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813B1 -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813B1
KR102594813B1 KR1020230104297A KR20230104297A KR102594813B1 KR 102594813 B1 KR102594813 B1 KR 102594813B1 KR 1020230104297 A KR1020230104297 A KR 1020230104297A KR 20230104297 A KR20230104297 A KR 20230104297A KR 102594813 B1 KR102594813 B1 KR 10259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ess
composition
conta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3010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5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aromatic, i.e. the carboxylic acid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02 내지 0.08 중량%의 아데노신(adenosine), 1.2 내지 5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0.5 내지 2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2 내지 0.8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3 내지 5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 및 0.5 내지 2 중량%의 폴리실리콘-1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끈적임이 적고 우수한 밀착감을 제공하며 항균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Essence formulation sunscreen composition}
아래 실시예들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 색소 생성을 촉진시켜 기미 또는 잡티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표피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피부암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자외선은 가시광선의 보라색보다 짧은 광선으로 UV(ultraviolet)라 하며, 그 파장에 따라 UVA(320~400 ㎚), UVB(280~320 ㎚), UVC(100~280 ㎚)로 나뉜다. UVA(자외선 A)는 피부를 벌겋게 만들 뿐 아니라 피부 면역 체계에 작용하여 피부 노화에 따른 장기적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UVB(자외선 B)는 피부를 태우고 피부 조직을 뚫고 들어갈 수 있으며, 때로는 피부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자외선 차단제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장기 보관시 석출되어 안정도가 낮아 다량 사용하기가 어려우므로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에 종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 포함하였으나, 피부에서 끈적이는 잔여감과 눅진한 사용성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사용시 불쾌감을 느껴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효과를 나타내면서 우수한 사용감과 항균력을 제공하는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547901 B1 KR 10-2012161 B1 KR 10-2021-0022254 A KR 10-2524749 B1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사용감 및 항균력을 제공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사용감 및 항균력을 제공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성물총중량을기준으로1 내지 4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02 내지 0.08 중량%의 아데노신(adenosine), 1.2 내지 5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0.5 내지 2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2 내지 0.8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3 내지 5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 및 0.5 내지 2 중량%의 폴리실리콘-15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은 당근 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감자 추출물,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토코페롤, 정제수, 다이부틸아디페이트, 프로판다이올, 변성알코올, 글리세린, 트로메타민,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1,2-헥산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릴메티콘, 향기제비꽃잎추출물, 연꽃꽃추출물, 왕대추출물, 연필향나무오일, 불가리스쑥오일, 광곽향오일, 로즈마리잎오일, 해바라기씨오일,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메틸프로판다이올,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에터-1, 부틸렌글라이콜 및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 0.04 중량%의 아데노신, 2.64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1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5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7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 및 1 중량%의 폴리실리콘-1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은 (A) 비중이 1.019; (B) 2cmΦ, 1.5 cm, 30 cm/분, 100g 및 25 ℃ 조건에서 측정된 경도가 38; (C) pH가 6.5; 및 (D) 조성물 내 측정된 세균의 콜로니 수가 100 CFU/g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은 에센스 제형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02 내지 0.08 중량%의 아데노신(adenosine), 1.2 내지 5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0.5 내지 2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2 내지 0.8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3 내지 5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 및 0.5 내지 2 중량%의 폴리실리콘-1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끈적임이 적고 우수한 밀착감을 제공하며 항균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02 내지 0.08 중량%의 아데노신(adenosine), 1.2 내지 5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0.5 내지 2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2 내지 0.8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3 내지 5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 및 0.5 내지 2 중량%의 폴리실리콘-1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항균력이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트리아존 및 폴리실리콘-1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1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3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또는 3.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4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3.3 중량% 이하, 3.2 중량% 이하, 3.1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2 내지 0.08 중량%의 아데노신(adenosin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아데노신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2 중량% 이상, 0.022 중량% 이상, 0.024 중량% 이상, 0.026 중량% 이상, 0.028 중량% 이상, 0.03 중량% 이상, 0.032 중량% 이상, 0.034 중량% 이상, 0.036 중량% 이상, 0.038 중량% 이상, 0.04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06 중량% 이상 또는 0.07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8 중량% 이하, 0.07 중량% 이하, 0.06 중량% 이하, 0.058 중량% 이하, 0.056 중량% 이하, 0.054 중량% 이하, 0.052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48 중량% 이하, 0.046 중량% 이하, 0.044 중량% 이하, 0.042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또는 0.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아데노신을 0.0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내지 5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2.61 중량% 이상, 2.62 중량% 이상, 2.63 중량% 이상, 2.64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 2.8 중량% 이상, 2.9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또는 4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5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2.69 중량% 이하, 2.68 중량% 이하, 2.67 중량% 이하, 2.66 중량% 이하, 2.65 중량% 이하, 2.64 중량% 이하 또는 2.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2.6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또는 1.4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또는 0.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8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또는 0.7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또는 0.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3 내지 5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 2.8 중량% 이상, 2.9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또는 4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5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또는 2.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칠헥실트리아존을 2.7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의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실리콘-15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8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실리콘-15를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당근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감자 추출물,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토코페롤, 정제수, 다이부틸아디페이트, 프로판다이올, 변성알코올, 글리세린, 트로메타민,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1,2-헥산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릴메티콘, 향기제비꽃잎추출물, 연꽃꽃추출물, 왕대추출물, 연필향나무오일, 불가리스쑥오일, 광곽향오일, 로즈마리잎오일, 해바라기씨오일,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메틸프로판다이올,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에터-1, 부틸렌글라이콜 및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25 내지 0.0001 중량%의 당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당근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25 중량% 이상, 0.00003 중량% 이상, 0.000035 중량% 이상, 0.00004 중량% 이상, 0.000045 중량% 이상, 0.00005 중량% 이상, 0.00006 중량% 이상, 0.00007 중량% 이상, 0.00008 중량% 이상 또는 0.00009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01 중량% 이하, 0.00009 중량% 이하, 0.00008 중량% 이하, 0.000075 중량% 이하, 0.00007 중량% 이하, 0.000065 중량% 이하, 0.00006 중량% 이하, 0.000055 중량% 이하, 0.00005 중량% 이하, 0.00004 중량% 이하 또는 0.0000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당근 추출물을 0.000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8 내지 0.00003 중량%의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대나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8 중량% 이상, 0.0000085 중량% 이상, 0.000009 중량% 이상, 0.0000095 중량% 이상, 0.00001 중량% 이상, 0.000015 중량% 이상, 0.00002 중량% 이상 또는 0.00002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003 중량% 이하, 0.000025 중량% 이하, 0.00002 중량% 이하, 0.000015 중량% 이하, 0.00001 중량% 이하, 0.0000095 중량% 이하, 0.000009 중량% 이하 또는 0.0000085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대나무 추출물을 0.0000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5 내지 0.00002 중량%의 감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감자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5 중량% 이상, 0.000006 중량% 이상, 0.000007 중량% 이상, 0.000008 중량% 이상, 0.000009 중량% 이상, 0.00001 중량% 이상 또는 0.0000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002 중량% 이하, 0.000015 중량% 이하, 0.000014 중량% 이하, 0.000013 중량% 이하, 0.000012 중량% 이하, 0.000011 중량% 이하, 0.00001 중량% 이하, 0.000008 중량% 이하 또는 0.00000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감자 추출물을 0.000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 중량%의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팔미틱애씨드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0.5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65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71 중량% 이상, 0.7124 중량% 이상, 0.75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또는 0.9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 중량% 이하, 0.95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5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5 중량% 이하, 0.7124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또는 0.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팔미틱애씨드를 0.712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0.7 중량%의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스테아릭애씨드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 중량% 이상, 0.35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45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55 중량% 이상, 0.5798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또는 0.6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7 중량% 이하, 0.65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798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또는 0.4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스테아릭애씨드를 0.579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01 중량%의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미리스틱애씨드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 이상, 0.006 중량% 이상, 0.007 중량% 이상, 0.0075 중량% 이상, 0.0078 중량% 이상, 0.008 중량% 이상 또는 0.009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1 중량% 이하, 0.009 중량% 이하, 0.0085 중량% 이하, 0.008 중량% 이하, 0.0078 중량% 이하, 0.007 중량% 이하 또는 0.00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미리스틱애씨드를 0.007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25 내지 0.0001 중량%의 토코페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토코페롤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25 중량% 이상, 0.00003 중량% 이상, 0.000035 중량% 이상, 0.00004 중량% 이상, 0.000045 중량% 이상, 0.00005 중량% 이상, 0.00006 중량% 이상, 0.00007 중량% 이상, 0.00008 중량% 이상 또는 0.00009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01 중량% 이하, 0.00009 중량% 이하, 0.00008 중량% 이하, 0.000075 중량% 이하, 0.00007 중량% 이하, 0.000065 중량% 이하, 0.00006 중량% 이하, 0.000055 중량% 이하, 0.00005 중량% 이하, 0.00004 중량% 이하 또는 0.0000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토코페롤을 0.000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5 내지 60 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5 중량% 이상, 56 중량% 이상, 57 중량% 이상, 58 중량% 이상 또는 59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60 중량% 이하, 59 중량% 이하, 58 중량% 이하, 57 중량% 이하 또는 5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정제수를 57.931083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의 다이부틸아디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다이부틸아디페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또는 14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또는 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다이부틸아디페이트를 9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10 중량%의 프로판다이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프로판다이올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5.00176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또는 9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017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프로판다이올을 5.0017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9 중량%의 변성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변성알코올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또는 8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변성알코올을 4.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 중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 이상, 1.2 중량 % 이상, 1.4 중량 % 이상, 1.6 중량 % 이상, 1.8 중량 % 이상, 2 중량 % 이상, 2.5 중량 % 이상 또는 3 중량 % 이상 포함할 수 있고, 4 중량 % 이하, 3.5 중량 % 이하, 3 중량 % 이하, 2.8 중량 % 이하, 2.6 중량 % 이하, 2.4 중량 % 이하, 2.2 중량 % 이하, 2 중량 % 이하 또는 1.5 중량 %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2 중량 %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8 내지 3 중량%의 트로메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트로메타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75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3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5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트로메타민을 1.7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8 내지 3.2 중량%의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615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3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3.2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15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1.6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의 1,2-헥산다이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1,2-헥산다이올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035252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3525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8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1,2-헥산다이올을 1.03525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0.5 내지 2 중량%의 펜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펜틸렌글라이콜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000176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00176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8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펜틸렌글라이콜을 1.00017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의 세테아릴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세테아릴알코올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8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세테아릴알코올을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의 카프릴릴메티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카프릴릴메티콘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2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8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카프릴릴메티콘을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5 내지 0.0006 중량%의 향기제비꽃잎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향기제비꽃잎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3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0.0000005 내지 0.000002 중량%의 연꽃꽃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연꽃꽃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0.0000005 내지 0.000002 중량%의 왕대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왕대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내지 0.06 중량%의 연필향나무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연필향나무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이상, 0.02 중량% 이상, 0.022 중량% 이상, 0.024 중량% 이상, 0.026 중량% 이상, 0.028 중량% 이상, 0.03 중량% 이상, 0.0302 중량% 이상, 0.04 중량% 이상, 0.045 중량% 이상 또는 0.0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6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45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0.038 중량% 이하, 0.036 중량% 이하, 0.034 중량% 이하, 0.032 중량% 이하, 0.0302 중량% 이하, 0.03 중량% 이하 또는 0.02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연필향나무오일을 0.030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02 중량%의 불가리스쑥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불가리스쑥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 이상, 0.006 중량% 이상, 0.007 중량% 이상, 0.008 중량% 이상, 0.009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또는 0.0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2 중량% 이하, 0.018 중량% 이하, 0.016 중량% 이하, 0.014 중량% 이하, 0.012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8 중량% 이하 또는 0.00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불가리스쑥오일을 0.0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015 중량%의 광곽향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광곽향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 이상, 0.0055 중량% 이상, 0.006 중량% 이상, 0.0065 중량% 이상, 0.007 중량% 이상, 0.0075 중량% 이상, 0.008 중량% 이상, 0.009 중량% 이상 또는 0.01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15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95 중량% 이하, 0.009 중량% 이하, 0.0085 중량% 이하, 0.008 중량% 이하, 0.0075 중량% 이하, 0.007 중량% 이하 또는 0.00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광곽향오일을 0.007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0.001 내지 0.004 중량%의 로즈마리잎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로즈마리잎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이상, 0.0012 중량% 이상, 0.0014 중량% 이상, 0.0016 중량% 이상, 0.0018 중량% 이상, 0.002 중량% 이상 또는 0.003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4 중량% 이하, 0.003 중량% 이하, 0.0028 중량% 이하, 0.0026 중량% 이하, 0.0024 중량% 이하, 0.0022 중량% 이하, 0.002 중량% 이하 또는 0.0015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로즈마리잎오일을 0.00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5 내지 0.002 중량%의 해바라기씨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해바라기씨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5 중량% 이상, 0.0006 중량% 이상, 0.0007 중량% 이상, 0.0008 중량% 이상, 0.0009 중량% 이상, 0.00095 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또는 0.001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2 중량% 이하, 0.0019 중량% 이하, 0.0018 중량% 이하, 0.0017 중량% 이하, 0.0016 중량% 이하, 0.0015 중량% 이하, 0.0014 중량% 이하, 0.0013 중량% 이하, 0.0012 중량% 이하, 0.0011 중량% 이하, 0.001 중량% 이하, 0.00095 중량% 이하 또는 0.0009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해바라기씨오일을 0.0009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4 내지 1.5 중량%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또는 1.2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또는 0.5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을 0.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5 내지 1 중량%의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5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35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45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또는 0.8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 중량% 이하, 0.95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5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5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5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5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또는 0.4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0.25 내지 1 중량%의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5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35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45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또는 0.8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 중량% 이하, 0.95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5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5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5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5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또는 0.4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를 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0.2 내지 0.8 중량%의 메틸프로판다이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메틸프로판다이올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중량% 이상, 0.25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32 중량% 이상, 0.34 중량% 이상, 0.36 중량% 이상, 0.38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42 중량% 이상, 0.4224 중량% 이상, 0.45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또는 0.7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8 중량% 이하, 0.56 중량% 이하, 0.54 중량% 이하, 0.52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8 중량% 이하, 0.46 중량% 이하, 0.44 중량% 이하, 0.4224 중량% 이하, 0.42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또는 0.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메틸프로판다이올을 0.422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2 내지 0.5 중량%의 카보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카보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2 중량% 이상, 0.14 중량% 이상, 0.16 중량% 이상, 0.18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22 중량% 이상, 0.24 중량% 이상, 0.26 중량% 이상, 0.28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또는 0.4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5 중량% 이하, 0.4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8 중량% 이하, 0.36 중량% 이하, 0.34 중량% 이하, 0.32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0.28 중량% 이하, 0.26 중량% 이하, 0.24 중량% 이하, 0.2 중량% 이하 또는 0.15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카보머를 0.24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0.1 내지 0.4 중량%의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0.11 중량% 이상, 0.12 중량% 이상, 0.13 중량% 이상, 0.14 중량% 이상, 0.15 중량% 이상, 0.16 중량% 이상, 0.17 중량% 이상, 0.18 중량% 이상, 0.19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또는 0.3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4 중량% 이하, 0.35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0.29 중량% 이하, 0.28 중량% 이하, 0.27 중량% 이하, 0.26 중량% 이하, 0.25 중량% 이하, 0.24 중량% 이하, 0.23 중량% 이하, 0.22 중량% 이하, 0.21 중량% 이하, 0.2 중량% 이하 또는 0.15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을, 상기 조성물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0.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6 내지 0.24 중량%의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6 중량% 이상, 0.07 중량% 이상, 0.08 중량% 이상, 0.09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11 중량% 이상, 0.12 중량% 이상, 0.15 중량% 이상, 또는 0.2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24 중량% 이하, 0.23 중량% 이하, 0.22 중량% 이하, 0.21 중량% 이하, 0.2 중량% 이하, 0.19 중량% 이하, 0.18 중량% 이하, 0.17 중량% 이하, 0.16 중량% 이하, 0.15 중량% 이하, 0.14 중량% 이하, 0.13 중량% 이하, 0.12 중량% 이하 또는 0.1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0.1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0.16 중량%의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이상, 0.06 중량% 이상, 0.07 중량% 이상, 0.08 중량% 이상, 0.085 중량% 이상, 0.09 중량% 이상 또는 0.1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16 중량% 이하, 0.15 중량% 이하, 0.14 중량% 이하, 0.13 중량% 이하, 0.12 중량% 이하, 0.11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8 중량% 이하 또는 0.06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를 0.08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25 내지 0.1 중량%의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헥실글리세린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25 중량% 이상, 0.03 중량% 이상, 0.035 중량% 이상, 0.04 중량% 이상, 0.045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050126 중량% 이상, 0.06 중량% 이상 또는 0.08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1 중량% 이하, 0.095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85 중량% 이하, 0.08 중량% 이하, 0.075 중량% 이하, 0.07 중량% 이하, 0.065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055 중량% 이하, 0.050126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또는 0.03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05012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03 중량%의 폴리에터-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터-1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 이상, 0.006 중량% 이상, 0.008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011 중량% 이상, 0.012 중량% 이상, 0.013 중량% 이상, 0.014 중량% 이상, 0.015 중량% 이상, 0.016 중량% 이상, 0.017 중량% 이상, 0.0176 중량% 이상, 0.018 중량% 이상 또는 0.02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3 중량% 이하, 0.02 중량% 이하, 0.019 중량% 이하, 0.018 중량% 이하, 0.0179 중량% 이하, 0.0178 중량% 이하, 0.0177 중량% 이하, 0.0176 중량% 이하, 0.017 중량% 이하, 0.015 중량% 이하 또는 0.01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터-1을 0.017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5 내지 0.0007 중량%의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부틸렌글라이콜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5 중량% 이상, 0.0002 중량% 이상, 0.00022 중량% 이상, 0.00024 중량% 이상, 0.00026 중량% 이상, 0.00028 중량% 이상, 0.0003 중량% 이상, 0.00031 중량% 이상, 0.00032 중량% 이상, 0.00033 중량% 이상, 0.00034 중량% 이상, 0.00035 중량% 이상, 0.0004 중량% 이상 또는 0.0006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07 중량% 이하, 0.0006 중량% 이하, 0.0005 중량% 이하, 0.00048 중량% 이하, 0.00046 중량% 이하, 0.00044 중량% 이하, 0.00042 중량% 이하, 0.0004 중량% 이하, 0.00039 중량% 이하, 0.00038 중량% 이하, 0.00037 중량% 이하, 0.00036 중량% 이하, 0.00035 중량% 이하, 0.0003 중량% 이하 또는 0.0002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부틸렌글라이콜을 0.0003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5 내지 0.0003 중량%의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5 중량% 이상, 0.00006 중량% 이상, 0.00008 중량% 이상, 0.0001 중량% 이상, 0.00012 중량% 이상, 0.00014 중량% 이상, 0.00016 중량% 이상, 0.00017 중량% 이상, 0.000172 중량% 이상, 0.000174 중량% 이상, 0.000176 중량% 이상 또는 0.0002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0.0003 중량% 이하, 0.00028 중량% 이하, 0.00026 중량% 이하, 0.00024 중량% 이하, 0.00022 중량% 이하, 0.0002 중량% 이하, 0.00019 중량% 이하, 0.00018 중량% 이하, 0.000179 중량% 이하, 0.000178 중량% 이하, 0.000177 중량% 이하, 0.000176 중량% 이하 또는 0.0001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을 0.000176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대나무 추출물, 향기제비꽃 잎 추출물, 당근 추출물, 감자 추출물, 왕대 추출물 및 연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체의 추출물에서, 상기 식물체는 자연적으로 생장하였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재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물체의 추출물은 조추출물(crude extract) 또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체의 추출물은 식물체의 조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은 식물체를 추출 용매와 접촉시켜 얻어지는 것을 말한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대하여 특정 성분들을 포함하는 물질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 중에 식물체의 추출물, 그의 분획물, 또는 소분획물이 각각 또는 그 혼합물로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분획물은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것일 수 있으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용매분획을 통해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는 여과, 침지, 원심 분리, 용매분획,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다양한 조건 즉,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으로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HPLC, 고속유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추출은 상기 식물체를 용매 중에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교반 또는 교반 없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큐베이션은 실온 내지 환류 온도에서 교반 또는 교반 없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인큐베이션 온도는 선택되는 용매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온 내지 환류 온도, 30℃ 내지 환류 온도, 40℃ 내지 환류 온도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50℃, 60℃, 70℃, 80℃, 또는 환류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50℃ 내지 환류 온도, 60℃ 내지 환류 온도, 70℃ 내지 환류 온도, 80℃ 내지 환류 온도, 또는 환류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시간 내지 1개월, 1시간 내지 15일, 1시간 내지 10일, 1시간 내지 5일, 1시간 내지 3일, 1시간 내지 2일, 1시간 내지 1일, 5시간 내지 1개월, 5시간 내지 15일, 5시간 내지 10일, 5시간 내지 5일, 5시간 내지 3일, 5시간 내지 2일, 5시간 내지 1일, 10시간 내지 1개월, 10시간 내지 15일, 10시간 내지 10일, 10시간 내지 5일, 10시간 내지 3일, 또는 10시간 내지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식물체를 용매 중에서 환류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식물체 중량에 대하여 1배, 2배, 5배, 10배 또는 15배 이상의 부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식물체 중량에 대하여 1배 내지 15배, 2배 내지 15배, 5배 내지 15배, 10배 내지 15배 또는 약 15배의 부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음지 또는 차광설비 또는 온풍 또는 건조장치에 건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추출물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냉침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압추출, 아임계추출, 초임계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일 수 있다. 침지 추출은 온침 또는 상온에서 침지하는 것일 수 있고, 1회 내지 5회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0.1배 내지 10배 또는 1배 내지 6배의 추출 용매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냉침 추출온도는 20℃ 내지 40℃인 것일 수 있다. 온침 또는 가열 추출온도는 40℃ 내지 100℃일 수 있다. 냉침 추출시간은 24시간 내지 120시간인 것일 수 있으며, 온침 또는 가열 추출온도는 0.5시간 내지 48시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증발 또는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농축기 또는 진공 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상기 식물체 추출물은 상기 식물체를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3의 알코올, C1 내지 C4, C1 내지 C5 또는 C1 내지 C6의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일차 알콜일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6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획물은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분획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물은 상기 식물체 추출물의 분쇄물 또는 상기 식물체 분획물의 분쇄물일 수 있다. 상기 분쇄물은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A) 비중이 1.019; (B) 2cmΦ, 1.5 cm, 30 cm/분, 100g 및 25 ℃ 조건에서 측정된 경도가 38; (C) pH가 6.5; 및 (D) 조성물 내 측정된 세균의 콜로니 수가 100 CFU/g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비중이 1 내지 1.0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비중은 1 이상, 1.01 이상, 1.011 이상, 1.012 이상, 1.013 이상, 1.014 이상, 1.015 이상, 1.016 이상, 1.017 이상, 1.018 이상, 1.019 이상, 1.02 이상 또는 1.025 이상일 수 있고, 1.03 이하, 1.028 이하, 1.026 이하, 1.024 이하, 1.022 이하, 1.02 이하, 1.019 이하, 1.015 이하 또는 1.01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비중은 1.019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2cmΦ, 1.5 cm, 30 cm/분, 100g 및 25 ℃ 조건에서 측정된 경도가 30 내지 5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cmΦ, 1.5 cm, 30 cm/분, 100g 및 25 ℃ 조건에서 측정된 상기 조성물의 경도는 30 이상, 31 이상, 32 이상, 33 이상, 34 이상, 35 이상, 36 이상, 37 이상, 38 이상, 40 이상 또는 45 이상일 수 있고, 50 이하, 45 이하, 44 이하, 43 이하, 42 이하, 41 이하, 40 이하, 39 이하, 38 이하 또는 35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cmΦ, 1.5 cm, 30 cm/분, 100g 및 25 ℃ 조건에서 측정된 상기 조성물의 경도는 3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pH가 5.5 내지 7.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pH는 5.5 이상, 5.6 이상, 5.8 이상, 6 이상, 6.1 이상, 6.2 이상, 6.3 이상, 6.4 이상, 6.5 이상, 7 이상 또는 7.2 이상일 수 있고, 7.5 이하, 7.4 이하, 7.2 이하, 7 이하, 6.9 이하, 6.8 이하, 6.7 이하, 6.6 이하, 6.5 이하, 6 이하 또는 5.8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pH는 6.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내 측정된 세균의 콜로니 수가 100 CFU/g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균은 스태필로코커스 (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 (Escherichia coli)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질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항균력이 있을 수 있고, 구체적으로 스태필로코커스 (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 (Escherichia coli)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질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유화형, 유중수(W/O)형, 수중유(O/W)형, 유분산, 수분산 및 가용화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크림, 선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팩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 또는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센스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A 차단 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가 트리플 플러스(PA+++)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실시예)을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1의 성분 외에 당근 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감자 추출물,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토코페롤, 정제수, 다이부틸아디페이트, 프로판다이올, 변성알코올, 글리세린, 트로메타민,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1,2-헥산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릴메티콘, 향기제비꽃잎추출물, 연꽃꽃추출물, 왕대추출물, 연필향나무오일, 불가리스쑥오일, 광곽향오일, 로즈마리잎오일, 해바라기씨오일,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메틸프로판다이올,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에터-1, 부틸렌글라이콜 및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을 추가로 포함하였으며, 상기 대나무 추출물의 농도는 0.15 ppm이다.

성분 (INCI명)

함량 (중량%)

에칠헥실트리아존 (ethylhexyl triazone)

2.7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2.64

나이아신아마이드 (niacinamide)

2

폴리실리콘-15 (polysilicone-15)

1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0.5

아데노신 (adenosine)

0.04
한편,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및 2를 제조하였다. 다만, 비교예 1은 실시예와 달리 나이아신아마이드를 8 중량%, 아데노신을 2 중량%, 에칠헥실트리아존을 0.5 중량%,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8 중량%,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4 중량%,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1.5 중량%로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비교예 1과 동일하되, 나이아신아마이드, 당근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감자 추출물, 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아데노신, 미리스틱애씨드 및 토코페롤을 포함하지 않았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능 및 사용성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차외선 차단능 및 사용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자외선 차단능 평가 방법
자외선 UVA 차단 시험은 일본화장품공업협회 자외선 UVA 차단효과 측정방법(JCIA, 2012)에 제시된 시험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 시험방법은 국제표준화기구의 자외선 UVA 차단효과 측정방법(ISO24442, 2011)을 사용한다. 피험자의 등 부위에 표준시료와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을 2 mg/cm2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5분간 안정화한 후, 도포하지 않은 MPPDD를 근거로 자외선 A를 조사하여 표준 시료와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MPPDD와 PFA를 결정하였다.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D)을 판정하고, 그 판정값을 이용하여 자외선 A 차단지수를 하기 식 1로 계산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자외선 A 차단등급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류된다.
[식 1]
PFA 산출방법 =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p) /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u)

자외선 A 차단지수 (PFA)

자외선 A 차단등급 (PA)

자외선 A 차단 효과

2 이상 4 미만

PA+

있음

4 이상 8 미만

PA++

많이 있음

8 이상

PA+++

매우 많이 있음
사용성 평가 방법
20대 내지 40대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 5일간 화장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끈적임 및 밀착감 각각을 5점 구획 척도법 (끈적임이 매우 높음: 1점, 높음: 2점, 보통: 3점, 낮음: 4점, 매우 낮음: 5점)(밀착감이 매우 낮음: 1점, 낮음: 2점, 보통: 3점, 높음: 4점, 매우 높음: 5점)에 따라 평가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능 및 사용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자외선 차단 효과

PA+++

PA+

PA+

끈적임 없음

4.5

2.5

1.5

밀착감

4

3.2

1.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은 일부 성분을 다른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일부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더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끈적임이 적고 밀착감이 우수하여 보다 우수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실험예 2] 항균력 분석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 조성물 각각에 포도상구균 또는 병원균, 곰팡이를 접종하여 항균력을 분석하였다. 이 때, 항균력 시험법은 다음의 방법에 따르며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시험법 참조), 황색포도상구균은 스태필로코커스 ATCC 6538 (Staphylococcus aureus ATCC 5438), 폐렴구균은 대장균 ATCC 8739 (Escherichia coli ATCC 8739) 및 곰팡이균은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질리엔시스 ATCC 16404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이었다.
구체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미생물을 전배양하여 균 액 약 109CFU/ml을 준비하고, 멸균 처리한 플라스틱 용기에 상기 3종의 조성물 각각을 1.5g씩 넣었다. 이 때, 상기 시료와 용기 바닥에 공간이 최대한 생기기 않도록 밀착시켰다. 그런 다음, NaCl 0.85%로 균 액을 희석하여 ml당 106CFU가 되게 접종하고, 건조를 막기 위해서 용기 뚜껑을 닫았다. 이후, 접종 후 용기 35 ℃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고, NaCl 0.85% 10ml를 용기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에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균 수를 측정하였으며, 각 균 수의 평균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미생물 수

56 CFU/g

158 CFU/g

340 CFU/g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은 일부 성분을 다른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일부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더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02 내지 0.08 중량%의 아데노신(adenosine), 1.2 내지 5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0.5 내지 2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2 내지 0.8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3 내지 5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 및 0.5 내지 2 중량%의 폴리실리콘-1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끈적임이 적고 우수한 밀착감을 제공하며 항균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 중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02 내지 0.08 중량%의 아데노신(adenosine), 1.2 내지 5 중량%의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0.5 내지 2 중량%의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2 내지 0.8 중량%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3 내지 5 중량%의 에칠헥실트리아존, 0.5 내지 2 중량%의 폴리실리콘-15, 당근 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감자 추출물,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토코페롤, 정제수, 다이부틸아디페이트, 프로판다이올, 변성알코올, 글리세린, 트로메타민,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1,2-헥산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릴메티콘, 향기제비꽃잎추출물, 연꽃꽃추출물, 왕대추출물, 연필향나무오일, 불가리스쑥오일, 광곽향오일, 로즈마리잎오일, 해바라기씨오일,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메틸프로판다이올,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에터-1, 부틸렌글라이콜 및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항균력이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A) 내지 (D)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조성물:
    (A) 비중이 1.019;
    (B) 2 cmΦ, 1.5 cm, 30 cm/분, 100 g 및 25 ℃ 조건에서 측정된 경도가 38;
    (C) pH가 6.5; 및
    (D) 조성물 내 측정된 세균의 콜로니 수가 100 CFU/g 이하.
KR1020230104297A 2023-08-09 2023-08-09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9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297A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08-09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297A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08-09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813B1 true KR102594813B1 (ko) 2023-10-30

Family

ID=8855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297A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08-09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495B1 (ko) * 2023-11-28 2024-02-22 주식회사 부쉬맨 방수 썬크림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379A (ko) * 2018-03-28 2018-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KR102012161B1 (ko)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5424A (ko) * 2018-12-18 2020-06-26 백창우 미백능과 항노화능이 뛰어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2254A (ko)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4749B1 (ko) 2022-06-17 2023-04-24 (주)엔비인터내셔널코리아 스프레이형 무스 타입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547901B1 (ko) 2022-09-29 2023-07-04 김도연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379A (ko) * 2018-03-28 2018-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KR20200075424A (ko) * 2018-12-18 2020-06-26 백창우 미백능과 항노화능이 뛰어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2161B1 (ko)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2254A (ko)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4749B1 (ko) 2022-06-17 2023-04-24 (주)엔비인터내셔널코리아 스프레이형 무스 타입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547901B1 (ko) 2022-09-29 2023-07-04 김도연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495B1 (ko) * 2023-11-28 2024-02-22 주식회사 부쉬맨 방수 썬크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7406A (ko)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상기 보존제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085422B1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94813B1 (ko)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18361B1 (ko)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9315A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697235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1058B1 (ko) 식물유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665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1133B1 (ko) 방부활성과 항염 활성을 가지는 카프릴릴 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과 노간주나무 추출물 부추 추출물과 산들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714A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4825A (ko)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096701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
KR102594811B1 (ko)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KR102641181B1 (ko) 크림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N113262191A (zh) 一种母菊花润肤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995998B1 (ko)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2077B1 (ko) 피부보호,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유해균 성장억제, 여드름 예방 및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