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492B1 -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492B1
KR102519492B1 KR1020210032612A KR20210032612A KR102519492B1 KR 102519492 B1 KR102519492 B1 KR 102519492B1 KR 1020210032612 A KR1020210032612 A KR 1020210032612A KR 20210032612 A KR20210032612 A KR 20210032612A KR 102519492 B1 KR102519492 B1 KR 10251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fsol
hair
composition
weight
to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048A (ko
Inventor
도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솔
Priority to KR102021003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4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로 구성되는 SPFSOL을 포함하여,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의 지속력을 향상시키고, 열에 의한 모발의 손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A composition for blocking UV rays of hair and preventing heat damage including SPFSOL}
본 발명은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로 구성되는 SPFSOL을 포함하여,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고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신체 보호 및 보온 기능, 감각 기능, 배설 기능 및 장식적인 기능이 있다. 모발 기능 중 특히 뇌를 비롯한 신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은 대단히 중요하다.
모발은 방추상의 모피질 세포(cortex)를 5-10층의 편평한 모표피 세포(cuticle)가 감싸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 모발손상이 가장 심한 곳은 모표피세포로서, 손상 전 모발에 비하여 손상된 모발은, 잘 알려진 현미경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표피 세포가 상당히 거칠고, 물고기 모양의 비늘이 들떠있는 구조로 물질의 침투와 흡착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모발은, 피부의 각질층이나 손톱 등과 같이, 모두 죽은 세포의 집합체로서 자기 증식이 되지 않고 일단 손상이 되면 스스로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모발의 손상은 물리적 요소에 의한 손상과 화학적 요소에 의한 손상으로 나눌 수 있다. 물리적 요인에 의한 모발 손상으로는 주로 빗질이나, 헤어드라이기에 의한 가열 등의 일상의 생활습관에 따른 요인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화학적 요인에 의한 손상으로는 파마, 머리염색 등의 영향에 따른 모발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발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는 태양 자외선이 있다.
상기 자외선(UltraViolet Rays)은 1801년 독일의 과학자 J.W.리터가 자외선이 가지는 감광 작용에서 처음 발견하였다. 적외선을 열선이라고 하는 데 대응하여 자외선은 화학작용이 강하므로 화학선이라고 하기도 한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근자외선, 수정범위의 자외선, 슈만선, 라이만선, 밀리컨선 등으로 세분하거나, 190nm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원자외선이라 하기도 한다.
현재, 물리적 또는 화학적 요인으로 기인된 모발 손상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자외선에 의한 모발 손상에 대해서는 그 심각성을 크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내부 세포, 세포막 혼합체, 멜라닌의 파괴가 일어나게되고 큐티클의 박리로 인해서 콜텍스의 다공화가 일어나서 외부적으로 모발이 갈라지거나, 잘라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모발은 피부와는 상이한 구조 및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모발에 자외선 차단을 부여하는 조성물과 관련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5974호(2013.09.12.공고)에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 제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및 아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 나메이트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 제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 제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모발 매끄러움의 저하와 눅눅한 사용감을 저분자량의 디메치콘, 피막형성을 하는 실리콘 및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실리콘 중 1종 이상을 첨가함으로써 모발 매끄러움을 증진시키고, 산뜻한 사용 효과를 가지도록 제조한 자외선 차단용 분산 제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외선 차단용 분산 제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에 자외선 차단력 부여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자외선 차단 지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적합한 성분으로 구성된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5974호(2013.09.12.공고), "자외선 차단용 분산 제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로 구성되는 SPFSOL을 포함하여,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고,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 구성되는 SPFSOL을 포함하여,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의 지속력을 개선하고,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SPFSOL은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3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PFSOL은 상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3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PFSOL은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3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PFSOL은 상기 C12-15알킬벤조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로 구성되는 SPFSOL을 포함하여,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력의 지속력을 향상시키고,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한 열손상 확인시험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5의 조성물을 도포한 모발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자외선에 의해 노출된 큐티클 비늘 끝과, 모발의 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5의 조성물을 도포한 모발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시간 경과에 따른 황 원소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 구성되는 SPFSOL을 포함한다.
상기 SPFSOL은 본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로써,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 구성되는 '기능성혼합물'을 칭한다.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ohenyl Triazine)은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의 일종으로, BEMT, 티노솔브S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주로 모발컨디셔닝제, 자외선차단제로 사용되어 모발에 컨디셔닝을 부여하고 자외선 차단을 도와 피부 보호를 돕는다.
한편, 상기 SPFSOL은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4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SPFSOL은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SPFSOL 총 중량 대비 20 ~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은 SPFSOL 총 중량 대비 25.0중량%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와 혼합됨에 따라 자외선 차단 지속력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적용한 신규한 제형을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 이소도데칸(Isododecane)은 탄소 12개의 분자형 지방족 탄화수소 성분이다. 상기 이소도데칸의 분자식은 C12H26이며, 친유성, 지방족이다. 알칸계탄환수소제품에 많이 함유되어있고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아 안정화율이 높다. 제품을 잘 퍼지도록 도우며 유연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상기 이소도데칸은 발림성에 유연성을 더하여주며 퍼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SPFSOL은 상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4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SPFSOL은 상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20 ~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소도데칸은 SPFSOL 총 중량 대비 25.0중량%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mer Dilinoleyl Dimer Dilinoleate)는 다이리놀레익애씨드와 다이머다이리놀레일알코올의 다이에스터이다.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는 결합제, 헤어컨디셔닝제, 피부컨디셔닝제(유연제), 피부컨디셔닝제(수분차단제), 점도증가제(비수성)로 사용된다.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는 피부속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여 피부의 수분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SPFSOL은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4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SPFSOL은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5.0중량%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C12-15알킬벤조에이트(C12 15 ALKYL BENZOATE)는 벤조인애씨드에 알킬기가 붙은 카르복실산을 반응하여 만든 에스터 화합물이다. C12-15는 알킬기에 있는 탄소수를 말한다. 비비크림, 색조화장품 등에서 잘 녹지 않는 성분들을 용해, 분산 시켜줄 수 있는 에스터 오일이다. 상기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화장품의 발림성을 개선시키고 흡수가 용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SPFSOL은 상기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50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SPFSOL은 상기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45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45.0중량%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SPFSOL은 모발에 자외선 차단 능력을 부여하며, 모발의 자외선 차단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잔량으로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SPFSOL 제조 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5 중량% 포함되고,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45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하여 SPFSOL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SPFSOL에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1의 SPFSOL에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일부가 결여된 SPFSOL 제조 단계(S10): 정제수가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5 중량% 포함되고,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45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하여 일부가 결여된 SPFSOL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SPFSOL에 이소도데칸을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2의 SPFSOL에 이소도데칸을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일부가 결여된 SPFSOL 제조 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가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정제수가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5 중량% 포함되고,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45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하여 일부가 결여된 SPFSOL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SPFSOL에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3의 SPFSOL에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일부가 결여된 SPFSOL 제조 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가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정제수가 SPFSOL 총 중량 대비 5 중량% 포함되고, C12-15알킬벤조에이트는 SPFSOL 총 중량 대비 45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하여 일부가 결여된 SPFSOL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SPFSOL에 C12 - 15알킬벤조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4의 SPFSOL에 C12-15알킬벤조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일부가 결여된 SPFSOL 제조 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가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25 중량% 포함되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5 중량% 포함되고, 정제수는 SPFSOL 총 중량 대비 45 중량% 포함되도록 혼합하여 일부가 결여된 SPFSOL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5의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만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하였다.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만 포함하는 조성물 준비 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100중량%가 되도록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만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효과의 지속시간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에 대하여,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효과의 지속시간을 에너지분산분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에너지분산분광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시료모발은 물리적, 화학적 영향을 받지않은 28세 여성의 정상모발(virgin hair)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 실험에 사용된 모발은 두정부의 두피로부터 약 5cm 떨어진 곳에서 10cm 길이로 잘라서 채취한 후 모발을 전기 머리 인두기로 130도씨에서 +- 10도씨 열로 손상을 가한다. 손상을 가한 모발들은 4cm 길이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가지런히 고정시켰다. 자외선 조사기기는 독일의 EXAKT Apparatebaw의 Typ/No-42/329 모델로 60Hz, 0.01kw, 0.2A이며, 램프는 이태리의 Radium Ralutec, 9W 일자형 램프를 사용하였다. 각 모발을 다수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가 끝난 재료는 2회씩 세척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로 처리한 각 실험군의 모발은 EXAKT Apparatebaw의 Typ/No-42/329로 자외선 조사하였고, 각각 실험전, 3시간, 6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실험군을 꺼내어, 에너지분산분광분석을 통해 구성 원소의 분포양상을 확인하였다. 에너지분산분광분석기로는 INCA, Oxford Ins., Great Britain을 사용하였다. 이때, 가속전압은 15kV를 사용하였다.
에너지분산분광분석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O, S, Ca, Cu 각각의 원소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로 나타내었다.
산소 원소의 함량(중량%) 황 원소의 함량( 중량% ) 칼슘 원소의 함량(중량%) 구리 원소의 함량(중량%)
실험전 3시간 경과 6시간 경과 실험전 3시간 경과 6시간 경과 실험전 3시간 경과 6시간 경과 실험전 3시간 경과 6시간 경과
실시예1 51.2 51.3 51.5 35.4 35.1 34.5 2.2 2.3 2.5 11.2 11.3 11.5
비교예1 51.2 52.2 54.2 35.4 32.4 26.4 2.2 3.2 5.2 11.2 12.2 14.2
비교예2 51.2 51.8 52.5 35.4 33.6 31.5 2.2 2.8 3.5 11.2 11.8 12.5
비교예3 51.2 51.6 52.3 35.4 34.2 32.1 2.2 2.6 3.3 11.2 11.6 12.3
비교예4 51.2 51.8 52.4 35.4 33.6 31.8 2.2 2.8 3.4 11.2 11.8 12.4
비교예5 51.2 52.2 53.6 35.4 33.0 28.2 2.2 3.2 4.6 11.2 12.2 13.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 원소의 함량은 시간이 갈수록 손실되었으나, 실시예 1의 경우, 시간이 경과되어도 황 원소의 함량이 비교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자외선의 조사에 따른 모발의 황 성분의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시간이 지남에도 자외선 차단의 지속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한 열손상 확인시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일반샴푸에 0.5% 투입/교반하였다.
다음으로, 같은 환경의 모발 2EA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 0.5%의 실시예 1의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함유된 샴푸와 함유되지 않은 샴푸를 준비하였다.
그 다음, 각 샴푸를 10% sol으로 희석하고, 각 모발샘플들을 솔루션에 1min 간 담궈두었다. 1min 후 모발을 건져 물기를 제거 후 65배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65배 현미경을 이용하여, 전처리 완료된 모발을 65배 확대하여 관찰하였으며, 전기 머리 인두기로 10회 모발에 열을 가한 후 65배 확대하여 관찰하였다,
관찰된 결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좌측은 열처리를 하기 전에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고, 우측은 열처리를 한 후에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샴푸는 열처리에 따라 외부 표면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포함된 샴푸는 열처리에도 불구하고 매끈한 표면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머리카락을 열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SPFSOL을 포함하는 샴푸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SPFSOL을 포함하는 샴푸의 일 제조예는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INCI 함량(%)
A A1 A2 A3 A4
Water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Polyquaternium-10 1.0000
Glycerin 5.0000
Disodium EDTA 0.1000
Sodium Citrate 0.2000
Sodium Chloride 0.2000
Dipropylene Clycol 4.0000
Sodium CocoylIsethionate 8.0000
Lauryl Betaine 5.0000
Glycol Stearate 1.0000
1,2-Hexanediol 2.0000
SPFSOL 0.50000
SPFSOL 1.0000
SPFSOL 1.5000
SPFSOL 2.0000
결론.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간 경과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짐을 나타내며, 자외선 차단의 지속시간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한편, 번외로 진행된 열 손상과 관련된 실험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머리카락을 열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의 지속시간이 우수한 신규한 조성물로써,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Claims (5)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도데칸,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로 구성되는 SPFSOL을 포함하여, 모발에 대한 자외선 차단의 지속력을 개선하고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PFSOL은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4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PFSOL은 상기 이소도데칸이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4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PFSOL은 상기 다이머디리놀레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4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PFSOL은 상기 C12-15알킬벤조에이트가 SPFSOL 총 중량 대비 0.0001 ~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KR1020210032612A 2021-03-12 2021-03-12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KR10251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12A KR102519492B1 (ko) 2021-03-12 2021-03-12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12A KR102519492B1 (ko) 2021-03-12 2021-03-12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048A KR20220128048A (ko) 2022-09-20
KR102519492B1 true KR102519492B1 (ko) 2023-04-10

Family

ID=8344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612A KR102519492B1 (ko) 2021-03-12 2021-03-12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181B1 (ko) 2023-08-09 2024-02-28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크림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74B1 (ko) 2006-11-06 2013-09-12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분산 제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WO2011136394A1 (en) * 2010-04-30 2011-11-03 Dow Corning Toray Co., Ltd. Powder treatment agent comprising sugar alcohol -modified organopolysiloxane
KR102026658B1 (ko) * 2019-02-27 2019-09-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181B1 (ko) 2023-08-09 2024-02-28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크림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048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3626B (zh) 含有碳二亚胺类化合物的组合物
ES2358320T3 (es) Composiciones cosméticas que contienen polímeros en dispersión.
DE69833643T2 (de) Haarbehandlungsverfahren
BR112020020814A2 (pt) Composição e kit para cuidado do cabelo, e, processo para moldar fibras capilares
DE202013011675U1 (de) Zusammensetzung, die eine Dicarbonylverbindung und eine Säure enthält
DE202013011967U1 (de) Zusammensetzungen zum Färben und Glätten von Haaren
WO2013117770A2 (en) Cosmetic treatment method, and composition comprising a glyoxylic acid ester
EP3360537B1 (en) Oil-in-water type organopolysiloxane emul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osmetic raw material, and cosmetic product
DE2841377A1 (de) Kosmetikzubereitungen zur pflege des haares und der haut
DE3640177A1 (de) Hautschuetzende bzw. hautpflegende zusammensetzung
KR102519492B1 (ko) Spfsol을 포함하는 모발 자외선 차단 및 열에 의한 손상 방지 조성물
WO2013117771A2 (en) Cosmetic treatment method, and composition comprising a glyoxylic acid derivative
DE102018127296A1 (de) Bis(triethoxysilylpropyl)amin in Kombination mit mehrwertigen Metallkationen
KR102261313B1 (ko)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E1174942B (de) Haarbehandlungsmittel
KR10154291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EP2506823A1 (de) Verwendung von esteröl in verfahren zur permanenten haarumformung
DE102018127300A1 (de) Wirkstoffzusammensetzung zum Schutz künstlich gefärbter Haare
EP1059079A2 (de) Stylingmittel auf Alkoholbasis mit Biochinonen
DE19926167A1 (de) Stylingmittel auf Wasserbasis mit Biochinonen
JPH01175923A (ja) 毛髪化粧料
DE202013011674U1 (de) Zusammensetzung, die eine Dicarbonylverbindung enthält
KR102568273B1 (ko) 모발에 대한 spfsol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혼합물이 포함된 화장품 조성물
JPH0987147A (ja) 毛髪用組成物
KR102084765B1 (ko)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애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