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866B1 -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866B1
KR101002866B1 KR1020080047962A KR20080047962A KR101002866B1 KR 101002866 B1 KR101002866 B1 KR 101002866B1 KR 1020080047962 A KR1020080047962 A KR 1020080047962A KR 20080047962 A KR20080047962 A KR 20080047962A KR 101002866 B1 KR101002866 B1 KR 10100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weight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848A (ko
Inventor
박병규
손홍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4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86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성분과 유기겔화제를 함유하며, 고형상의 유중수 에멀젼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상성분, 유기겔화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왁스, 계면활성제, 오일 및 안료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SPF수치 및 PA 수치를 지녀 자외선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사용시 수상성분에 의해 청량감과 촉촉함이 우수하여 피부의 건조함이 없으며, 제형의 안정성과 피부안전성이 우수하다.
유기겔화제, 유중수 에멀젼, 자외선차단, 고형상 화장료

Description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Water-in-oil emulsion-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ray}
본 발명은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내수성이 우수하여 땀이나 물에 의해 자외선차단 효과가 감소되지 않으며, 내용물의 충진 안정성 및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상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00-290nm의 파장은 자외선 C(이하 UV-C라 한다), 290-320nm의 파장은 자외선 B(이하 UV-B라 한다), 320-400nm의 파장은 자외선 A(이하 UV-A라 한다)로 분류된다. 그 중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광 노출에 의한 위험이 알려지면서 자외선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차단 제품의 제형은 유중수형과 수중유형의 크림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크림상의 자외선차단 제품은 대부분 튜브에 충진이 되어 사용시 손으로 직접 사용하게 되어 있어 피부에 도포 후 손에 이물감이 남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중유형 제품의 경우 사용감은 우수하나 내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땀이나 물에 의해 자외선 차단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유중수형 제품은 수중유형 제품에 비해 내수성은 우수하지만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 끝에 최근에는 사용하기 편리한 고형상의 유성타입 자외선차단 화장료가 개발되었으나, 여름에 수요가 많은 자외선 차단 전용 제품의 특성상 수상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사용시 청량감이나 촉촉함, 보습감 등의 사용감이 떨어져 피부가 건조해지는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수상을 함유한 고형상의 자외선차단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지금까지 거의 없었는데, 이는 제품의 성형을 위해서 고온 충진이 요구되며 충진시 수상과 유상으로 이루어진 유화물의 분리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상을 다량 함유한 고형상의 유중수(Water-in-Oil, W/O)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즉, 퍼프(puff)를 이용하여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청량감, 촉촉함, 보습감 등의 사용감이 뛰어나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는 고형상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온 충진시 내용물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한 제형안정성이 확보된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기겔화제를 포함하며, 고형상의 유중수 에멀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수상성분 1-50중량%, 유기겔화제 0.01-10중량%, 유기 자외선 차단제 1-20중량%, 무기 자외선 차단제 1-40중량%, 왁스 2-10중량%, 계면활성제 1-10중량%, 오일 10-50중량% 및 안료 5-40중량%를 함유하며, 고형상의 유중수 에멀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기겔화제를 포함하며, 고형상의 유중수 에멀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기겔화제를 첨가하여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고형상이어서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량 함유된 수상성분으로 인하여 사용시 청량감, 촉촉함, 보습감 등의 사용감이 뛰어나고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으며 고온 충진시 내용물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제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 1-50중량%, 유기겔화제 0.01-10중량%, 유기 자외선 차단제 1-20중량%, 무기 자외선 차단제 1-40중량%, 왁스 2-10중량%, 계면활성제 1-10중량%, 오일 10-50중량% 및 안료 5-4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함량일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청량하고 촉촉한 사용감 및 내수성과 장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50-80이고, 자외선 A 차단등급(PA)이 트리플 플러스(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상의 제형이며, 300~1000 dyne/cm2의 경도를 갖는다. 이때, 상기 경도 측정값은 물성 측정기의 통상적인 표준 모델인 Fudoh Rheo Meter(RT-3005D,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 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상의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퍼프 등의 수단에 의해서 피부에 펴 바를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수상성분은 사용시 청량하고 촉촉한감을 크게 높여주는 성분으로서 물과 함께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롤; 솔비톨, 멀티톨, 자당, 전분당, 라쿠치톨 등의 당; 구아껌, 콘드로이틴 유산나트륨, 히아루론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알긴산나트륨, 콜라기난,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실비닐폴리머, 폴로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킬화카르복실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수용성 고분자; 염화나트륨염, 염화마그네슘, 유산나트륨 등의 염; 알로에베라, 오이, 레몬, 라벤더, 로즈 등의 식물추출액 등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상성분은 1-50중량% 사용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15-40중량% 이다. 수상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사용시 청량감이나 촉촉함이 크게 떨어지고, 수상의 함량이 50중량% 초과이면 경도 형성능이 떨어져 고형상 유지가 힘들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유기겔화제는 고온에서 유상과 수상의 분리를 막아 내용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성분으로 스테아로일 이눌린, 텍스트린 팔미테이트, 텍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 솔비탄 올리베이트, 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 경화피마자유, 스테아린산 옥타데실,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솔비톨 지방산에스테르, 솔비드 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에 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테아로일 이눌린, 텍스트린 팔미테이트, 텍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 솔비탄 올리베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스테아로일 이눌린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기겔화제는 0.01-10중량% 사용이 가능하며, 0.01중량% 미만이면 내용물의 고온 충진시 수상과 유상의 분리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유동도가 떨어져 충진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및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등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1-20중량% 사용이 가능하며, 1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력이 떨어지고, 20중량% 초과이면 사용감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입도가 0.01-100nm인 이산화티탄, 평균입도가 0.01-300nm인 산화아연 및 평균입도가 1-300nm인 산화철 등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1-40중량% 사용이 가능하며, 1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력이 떨어지고 40중량% 초과이면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왁스 성분은 화장료를 고형화시키고 광택 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칸델리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등의 식물계 왁스나 비즈왁스, 라놀린 등의 동물계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왁스 등의 광물계왁스, 파라핀왁스, 마이크로 결정체왁스, 폴리에틸렌왁스 등의 석유계왁스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세레신왁스, 칸텔리라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 성분은 2-10중량% 사용이 가능하며, 2중량% 미만이면 고형상 능력이 떨어지고 10중량% 초과이면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올리베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 디메치콘 및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등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제형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1중량% 이상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감을 고려하면 10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성분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오일로는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이소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라놀린 등의 동물성 오일;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상 오일의 함량은 10-50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안료성분은 이산화티탄, 미립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복합체, 알루미나, 활석, 운모, 카올린, 규산 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탄산 마그네슘 등의 점토 광물 분체, 황산 바륨, 티탄산 철, 산화티탄 피복운모 등의 무기물 안료, 폴리스티렌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실리콘 파우더 등의 유기 분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료의 분말은 소수화 처리가 된 것이 바람직하며 소수화 처리 방법으로서는 고점도 실리콘에 의해 표면을 처리하거나, 알킬수소폴리실록산을 반응시켜 처리하거나, 양이온,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거나, 왁스로 표면을 피복한 것 등으로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안료는 5-40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15-30중량%를 사 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향료, 색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화제, 펄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이 간편하고 SPF50+, PA+++의 높은 자외선차단효과를 지닌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을 함유에 의해 청량감과 촉촉함이 뛰어나 피부의 건조함이 없이 사용감이 우수하며, 유기겔화제를 함유하여 고온 성형시에도 내용물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등의 제형의 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아주 적어 피부안전성이 우수한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실시예 1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유상성분인 1-13의 원료를 80-8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안료인 16-18의 원료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수상성분인 14-15의 원료를 투입하여 유화시켰다. 이 혼합물을 탈포 후 몰더에 충진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유중수형 고형상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고형상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유상성분인 1-13의 원료를 80-8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안료인 16-18의 원료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혼합물을 탈포하여 몰더에 충진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1 세레신왁스 5.0 5.0 6.0 5.0
2 칸델리라왁스 0.5 0.5 - 0.5
3 디메치콘 3.0 3.0 15.0 3.0
4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5.0 5.0 4.0 5.0
5 사이클로메치콘 To 100 To 100 - To 100
6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릭/디카프레이트 5.0 5.0 - 5.0
7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2.0 2.0 10.0 2.0
8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 - To 100 -
9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3.0 - - 3.0
10 피이지-10 디메치콘 - 3.0 2.0 -
11 스테아로일 이눌린 2.0 2.0 - -
12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13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0 2.0 2.0 2.0
14 정제수 20.0 20.0 - 20.0
15 부틸렌글리콜 5.0 5.0 - 5.0
16 이산화티탄 5.0 5.0 5.0 5.0
17 산화아연 11.0 11.0 11.0 11.0
18 실리카파우더 5.0 5.0 17.0 5.0
<비교예 3>
비교예 3은 하기 표 2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유상성분인 1-10의 원료를 70-7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안료인 11-12의 원료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수상성분인 13-16의 원료를 투입하여 유화시켰다. 이 혼합물을 탈포 후 냉각시켜 유중수형의 액상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3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2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0
3 사이클로메치콘 15.0
4 디메치콘 1.0
5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2.0
6 헥실라우레이트 2.0
7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8 쿼터늄-18 헥토라이트 1.0
9 디메치콘/디메티콘 비닐디메치콘 4.0
10 디메치콘코폴리올 3.0
11 이산화티탄 5.0
12 산화아연 11.0
13 정제수 To 100
14 글리세린 7.0
15 프로필렌 글리콜 5.0
16 마그네슘 설페이트 1.5
<실험평가예>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지수 및 자외선 A 차단등급을 측정하였고, 사용감,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지수( SPF ) 및 자외선A 차단등급( PA ) 측정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실시예 1-2와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자외선A 차단등급(PA)을 측정하였다. 시료가 2mg/cm2수준이 되도록 Transpore tape에 도포하고, 15분 건조 후 SPF 290 analyzer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실시예1 실시예 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In vitro SPF 53.75±4.51 51.84±3.65 52.21±4.28 51.42±4.37 54.62±5.86
PA +++ +++ +++ +++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을 동일하게 유지 하였을 때 제형에 따른 자외선 차단지수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모두 높은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자외선A 차단등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25-45세 전문 여성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2과 비교예 1-3을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청량감, 바른 후의 촉촉함이나 보습감, 끈적임, 제형 선호도, 사용 편리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24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18-23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10-17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10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청량감 ×
촉촉함 ×
끈적임 ×
제형선호도
사용편리성
전반적인 만족도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을 함유한 유중수형의 고형상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2, 비교예 2)과 물이 없는 고형상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의 비교평가 결과 제형선호도나 사용편리성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청량감, 촉촉함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과 유중수형의 액상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3)의 비교 평가결과 청량감과 촉촉함은 유사하지만 끈적임, 제형선호도, 사용편리성 및 만족도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3 : 제형 안정성 평가
(I) 실시예 1-2와 비교예 2의 비교
유중수 고형상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제조 후 성형시 80℃ 이상의 고온 충진이 요구되는 유화물로서 고온에서 장시간(6시간) 충진시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어 이의 개선여부를 비교평가하였다.
[평가기준]
내용물 분리 없음: ○
내용물 분리 발생: △
내용물 분리 심함: ×
녹인 직후 2시간 경과 4시간 경과 6시간 경과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 ×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겔화제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내용물의 안정성이 뛰어나지만 유기겔화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고온 충진 중에 유상과 수상의 내용물 분리가 일어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II) 실시예 1-2와 비교예 1 및 3의 비교
실시예 1-2와 비교예 1 및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50℃, 45℃, 37℃, 25℃, 0℃ 및 -15℃의 온도조건에서 2개월 동안 유지시킨 후, 오일의 부유로 인한 분리현상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분리현상이 발생 안됨: ○, 분리현상이 발생됨: ×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3
50℃ × × ×
45℃ ×
37℃ ×
25℃
0℃
-15℃
상기 표 6의 실시예 1과 비교예 3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겔화제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고온에서의 제형안정성이 월등히 개선되었다.
실시예 4: 피부안전성 평가
건강한 남, 여 각각 20명의 팔에 패치 테스트용 반창고를 사용하여 24시간 패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핀 챔버에 일정량의 시료를 도포한 후 시료가 도포된 핀 챔버를 시험 부위에 테이프로 접착시킨 다음, 첩포 24시간 후에 패치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4시간이 경과한 후, 피부에 나타나는 홍반 이상 여부를 관찰하여 하기 표 7에 따라 분류하였다.
상기 판정기준에 따른 스코어로부터 하기 산출방법에 의해 피부자극지수(PII)를 계산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냈다.
Figure 112008036712203-pat00001
반응 스코어 증상 및 판단기준
- 0 아무런 반응이 없음
+/- 0.5 약한 홍반
+ 1 명확한 홍반
++ 2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3 수포,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자극지수 0.01 0.03 0.02 0.04 0.13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에 대한 자극지수를 비교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인 실시예 1과 2의 피부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물;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글리세롤; 솔비톨, 멀티톨, 자당, 전분당 및 라쿠치톨을 포함하는 당; 구아껌, 콘드로이틴 유산나트륨, 히아루론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알긴산나트륨, 콜라기난,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실비닐폴리머, 폴로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킬화카르복실비닐폴리머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염화나트륨염, 염화마그네슘 및 유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염; 알로에베라, 오이, 레몬, 라벤더 및 로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추출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수상성분 1-50중량%;
    유기겔화제인 스테아로일 이눌린 0.01-10중량%;
    유기 자외선 차단제 1-20중량%;
    무기 자외선 차단제 1-40중량%;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및 라이스 왁스를 포함하는 식물성 왁스; 비즈왁스 및 라놀린을 포함하는 동물성 왁스; 오조케라이트 및 세레신 왁스를 포함하는 광물성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결정체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는 석유계 왁스; 및 25℃에서 고체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왁스 2-10중량%;
    계면활성제 1-10중량%;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이소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및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라놀린을 포함하는 동물성 오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및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오일 10-50중량%; 및
    이산화티탄, 미립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복합체, 알루미나, 활석, 운모, 카올린, 규산 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및 탄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점토 광물 분체; 황산 바륨, 티탄산 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를 포함하는 무기물 분체; 및 폴리스티렌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기 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안료 5-4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고점도 실리콘에 의해 표면을 처리하거나; 알킬수소폴리실록산을 반응시켜 처리하거나; 양이온,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거나; 또는 왁스로 표면을 피복처리하여 소수화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올리베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 디메치콘 및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47962A 2008-05-23 2008-05-23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62A KR101002866B1 (ko) 2008-05-23 2008-05-23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62A KR101002866B1 (ko) 2008-05-23 2008-05-23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48A KR20090121848A (ko) 2009-11-26
KR101002866B1 true KR101002866B1 (ko) 2010-12-21

Family

ID=4160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962A KR101002866B1 (ko) 2008-05-23 2008-05-23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8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886A (ko) * 2011-11-03 2013-05-13 (주)아모레퍼시픽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2292B1 (ko) * 2011-09-05 2013-12-16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9517A (ko) 2014-01-28 2015-08-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2463A (ko)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1450A (ko) * 2017-11-07 2019-05-15 조예나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0965A (ko) 2021-10-08 2023-04-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기 겔을 적용하여 촉촉함과 밀착력을 개선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6056B2 (ja) * 2011-08-31 2014-07-09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281527B1 (ko) * 2011-09-20 2013-07-03 주식회사 이레프 실리콘 겔 조성물 및 이로부터 구형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38518B1 (ko) * 2011-11-08 2013-1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EP2934458B2 (en) * 2012-12-20 2023-02-22 Unilever Global IP Limited Eutectic mixtures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101507090B1 (ko) * 2012-12-21 2015-04-01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1638950B1 (ko) * 2014-04-15 2016-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없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98844B1 (ko) * 2015-01-30 2023-0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202394B1 (ko) * 2015-03-16 2021-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05982834A (zh) * 2015-06-17 2016-10-05 洛阳名力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葡萄籽护肤液及其制备方法
KR102583880B1 (ko) * 2016-01-21 2023-10-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10912956B2 (en) 2016-03-23 2021-02-0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7195913A1 (ko) * 2016-05-11 2017-11-16 (주)케이피티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고형 에멀젼 비드 및 이를 사용하는 즉시 미백용 화장조성물
KR101939880B1 (ko) * 2016-06-29 2019-01-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암병변 선택적 표지를 위한 수화젤 기반 나노 에멀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5997B1 (ko) * 2017-02-28 2019-07-0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된 spf 부스터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13222B1 (ko) * 2017-07-21 2017-12-28 한국콜마주식회사 워터드롭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7519047B (zh) * 2017-08-24 2020-04-14 山西医科大学 一种含TiO2的防晒纳米乳及其制备方法
KR102429033B1 (ko) * 2017-11-10 2022-08-04 (주)아모레퍼시픽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4768B1 (ko) * 2018-05-08 2020-04-27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CN109125132B (zh) * 2018-10-09 2021-05-25 广州艾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粉底棒及其制备方法
EP3862051A4 (en) * 2018-11-15 2021-11-24 Dalian Institute Of Chemical Physic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MACROMOLECULAR ULTRAVIOLET ABSORBENT, ASSOCIATED PREPARATION PROCESS AND ITS APPLICATION
KR102161124B1 (ko) * 2019-03-12 2020-09-29 주식회사 인터코스코리아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8189B1 (ko) * 2021-06-03 2022-08-02 한국콜마주식회사 다층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WO2022270398A1 (ja) * 2021-06-22 2022-12-29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固形化粧料
KR102501405B1 (ko) * 2022-10-13 2023-02-21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지속 보습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6921A (ko) * 2022-10-24 2024-05-02 코스맥스 주식회사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383B1 (ko) * 2001-08-17 2006-09-1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선스크린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383B1 (ko) * 2001-08-17 2006-09-1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선스크린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292B1 (ko) * 2011-09-05 2013-12-16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8886A (ko) * 2011-11-03 2013-05-13 (주)아모레퍼시픽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1881B1 (ko) * 2011-11-03 2019-01-25 (주)아모레퍼시픽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9517A (ko) 2014-01-28 2015-08-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2463A (ko)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1450A (ko) * 2017-11-07 2019-05-15 조예나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5998B1 (ko) 2017-11-07 2019-07-03 조예나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0965A (ko) 2021-10-08 2023-04-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기 겔을 적용하여 촉촉함과 밀착력을 개선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48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05229B1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342072B1 (ko)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U2010306971A1 (en) Sunscreen compositions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638950B1 (ko) 백탁 현상이 없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6210A (ko)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1142233B1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06343B1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100884480B1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H101413A (ja) 化粧料
KR101590803B1 (ko)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24136B1 (ko) 끈적임이 없는 고 spf w/o 화장료 조성물
KR101701424B1 (ko) 중공성의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유중수형의 자외선차단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1173A (ko)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8690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1690523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zur dekorativen Anwendung enthaltend anorganische Gelbpigmente auf der Basis von Titan-, Zinn- und Zinkmischoxiden
EP3694470B1 (en) Compositions with increased color shade stability
KR20210036835A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7411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