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58B1 -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58B1
KR102026658B1 KR1020190037278A KR20190037278A KR102026658B1 KR 102026658 B1 KR102026658 B1 KR 102026658B1 KR 1020190037278 A KR1020190037278 A KR 1020190037278A KR 20190037278 A KR20190037278 A KR 20190037278A KR 102026658 B1 KR102026658 B1 KR 10202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oil
methoxycinna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성
송경희
조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1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58B1/ko
Priority to CN201980004246.7A priority patent/CN111867551A/zh
Priority to PCT/KR2019/017182 priority patent/WO2020175772A1/ko
Priority to EP19916789.1A priority patent/EP3932384A4/en
Priority to JP2021549862A priority patent/JP2022522684A/ja
Priority to US17/433,543 priority patent/US20220151893A1/en
Priority to TW109106610A priority patent/TW202038896A/zh
Priority to JP2023068793A priority patent/JP202309588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특정한 중량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노출될 때 자외선 차단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되며 사용감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 Sunscreen Cosmetic Formulation with Increased UV absorption efficiency by UV ligh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이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00-280 nm의 파장은 UV-C, 280-320 nm의 파장은 UV-B, 또는 320-400 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또는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수의 역학 연구로 일광 노출과 인체 피부암의 강력한 관계가 증명되어 있다.
일광 노출과 관련된 상기 언급된 위험의 결과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은 증가하여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SPF(자외선 차단지수)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 제품은 높은 SPF값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또는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은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시녹세이트는 자외선에 의해 트렌스 구조가 시스 구조로 바뀌면서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외선 차단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어 피부 노화나 각종 피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야외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피부가 태양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여러 번 덧발라줘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자체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또는 동량을 사용하더라도 효과를 보다 더 증진시키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가 자외선에 노출될 때 자외선 차단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해결되고, 오히려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특정한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될 때 오히려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극성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오일의 함량을 달리함에 따라 메톡시신나메이트의 분자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자간 거리가 멀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트렌스 구조의 메톡시신나메이트 분자가 시스 구조로 바뀌어 자외선 흡수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분자간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서는 자외선에 노출 되었을 때, 다이머(dimer)를 비롯한 다양한 광반응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광반응물과의 π-π stacking 에 의해 π-π* 전이 에너지준위가 달라져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의 파장 영역도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UV-A(320~400 nm) 및 UV-B(280~320 nm)의 파장 영역에서 흡광도가 자외선 조사 전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SPF 값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본 발명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시녹세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SPF가 감소하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극성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ethylhexanoate),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glycerides), 페네틸벤조에이트(Phenethyl benzoate),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C12-15 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및 옥토크릴렌(Octocrylen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극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05~4 중량%일 수 있거나, 가장 바람직하게 극성 오일이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극성 오일이 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한 SPF 증가 효과가 사라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되며 및 피부에 발림성이 우수하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유동(liquid) 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바셀린, n-파라핀, 미네랄오일,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폴리이소부틸렌,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미세결정질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왁스, 스쿠알란, 스쿠알렌, 프리스탄, 및 폴리이소프렌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5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감이 너무 뻑뻑하여 화장품의 기본적인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사용감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극성 오일의 함량이 제한된 조건에서, 실리콘 오일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와 상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과량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리콘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5 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 3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및 페닐트리메치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는 실리콘 오일과 상용성이 좋지 않아 15 중량% 를 초과하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 시 상온에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1:0.01~1, 바람직하게 1:0.01~0.8, 더욱 바람직하게 1:0.01~0.6, 보다 바람직하게 1:0.01~0.4, 보다 더 바람직하게 1: 0.01~0.2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극성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거나, 가장 바람직하게 극성 오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극성 오일의 중량이 상기 중량비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한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1:0.2~15, 바람직하게 1:0.2~8, 더욱 바람직하게 1:0.2~3(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하이드로카본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상인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자외선 차단제와 적절한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한 자외선 차단 효율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극성 오일과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동시에 포함할 경우, 극성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1:1~300, 바람직하게 1:1~200, 더욱 바람직하게 1:1~100(극성 오일:하이드로카본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한 자외선 차단 효율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산화철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또는 천연추출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스킨 토너, 영양 크림, 유액, 화장연고,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전 제형, 예를 들어 유중수(W/O) 제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2 내지 30 중량%, 극성 오일 5% 중량% 이하,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 후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되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또한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UV 조사 후 SPF 값이 현저하게 증가되며, 구체적으로 UV 조사 전에 비해 3~80%, 바람직하게 5~77%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UV 조사 후 UV-A(320~400 nm) 및 UV-B(280~320 nm)에 대한 차단 효과가 증가되며, 바람직하게 UV-B에 대한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된다.
본 발명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의 극성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노출될 때 자외선 차단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한 함량의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사용감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도 1은 본원발명 일 실시예(실시예 8)의 자외선 차단 증가율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본원발명 일 실시예(실시예 8)의 자외선 조사 전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결과이다.
도 3는 본원발명 일 실시예(실시예 13)의 자외선 조사 전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결과이다.
도 4는 비교예 11의 자외선 조사 전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자외선 조사 전후의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1에 정리된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제 5종을 PMMA plate(HelioScreen Labs, HD6)에 1.3mg/cm2으로 도포하고 XPS-300 (Optometrics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2MED 조사하기 전 후의 in-vitro SPF를 SPF-290S (Optomertrics Corporation)을 통해 측정하였다. In-vitro SPF는 PMMA plate의 6개의 다른 부분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UV filter SPF(UV 조사 전) SPF(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OMC 15.84±1.05 23.27±3.07 7.43 46.91
IMC 18.19±1.12 26.33±2.3 8.14 44.75
Ethyhexyl salicylate 10.11±161 10.10±1.66 -0.01 -0.10
Polysilicone 15 14.59±0.41 14.65±0.34 0.06 -5.16
Octocrylene 27.11±6.79 25.71±10.69 -1.40 -5.16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그 결과,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OMC 또는 IMC는 in-vitro SPF값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자외선 차단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예 2: OMC 및 IMC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2의 함량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A항과 B항을 각각 준비하여 75도로 가온하였다. A항에 B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제조한 각각의 시료의 UV 조사 전후의 SPF값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A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Sodium polyacrylate 0.5 0.5 0.5 0.5 0.5 0.5 0.5
B 3 OMC 0.5 1 1.5 2 2.5 5 7.5
4 IMC 0.5 1 1.5 2 2.5 5 7.5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비교예 1 2.18±0.32 1.75±0.24 -0.43 -19.72
실시예 1 2.7±0.31 3.09±0.22 0.39 14.44
실시예 2 3.93±0.4 4.02±0.53 0.09 2.29
실시예 3 4.46±0.72 5.88±0.63 1.42 31.84
실시예 4 6.31±0.89 7.85±0.89 1.54 24.41
실시예 5 6.62±1.64 11.68±1.45 5.06 76.44
실시예 6 7.66±1.44 13.45±1.44 5.79 75.59
비교예 1처럼 OMC와 IMC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일 때는 자외선에 의해 SPF가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6과 같이 OMC와 IMC의 함량이 2 중량% 이상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SPF가 증가하였다.
실험예 3: 실리콘 오일의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같은 방법으로 UV 조사 전후의 in-vitro SPF를 측정하였으며, UV 전후의 값을 비교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황산마그네슘 1.0 1.0 1.0 1.0
DPG 5.0 5.0 5.0 5.0
B OMC 7.0 7.0 7.0 7.0
IMC 7.0 7.0 7.0 7.0
D5 0.0 5 10 15
BEMT 1.0 1.0 1.0 1.0
Abil EM 180 3.0 3.0 3.0 3.0
TiO2 2.0 2.0 2.0 2.0
ZnO 2.0 2.0 2.0 2.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D5: Cyclopentasiloxane/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Abil EM 18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비교예 2 28.74±13.97 38.45±23.03 9.71 33.79
비교예 3 30.77±17.47 44.65±27.46 13.88 45.11
비교예 4 30.68±15.55 40.62±23.05 9.94 32.40
비교예 5 37.67±16.54 46.31±24.51 8.64 22.94
실리콘 오일의 함량에 따른 발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2~5에서처럼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높아져도 발명의 효과는 유지되었다. 그러나 실리콘 오일과 OMC 및 IMC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안정성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하이드로카본 오일의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같은 방법으로 UV 조사 전후의 in-vitro SPF를 측정하였으며, UV 전후의 값을 비교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6 비교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 10 비교예8 실시예 11 비교예9 실시예 12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황산마그네슘 1.0 1.0 1.0 1.0 1.0 1.0 1.0 1.0 1.0
DPG 5.0 5.0 5.0 5.0 5.0 5.0 5.0 5.0 5.0
B OMC 7.0 7.0 7.0 7.0 7.0 7.0 7.0 7.0 7.0
IMC 7.0 7.0 7.0 7.0 7.0 7.0 7.0 7.0 7.0
Isododecane 1.0 4.0 7.0 10.0 13.0
Isohexadecane 4.0 10.0
Mineral oil 4.0 10.0
BEMT 1.0 1.0 1.0 1.0 1.0 1.0 1.0 1.0 1.0
Abil EM 180 1.5 1.5 1.5 1.5 1.5 1.5 1.5 1.5 1.5
Olivem 900 3.0 3.0 3.0 3.0 3.0 3.0 3.0 3.0 3.0
TiO2 2.0 2.0 2.0 2.0 2.0 2.0 2.0 2.0 2.0
ZnO 2.0 2.0 2.0 2.0 2.0 2.0 2.0 2.0 2.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Abil EM 18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 Olivem 900: sorbitan olivat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비교예 6 43.39±3.91 57.52±5.82 14.13 32.57
비교예 7 36.69±7.03 47.81±7.57 11.12 30.31
실시예 8 44.16±7.53 58.43±9.29 14.27 32.31
실시예 9 44.01±7.35 56.9±9.97 12.89 29.29
실시예 10 42.27±5.46 50.61±8.09 8.34 19.73
비교예 8 37.91±7.18 46.66±9.05 8.75 23.08
실시예 11 46.96±9 56.4±10.32 9.44 20.10
비교예 9 28.86±6.35 37.51±8.94 8.65 29.97
실시예 12 27.7±3.04 37.36±7.44 9.66 34.87
하이드로카본 오일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발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6~9, 및 실시예 9~12의 실험 결과를 볼 때, 하이드로카본의 종류와 함량에 관계 없이 본 발명의 SPF 상승 효과는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하이드로카본 오일의 함량이 5% 미만인 비교예 6~9의 경우에는 사용감이 뻑뻑하여 화장품의 기본적인 품질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하이드로카본의 함량이 5% 이상인 실시예 9~12의 경우에는 SPF 상승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고, 피부에 발림성도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실시예 8의 자외선 조사 전후에 따른 자외선 영역의 흡광도(Absorbance) 변화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흡광도는 in-vitro SPF를 측정하기 위해 SPF-290S (Optomertrics Corporation)로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8에 대한 자외선 조사 전의 흡광도는 실선으로, 자외선 조사 후 흡광도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8은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자외선 전체 영역의 흡광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UV 조사 후의 SPF 값이 상승하는 것은 UV-A(320~400 nm) 및 UV-B(280~320 nm) 영역, 특히 UV-B 영역의 흡광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실험예 5: 극성 오일의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 표 8과 같은 조성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같은 방법으로 UV 조사 전후의 in-vitro SPF를 측정하였으며, UV 전후의 값을 비교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3 비교예10 비교예11 실시예14 비교예12 비교예13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황산마그네슘 1.0 1.0 1.0 1.0 1.0 1.0
DPG 5.0 5.0 5.0 5.0 5.0 5.0
B OMC 7.0 7.0 7.0 7.0 7.0 7.0
IMC 7.0 7.0 7.0 7.0 7.0 7.0
Cetyl ethylhexanoate 4.0 10.0 13.0 - - -
Caprylic/capric Glycerides - - - 4.0 10.0 13.0
BEMT 1.0 1.0 1.0 1.0 1.0 1.0
Abil EM 180 1.5 1.5 1.5 1.5 1.5 1.5
Olivem 900 3.0 3.0 3.0 3.0 3.0 3.0
TiO2 2.0 2.0 2.0 2.0 2.0 2.0
ZnO 2.0 2.0 2.0 2.0 2.0 2.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Abil EM 18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 Olivem 900: Sorbitan olivat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 13 25.5±4.38 33.62±7.93 8.12 31.84
비교예 10 39.88±8.01 39.98±8.2 0.1 0.25
비교예 11 35.73±3.25 35.62±2.61 -0.11 -0.31
실시예 14 28.09±4.85 36.99±5.68 8.9 31.68
비교예 12 42.59±2.1 42.44±2.1 -0.15 -0.35
비교예 13 40.99±4.81 41.29±4.4 0.3 0.73
극성 오일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발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극성 오일의 함량 5% 이하일 때에는 실시예 13, 14처럼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되었다. 그러나 극성 오일의 함량이 5% 이상일 때에는 비교예 10~13처럼 자외선 차단 효율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13의 자외선 조사 전후의 흡광도 그래프를 각각 도 3에 나타내었다. 흡광도 그래프를 보면 자외선 전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교예 11의 자외선 조사 전후의 흡광도 그래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비교예 11의 흡광도 변화를 보면 자외선에 의한 흡광도 변화가 거의 없음을 볼 수 있으며, 오히려 UVB 영역에서 미세하게 흡광도가 감소하는 것이 보인다.
실험예 6: 극성 오일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 표 10과 같은 조성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같은 방법으로 UV 조사 전후의 in-vitro SPF를 측정하였으며, UV 전후의 값을 비교하여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비교예 14 실시예 16 비교예 15 실시예 17 비교예 16 실시예 18 비교예 17 실시예 19 비교예 18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황산마그네슘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DPG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B OMC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IMC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Isododecane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Caprylic/capric glycerides 3.0 9.0 - - - - - - - -
Phenethyl benzoate - - 3.0 9.0 - - - - - -
Dicaprylyl carbonate - - - - 3.0 9.0 - - - -
C12-15 Alkyl benzoate - - - - - - 3.0 9.0 - -
Octocrylene - - - - - - - - 3.0 9.0
BEMT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Abil EM 18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Olivem 90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TiO2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ZnO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Abil EM 18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 Olivem 900: Sorbitan olivat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 15 24.54±1.35 25.98±1.52 1.44 5.87
비교예 14 25.26±2.76 24.87±2.87 -0.39 -1.54
실시예 16 37.55±2.85 40.89±2.7 3.34 8.89
비교예 15 26.38±7.63 24.24±1.76 -2.14 -8.11
실시예 17 28.31±1.61 28.89±1.74 0.58 2.05
비교예 16 23.63±1.96 23.5±2.71 -0.13 -0.55
실시예 18 28.87±1.79 29.24±1.89 0.37 1.28
비교예 17 24.77±1.55 23.37±0.94 -1.40 -5.65
실시예 19 25.33±6.61 36.69±5.54 11.36 44.85
비교예 18 47.82±5.46 46.86±4.58 -0.96 -2.01
더 많은 극성 오일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극성 오일의 함량 5% 이하일 때에는 실시예 15~19처럼 자외선 조사 전후에 자외선 차단 효과의 상승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극성 오일의 함량이 5% 초과일 때에는 비교예 14~18처럼 자외선 차단 효과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다.

Claims (16)

  1.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1:0.01~0.4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극성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1:0.2~15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하이드로카본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극성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1:1~300 (극성 오일:하이드로카본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시녹세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ethylhexanoate),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glycerides), 페네틸벤조에이트(Phenethyl benzoate),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C12-15 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및 옥토크릴렌(Octocr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유동(liquid) 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바셀린, n-파라핀, 미네랄오일,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폴리이소부틸렌,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미세결정질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왁스, 스쿠알란, 스쿠알렌, 프리스탄, 및 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 이후 SPF 값이 조사 전에 비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 이후 UV-A 및 UV-B에 대한 차단 효과가 증가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5.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2 내지 30 중량%, 극성 오일 0.01 내지 5 중량%,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1:0.01~0.4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극성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6.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의 극성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1:0.01~0.4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극성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037278A 2019-02-27 2019-03-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35A KR102254710B1 (ko) 2019-02-27 2019-09-23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201980004246.7A CN111867551A (zh) 2019-02-27 2019-12-06 紫外线切断效率因紫外线而增加的紫外线切断用化妆料组合物
PCT/KR2019/017182 WO2020175772A1 (ko) 2019-02-27 2019-12-06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19916789.1A EP3932384A4 (en) 2019-02-27 2019-12-06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ON AGAINST UV WHICH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PROTECTION AGAINST UV BY MEANS OF UV LIGHT
JP2021549862A JP2022522684A (ja) 2019-02-27 2019-12-06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US17/433,543 US20220151893A1 (en) 2019-02-27 2019-12-06 Cosmetic composition for uv-protection that increases uv protection efficiency by means of uv light
TW109106610A TW202038896A (zh) 2019-02-27 2020-02-27 紫外線阻斷效率因紫外線而增加的紫外線阻斷用化妝料組合物及其製備方法
JP2023068793A JP2023095888A (ja) 2019-02-27 2023-04-19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91 2019-02-27
KR20190023391 2019-02-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35A Division KR102254710B1 (ko) 2019-02-27 2019-09-23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658B1 true KR102026658B1 (ko) 2019-09-30

Family

ID=6809853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278A KR102026658B1 (ko) 2019-02-27 2019-03-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6893A KR20200104777A (ko)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6892A KR102284873B1 (ko)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6735A KR102254710B1 (ko) 2019-02-27 2019-09-23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62863A KR102502084B1 (ko) 2019-02-27 2021-05-14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98840A KR20210097079A (ko) 2019-02-27 2021-07-27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893A KR20200104777A (ko)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6892A KR102284873B1 (ko)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6735A KR102254710B1 (ko) 2019-02-27 2019-09-23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62863A KR102502084B1 (ko) 2019-02-27 2021-05-14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98840A KR20210097079A (ko) 2019-02-27 2021-07-27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32384A4 (ko)
KR (6) KR102026658B1 (ko)
CN (1) CN111867551A (ko)
TW (1) TW2020388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772A1 (ko) * 2019-02-27 2020-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519B1 (ko) 2020-06-03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492B1 (ko) * 2021-03-12 2023-04-10 주식회사 다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KR102568273B1 (ko) * 2021-03-12 2023-08-18 주식회사 다솔 모발에 대한 spfsol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혼합물이 포함된 화장품 조성물
KR102419912B1 (ko) * 2022-01-19 2022-07-13 박혜랑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4522119A (zh) * 2022-03-16 2022-05-24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包含水分散型防晒剂的组合物及其应用
CN114504521A (zh) * 2022-03-16 2022-05-17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水分散型防晒剂的乳化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622A (ja) * 2001-01-19 2002-10-03 Shiseido Co Ltd 化粧料
KR20130026209A (ko) * 2011-09-05 2013-03-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887A (ko) * 2013-07-23 2015-02-03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KR20160013032A (ko) * 2013-05-30 2016-02-03 로레알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2123A1 (de) * 1983-01-22 1984-07-26 Haarmann & Reimer Gmbh Neue dibenzol-metha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1047694B1 (ko) * 2007-11-30 2011-07-08 (주)아모레퍼시픽 휘발 안정성과 탁월한 보습력을 가지는 고형 수중유형화장료 조성물
KR101438375B1 (ko) * 2007-12-26 2014-09-0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차단제가 포집된 지질 캡슐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678456B1 (ko) * 2009-11-18 2016-11-24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코아세르베이트 함유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BRPI1005345B1 (pt) * 2010-04-13 2017-06-13 U.S. Cosmetics Corporation Strengthening composi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DE102011077037A1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zubereitung mit verbesserter Wasserfestigke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622A (ja) * 2001-01-19 2002-10-03 Shiseido Co Ltd 化粧料
KR20130026209A (ko) * 2011-09-05 2013-03-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3032A (ko) * 2013-05-30 2016-02-03 로레알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887A (ko) * 2013-07-23 2015-02-03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772A1 (ko) * 2019-02-27 2020-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519B1 (ko) 2020-06-03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0284A (ko)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794A (ko) 2021-05-24
TW202038896A (zh) 2020-11-01
EP3932384A4 (en) 2022-12-14
CN111867551A (zh) 2020-10-30
KR102284873B9 (ko) 2022-10-05
KR102502084B1 (ko) 2023-02-21
KR20200104777A (ko) 2020-09-04
KR102284873B1 (ko) 2021-08-02
KR20200104779A (ko) 2020-09-04
KR20200104776A (ko) 2020-09-04
KR20210097079A (ko) 2021-08-06
EP3932384A1 (en) 2022-01-05
KR102254710B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658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2397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028A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4866066B2 (ja) 化粧料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38950B1 (ko) 백탁 현상이 없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51738B1 (ko)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313519B1 (ko)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84480B1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587916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202394B1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230080141A1 (en) Sunscreen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tection from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KR20210022254A (ko)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22522684A (ja)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EP1608331B1 (en) Sunscreen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silicas
KR2014002196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40151A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4557917A (zh) 防晒化妆品组合物
CN117940106A (zh) 化妆料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