솜털이 나 있고, 때때로 나무 하나를 완전히 덮어버릴 때도 있다. 잎은 넓고, 잎사귀는 난형이며, 2~3개의 열편으로 되어 있고, 아랫부분은 털이 나 있다. 꽃은 두형이고, 자주색, 보라색 또는 희미한 홍색이며, 꽃잎의 아래부분에 노란색으로 얼룩져 있다. 꽃에서는 포도향이 난다. 뿌리는 크고 갈라져 있다. 주요성분으로는 다이드자인(daidzein), 다이드진(daidzin), 게니스테인(genistein), 파라쿠마릭산, 푸에라린, 케르세틴, 칼슘, 철, 마그네슘, 인, 칼륨, 비타민 B2가 있으며 칡의 뿌리는 잘게 쪼갠 다음 이를 말려서 한방의 건재, 약재 및 칡차의 원료로도 이용한다. 전분이 많고 식용이 되며 덩굴의 속껍질은 '청올치'라 하여 끈의 대용이 되고 피륙도 짜며, 잎은 사료 또는 식용으로 한다. 또한 예로부터 해독제, 구토방지제, 진경제, 강심제, 진통제, 정화제, 발한제, 해열제, 유즙분비제, 혈당강하제, 혈압강하제 등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피지의 과분비를 억제함과 더불어, 모공을 축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합 추출물을 0.01∼0.02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합계로 0.01중량부, 0.011중량부, 0.012중량부, 0.013중량부, 0.014중량부, 0.015중량부, 0.016중량부, 0.017중량부, 0.018중량부, 0.019중량부 또는 0.02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지의 과분비가 억제되고, 모공이 축소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혼합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칡뿌리를 건조하고, 이들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50배 중량의 용매를 첨가하여 초음파로 추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추출은 물, 탄소수 1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50∼100℃의 온도에서 1∼3시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잔부는 정제수로서 O/W(Oil in Water) 타입이며, 그 제형은 로션, 크림, 에센스, 화장수 등이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울금뿌리 발효물, 알란토인, 아연 화합물, 방부제, 보습제 및 항염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울금뿌리 발효물
울금(Turmeric)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한다.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며, 우리나라는 전남 진도, 전남 해남, 전북 부안 등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울금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성분인 커큐민(curcumin)과 터르페노이드(terpenoids) 성분인 투르메론(turmerone), 진기베렌(zingiberene) 등의 기능성 피토케미칼(phytochemicals)을 함유한다.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성분은 항산화 작용을 통하여 피부노화를 막고 세포보호기능을 하며, 각질 형성 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시킨다. 터르페노이드(terpenoids) 성분은 피부세포 내에 존재하는 세균들에 대항하여 항염 및 항균 작용과 피부 보습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여드름이나 아토피와 같은 피부손상에 있어서도 피부수복기능을 한다.
비제한적인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뿌리 발효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 항균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킴과 더불어, 보습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울금뿌리 발효물은 단순 추출물에 비해,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e Factor, NMF) 등의 유효 영양 성분의 피부 흡수율이 향상되어 보습 기능이 강화되며, 항균 기능이 있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이 생성되어 항균 기능이 강화되며, 식물 자가 방어 성분인 식물 독소(Phytotoxin)이 제거되어 안정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울금뿌리 발효물을 0.1∼0.2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울금뿌리 발효물의 함량은 0.1중량부, 0.11중량부, 0.12중량부, 0.13중량부, 0.14중량부, 0.15중량부, 0.16중량부, 0.17중량부, 0.18중량부, 0.19중량부 또는 0.2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강력한 항염, 항균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보습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울금뿌리 발효물은 울금뿌리를 발효기질로 하여 유산균과 배양하여 발효액을 생산하고, 얻어진 발효액을 농축하여 겔 타입의 울금뿌리 발효겔을 생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 람노서스 IDCC 3201(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일 수 있고, 울금은 유산균 배양액 100중량부 대비 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양할 수 있다.
알란토인
알란토인은 주로 여러해살이 풀인 캄프리(comfrey), 상수리나무, 밀의 싹 등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이다. 고분자 유기물을 분해하여 저분자 물질로 만드는 과정인 이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요산 산화물을 정제해 얻으며, 5-우레이도히단토인(5-ureidohydantoin)이라고도 불린다. 알란토인은 산 세포와 죽은 세포 사이의 세포간질에 함수를 증가시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에 수분을 주어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세포의 분아 번식을 증진시켜 피부의 상처에 치유를 돕는다. 또한, 자극과 항원에 민감한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가려움증이나 아토피 치료에 스테로이드 요법이 아닌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알란토인은 주로 생화학적 재처리를 통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약이나 화장품의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비제한적인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알란토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부 보호 효능이 한층 향상됨과 더불어, 과도한 피지 분비와 건조함으로 인해 유수분 밸런스가 파괴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피부 장벽을 강화하여, 케어 후 블랙헤드가 재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란토인을 0.05∼0.15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란토인의 함량은 0.05중량부, 0.06중량부, 0.07중량부, 0.08중량부, 0.09중량부, 0.10중량부, 0.11중량부, 0.12중량부, 0.13중량부, 0.14중량부 또는 0.15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케어 후 블랙헤드가 재발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연 화합물
아연 화합물의 아연은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 DHT)으로 전환하는 데에 관여하는 효소인 5α-환원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HT는 피지선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량을 증가시키므로, 5α-환원효소를 억제함으로써 피지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 항균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킴과 더불어, 노화 각질이나 과각질화된 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연 화합물을 0.1∼1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연 화합물의 함량은 0.1중량부, 0.2중량부, 0.3중량부, 0.4중량부, 0.5중량부, 0.6중량부, 0.7중량부, 0.8중량부, 0.9중량부 또는 1.0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노화 각질이나 과각질화된 피부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아연 화합물로서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아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징크 피롤리돈카복실릭애시드(Zinc PCA), 징크 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및 징크 락테이트(Zinc Lac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징크 락테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징크 락테이트는 다른 아연 화합물에 비해 아연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천연 보습제인 락테이트로 인해 보습제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천연 방부제
비제한적인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부틸렌글라이콜, 사철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보다 장기간 안정화될 수 있으며, 항산화, 항염 및 향균 효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방부제를 0.5∼2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방부제의 함량은 0.5중량부, 0.6중량부, 0.7중량부, 0.8중량부, 0.9중량부, 1.0중량부, 1.1중량부, 1.2중량부, 1.3중량부, 1.4중량부, 1.5중량부, 1.6중량부, 1.7중량부, 1.8중량부, 1.9중량부 또는 2.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방부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틸렌글라이콜 65∼85중량부, 사철쑥 추출물 15∼35중량부 및 올리브 추출물 0.5∼2.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부틸렌글라이콜 75∼80중량부, 사철쑥 추출물 19∼23중량부 및 올리브 추출물 1∼3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외에도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보습제, 항염제, 방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헥실글리세린, 수용성 콜라겐, 스쿠알란, 아르간커넬오일, 글리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베타 글루칸 등의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도, 에틸헥실글리세린은 방부제의 항균성을 증가시켜 방부제의 함량을 낮춰주고, 탈취효과가 있어 냄새를 유발하는 혐기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02∼0.1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 및 항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의 항염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1,2-헥산다이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등의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중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명세서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명세서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제조예 1: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의 제조
병풀 전초 및 약모밀을 세척, 건조 및 분쇄하였다. 분쇄된 병풀 전초 및 약모밀 각각에 용매로서 10배 중량의 정제수를 가하고, 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여 90∼95℃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생성된 추출액을 1μm의 필터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액상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녹색 과일 추출물의 제조
청매실, 청사과, 그린파파야 및 샤인머스켓을 세척 및 건조하고, 각각 50g 씩 1:1: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용매로서 10배 중량의 추출용매(정제수:부틸렌글라이콜=3:2)를 가했다. 그 후, 실온에서 72시간, 10min/day 고주파(100W, 1초 초음파 on, 10초 off, 10분간 반복) 추출한 후, NA500 여과지로 청칭 여과하고, NA17 여과지로 제균 여과하여 녹색 과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혼합 추출물의 제조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를 세척 및 건조하고, 각각 50g씩 1:1: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용매로서 10배 중량의 추출용매(70% 함수 에탄올)를 가했다. 그 후, 초음파 추출기에서 80℃로 2시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모델명: B-290, BUCHI사 제품) 건조시켜 혼합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울금뿌리 발효물의 제조
락토바실루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3톤의 발효탱크에서 37℃, 24시간 overnight 배양을 하였고, 발효기질인 울금뿌리는 2% (w/v)로 생산 기본배지에 첨가하였다. 울금뿌리 발효 종료액 2,400L를 basket type centrifuge으로 원심분리한 후, 균체가 제거된 여과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여과액에 활성탄 5% (w/v)를 2시간 동안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활성탄을 제거하였다. 회수된 여액의 잔류 활성탄을 제거하기 위해 심층여과(depth filtration)를 하였다. 심층여과 후 여액에 존재하는 당과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한외여과(ultrafiltration)하였으며, 배양액 대비 40배 (v/v) 감압 농축한 후, 최종적으로 제균과 농축시 석출된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정밀여과(microfiltration)하여 겔 타입의 울금뿌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정제수 26.79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의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을 각각 40.49중량부 및 28.00중량부, 제조예 2의 녹색 과일 추출물을 2중량부, 제조예 3의 혼합 추출물을 0.018중량부, 제조예 4의 울금뿌리 발효물을 0.186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혼합물에 알란토인 0.1중량부, 징크 락테이트 0.5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1.02중량부), 사철쑥 추출물(0.275중량부) 및 올리브 추출물(0.015중량부)로 이루어진 천연 방부제 1.31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5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정제수를 31.79중량부, 약모밀 추출물을 23.00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약모밀 추출물을 68.49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약모밀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병풀 추출물을 68.49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울금뿌리 발효물을 포함하지 않고, 정제수를 26.976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알란토인을 포함하지 않고, 정제수를 27.79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징크 락테이트를 포함하지 않고, 정제수를 27.29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정제수를 95.28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녹색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정제수를 28.79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정제수를 26.808중량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블랙헤드 증상을 보이는 동일 품종의 3그룹의 고양이를 준비하였다. 각 그룹의 고양이는 생리식염수를 화장용 면패드에 충분히 묻혀 도포부위를 1초 간격으로 5회 반복하여 문질러 피지 이외의 수용성 오염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화장용 면패드에 충분히 묻힌 뒤 앞서 준비된 3그룹의 고양이의 턱 부분에 1초 간격으로 5회 반복하여 문질러 화장료 조성물이 충분히 도포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개선 효과가 미미한 경우 "X", 개선효과는 있으나, 절반 이상의 블랙헤드가 남아 있는 경우 "△", 개선효과는 있으나, 블랙헤드가 일부 남아 있는 경우 "○", 블랙헤드가 전혀 남아있지 않은 경우 "◎"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그룹 2그룹 3그룹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X X X
비교예3 X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내지 7은 반려동물의 피지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3은 하나 이상의 필수 성분이 결여되어 피지 제거 효과가 다소 저하되었으며, 특히 녹색 과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는 피지 제거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블랙헤드 증상을 보이는 3그룹의 고양이에게 처리하기 전과 후를 비교한 사진으로, (a) 내지 (c)는 각각 1그룹, 2그룹, 3그룹의 고양이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피부 진정, 상처 치유, 피부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블랙헤드 증상을 보이는 반려묘 100마리를 모집한 후, 실시예 1, 7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0마리씩 일주일 동안 아침과 저녁으로 사용하게 한 후, 10점 척도법(1: 대단히 나쁘다
Figure 112022072162343-pat00001
10: 대단히 좋다)으로 평가한 다음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 진정 상처 치유 피부 보습
실시예 1 9.4±0.33 9.3±0.32 9.5±0.24
실시예 2 8.3±0.27 8.1±0.41 9.2±0.42
실시예 3 8.2±0.51 7.8±0.27 9.1±0.39
실시예 4 7.9±0.12 7.6±0.35 9.1±0.28
실시예 5 8.5±0.38 8.3±0.64 6.2±0.43
실시예 6 8.1±0.67 8.4±0.48 5.5±0.52
실시예 7 8.8±0.52 8.5±0.33 5.8±0.87
비교예 1 3.4±0.34 4.7±0.76 7.5±0.21
비교예 2 8.6±0.28 8.9±0.44 8.8±0.47
비교예 3 7.6±0.58 7.3±0.32 4.6±0.58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내지 7은 피부 진정, 상처 치유 및 피부 보습 효과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며, 특히,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의 함량과 그 함유비가 적절히 제어된 실시예 1은 피부 진정, 상처 치유 및 피부 보습 효과 전반에 걸쳐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은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이 결여되어 피부 진정 및 상처 치유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고, 비교예 3은 혼합 추출물이 결여되어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전술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 중 1종 이상 합계로 65∼75 중량부;
    매실, 사과, 파파야 및 포도로 이루어진 녹색 과일 추출물 1~3중량부;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의 혼합 추출물 0.01∼0.02 중량부;
    울금뿌리 발효물 0.1∼0.2 중량부;
    알란토인 0.05∼0.15 중량부;
    아연 화합물 0.1∼1중량부; 및
    천연 방부제 0.5∼2중량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풀 추출물 및 약모밀 추출물을 10:5 ∼ 10:8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과일 추출물은, 매실, 사과, 파파야 및 포도를 건조하고,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용매를 첨가하여 고주파로 추출한 것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솔잎, 달맞이꽃, 느릅나무뿌리 및 칡뿌리를 건조하고,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용매를 첨가하여 고주파로 추출한 것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화합물은 징크 락테이트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방부제는 부틸렌 글라이콜 65∼85중량부, 사철쑥 추출물 15∼35중량부 및 올리브 추출물 0.5∼2.5중량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0.1중량부의 에틸헥실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85220A 2022-07-11 2022-07-11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6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20A KR102486000B1 (ko) 2022-07-11 2022-07-11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20A KR102486000B1 (ko) 2022-07-11 2022-07-11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000B1 true KR102486000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220A KR102486000B1 (ko) 2022-07-11 2022-07-11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0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76B1 (ko) * 2013-07-11 2013-11-27 주식회사 더마랩 달맞이꽃, 갈근, 솔잎 및 유근피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조성물
KR20190068361A (ko) * 2017-12-08 2019-06-18 스킨큐어 주식회사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96414B1 (ko) * 2020-02-03 2020-04-02 이원주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76B1 (ko) * 2013-07-11 2013-11-27 주식회사 더마랩 달맞이꽃, 갈근, 솔잎 및 유근피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조성물
KR20190068361A (ko) * 2017-12-08 2019-06-18 스킨큐어 주식회사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96414B1 (ko) * 2020-02-03 2020-04-02 이원주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2030021B1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8553389A (zh) 一种植物保湿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73481A (zh) 一种蓝酮肽修护精华及其制备方法
CN110559229A (zh) 含大麻二酚cbd纳米乳的晚霜及其制备方法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1B1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195B1 (ko) 천연방부제를 사용한 안전한 물티슈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2330277B1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6000B1 (ko)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867B1 (ko) 오크라, 퀴노아, 석류, 들깨, 편백 추출 혼합물과 프로폴리스 및 합성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82642B1 (ko)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