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776A -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776A
KR20200104776A KR1020190106892A KR20190106892A KR20200104776A KR 20200104776 A KR20200104776 A KR 20200104776A KR 1020190106892 A KR1020190106892 A KR 1020190106892A KR 20190106892 A KR20190106892 A KR 20190106892A KR 20200104776 A KR20200104776 A KR 2020010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methoxycinnamate
spf
cosmetic composition
pola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873B1 (ko
KR102284873B9 (ko
Inventor
최민성
송경희
조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980004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867551A/zh
Priority to EP19916789.1A priority patent/EP3932384A4/en
Priority to US17/433,543 priority patent/US20220151893A1/en
Priority to JP2021549862A priority patent/JP2022522684A/ja
Priority to PCT/KR2019/017182 priority patent/WO2020175772A1/ko
Priority to TW109106610A priority patent/TW202038896A/zh
Publication of KR2020010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776A/ko
Priority to KR1020210098840A priority patent/KR2021009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73B1/ko
Publication of KR10228487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73B9/ko
Priority to JP2023068793A priority patent/JP2023095888A/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와 특정한 함량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노출될 때 자외선 차단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되며 사용감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 Sunscreen Cosmetic Formulation with Increased UV absorption efficiency by UV ligh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이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00-280 nm의 파장은 UV-C, 280-320 nm의 파장은 UV-B, 또는 320-400 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또는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수의 역학 연구로 일광 노출과 인체 피부암의 강력한 관계가 증명되어 있다.
일광 노출과 관련된 상기 언급된 위험의 결과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은 증가하여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SPF(자외선 차단지수)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 제품은 높은 SPF값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또는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은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시녹세이트는 자외선에 의해 트렌스 구조가 시스 구조로 바뀌면서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외선 차단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어 피부 노화나 각종 피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야외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피부가 태양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여러 번 덧발라줘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자체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또는 동량을 사용하더라도 효과를 보다 더 증진시키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가 자외선에 노출될 때 자외선 차단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해결되고, 오히려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특정한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될 때 오히려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특정한 함량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을 수중유(O/W) 제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메톡시신나메이트의 분자간 거리를 가깝게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자간 거리가 멀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트렌스 구조의 메톡시신나메이트 분자가 시스 구조로 바뀌어 자외선 흡수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분자간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서는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다이머(dimer)를 비롯한 다양한 광반응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광반응물과의 π-π stacking에 의해 π-π* 전이 에너지준위가 달라져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의 파장 영역도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UV-A(320~400 nm) 및 UV-B(280~320 nm)의 파장 영역에서 흡광도가 자외선 조사 전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SPF 값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본 발명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외에 추가적으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시녹세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SPF가 감소하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가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SPF가 감소하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극성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제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ethylhexanoate),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glycerides), 페네틸벤조에이트(Phenethyl benzoate),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C12-15 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및 페닐트리메치콘 (Phenyl Trimethicon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함량과 같거나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극성 오일은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이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함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한 SPF 증가 효과가 사라진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1:0.01~0.7, 바람직하게 1:0.01~0.5, 더욱 바람직하게 1:0.01~0.3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극성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극성 오일을 1:0.01~0.7, 바람직하게 1:0.01~0.5, 더욱 바람직하게 1:0.01~0.3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극성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오일의 중량이 상기 중량비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한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극성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예를 들어 하이드로카본 오일, 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하이드로카본 오일을 포함할 경우 피부에 발림성이 우수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미네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스쿠알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실리콘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경우,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사용감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및 페닐트리메치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극성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1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5 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 3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 5.0 내지 20 중량%, 또는 5.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극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10 중량%, 또는 5.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오일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감이 너무 뻑뻑하여 화장품의 기본적인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며, 2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산화철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또는 천연추출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또는 오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스킨 토너, 영양 크림, 유액, 화장연고,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전 제형, 바람직하게 수중유(O/W)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특정한 함량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 제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자외선에 조사 후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이며,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함량과 같거나 또는 그 미만인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 후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되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또한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UV 조사 후 SPF 값이 현저하게 증가되며, 구체적으로 UV 조사 전에 비해 3~80%, 바람직하게 5~77%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UV 조사 후 UV-A(320~400 nm) 및 UV-B(280~320 nm)에 대한 차단 효과가 증가되며, 바람직하게 UV-B에 대한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된다.
본 발명은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함량과 같거나 또는 그 미만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노출될 때 자외선 차단 효율, 특히 UV-A(320~400 nm) 및 UV-B(280~320 nm)에 대한 차단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자외선 조사 전후의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1에 정리된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제 5종을 PMMA plate(HelioScreen Labs, HD6)에 1.3mg/cm2으로 도포하고 자외선 전조사기(solar simulator 16S, Solar light company)를 이용하여 2MED 조사하기 전 후의 in-vitro SPF를 SPF-290S (Optomertrics Corporation)을 통해 측정하였다. In-vitro SPF는 PMMA plate의 6개의 다른 부분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UV filter SPF(UV 조사 전) SPF(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OMC 15.84±1.05 23.27±3.07 7.43 46.91
IMC 18.19±1.12 26.33±2.3 8.14 44.75
Ethyhexyl salicylate 10.11±161 10.10±1.66 -0.01 -0.10
Polysilicone 15 14.59±0.41 14.65±0.34 0.06 -5.16
Octocrylene 27.11±6.79 25.71±10.69 -1.40 -5.16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그 결과,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OMC 또는 IMC는 in-vitro SPF값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자외선 차단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예 2: OMC 및 IMC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2의 함량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A항과 B항을 각각 준비하여 75도로 가온하였다. A항에 B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제조한 각각의 시료의 UV 조사 전후의 SPF값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A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Sodium polyacrylate 0.5 0.5 0.5 0.5 0.5 0.5 0.5
B 3 OMC 0.5 1 1.5 2 2.5 5 7.5
4 IMC 0.5 1 1.5 2 2.5 5 7.5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비교예 1 2.18±0.32 1.75±0.24 -0.43 -19.72
실시예 1 2.7±0.31 3.09±0.22 0.39 14.44
실시예 2 3.93±0.4 4.02±0.53 0.09 2.29
실시예 3 4.46±0.72 5.88±0.63 1.42 31.84
실시예 4 6.31±0.89 7.85±0.89 1.54 24.41
실시예 5 6.62±1.64 11.68±1.45 5.06 76.44
실시예 6 7.66±1.44 13.45±1.44 5.79 75.59
비교예 1처럼 OMC와 IMC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일 때는 자외선에 의해 SPF가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6과 같이 OMC와 IMC의 함량이 2 중량% 이상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SPF가 증가하였다.
실험예 3: 수중유형에서 오일의 종류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4에 개시된 조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항의 원료를 75도에서 잘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원료 10항에 원료 11항을 투입하고 디스퍼를 이용하여 30분간 분산시켰다. 나머지 B항의 원료를 투입하고 75도로 가온하여 준비하였다. B항에 A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해 10분간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실시예
7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A 1 OMC 5.0 5.0 5.0 5.0 5.0 5.0
2 IMC 5.0 5.0 5.0 5.0 5.0 5.0
3 BEMT 1.0 1.0 1.0 1.0 1.0 1.0
4 Hydrogenated lecithin 1.5 1.5 1.5 1.5 1.5 1.5
5 Cetyl ethylhexanoate - 10.0 - - - -
6 Caprylic/capric glycerides - - 10.0 - - -
7 Isododecane - - - 10.0 - -
8 Dimethicone - - - - 10.0 -
9 Cyclopentasiloxane - - - - - 10.0
B 10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1 Sodium polyacrylate 0.5 0.5 0.5 0.5 0.5 0.5
12 Dexpanthenol 1.0 1.0 1.0 1.0 1.0 1.0
13 1,2 Hexandiol 2.0 2.0 2.0 2.0 2.0 2.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시료에 대해서 UV 조사 전 후의 SPF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7 14.46±2.21 20.84±3.53 6.38 44.12
비교예2 8.02±1.43 7.15±1.38 -0.87 -10.85
비교예3 12.07±2 11.07±2.01 -1.00 -8.29
실시예8 8.39±0.11 14.83±1.59 6.44 76.76
실시예9 18.1±2.96 27.71±4.85 9.61 53.09
실시예10 17.61±1.91 22.58±2.1 4.97 28.22
오일을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 7 또는 비극성 오일을 포함한 실시예 8 내지 10은 자외선에 의해 in-vitro SPF값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극성 오일이 10 중량% 포함된 비교예 2, 3은 자외선에 의해 in-vitro SPF 값이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비극성 오일과 달리 극성 오일의 함량에 제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수중유형에서 OMC 및 IMC의 오일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6 및 표7에 개시된 조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항의 원료를 75도에서 잘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원료 6항에 원료 7항을 투입하고 디스퍼를 이용하여 30분간 분산시켰다. 나머지 B항의 원료를 투입하고 75도로 가온하여 준비하였다. B항에 A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해 10분간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실시예11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A 1 OMC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2 cetyl Ethylhexanoate - 1.00 4.00 7.00 - - - - - -
3 cyclopentasiloxane - - - - 1.00 4.00 7.00 - - -
4 dimethicone - - - - - - - 1.00 4.00 7.00
5 BEM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6 hydrogenated lecithin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B 7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8 sodium polyacrylate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9 1,2 hexandiol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CEH: Cetyl ethylhexano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A 1 IMC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2 cetyl Ethylhexanoate - 1.00 4.00 7.00 - - - - - -
3 cyclopentasiloxane - - - - 1.00 4.00 7.00 - - -
4 dimethicone - - - - - - - 1.00 4.00 7.00
5 BEM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6 hydrogenated lecithin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B 7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8 sodium polyacrylate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9 1,2 hexandiol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CEH: Cetyl ethylhexano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각각의 시료를 PMMA plate(HelioScreen Labs, HD6)에 1.3mg/cm2의 양으로 도포하고 실험용 자외선 조사장치 bio-sun (vilber Lourmat)을 이용하여 321nm의 파장의 빛을 2MED 조사하기 전 후의 in-vitro SPF 를 (표 8 및 9)에 나타내었다. In-vitro SPF는 spectrophotometer (Epoch)로부터 측정한 흡광도을 이용하여 아래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흡광도는 PMMA plate의 9개의 다른 지점으로부터 측정하고, 각각의 흡광도로부터 계산된 SPF 수치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Eλ : Erythemal action spectrum
Sλ : Spectral irradiance (W/m2/nm)
Tλ : Transmittanc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11 6.08±0.86 7.1±1.17 1.02 16.78
비교예4 6.9±1.03 6.34±1.02 -0.56 -8.12
비교예5 4.98±0.26 4.22±0.22 -0.76 -15.26
비교예6 6.15±0.83 5.2±0.6 -0.95 -15.45
실시예12 7.66±0.84 7.86±1.00 0.20 2.61
실시예13 8.06±0.59 8.44±0.6 0.38 4.71
실시예14 7.25±0.59 7.62±0.57 0.37 5.10
실시예15 6.76±0.74 7.36±0.93 0.60 8.88
실시예16 6.84±0.78 7.33±0.89 0.49 7.16
실시예17 4.73±0.73 5.74±0.93 1.01 21.35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변화율 (%)
실시예18 22.09±2.26 23.79±2.57 1.70 7.70
실시예19 21.79±0.96 24.95±1.02 3.16 14.50
실시예20 11.12±1.23 12.18±1.41 1.06 9.53
실시예21 8.46±1.88 8.12±2.04 -0.34 -4.02
실시예22 22.29±3.24 23.64±3.25 1.35 6.06
실시예23 20.07±2.18 21.35±2.36 1.28 6.38
실시예24 21.38±2.67 22.07±2.53 0.69 3.23
실시예25 23.37±1.89 26.49±2.15 3.12 13.35
실시예26 22.05±2.46 25.13±2.74 3.08 13.97
실시예27 24.41±2.91 27.47±3.01 3.06 12.54
OMC가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 4~6에서는 극성 오일이 소량만 포함되어도 UV 조사 후 SPF 값이 낮아져 본 발명의 효과가 사라졌다. OMC에 추가로 비극성 오일이 포함되는 실시예 12~17에서는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C가 단독으로 사용된 실시예 19~21에서는 극성 오일의 부정적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IMC에 추가로 비극성 오일이 포함되는 실시예 22~27에서는 자외선에 의하여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수중유형에서 IMC와 극성 오일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10 및 표 11에 개시된 조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항의 원료를 75도에서 잘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원료 6항에 원료 7항을 투입하고 디스퍼를 이용하여 30분간 분산시킨 후 원료 8을 투입하고 75도로 가온하여 준비하였다. B항에 A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해 10분간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실시예28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A 1 OMC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2 IMC 3.00 3.00 3.00 3.00 5.00 5.00 5.00 5.00
3 CEH 5.00 7.00 9.00 11.00 5.00 7.00 9.00 11.00
4 BEM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 Hydrogenated lecithin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B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7 Sodium polyacrylate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8 1,2 Hexandiol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CEH: Cetyl ethylhexano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실시예29 실시예30 비교예14 비교예15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비교예16
A 1 OMC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2 IMC 7.00 7.00 7.00 7.00 9.00 9.00 9.00 9.00
3 CEH 5.00 7.00 9.00 11.00 5.00 7.00 9.00 11.00
4 BEM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 Hydrogenated lecithin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B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7 Sodium polyacrylate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8 1,2 Hexandiol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CEH: Cetyl ethylhexano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각각의 시료를 PMMA plate(HelioScreen Labs, HD6)에 1.3mg/cm2의 양으로 도포하고 suntest XLS+ (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2MED 조사하기 전후의 in-vitro SPF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In-vitro SPF는 spectrophotometer (Epoch)로부터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아래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흡광도는 PMMA plate의 9개의 다른 지점으로부터 측정하고, 각각의 흡광도로부터 계산된 SPF 수치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Eλ : Erythemal action spectrum
Sλ: Spectral irradiance (W/m2/nm)
Tλ: Transmittanc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비교예7 4.67±0.44 4.33±0.49 -0.34 -7.27
비교예8 4.91±0.53 4.7±0.35 -0.22 -4.42
비교예9 5.87±1.09 5.04±0.94 -0.82 -14.06
비교예10 6.15±0.45 5.37±0.76 -0.79 -12.79
실시예28 6.37±0.68 10.13±1.8 3.76 58.99
비교예11 6.18±0.53 6.31±0.69 0.13 2.15
비교예12 9.11±2.59 8.25±2.42 -0.86 -9.42
비교예13 8.06±1.88 6.39±1.58 -1.67 -20.73
실시예29 12.04±1.76 21.34±2.33 9.3 77.24
실시예30 11.02±1.63 14.97±2.99 3.95 35.83
비교예14 9.24±2.25 8.66±1.6 -0.58 -6.24
비교예15 20.41±4.59 18.76±3.98 -1.65 -8.07
실시예31 18.28±1.4 25.26±1.48 6.98 38.17
실시예32 26.04±3.7 29.1±3.51 3.05 11.73
실시예33 11.54±2.07 14.75±3.29 3.22 27.89
비교예16 19.28±2.53 19.67±3.11 0.4 2.05
실시예 28 내지 33처럼 극성 오일의 함량이 IMC의 함량과 같거나 보다 적은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in-vitro SPF 수치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7 내지 16처럼 극성 오일의 함량이 IMC의 함량보다 많을 때에는 자외선에 의해 in-vitro SPF 수치가 감소하거나, 변화율이 현저하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자외선 차단 효과를 우수하게 발휘하기 위해서는 극성 오일의 함량이 자외선 차단제, 특히 IMC의 함량과 같거나 보다 적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비극성 오일의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13의 함량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A항과 B항을 각각 준비하여 75도로 가온하였다. A항에 B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제조한 각각의 시료의 UV 조사 전후의 SPF값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4 실시예35 실시예36 실시예37
A 1 OMC 5.00 5.00 5.00 5.00
2 IMC 5.00 5.00 5.00 5.00
3 BEMT 1.00 1.00 1.00 1.00
4 hydrogenated lecithin 1.50 1.50 1.50 1.50
5 dimethicone 5.00 10.00 15.00 20.00
B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7 sodium polyacrylate 2.00 2.00 2.00 2.00
8 1,2 hexandiol 0.50 0.50 0.50 0.5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CEH: Cetyl ethylhexano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34 21.39±1.53 24.05±2.65 2.66 12.44
실시예35 18.1±2.96 27.71±4.85 9.61 53.09
실시예36 20.31±2.34 28.94±3.33 8.63 42.49
실시예37 18.12±2.64 29.24±4.71 11.12 61.37
실시예 34~37과 같이 비극성 오일이 20%까지 포함되어도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OMC 및 IMC 함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15의 함량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A항과 B항을 각각 준비하여 75도로 가온하였다. A항에 B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제조한 각각의 시료의 UV 조사 전후의 SPF값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8 실시예39 실시예40 비교예17 비교예18
A 1 OMC 5.00 5.00 5.00 5.00 5.00
2 IMC 5.00 5.00 5.00 5.00 5.00
3 BEMT 1.00 1.00 1.00 1.00 1.00
4 hydrogenated lecithin 1.50 1.50 1.50 1.50 1.50
5 dimethicone 10.00 7.50 5.00 2.50 -
6 caprylic/Capric Glycerides - 2.50 5.00 7.50 10.00
B 7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8 sodium polyacrylate 2.00 2.00 2.00 2.00 2.00
9 1,2 hexandiol 0.50 0.50 0.50 0.50 0.5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CEH: Cetyl ethylhexano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38 18.1±2.96 27.71±4.85 9.61 53.09
실시예39 7.6±1.26 1.26±9.75 2.15 28.29
실시예40 7.11±0.9 0.9±8.28 1.17 16.46
비교예17 4.84±0.37 0.37±4.55 (0.29) -5.99
비교예18 12.07±2 11.07±2.01 -1.00 -8.29
실시예 38~40처럼 포함된 극성오일이 IMC의 함량보다 낮을 때는 발명의 효과가 유지되었고, 비료예 17~18처럼 극성오일이 IMC의 함량보다 높을 때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유화제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17 및 표 18을 참고하여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A항과 B항을 각각 준비하여 75도로 가온하였다. A항에 B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제조한 각각의 시료의 UV 조사 전후의 SPF값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9에 나타내었다.
A 1 OMC 7.00
2 IMC 9.00
3 BEMT 2.00
4 MT-100TV 2.00
5 유화제 3.00
B 6 정제수 to 100
7 1,2 hexandiol 2.00
유화제 함량
실시예41 Lipomulse 165 3
실시예42 Olivem 800 3
실시예43 Olivem 1000 3
실시예44 Montanov L 3
실시예45 Montanov 68 3
실시예46 Lipoid S 75-3 3
실시예47 Tegocare 450 3
실시예48 Span 60 3
실시예49 Tween 20 3
실시예50 Amphisol K 3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변화율 (%)
실시예41 45.56±12.36 50.12±11.04 4.56 10.01
실시예42 40.72±8.03 44.4±7.84 3.68 9.04
실시예43 49.73±9.95 55.05±9.65 5.32 10.70
실시예44 46.24±9.79 49.22±9.09 2.98 6.44
실시예45 48.17±9.6 52.67±9.57 4.50 9.34
실시예46 51.21±8.67 58.04±10.14 6.83 13.34
실시예47 35.16±7.48 46.72±8.48 11.56 32.88
실시예48 40.93±7.62 48.73±7.86 7.80 19.06
실시예49 34.13±7.53 34.95±8.39 0.82 2.40
실시예50 24.78±4.88 26.47±4.99 1.69 6.82
수중유형에 적합한 유화제를 포함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폴리머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20 및 표 21을 참고하여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A항과 B항을 각각 준비하여 75도로 가온하였다. A항에 B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제조한 각각의 시료의 UV 조사 전후의 SPF값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1~55 실시예 56~58
A 1 OMC 7.00 7.00
2 IMC 9.00 9.00
3 BEMT 2.00 2.00
4 MT-100TV 2.00 2.00
5 Lipoid S 75-3 3.00 3.00
B 6 정제수 79.70 79.75
7 1,2 hexandiol 2.00 2.00
8 polymer 0.30 0.15
9 tris amino ultra pc 0.00 0.10
폴리머 함량
실시예51 comedia SP 0.3
실시예52 Aristoflex AVC 0.3
실시예53 volarest 0.3
실시예54 sepimax gen 0.3
실시예55 Keltrol F 0.3
실시예56 pemulene TR2 0.15
실시예57 C 980 0.15
실시예58 Utrez-21 0.15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51 44.81±8.19 48.47±10.33 3.66 8.17
실시예52 43.9±6.07 47.49±5.34 3.59 8.18
실시예53 39.13±6.39 42.76±7.63 3.63 9.28
실시예54 33.09±1.75 36.86±2.27 3.77 11.39
실시예55 31.5±3.64 33.9±5.3 2.68 9.30
실시예56 28.81±2.21 31.49±2.77 2.40 7.62
실시예57 44.13±6.45 48.53±9.22 4.40 9.97
실시예58 41.85±4.91 44.71±5.68 2.86 6.83
수중유형에서 사용되는 점증제를 사용해도 본 발명의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0: 수중유형에서 유화제의 종류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하기 표 23의 처방에 표 24에 개시된 여러 종류의 유화제를 각각 혼합하여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항의 원료를 75도에서 잘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원료 6항에 원료 7항과 8항을 투입하고 디스퍼를 이용하여 30분간 분산시킨 후 B항의 나머지 원료를 투입하고 75도로 가온하여 준비하였다. B항에 A항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해 10분간 유화하고 30도까지 냉각하였다. 제조한 각각의 시료의 UV 조사 전후의 SPF값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5에 나타내었다.
A 1 OMC 7.00
2 IMC 9.00
3 BEMT 2.00
4 MT-100TV 2.00
5 유화제 3.00
B 6 정제수 to 100
7 Sodium polyacrylate 0.50
8 Xanthan gum 0.10
9 Tinosorb S lite aqua 5.00
10 Panthenol 1.00
11 EDTA 3NA 0.02
12 1,2 Hexandiol 2.00
* OMC: Ethylhexyl methoxycinnamate/ IMC: Isoamyl p-methoxycinnamate/ BEMT: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유화제
실시예59 Sodium polyacrylate
실시예6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실시예61 C14-22 alcohols, C12-20 alkyl glucoside
실시예62 Hydrogenated lecithin
실시예63 Ceteareth-6 olivate
실시예64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실시예65 Polysorbate 20
비교예19 Polysorbate 60
실시예66 Potassium cetyl phosphate
SPF (UV 조사 전) SPF (UV 조사 후) SPF 변화량 SPF 변화율 (%)
실시예59 37.57±4.89 44.19±5.41 6.62 17.62
실시예60 52.29±4.53 59.85±5.18 7.56 14.46
실시예61 52.47±3.36 57.86±7.61 5.39 10.27
실시예62 42.5±4.12 56.84±4.74 14.34 33.74
실시예63 52.73±3.79 53.65±3.73 0.92 1.74
실시예64 43.27±4.92 44.01±4.75 0.74 1.71
실시예65 51.09±5.41 53.64±7.44 2.55 4.99
비교예19 44.36±7.54 39.45±8.43 -4.91 -11.07
실시예66 51.96±4.37 53±4.57 1.04 2.00
실시예 59 내지 66에 사용된 유화제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켰지만, 비교예 19에 사용된 유화제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가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Claims (11)

  1.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함량과 같거나 또는 그 미만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중유형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시녹세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극성 오일을 1:0.01~0.7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극성 오일)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 이후 SPF 값이 조사 전에 비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 이후 UV-A 및 UV-B에 대한 차단 효과가 증가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이며,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함량과 같거나 또는 그 미만인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단제 및 극성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상기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함량과 같거나 또는 그 미만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106892A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916789.1A EP3932384A4 (en) 2019-02-27 2019-12-06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ON AGAINST UV WHICH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PROTECTION AGAINST UV BY MEANS OF UV LIGHT
US17/433,543 US20220151893A1 (en) 2019-02-27 2019-12-06 Cosmetic composition for uv-protection that increases uv protection efficiency by means of uv light
JP2021549862A JP2022522684A (ja) 2019-02-27 2019-12-06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PCT/KR2019/017182 WO2020175772A1 (ko) 2019-02-27 2019-12-06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201980004246.7A CN111867551A (zh) 2019-02-27 2019-12-06 紫外线切断效率因紫外线而增加的紫外线切断用化妆料组合物
TW109106610A TW202038896A (zh) 2019-02-27 2020-02-27 紫外線阻斷效率因紫外線而增加的紫外線阻斷用化妝料組合物及其製備方法
KR1020210098840A KR20210097079A (ko) 2019-02-27 2021-07-27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068793A JP2023095888A (ja) 2019-02-27 2023-04-19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91 2019-02-27
KR20190023391 2019-02-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840A Division KR20210097079A (ko) 2019-02-27 2021-07-27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776A true KR20200104776A (ko) 2020-09-04
KR102284873B1 KR102284873B1 (ko) 2021-08-02
KR102284873B9 KR102284873B9 (ko) 2022-10-05

Family

ID=6809853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278A KR102026658B1 (ko) 2019-02-27 2019-03-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6893A KR20200104777A (ko)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6892A KR102284873B1 (ko)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6735A KR102254710B1 (ko) 2019-02-27 2019-09-23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62863A KR102502084B1 (ko) 2019-02-27 2021-05-14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98840A KR20210097079A (ko) 2019-02-27 2021-07-27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278A KR102026658B1 (ko) 2019-02-27 2019-03-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6893A KR20200104777A (ko) 2019-02-27 2019-08-29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35A KR102254710B1 (ko) 2019-02-27 2019-09-23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62863A KR102502084B1 (ko) 2019-02-27 2021-05-14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98840A KR20210097079A (ko) 2019-02-27 2021-07-27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32384A4 (ko)
KR (6) KR102026658B1 (ko)
CN (1) CN111867551A (ko)
TW (1) TW2020388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2684A (ja) * 2019-02-27 2022-04-20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KR102313519B1 (ko) 2020-06-03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8273B1 (ko) * 2021-03-12 2023-08-18 주식회사 다솔 모발에 대한 spfsol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혼합물이 포함된 화장품 조성물
KR102519492B1 (ko) * 2021-03-12 2023-04-10 주식회사 다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KR102419912B1 (ko) * 2022-01-19 2022-07-13 박혜랑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4522119A (zh) * 2022-03-16 2022-05-24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包含水分散型防晒剂的组合物及其应用
CN114504521A (zh) * 2022-03-16 2022-05-17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水分散型防晒剂的乳化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736A (ko) * 2009-11-18 2011-05-2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코아세르베이트 함유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WO2011130358A2 (en) * 2010-04-13 2011-10-20 U.S. Cosmetic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pf enhancement by high concentration cosmetic powder formulations
KR20130026209A (ko) * 2011-09-05 2013-03-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75B1 (ko) * 2007-12-26 2014-09-0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차단제가 포집된 지질 캡슐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2123A1 (de) * 1983-01-22 1984-07-26 Haarmann & Reimer Gmbh Neue dibenzol-metha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2284705A (ja) * 2001-01-19 2002-10-03 Shiseido Co Ltd 刺激緩和剤
KR101047694B1 (ko) * 2007-11-30 2011-07-08 (주)아모레퍼시픽 휘발 안정성과 탁월한 보습력을 가지는 고형 수중유형화장료 조성물
DE102011077037A1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zubereitung mit verbesserter Wasserfestigkeit
WO2014192780A1 (en) * 2013-05-30 2014-12-04 L'oreal Cosmetic composition
KR101551370B1 (ko) * 2013-07-23 2015-09-09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75B1 (ko) * 2007-12-26 2014-09-0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차단제가 포집된 지질 캡슐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10054736A (ko) * 2009-11-18 2011-05-2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코아세르베이트 함유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WO2011130358A2 (en) * 2010-04-13 2011-10-20 U.S. Cosmetic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pf enhancement by high concentration cosmetic powder formulations
KR20130026209A (ko) * 2011-09-05 2013-03-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8896A (zh) 2020-11-01
EP3932384A4 (en) 2022-12-14
KR102284873B1 (ko) 2021-08-02
KR20210058794A (ko) 2021-05-24
KR102284873B9 (ko) 2022-10-05
KR102026658B1 (ko) 2019-09-30
KR20200104779A (ko) 2020-09-04
CN111867551A (zh) 2020-10-30
KR20210097079A (ko) 2021-08-06
KR102502084B1 (ko) 2023-02-21
KR102254710B1 (ko) 2021-05-21
KR20200104777A (ko) 2020-09-04
EP3932384A1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873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3575B1 (ko) 산화 방지제를 이용한 uva 광 보호를 증대시키는 방법
KR20120042397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4866066B2 (ja) 化粧料
KR20190038028A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51738B1 (ko)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313519B1 (ko)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3579811B1 (de) Kosmetischer sonnenschutzstift
KR102174587B1 (ko) 유해광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76175B1 (ko) 지속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3719A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230080141A1 (en) Sunscreen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tection from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KR102137947B1 (ko)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KR20090056390A (ko)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US20220151893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uv-protection that increases uv protection efficiency by means of uv light
KR20030046103A (ko) 유화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19912B1 (ko)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4557917A (zh) 防晒化妆品组合物
CN116370321A (zh) 一种物理防晒组合物及其应用
CN117940106A (zh) 化妆料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