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738B1 -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738B1
KR102451738B1 KR1020210119102A KR20210119102A KR102451738B1 KR 102451738 B1 KR102451738 B1 KR 102451738B1 KR 1020210119102 A KR1020210119102 A KR 1020210119102A KR 20210119102 A KR20210119102 A KR 20210119102A KR 102451738 B1 KR102451738 B1 KR 10245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weight
thicke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지
곽창곤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누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누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누스토리
Priority to KR102021011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자외선 차단제 및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중유형 제형에서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외 지용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다량 함유할 수 있고, 동시에 우수한 안정성, 자외선 차단능, 사용감, 및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comprising polysaccharide thickener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약 240-290 ㎚ 파장의 UV-C, 약 290-320 ㎚ 파장의 UV-B, 및 약 320-400 ㎚ 파장의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및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되고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태양광선 에너지를 분자 내에 잡아 둠으로써 자외선을 흡수하여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비하여, 발림성은 좋으나, 적용되는 파장 범위가 좁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표면에서만 작용하는 것으로 자외선을 반사하고 분산시키는 물리적 성질을 가진 물질을 의미한다. 통상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비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에서도 징크옥사이드의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균, 항염, 및 진정 효과를 가지며, 백탁현상도 거의 나타나지 않아 각광받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이다. 다만, 징크옥사이드의 경우, 광촉매 작용으로 인한 전자 발생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반적인 수중유 (O/W) 제형에서 점증제의 역할을 방해하여 유화 안정성 등의 제형 안정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화제 등을 사용하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를 수중유 제형 화장료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있으나, 이 경우, 유화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등의 피부 자극 유발 성분을 다량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심지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제형 안정성을 가지는 수중유 제형의 징크옥사이드 함유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은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최근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를 화장료에 안정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W/O (유중수) 제형 또는 W/S(O) (실리콘(오일)중수) 제형으로 제조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제형의 한계로 인해 무겁고 끈적이는 등의 사용감 저하를 유발할 수 밖에 없고, 지용성 성분 및 실리콘계열 성분 등의 피부 자극 유발 성분을 다량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중유 제형에서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안정적으로 다량 함유할 수 있고, 동시에 우수한 안정성, 자외선 차단능, 사용감, 및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3463호
일 양상은 자외선 차단제 및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상 및 다당류 점증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한 기술 분야 내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일 양상은 자외선 차단제 및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당류 점증제는 셀룰로오스 유래 다당류 점증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당류 점증제는 칼슘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검, 세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롤라이즈드셀룰로오스검, 하이드록시부틸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메틸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당류 점증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0353076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00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는 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s, 국제 화장품 원료 명명법) 명칭으로서, CAS 등록번호는 9004-62-0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천연물 유래 물질 또는 천연물로부터 최소 가공을 통해 제조된 반합성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다른 화합물과 중합하는 화학적 합성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글리시딜에터 작용기와 같은 유해한 특성을 포함하지 않으며,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글리시딜에터와 같은 유해한 잔류 부산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다당류 점증제와 다른 화합물의 중합체,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 등과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인체 및 피부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0.8, 0.1 내지 0.6, 0.1 내지 0.4, 0.1 내지 0.2, 0.2 내지 1, 0.2 내지 0.8, 0.2 내지 0.6, 0.2 내지 0.4, 0.2 내지 0.3, 0.3 내지 1, 0.3 내지 0.8, 0.3 내지 0.6, 0.3 내지 0.5, 0.3 내지 0.4, 0.4 내지 1, 0.4 내지 0.8, 0.4 내지 0.6, 0.6 내지 1, 0.6 내지 0.8, 또는 0.8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0.6 또는 0.2 내지 0.4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약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내 수상 물질과 유상 물질의 혼합이 제한되어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약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조성물 내 물질들의 균일한 분산이 저해되고,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계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계 점증제는 카보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아마이드/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트리데세스-6/미네랄솔트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몬모릴로나이트, 옥틸아크릴아마이드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13,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젤란검,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석시네이트, 잔탄검, 캐럽콩검, 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수계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계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계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0.8, 0.1 내지 0.6, 0.1 내지 0.4, 0.1 내지 0.2, 0.2 내지 1, 0.2 내지 0.8, 0.2 내지 0.6, 0.2 내지 0.4, 0.2 내지 0.3, 0.3 내지 1, 0.3 내지 0.8, 0.3 내지 0.6, 0.3 내지 0.5, 0.3 내지 0.4, 0.4 내지 1, 0.4 내지 0.8, 0.4 내지 0.6, 0.6 내지 1, 0.6 내지 0.8, 또는 0.8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0.6 또는 0.3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수계 점증제를 약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약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사용감이 무거워지고 잔여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다당류 점증제 및 상기 수계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다당류 점증제 및 수계 점증제의 중량비는 1 내지 10 : 1 내지 10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다당류 점증제 및 수계 점증제의 중량비는 1 내지 10 : 3 내지 5, 1 내지 10 : 4, 2 내지 8 : 1 내지 10, 3 내지 5 : 1 내지 10, 2 내지 6 : 3 내지 5, 또는 2 내지 5 : 4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다당류 점증제 및 수계 점증제의 중량비가 1 내지 10 : 1 내지 10의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글리세레스-26, 피이지-32,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메칠글루세스-20, 피이지-8, 피이지-75,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말티톨, 및 메칠글루세스-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25, 5 내지 20, 또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폴리올을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또는 보습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약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사용감에 있어서 무겁고 끈적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징크옥사이드는 약 1 내지 10 또는 2 내지 5 중량%의 농도를 가지는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으로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입자의 평균 직경이 약 100 내지 250 n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A 영역 (UV-A)의 차단제, 자외선 B 영역 (UV-B)의 차단제, 및 자외선 A 및 B 영역 (UV-A 및 UV-B)의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A 영역의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아보벤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자외선 B 영역의 차단제는 벤조페논-3 (옥시벤존), 벤조페논-4, 폴리실리콘-1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트리스바이페닐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A 및 B 영역의 차단제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아보벤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및 벤조페논-3 (옥시벤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5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50, 5 내지 50, 10 내지 50, 15 내지 50, 15 내지 30, 20 내지 50, 25 내지 50, 30 내지 50, 35 내지 50, 40 내지 50, 45 내지 50, 1 내지 40, 5 내지 40, 10 내지 40, 15 내지 40, 20 내지 40, 25 내지 40, 30 내지 40, 또는 3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 또는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약 5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불안정할 수 있고, 과한 오일감, 무거운 사용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30, 10 내지 30, 또는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 또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 범위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다당류 점증제; 상기 자외선 차단제; 상기 수계 점증제; 및 상기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당류 점증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자외선 차단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계 점증제; 및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0.2 내지 0.6 또는 0.2 내지 0.4 중량%의 상기 다당류 점증제; 약 10 내지 50 또는 15 내지 30 중량%의 상기 자외선 차단제; 약 0.2 내지 0.6 또는 0.3 내지 0.5 중량%의 상기 수계 점증제; 및 약 5 내지 20 또는 5 내지 10 중량%의 상기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제외한 지용성 성분 (또는 지용성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실리콘 오일, 에스터류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로는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세틸디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아모디메치콘, 메칠트리메치콘, 피씨에이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등이 있고, 에스터류 오일로는 다이부틸아디페이트,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메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C12-15알켈벤조에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인, 코레스테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디-C12-13알킬말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릴린, 디에톡시에칠석시네이트 등이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로는 올리브오일, 호호바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로즈힙열매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티트리잎오일, 식물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렌,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미국개암씨오일, 산자나무오일, 동백오일, 행인오일, 기믈야자오일, 해바리기씨오일, 바자오일 등이 있으며, 상기 동물성 오일로는 호오스팻, 밍크오일, 난황유, 동물성 스쿠알란, 동물성 스쿠알렌 등이 있으며, 상기 광물성 오일로는 미네랄오일, 이소도데칸, 폴리부텐, 페트롤라툼 등이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60 중량% 이하 또는 약 0.0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50, 0.05 내지 40, 0.05 내지 30, 0.05 내지 20, 0.05 내지 10, 0.5 내지 60, 0.5 내지 50, 0.5 내지 40, 0.5 내지 30, 0.5 내지 20, 0.5 내지 10, 1 내지 60, 1 내지 50, 1 내지 40, 1 내지 30, 1 내지 20, 1 내지 10, 5 내지 50, 10 내지 40, 10 내지 30, 또는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오일을 약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사용시 유연감 및 보습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약 6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감소하고, 무거운 사용감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및 가용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중유형 (O/W) 제형에서 별도의 유화제 및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량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동시에 우수한 안정성, 자외선 차단능, 사용감, 및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안정성, 자외선 차단능, 사용감, 및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수중유형 제형에서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외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기 위해 다량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8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포스페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5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23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바틸알콜,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 피이지-150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롤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세테아레스-30, 스테아레스-20, 피이지-12디이소스테아레??, 피이지-8디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일알코올, 피피지-4세테스-20, 하이드로제니이티드레시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라우레이터, 폴리소르베이터85, 소르베스-30테트라올리베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미리스틸미르스테이트, 스테아레스-2, 및 스테아레스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적인 유화제, 그리고 파우릴피이지, 피피지-18, 18디메치콘, 피이지-7디메치콘, 피이지-10디메치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피이지-3디메치콘, 피피지-19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8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콘 유화제를 의미한다.
상기 가용화제는 피이지-2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트디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C12-14파레스-12, 폴리글리세릴-19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 스테이트, 콜레스-14, 콜레스-20, 콜레스24, 피이지-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스-16, 폴리글리세릴-10올리베이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세테스-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용화제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O/W) 제형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예컨대, 오일, 자외선 차단제 등을 포함하는 지용성 성분)이 수상 내부에 에멀젼 형태로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는 제형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유화제 및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한 수중유형 제형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일반적인 수중유형 제형의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유화제를 반드시 포함하기 때문에, 무거운 사용감, 뻑뻑한 사용감 등의 한계가 있었으나,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유화제 및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안정하게 분산시켜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기존 무기 자외선 차단제 함유 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화제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중유형 제형에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징크옥사이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특히 징크옥사이드의 경우, 수용성 상태에서 이온이 해리되어 화장품 제형의 점증제를 파괴하는 성질을 나타내어 화장품 제형의 유화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에 기인한 결과로 예측될 수 있다.
반면,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다당류 점증제 중에서도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화제 없이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까지 안정적으로 다량 함유할 수 있어, 유화제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화제 없이도, 무기 자외선 차단제 (예컨대, 징크옥사이드)의 광활성에 의한 이온 방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중유형 제형에서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외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기 위해서 다량의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더하여,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등의 피부 자극 유발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글리시딜에터 작용기와 같은 유해한 특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당류 점증제와 다른 화합물의 중합체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 등)를 포함하지 않고, 피부 및 인체에 안전한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므로, 우수한 피부 및 인체 안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약 20,000 내지 50,000, 20,000 내지 40,000, 20,000 내지 35,000, 20,000 내지 33,000, 20,000 내지 30,000, 23,000 내지 50,000, 23,000 내지 40,000, 23,000 내지 35,000, 23,000 내지 33,000, 23,000 내지 30,000, 30,000 내지 50,000, 30,000 내지 40,000, 또는 40,000 내지 50,000 mPa·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용도뿐만 아니라, 피부결 보정용, 사용감 조절용 등의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 또는 보존제로는 페녹시에탄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에칠헥실글리세린, 클로로페네신, 클로로헥시딘디글루코네이트, 소듐하이드로아세테이트,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트리콜로산,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칠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트리클로카반 등이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담체, 보습제, 피부 컨디셔닝제,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안정화제, pH 조절제, 윤활제, 용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필수 영양소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질 또는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물질 예컨대, 주름 또는 미백 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향, 화장품향, 또는 식물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상 및 다당류 점증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및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수상은 정제수, 수계 점증제, 폴리올,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의 구체적인 종류, 혼합 중량%, 또는 혼합 중량비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제조상 구체적인 조건 및 방식은 통상의 기술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용어 또는 요소 중 상기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것은, 앞에서 상기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것으로 이해된다.
일 양상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중유형 (O/W) 제형에서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량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동시에 우수한 안정성, 자외선 차단능, 사용감, 및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안정성, 자외선 차단능, 사용감, 및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수중유형 제형에서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외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기 위해서 다량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더하여, 일 양상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유화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등의 피부 자극 유발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최소화하고, 피부 및 인체에 안전한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및 인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약 1개월 보관 후)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직후 약 24시간 동안 자외선 조사 후)의 광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비교예 2, 및 비교예 4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다당류 점증제, 유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의 혼합 중량 %를 달리하고, 수중유형 (O/W) 제형을 가지는 6 종류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단위 중량 %)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수상부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폴리올: 글리세린 5 5 5 5 5 5
폴리올: 부틸렌글라이콜 2 2 2 2 2 2
수계점증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 0.2 0.2 0.2 0.2 0.2
수계점증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 0.1 0.1 0.1 0.1 0.1
수계점증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 0.1 0.1 0.1 0.1 0.1
다당류
점증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3 0.3 - - -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 - - - - 0.3 0.3
유기
자외선
차단제
아보벤존 3 - 3 - 3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5 - 5 - 5 -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4.5 - 4.5 - 4.5 -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7.5 - 7.5 - 7.5 -
옥시벤존 5 - 5 - 5 -
유상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2 2 2 2 2 2
다이부틸아디페이트 10 10 10 10 10 10
무기
자외선
차단제
징크옥사이드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3% 표면처리) - 20 - 20 - 20
유화제 폴리소르베이트60 - - 0.5 0.5 -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 1.5 1.5 - -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 - 1.5 1.5 - -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1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표 1의 수상 및 다당류 점증제 각각을 계량하여 각 용기에 넣은 후, 상기 수상에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투입하고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약 80℃의 가온 조건에서 교반하여, 상기 수상에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분산시키는 단계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수상만을 계량하여 준비함);
(2) 표 1의 자외선 차단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상을 계량하여 혼합 및 교반하고,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상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상의 혼합물을 투입한 후 호모믹서 (HOMOGENIZING MXER Model 2.5, PRIX 사, 일본)를 이용하여 약 80℃의 가온 조건에서 혼합하여 균일하게 유화하는 단계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상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상의 혼합물을 투입하면서, 유화제를 함께 투입하여 유화함);
(3) 상기 (2)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표 1의 방부제를 계량하여 투입 및 혼합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약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실험예 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확인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을 약 25℃, 약 4℃, 및 약 50℃ 각각의 온도 조건에서 약 1개월 동안 보관한 후, 점도 변화 및 pH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 변화는 점도계 (Brookfiled Viscometer DV3TLV 64Spindle; 단위: cp = mPa·s)를 사용하여 12 RPM 및 1.0 min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약 1개월 보관 후)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그 결과,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경우 모두 온도 가혹조건에서 점도 및 pH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우수한 장기 제형 안정성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비교예 2 및 비교예 4의 경우 25℃ 온도 조건에서도 보관기간 1주만에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함으로써,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음에도 유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함으로써, 유화제 없이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에도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반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지 않고 유화제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를 포함하는 비교예 1-4의 경우,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에 따라 제형 안정성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었으나,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화제나 일반 점증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중유형 제형에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특히 징크옥사이드의 경우, 수용성 상태에서 이온이 해리되어 화장품 제형의 점증제를 파괴하는 성질을 나타내어 화장품 제형의 유화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에 기인한 결과로 예측될 수 있다.
반면, 다당류 점증제 중에서도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화제 없이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까지 안정적으로 다량 함유하여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수중유형 제형에서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외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기 위해서 다량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시험 측정일 온도
(℃)
점도
(단위:
mPa·s)
당일 25 45,000 28,000 66,000 58,000 49,000 21,000
익일 25 44,000 30,000 65,000 43,000 50,000 20,000
1주 후 25 44,000 29,000 66,000 분리 51,000 18,000
4 45,000 28,000 65,000 26,000 50,000 20,000
50 43,000 28,000 66,000 분리 45,000 분리
한달 후 25 42,000 27,000 67,000 분리 44,000 분리
4 43,000 26,000 63,000 분리 42,000 분리
50 43,000 24,000 61,000 분리 42,000 -
pH 당일 25 6.59 7.74 7.25 8.9 7.49 8.89
익일 25 6.67 7.85 7.31 8.87 7.5 9.25
1주 후 25 6.64 7.82 7.25 측정불가 7.74 9.43
4 6.6 7.88 7.34 - 7.54 9.5
50 6.58 7.8 7.4 - 7.61 -
한달 후 25 6.61 7.79 7.43 - 7.6 -
4 6.55 7.81 7.39 - 7.84 -
50 6.67 7.8 7.38 - 7.78 -
실험예 2.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광 안정성 확인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광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대하여, 제조 후 곧바로 약 24시간 동안 자외선 (약 280 내지 400 nm)을 조사 (Solar simulator; 약 250 내지 765 W/m2; Xenon lamp by Atlas)하여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직후 약 24시간 동안 자외선 조사 후)의 광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경우 모두 자외선 조사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우수한 광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광 안정성에 있어서 아무런 영향 없이 우수한 광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실험예를 통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화제 없이도 다량의 징크옥사이드를 안정적인 상태로 함유할 수 있어 징크옥사이드의 광활성에 의한 이온 방출 문제를 해소하고 우수한 광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 확인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 비트로 조건에서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 대하여 SPF ANALAZER (Labsphere UV-2000S)를 이용하여 각 10 회 자외선 차단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3-4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비교예 2, 및 비교예 4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 결과, 표 3 및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는 자외선 차단능 측면에서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구체적으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과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 때, 각 군에서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보다 더욱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자외선 차단능에 있어서 아무런 영향 없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실험예를 통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화제 없이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까지 안정적으로 다량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기능이 온전히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화제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SPF (before After 85.7 MED) 52.20 51.90 51.80 50.60 51.00 50.20
UVA/UVB Ratio 0.97 0.94 0.95 0.97 0.96 0.92
Average UVA PF 17.20 17.30 16.80 16.50 17.10 16.10
실험예 4.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5 내지 45 세 여성 패널 30 명을 대상으로 2 개의 군으로 나누어,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중 안정성이 양호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을 각 군에 적절히 배분한 후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하였다. 그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발림성, 잔여감, 및 끈적임의 평가항목에 대한 관능적 특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에 대한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발림성은 피부에 첫 도포 시 롤링되며 피부에 흡수되는 느낌을 말하며, 가벼운 도포감을 나타내는 제형일수록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에 적합하다. 잔여감은 피부에 도포 후 자외선 차단제 특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피부에 남는 오일감 및 번들거림을 말하며, 잔여감이 적은 제형일수록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에 적합하다. 끈적임은 흡수 후의 전반적인 사용감을 말하며, 끈적임이 적은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제형일수록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에 적합하다.
도 5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 결과, 표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발림성, 잔여감, 끈적임, 및 전반적인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3과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함으로써, 유화제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성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발림성
(수치 높을수록 발림성 우수)
9.2 9.5 6.8 7.5
잔여감
(수치 높을수록 잔여감 없음)
8.8 9.2 6.0 7.0
끈적임
(수치 높을수록 끈적임 없음)
9.0 9.4 5.0 6.5
전반적인 만족도 9.2 9.7 6.0 6.5
성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실험예 5.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내수성 (water-proofing) 평가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내수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면적 약 70.0 X 70.0 mm의 PMMA 플레이트에 상기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시료를 각각 약 2.0 mg/cm2만큼 도포한 후, 약 23 내지 32℃의 물에 상기 플레이트를 약 20분간 입수시키고 약 20분간 건조하였다. 입수 및 건조는 2회 반복하였고, 그 후,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료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능 (SPF)을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물에 입수시키지 않은 정상 상태의 상기 각 시료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능 (SPF)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SPF및 SPF 값을 하기의 계산식 1에 대입하여 각 시료의 내수성비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내수성비 (%) = (SPF - 1) / (SPF - 1) × 100
SPF: 각 시료의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SPF: 각 시료의 자외선 차단지수
판단 기준: 내수성비가 50% 이상일 때 내수성으로 판단함.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경우 모두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1-4의 경우 내수성이 없거나, 현저히 낮은 수준의 내수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에서, 유화제 없이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무기 자외선 차단제 (구체적으로는, 징크옥사이드) 및 그 외 지용성 성분까지 안정적으로 다량 함유하여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유화제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SPF 52.20 51.90 51.80 50.60 51.00 50.20
SPF 37.80 36.40 25.50 24.38 26.10 21.45
내수성비 72.41 70.13 49.23 48.18 51.18 42.73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자외선 차단제, 다당류 점증제, 수계 점증제, 지용성 성분,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수계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로 구성되고,
    상기 지용성 성분은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수계 점증제를 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지용성 성분을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을 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고,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다당류 점증제 및 상기 수계 점증제의 중량비는 2 내지 8 : 1 내지 10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점증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중유형 (O/W) 제형을 가지는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1) 수상 및 다당류 점증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수상 및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자외선 차단제 및 지용성 성분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상은 수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수계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로 구성되고,
    상기 지용성 성분은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다당류 점증제를 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수계 점증제를 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지용성 성분을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을 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고,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다당류 점증제 및 상기 수계 점증제의 중량비는 2 내지 8 : 1 내지 10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10119102A 2021-09-07 2021-09-07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5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02A KR102451738B1 (ko) 2021-09-07 2021-09-07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02A KR102451738B1 (ko) 2021-09-07 2021-09-07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738B1 true KR102451738B1 (ko) 2022-10-11

Family

ID=8359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102A KR102451738B1 (ko) 2021-09-07 2021-09-07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858B1 (ko) * 2022-10-17 2023-07-04 한국콜마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8939B1 (ko) * 2023-08-18 2024-03-19 한국콜마주식회사 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463B1 (ko) 2008-03-03 2011-09-08 주식회사 엔에스텍 TiO₂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KR20150008644A (ko) * 2013-07-15 2015-01-23 (주)아모레퍼시픽 투명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충진 안정성과 피부 도포성을 가지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6064A (ko) * 2012-07-26 2015-04-29 리만 트레이딩 에이피에스 향상된 선스크린 조성물
KR2017003866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5954A (ko) * 2014-11-28 2017-07-2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KR20190038028A (ko) * 2017-09-29 2019-04-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189663A (ja) * 2019-08-13 2019-10-31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200055589A (ko) * 2018-11-13 2020-05-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2705A (ko) * 2019-01-25 2020-08-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4587B1 (ko) * 2020-03-06 2020-1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해광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463B1 (ko) 2008-03-03 2011-09-08 주식회사 엔에스텍 TiO₂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KR20150046064A (ko) * 2012-07-26 2015-04-29 리만 트레이딩 에이피에스 향상된 선스크린 조성물
KR20150008644A (ko) * 2013-07-15 2015-01-23 (주)아모레퍼시픽 투명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충진 안정성과 피부 도포성을 가지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5954A (ko) * 2014-11-28 2017-07-2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KR2017003866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028A (ko) * 2017-09-29 2019-04-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5589A (ko) * 2018-11-13 2020-05-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2705A (ko) * 2019-01-25 2020-08-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189663A (ja) * 2019-08-13 2019-10-31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2174587B1 (ko) * 2020-03-06 2020-1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해광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858B1 (ko) * 2022-10-17 2023-07-04 한국콜마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8939B1 (ko) * 2023-08-18 2024-03-19 한국콜마주식회사 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2253B1 (en)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with glycol and styrene/acrylate copolymer
EP0216084B1 (en) Improved sunscreen and moisturizer
US4894222A (en) Waterproof sunscreen
EP2194958B1 (en) Sunless tanning composition with photostabilized sunscreen
KR102005229B1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4873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180296455A1 (en) Sunscreen composition
US6858200B2 (en) Sunscreen formulations
KR102451738B1 (ko)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00037614A (ko) 연속 스프레이 선스크린 조성물
WO2007144670A1 (en) Moisturising and sunscreen skincare composition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07104454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zusatz aus der baobab-pflanze
EP1352642B1 (en) Use of solubilized, anionic polyurethanes in skin care compositions
CN110840794B (zh) 一种抗蓝光防红外的防晒组合物及其应用
KR102298142B1 (ko)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050063924A1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313519B1 (ko)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5120831B (zh) 包含脂肪酸和非离子线性聚合物的防晒组合物
KR20200041108A (ko)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283135B1 (en) Composition for covering and protecting scars
KR20160111212A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2B (zh) 糊精棕榈酸酯作为防晒增效剂在防晒化妆品中的应用
CN117320687A (zh) 包含贝莫三嗪醇的防晒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