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939A -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939A
KR20190086939A KR1020180005088A KR20180005088A KR20190086939A KR 20190086939 A KR20190086939 A KR 20190086939A KR 1020180005088 A KR1020180005088 A KR 1020180005088A KR 20180005088 A KR20180005088 A KR 20180005088A KR 20190086939 A KR20190086939 A KR 2019008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extract
colored
cosmetic compositio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273B1 (ko
Inventor
윤경섭
김무한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2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B 및/또는 자외선A의 차단효과가 우수하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같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UV에 노출될 때 일어날 수 있는 안정성 저하를 방지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ntaining barley or colored barley extract}
본 발명은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ltraviolet Ray, UV)는 전자기파 스펙트럼에서 보라색 띠에 인접하며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200 내지 400㎚ 파장영역을 갖는 태양광으로서 인체 피부가 UV에 노출되면 피부의 광노화, 세포손상, DNA 손상 등이 유발될 수 있다. 태양광에 포함된 UV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과도하게 조사하는 경우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색소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잡티발생의 원인이 되고, 표피에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두 가지 종류로 분류되는데 그 중 하나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과 같은 UV를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고 다른 하나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와 같은 UV를 산란하는 성질을 갖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안정화된 상태에서는 구조에 포함된 탄소-탄소 이중결합이 Z-form의 구조로 존재하지만, UV에 노출될 경우 일부 E-form으로 이성질체화(isomerization)가 일어나며, 그로 인하여 UV에 대한 흡수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153~160, 23, 2001) 등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자극이나 UV 노출 시 그 역가가 감소하는 광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고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백화현상이나 광독성 등의 단점이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UV에 대한 광안정화제 물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1831호, 제10-0496096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들은 광안정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로 동시에 사용되는 물질이면서 합성 화합물로서 안전성이나 피부자극 등의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합성 자외선 차단제 및 광안정화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관련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18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 또는 유색보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리(Hordeum vulgare L.)는 벼목 벼과 보리속에 속하는 식물로, 일년생식물 또는 이년생식물이고, 줄기 속은 비어 있고, 높이는 1m 정도로 자란다. 일반적으로 가을에 심어 다음해 봄에 수확한다. 원줄기는 속이 비고 원주형이며 마디가 높고 마디 사이가 길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선상 피침형으로 너비 10-15mm이다. 꽃은 4, 5월에 피며, 다른 맥류와 비교해 볼 때 보리는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칼슘, 인, 철분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B가 풍부하다.
본 발명에서 유색보리는 컬러보리, 기능성 보리 또는 기능성 컬러 보리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보리(Hordeum vulgare L.)의 개량종이다. 유색보리는 천연색소, 예컨대 안토시아닌이 풍부하고, 유색보리의 색은 흑색, 청색, 자색, 황색, 보라색, 녹색, 적색 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색보리는 검정보리쌀(흑맥), 강호청(청맥), 자수정찰(자맥), 흰쌀찰보리(황맥)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은 보리 또는 유색보리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리 및 유색보리(흑맥, 청맥, 자맥, 황맥)를 약 200g 중량으로 준비하고, 1/10의 사이즈로 분쇄하였으며, 분쇄한 분말을 70% 에탄올 수용액에 분산시켜 48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추출 후 Whatman Filter Paper Grade 2로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리 또는 유색보리를 분쇄하여 65 내지 75% 에탄올에 분산시키고 1 내지 3일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및 광안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차단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인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자외선은 280 내지 320nm의 파장의 자외선 B(UV-B)와 320 내지 400nm의 파장은 자외선 A(UV-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비교제조예1 내지 5의 정제수 추출물이 UV-B 영역인 290㎚에서 0.757 내지 1.212의 흡광도를 보여 UV-B의 차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UV-A 영역인 340㎚와 357㎚에서 0.130 내지 0.465의 흡광도를 보여 UV-A의 차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예1 내지 5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290㎚에서 흡광도 측정결과 1.468 내지 1.672로 상기 정제수 추출물보다 우수한 UV-B 차단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고, 340㎚와 357㎚에서 0.199 내지 0.629의 흡광도를 보여 UV-A의 차단효과 역시 상기 정제수 추출물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보리 또는 유색보리의 65% 내지 75%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할 때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할 때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물질인 옥시벤존(벤조페논-3), 아보벤존(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티녹세이트(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등을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시키는 물질인 이산화티타늄(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아연(징크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의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의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로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스크린크림, 선오일, 선로션,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로션,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테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안정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 또는 유색보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자외선 차단제의 광안정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광안정성 개선이란,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UV에 대한 흡수능이 떨어지는 현상을 완화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UV를 흡수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의미한다. 상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는 옥시벤존(벤조페논-3), 아보벤존(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티녹세이트(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의 광안정성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보리 또는 유색보리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여 자외선 조사 전, 후의 자외선 흡광도 감소율을 평가하여 광안전성 개선 효과가 47.3 내지 75.1%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흑맥, 청맥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 72.6%, 75.1%로 광안정성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자외선 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보리 또는 유색보리의 65% 내지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광안정성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흑맥추출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제형예와 상기 파우더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제형예의 SPF 감소율을 측정하여 광안정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흑맥추출물을 자외선 차단물질로 함유하는 경우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만을 함유하는 제형비교예1에 비해 SPF 감소율이 줄어들며, 77.2%의 우수한 광안정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광안정성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A 및 자외선B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고,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가 UV 노출에 의해 흡수능이 떨어지는 현상을 완화 또는 감소시켜 광안정화 효과가 우수하여 자외선 차단용 및/또는 광안정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리추출물의 제조 블럭도이다.
도 2는 UV-A 차단제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UV 스펙트럼이다.
도 3은 UV-B 차단제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의 UV 스펙트럼이다.
도 4는 제조예1의 보리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이다.
도 5는 제조예2의 흑맥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이다.
도 6은 제조예3의 청맥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이다.
도 7은 제조예4의 자맥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이다.
도 8은 제조예5의 황맥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보리 및 유색보리 추출물의 제조 및 수율
보리 및 유색보리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자외선 차단제의 광안정성 저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보리품종을 준비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유색보리로 검정보리쌀(흑맥), 강호청(청맥), 자수정 찰보리쌀(자맥), 흰찰보리쌀(황맥)을 이용하였다.
보리는 덕령영농조합법인에서 2017년에 생산된 국내산을 사용하였고, 검정보리쌀(흑맥)은 용현농장에서 2016년에 생산된 제주산을 이용하였으며, 청맥, 자맥 및 황맥은 청맥주식회사에서 2017년 생산된 국내산을 이용하였다.
제조예1. 보리추출물의 제조
보리를 약 200g 중량으로 준비하여 보리의 1/10의 사이즈로 분쇄하였다. 상기 보리 분말을 70% 에탄올 수용액에 분산시켜 48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추출 후 Whatman Filter Paper Grade 2로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제조예2. 흑맥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3. 청맥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청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4. 자맥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5. 황맥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황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남은 파우더의 중량을 측정하여 보리품종별 추출수율을 계산하였다.
보리품종별 추출수율
품종 원물(g) 추출물(g) 수율(%)
보리 202.4 6.30 3.11
흑맥 201.3 5.97 2.97
청맥 201.8 6.09 3.02
자맥 201.8 6.31 3.13
황맥 200.5 5.60 3.02
표 1은 보리의 품종에 따른 원물대비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파우더 중량으로 추출수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추출수율은 3.13 내지 2.97%로 품종에 따른 추출수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2> 자외선 차단제 및 보리추출물별 UV 흡광도의 측정
실시예 2-1. 기존 자외선 차단제의 UV흡광도 측정
대표적인 UV-A 차단제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DM)와 UV-B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EHMC)를 0.001%의 농도로 메탄올에 희석한 후, UV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파장범위 200 내지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UV-A 차단제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의 UV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이고, 도 3은 UV-B 차단제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의 UV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은 UV-A 차단영역(320~400㎚)인 356.4㎚에서 1.099의 최대 흡광도를 가지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UV-B 차단영역(280~320㎚)인 309.4㎚에서 0.893의 최대 흡광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보리의 정제수 추출물의 UV흡광도 측정
제조예1 내지 5에서 추출용매로 정제수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각 보리(보리, 흑맥, 청맥, 자맥, 황맥)를 추출하며 비교제조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비교제조예 1 내지 5의 파장범위 250 내지 500㎚에서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정제수로 추출한 보리추출물의 파장에 따른 흡광도
파장(㎚) 비교제조예1
보리_H2O
비교제조예2
흑맥_H2O
비교제조예3
청맥_H2O
비교제조예4
자맥_H2O
비교제조예5
황맥_H2O
272 1.227 1.223 1.631 1.703 1.254
273 1.224 1.211 1.612 1.69 1.25
274 1.218 1.193 1.596 1.678 1.241
275 1.212 1.176 1.576 1.67 1.233
290 0.850 0.757 1.022 1.121 0.786
310 0.419 0.390 0.608 0.595 0.350
340 0.245 0.232 0.465 0.326 0.213
357 0.154 0.167 0.449 0.211 0.130
표 2는 비교제조예 1 내지 5의 보리, 흑맥, 청맥, 자맥, 황맥의 정제수 추출물의 파장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UV-A(320 내지 400㎚) 영역인 340㎚에서 0.213 내지 0.465, 357㎚에서 0.130 내지 .0449로 측정되어 모두 일정량 이상의 흡광도가 있어 UV-A의 차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UV-B(280 내지 320㎚) 영역인 290㎚에서 0.757 내지 1.121로 측정되어, UV-B의 차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70% 에탄올 보리추출물의 UV 흡광도 측정
보리품종에 따른 추출물의 UV 흡수능를 평가하기 위해, 제조예1 내지 5의 파장범위 250 내지 500㎚에서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70% 에탄올 보리추출물의 파장에 따른 흡광도
파장(㎚) 제조예1
보리추출물
제조예2
흑맥추출물
제조예3
청맥추출물
제조예4
자맥추출물
제조예5
황맥추출물
272 2.087 2.348 2.276 2.138 2.244
273 2.095 2.335 2.294 2.156 2.255(최대)
274 2.104 2.347(최대) 2.286 2.165(최대) 2.244
275 2.105(최대) 2.328 2.307(최대) 2.159 2.254
276 2.096 2.329 2.294 2.143 2.249
290 1.468 1.672 1.620 1.487 1.521
310 0.624 0.697 0.765 0.848 0.640
340 0.384 0.483 0.594 0.629 0.442
357 0.379 0.290 0.422 0.234 0.199
표 3는 제조예 1 내지 5의 보리, 흑맥, 청맥, 자맥, 황맥의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파장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에탄올 보리추출물들은 273 내지 275㎚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UV-B 영역인 290㎚에서 1.468 내지 1.672의 흡광도를 가져, 비교제조예 1 내지 5의 정제수 보리추출물보다 UV-B의 차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UV-A 영역인 340㎚에서 0.384 내지 0.629, 357㎚에서 0.199 내지 0.422로 측정되어 UV-B 영역보다 낮지만 모두 각 보리품종의 비교제조예보다 높은 흡광도를 보여 UV-A의 차단효과 역시 정제수 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3> UV 흡광도 측정을 통한 보리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
보리 또는 유색보리의 알코올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광안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에 제조예 1 내지 5의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혼합하여 UV 노출 전, 후의 UV 흡광도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중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사용하였다.
시료로서 자외선 차단제 0.0005중량%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상기 제조예1 내지 5의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의 혼합용액을 3㎖를 밀봉 가능한 형광측정용 퀴츠셀에 넣은 후 초기 UV 흡광도를 측정한 후, 상기 시료 용액이 담겨있는 퀴츠셀을 UV 조사장치에 넣고 4 J/㎠의 UV를 조사한 후 UV 흡광도를 다시 측정하여 감소된 흡광도의 감소율(%)를 구하여 S1 값으로 하였다.
비교군으로서 자외선 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0.0005중량%의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한 용액 3㎖를 밀봉 가능한 형광측정용 퀴츠셀에 넣은 후 초기 UV 흡광도를 측정한 후, 상기 시료 용액이 담겨있는 퀴츠셀을 UV 조사장치에 넣고 4 J/㎠의 UV를 조사한 후 UV 흡광도를 다시 측정하여 감소된 흡광도의 감소율(%)를 구하여 C1 값으로 하였다. 상기 각 제조예 1 내지 5에 따라 수득된 보리추출물을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동일한 조건으로 UV 조사 전, 후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감소된 흡광도의 감소율(%)을 구하여 C2 값으로 하였다.
자외선 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대한 상기 보리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치로 계산하여 표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70% 에탄올 보리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
구분 광안정화 효과(%)
보리추출물 47.3
흑맥추출물 72.6
청맥추출물 75.1
자맥추출물 68.4
황맥추출물 54.5
상기 보리추출물 전체적으로 47.3 내지 75.1%의 양호한 광안정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흑맥과 청맥 추출물은 72.6%, 75.1%로 보리, 자맥 및 황맥 추출물에 비해 광안정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4> SPF 측정을 통한 보리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
상기 실시예3에서 제조예1 내지 5의 기존 자외선차단제의 UV 노출에 의한 흡수능 저해를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실시예2에서 UV-B 영역인 290㎚에서 흡광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실시예3에서 72.6%의 우수한 광안정화 효과를 확인한 흑맥추출물을 이용하여, 로션 제형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5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고, UV 조사 전 후의 SPF의 감소 측정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본 발명의 보리추출물을 함유한 로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번호 성 분 제형예 1 제형비교예 1
1 세테아릴알코올 1.2 1.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4 0.4
3 폴리소르베이트 60 0.9 0.9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유동파라핀 5.0 5.0
6 스쿠알란 5.0 5.0
7 마카다미아넛오일 4.0 4.0
8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2.5
9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 0.5
10 글리세린 4.0 4.0
11 카보머 0.12 0.12
12 산탄검 0.03 0.03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15 흑맥추출물 파우더* 1.0 -
표 5의 상기 흑맥추출물 파우더는 제조예 2에 따른 흑맥추출물에서 용매를 제거한 파우더 타입의 추출물이다.
상기 표 5의 각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9를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10 내지 13을 성분 14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56℃로 냉각한 후 성분 15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형예1을 제조하였다.
제형 비교예1은 성분 15인 흑맥추출물 파우더를 제외하고 제형예1과 동일한 구성성분과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예1과 제형비교예1에서 제조된 로션을 이용하여 UV노출에 따른 SPF 감소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보리추출물의 광안정화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SFP analyzer(SPF 290, the Optometrics Group, USA)를 이용한 in vitro SFP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제형예1과 제형비교예1의 UV 노출 전, 후의 SPF를 비교평가 하였다.
먼저 상기 제형비교예1의 화장료를 in vitro SPF 측정용 테이프에 2㎎/㎠의 양으로 고르게 도포하고 SPF analyzer를 이용하여 SPF 초기값을 평가한 후, 상기 제형비교예1이 도포된 측정용 테이프를 UV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4 J/㎠의 UV에 노출시키고 다시 SPF를 평가하여 비교제형예1의 화장료의 UV 조사 전, 후의 SPF 감소율 CS 값을 구하였다.
또한, 흑맥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1의 화장료를 제형비교예1의 시험조건과 동일하게 UV 노출 전, 후의 SPF를 평가하여 제형비교예1 화장료의 UV 조사 전, 후 SPF 감소율 SS를 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보리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는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수치로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흑맥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SPF 감소 개선에 따른 광안정화 효과(%)
구분 UV 조사 전 SPF 값 UV 조사 후 SPF 값 SPF 감소율(%)
제형예 1 12.0 11.2 6.7
제형비교예 1 11.9 8.4 29.4
광안정화 효과(%) 77.2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만을 적용한 제형비교예1는 UV 조사 후 SPF 값이 29.4% 감소하였으나, 흑맥추출물을 포함한 제형예1에서 SPF 감소율이 6.7%로 측정되어, 흑맥추출물을 자외선 차단물질로 함유하는 경우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만을 함유하는 제형비교예1에 비해 77.2%의 우수한 광안정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
    상기 유색보리는 검정보리쌀(흑맥), 강호청(청맥), 자수정 찰보리쌀(자맥) 및 흰찰보리쌀(황맥)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더 포함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05088A 2018-01-15 2018-01-15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88A KR102054273B1 (ko) 2018-01-15 2018-01-15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88A KR102054273B1 (ko) 2018-01-15 2018-01-15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939A true KR20190086939A (ko) 2019-07-24
KR102054273B1 KR102054273B1 (ko) 2019-12-10

Family

ID=6748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088A KR102054273B1 (ko) 2018-01-15 2018-01-15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69B1 (ko) 2022-11-24 2023-04-26 주식회사 필킨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 화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31B1 (ko) 1995-03-15 2004-07-01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광안정화제로서유용한비페닐-치환트리아진
KR20140095122A (ko) * 2013-01-18 2014-08-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 추출물 또는 에리오딕티올을 포함하는 콜라겐 분해 방지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31B1 (ko) 1995-03-15 2004-07-01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광안정화제로서유용한비페닐-치환트리아진
KR20140095122A (ko) * 2013-01-18 2014-08-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 추출물 또는 에리오딕티올을 포함하는 콜라겐 분해 방지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273B1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827624A1 (de) Verwendung von einem mit einem Gehalt an Catecinen oder einem Gehalt an Extrakt von grünem Tee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zur Bräunung der Haut
DE19855649A1 (de) Dimere alpha-Alkyl-Styrolderivate als photostabile UV-Filter in kosmetischen und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EP0852137A2 (de) Photostabile UV-A-Filter enthaltende kosmetische Zubereitungen
KR101681683B1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WO2004022015A1 (de) Verwendung von diketopiperazin-derivaten als photostabile uv-filter in kosmetischen und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KR101148978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4813B1 (ko)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54273B1 (ko)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34793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3122321B1 (en)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093201B1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63469A2 (de) Extrakte aus eugenia uniflora
KR100858630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광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9B1 (ko)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20190056991A (ko) 꽃송이버섯 추출물, 방사무늬돌김 추출물 및 해바라기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 조성물
JP2015059121A (ja) 青抽出液および大豆トリプシンインヒビターとスイカズラによる細胞保護作用による日焼けどめ素材および悪性細胞抑制素材
KR102641181B1 (ko) 크림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KR102668350B1 (ko) 자외선 차단제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83695B1 (ko) 변색 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