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254A -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54A
KR20210022254A KR1020190101464A KR20190101464A KR20210022254A KR 20210022254 A KR20210022254 A KR 20210022254A KR 1020190101464 A KR1020190101464 A KR 1020190101464A KR 20190101464 A KR20190101464 A KR 20190101464A KR 20210022254 A KR20210022254 A KR 2021002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oil
parts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0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254A/ko
Priority to US17/636,658 priority patent/US20220287951A1/en
Priority to PCT/KR2020/011100 priority patent/WO2021034121A1/ko
Priority to CN202080057306.4A priority patent/CN114245734A/zh
Priority to JP2022511082A priority patent/JP2022546290A/ja
Publication of KR2021002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54A/ko
Priority to KR1020230136910A priority patent/KR20230147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8Thermochromatic; Photochromic; Phototrop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부가된 다이메티콘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가교되어 있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함에도 안정한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chromatic emulsion phase for protecting UV}
본 발명은 구조적 색상(structural color)이 발현되는 안정한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UV-A, UV-B 및 UV-C로 나누어지는데, 320 내지 400nm의 파장은 UV-A로, 280 내지 320nm의 파장은 UV-B로, 그리고 200 내지 280nm의 파장은 UV-C로 분류된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을 유발하고, 주름과 멜라닌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하여 홍반, 주근깨 또는 부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된다.
상기와 같은 일광 노출과 관련된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자외선 차단 지수(SPF)를 갖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제품은 높은 SPF 값을 나타내기 위해 티타늄다이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또는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와 같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 제품에 사용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대부분은 굴절률이 높은 유용성 성분이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불투명한 파우더 성분이므로,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 제품(선크림)은 불투명한 에멀젼 외관을 나타낸다.
한편, 크로마틱 에멀젼(chromatic emulsion)은 조성물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을 맞추어 투명하면서도 수상부와 유상부의 빛의 분산능 차이에 의해 구조적 색상(structural color)을 발현하는 에멀젼을 의미한다(비특허문헌 1). 종래에 크로마틱 에멀젼을 이용한 화장품 연구들이 다수 시도되었으나, 생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안정한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획기적인 돌파구는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J. Am. Chem. Soc., Chromatic Emulsion, 1922, 44(1), pp71-74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불투명한 외관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투명하면서도 구조적 색상(structural color)이 발현되는 안정한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화장료 조성물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특정 성분을 제외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특정 함량으로 첨가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피이지-15/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를 제외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특정 함량 범위로 포함하여, 백탁 현상을 나타내지 않고, 안정하면서, 구조적 색상이 발현되는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부가된 다이메티콘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가교되어 있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폴리실리콘-15,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4-메칠벤질리덴캠퍼, 벤조페논-3,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및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 자외선 차단을 위해 사용되어 온 유기 물질들을 제한 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때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게 되면 충분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4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피부 자극 또는 오일리한 사용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 내지 35 중량부, 10 내지 30 중량부, 10 내지 25 중량부, 10 내지 20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20 내지 35 중량부, 20 내지 30 중량부, 25 내지 35 중량부, 2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는 피이지-15/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를 제외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1 내지 30몰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부가된 다이메티콘과 1 내지 30몰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이 가교되어 있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피이지-15/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2)이 고온(50℃)의 조건에서는 층 분리와 같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1 내지 8 중량부, 1 내지 6.5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3 내지 10 중량부, 3 내지 8 중량부, 3 내지 5 중량부, 4 내지 10 중량부, 4 내지 8 중량부, 4 내지 6.5 중량부, 4.5 내지 6.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상부의 굴절률에 영향을 주어 제형의 투명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슈가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피이지-10다이메티콘 또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티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예컨대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부가된 다이메티콘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가교되어 있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와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게 되면,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조합 사용에 의해 상용성이 우수하고 투명한 제형을 나타내면서도 구조적 색상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0.5 내지 5 중량부, 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상부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오일 또는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및 왁스는 당업계에서 화장품의 성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로는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 성분을 하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리콘계 오일로는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 또는 오일에 분산되어 있는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페닐메티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라이실록산, 다이메티콘, 카프릴다이메티콘, 카프릴릴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세테아릴메티콘, 헥사데실메티콘, 헥실메티콘, 라우릴메티콘, 미리스틸메티콘, 페닐메티콘, 스테아릴메티콘, 스케아릴다이메티콘,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메티콘, 세틸다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라이메티콘 또는 페닐트라이메티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 성분들은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오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류 오일로는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라이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스테아레이트, 부틸아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 릴아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프로필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이소노나노에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카프레이트, 네 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애씨드에스터,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세스퀴아이 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는 C8-C12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2-C18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40아이소알킬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18트라이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라이아세틸하이드로스테아레이트, 소이빈글리세라이드, 트라이베헤닌, 트라이카프린, 트라이에틸헥사노인, 트라이헵타노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린, 트라이팔미틴 또는 트라이스테아린을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스쿠알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로는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 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르간 오일, 메도우폼 오일, 해바라기 오일, 피마자유, 동백 오일, 옥수수 오일, 잇꽃 오일, 대두 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다미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팜 오일, 팜핵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왁스, 식물성 왁스 또는 실리콘 왁스 등의 모든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비즈 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결정체 왁스, C30-C45 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상부는 그 함량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상부와의 굴절률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오일 또는 왁스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5 중량부, 예컨대 15 내지 50 중량부, 20 내지 45 중량부, 25 내지 40 중량부, 29 내지 3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이 상기와 같은 범위로 오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끈적임이 심한 폴리올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수상부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1,3-부틸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수상부의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상부는 유상부에 비해 굴절률이 낮기 때문에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를 줄이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가 0.009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낮은 굴절률 차를 가짐으로써 투명하면서도 구조적 색상이 발현되는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가 0.009을 초과하게 되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는 0.005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로마틱 에멀젼(chromatic emulsion)" 성상이란, 색소로서 안료 및 염료를 사용하지 않고 보는 각도와 광원에 따라 구조적 색상을 발현하는 성상을 의미하며, "구조적 색상(structural color)"이란 입자들이 프리즘처럼 작용하여 빛이 분산, 굴절, 간섭되어 나타나는 색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점증제,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또는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스프레이 타입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 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스틱,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중수형(W/O) 제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성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험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부가된 다이메티콘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가교되어 있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함에도 안정한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 및 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Part A의 각 원료를 교반하면서 70 내지 9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용해된 용액을 45℃까지 냉각시킨 후, Part A를 Part B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별도로 교반한 Part C를 앞서 제조한 Part A와 Part B의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천천히 투입하여 고르게 섞어 유화하였다. 유화 종료 후 30℃까지 냉각하고 탈포를 거쳐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Part A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7 7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9.5 9.5 2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 4.5 4.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 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2 2 2
에칠헥실트리아존 2 2 -
옥토크릴렌 - 3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 -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1 1 8
Part B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5.76 6.3 4.5
피이지-15/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 - -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 다이메티콘 2 2 2
카프릴릴메티콘 34.24 33.7 20.5
아이소도데케인 - - -
향료 0.5 0.5 0.5
Part C 정제수 1.8 1.6 5.1
글리세린 29.3 26.5 43.5
황산마그네슘 0.4 0.4 0.4
총합 100 100 100
비교예 1 및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중량부) 비교예1 비교예2
Part A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7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9.5 9.5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 4.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 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2 2
에칠헥실트리아존 2 2
옥토크릴렌 -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1 1
Part B 피이지-12다이메티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5.76 -
피이지-15/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 5.76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 다이메티콘 2 2
카프릴릴메티콘 34.24 16.96
아이소도데케인 - 17.28
향료 0.5 0.5
Part C 정제수 4.1 1.8
글리세린 27 29.3
황산마그네슘 0.4 0.4
총합 100 100
실험예 1.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은 25℃에서 수상부와 유상부를 적치하여 Abbe refractometer(KRUSS Optronic, Germany)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표 3). 이때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을 10회 측정하여 굴절률 차를 확인하였다(표 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수상부의 굴절률 1.4600 1.4620 1.4535 1.4495 1.4635
유상부의 굴절률 1.4590 1.4635 1.4537 1.4590 1.4662
굴절률 차 0.001 0.0015 0.0002 0.0095 0.0027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수상부의 굴절률 1.4600 1.4610 1.4605 1.4600 1.4600 1.4590 1.4610 1.4600 1.4605 1.4595
유상부의 굴절률 1.4590 1.4600 1.4590 1.4585 1.4595 1.4590 1.4585 1.4600 1.4580 1.4590
굴절률 차 0.001 0.001 0.0015 0.0015 0.0005 0 0.0025 0 0.0025 0.0005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유상부의 굴절률을 측정한 후, 글리세린과 정제수의 중량부를 조절하여 굴절률 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대해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을 10회 측정한 결과(표 4), 동일한 내용물에 대해서도 최대 0.0025의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경도, 자외선 차단 지수(SPF) 및 UVA 차단 지수(UVAPF)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자외선 차단 지수(SPF(Sun Protection Factor)) 및 UVA 차단 지수(UVAPF(UVA Protection Factor))를 측정하였다. 이때, 조성물의 경도는 Rheotech Co 사의 Fudoh Rheometer RTC-3005D 모델로 아답타 #9을 이용하여 작동속도 2 cm/min으로 시료 2.5cm 깊이까지 측정하였으며, SPF와 UVAPF는 BASF Sunscreen Simulator를 사용하여 각각의 SPF 및 UVAPF 값을 평가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경도 13 17 44 14 6
SPF 39.4 46.5 22.9 39.4 39.4
UVAPF 6.8 7.3 6.2 6.8 6.8
표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다양한 SPF 및 UVAPF 값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제형 안정성 확인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은 각기 다른 온도 조건(0℃, 25℃ 및 50℃)에서 4주 동안 조성물을 보관한 후, 조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층 분리 유무를 통해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
안정: 층 분리가 나타나지 않음
분리: 층 분리가 나타남
보관온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분리
2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분리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분리
보관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0℃ 내지 50℃의 온도 조건에서 4주 동안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며, 비교예 2의 조성물은 0℃, 25℃, 50℃ 온도 조건에서 모두 층 분리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투명도 및 색상 발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육안으로 투명도와 색상 발현 강도를 판정하여 표 7,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와 구조적 색상 발현 강도는 조성물을 25℃에서 120분 동안 보관하면서 남성 5명, 여성 5명의 패널에 의해 육안으로 판정하여 평가하였다.
[투명도 평가 기준]
◎: 매우 투명함
○: 투명함
△: 반투명함
×: 불투명함
[색상 발현 강도 평가 기준]
◎: 매우 강함
○: 강함
△: 약함
×: 없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투명도 -*
색상발현 강도 -*
(*은 조성물의 상 분리로 인해 투명성 측정 불가함)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제형을 나타냈으며,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반투명한 제형을 나타냈다. 이는 비교예 1에서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가 0.0095로 나타나 실시예 1 내지 3 보다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Claims (9)

  1.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부가된 다이메티콘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가교되어 있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10 중량부 미만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이가 0.009 이하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폴리실리콘-15,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4-메칠벤질리덴캠퍼, 벤조페논-3,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및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1 내지 30몰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부가된 다이메티콘과 1 내지 30몰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가교되어 있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슈가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W/O)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구조적 색상을 발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1464A 2019-08-20 2019-08-20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64A KR20210022254A (ko) 2019-08-20 2019-08-20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17/636,658 US20220287951A1 (en) 2019-08-20 2020-08-20 Ultraviolet 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In Chromatic Emulsion State
PCT/KR2020/011100 WO2021034121A1 (ko) 2019-08-20 2020-08-20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202080057306.4A CN114245734A (zh) 2019-08-20 2020-08-20 具备彩色乳化体性状的防紫外线用化妆料组合物
JP2022511082A JP2022546290A (ja) 2019-08-20 2020-08-20 クロマチックエマルジョン性状を有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KR1020230136910A KR20230147588A (ko) 2019-08-20 2023-10-13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64A KR20210022254A (ko) 2019-08-20 2019-08-20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910A Division KR20230147588A (ko) 2019-08-20 2023-10-13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54A true KR20210022254A (ko) 2021-03-03

Family

ID=746603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64A KR20210022254A (ko) 2019-08-20 2019-08-20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36910A KR20230147588A (ko) 2019-08-20 2023-10-13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910A KR20230147588A (ko) 2019-08-20 2023-10-13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7951A1 (ko)
JP (1) JP2022546290A (ko)
KR (2) KR20210022254A (ko)
CN (1) CN114245734A (ko)
WO (1) WO2021034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6313A (zh) * 2023-03-27 2023-07-04 华中科技大学 一种响应性结构色液滴的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9350B2 (ja) * 2005-11-24 2011-04-27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TW201043255A (en) * 2009-02-27 2010-12-16 Shiseido Co Ltd Sunscreen cosmetic agent
KR101327826B1 (ko) * 2011-11-22 2013-11-11 주식회사 제닉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101724528B1 (ko) * 2015-06-29 2017-04-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다양한 색상의 외관을 갖는 발색 화장료 조성물
KR101798024B1 (ko) * 2017-06-29 2017-11-16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2005229B1 (ko) * 2017-09-29 2019-10-0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3836B1 (ko) * 2017-11-29 2022-11-04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9820738B (zh) * 2019-03-29 2021-11-02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倍水包油型防晒化妆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m. Chem. Soc., Chromatic Emulsion, 1922, 44(1), pp71-7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87951A1 (en) 2022-09-15
JP2022546290A (ja) 2022-11-04
CN114245734A (zh) 2022-03-25
KR20230147588A (ko) 2023-10-23
WO2021034121A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8712C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uv-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to expanded urethane foam
KR101355051B1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05229B1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7588A (ko)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6658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3106998A1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o/w emulsion form
AU2011206609B2 (en) Water-resistant cosmetic formulations compris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vinylpyrrolidone copolymer
KR101327826B1 (ko)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CN115867252A (zh) 基于视黄醇的组合物
JP6006101B2 (ja) 紫外線吸収剤含有皮膚外用剤
KR101342072B1 (ko)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055589A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9517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4994834B (zh) 气溶胶型防晒化妆料
KR102624136B1 (ko) 끈적임이 없는 고 spf w/o 화장료 조성물
JP7347993B2 (ja) 日焼け止め用組成物
KR101701424B1 (ko) 중공성의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유중수형의 자외선차단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JP2017197434A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944236B1 (ko) 화장 조성물
CN115120506A (zh) 油包水型化妆材料
JP5805410B2 (ja) 化粧料用紫外線吸収剤組成物及び配合化粧料
KR20190128515A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