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292B1 -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292B1
KR101342292B1 KR1020110089694A KR20110089694A KR101342292B1 KR 101342292 B1 KR101342292 B1 KR 101342292B1 KR 1020110089694 A KR1020110089694 A KR 1020110089694A KR 20110089694 A KR20110089694 A KR 20110089694A KR 101342292 B1 KR101342292 B1 KR 10134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weight
alcoho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209A (ko
Inventor
김진영
홍원기
윤평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2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3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보습감 및 온열감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UN PROTECTION}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도포시 저자극성의 온열효과를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기 위해 제품에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 3,4-메틸벤질리덴 캄파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배합하여 사용하고, 제품 형태로는 크림, 로션, 스프레이 제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자외선은 태양광선의 일종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피부에 도달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제품은 1년 내내 발라주어야 한다.
자외선은 비타민D의 합성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역할도 하지만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며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상기의 자외선을 자세히 알아보면, 파장에 따라, UVA, UVB, UVC로 나누어진다. UVA는 320~400 nm의 파장을 가지며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B는 290~320 nm의 파장을 가지며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C는 200~290 nm의 파장을 나타내며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에서 흡수되지만, 환경오염의 결과로 오존층이 파괴되면서 매우 적은 양이지만 지표에 도달하여 피부암의 발생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질환 발생을 막기 위해 자외선 차단용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계절에 상관없이 수시로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 스키장에서는 태양빛의 70~80%가 반사되어 여름철보다 자외선 양이 4배 가량 증가하기 때문에 1~2시간 간격으로 수시로 얼굴에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어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겨울철 야외에서 자외선 차단 제품을 바를 때의 불편함을 조사해 본 결과, 자주 덧발라야하는 귀찮음, 얼굴에 바른 후 손을 씻어야 하는 불편함 등의 의견이 있었지만 야외에서 바르다 보니 제품이 차가워지는데다 펴 바를 때의 수분의 증발로 인해 얼굴에 바를 때 차가움이 많이 느껴지는 것을 가장 싫어하여 바르기를 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 능력을 가지고 있는 제품에 온열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피부에 온열감을 부여하고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3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탄화수소계 고급 알코올 0.1 내지 5.0 중량%, 유기 자외선차단제는 1 내지 15 중량%, 무기 자외선차단제 1 내지 5 중량%, 액상오일 1 내지 10 중량%, 수용성점증제 0.01 내지 2.0 중량%, 및 폴리머 0.1 내지 5.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및 C14-22 알코올/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고급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3,4-메틸벤질리덴 켐퍼,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자외선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철,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오일은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및 사이클로 메치콘 및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잔탄검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도포시 피부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온열을 유지시키고, 글리세린의 자체 발열효과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자극성이 적은 글리세린을 포함하여 보습효과 및 온열효과가 우수하면서 자극이 적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겨울철에 사용자들이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글리세린 3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탄화수소계 고급 알코올 0.1 내지 5.0 중량%, 유기 자외선차단제는 1 내지 15 중량%, 무기 자외선차단제 1 내지 5 중량%, 액상오일 1 내지 10 중량%, 수용성점증제 0.01 내지 2.0 중량%, 및 폴리머 0.1 내지 5.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온열효과가 떨어지고,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제품 도포시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온열을 유지시키고 자체 발열 현상으로 온열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건조해질 수 있는 피부에 수분막을 형성하여 보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글리세린은 인체에 대해 안전하고, 자극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같은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C14-22 알코올/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고급 알코올은 제형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철, 및 산화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밀 실리콘 오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 메치콘 및 디메치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오일은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잔탄검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아래 표 1과 같은 성분과 배합비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온열효과를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는 수상부, B는 유상부, C는 폴리머, D는 비교예로서 온열효과를 갖는 물질을 나타낸다.
수상부에는 글리세린, 물, 무기 자외선차단제, 및 수용성점증제가 분산되어 있고, 유상부에는 비이온계면활성제, 탄화수소계 고급 알코올, 유기 자외선차단제, 및 액상오일이 분산되어 있다.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를 섞어 70 내지 80℃로 가온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가온하여 혼합된 조성물을 냉각하고, 폴리머 와 1,3-부틸렌글라이콜, 캡사이신 및 멘틸락테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여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는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와 혼합하여 투입하였다.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A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0.0 60.0 70.0 5.0 5.0 5.0 5.0 5.0
잔탄검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8 0.08 0.08 0.08 0.08 0.08 0.08 0.08
티타늄디옥사이드
(수분산)
2.0 2.0 2.0 2.0 2.0 2.0 2.0 2.0
B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C14-22 알코올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1.5 1.5 1.5 1.5
세테아릴알코올 0.7 0.7 0.7 0.7 0.7 0.7 0.7 0.7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6.0 6.0 6.0 6.0 6.0 6.0 6.0 6.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 4.5 4.5 4.5 4.5 4.5 4.5 4.5
C
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0.2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D 캡사이신 - - - 0.05 0.1 - - -
멘틸락테이트 - - - - - 1.0 2.0 -
1,3-부틸렌글라이콜 3.0 3.0 3.0 3.0 3.0 3.0 3.0 3.0
실험예1 , 경도 및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기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고, 물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제품명 : Fudoh Rheo meter RT-2002J , Rheotech
어뎁터 : 2 Ф
스트록 : 5 cm
깊 이 : 15 mm
하기 표 2는 25℃ 보관용 샘플의 경도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제형 제조 후 25℃에서 1일간 보관한 후 저온(5℃) 및 고온(50℃)에서 변색, 변취, 및 제형분리 현상을 1주일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경도 상태 경도 상태 경도 상태 경도 상태 경도 상태 경도 상태 경도 상태 경도 상태
25℃ 70 75 78 40 45 43 43 43
5℃ - - - - - - - -
50℃ - - - - × - - - -
○: 양호, △: 변색, □: 변취, ×: 분리
실험예2, 온열효과 및 온열지속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한 온열효과 평가를 위하여 20,3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낮기온 -2℃ 내지 1℃를 나타내는 12월의 겨울에 야외스키장에서 온열효과 및 온열지속성을 평가하였다.
온열효과=[(0×명)+(1×명)+(2×명)]/피시험자 수
판정기준 (온열효과)
0 : 온열효과 없음.
1 : 보통.
2 : 우수.
아래 표 3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온열효과에 대한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온열효과 1.1±0.2 1.4±0.2 1.8±0.2 1.5±0.3 1.8±0.2 0.7±0.2 1.3±0.5 0.3±0.2
상기 표 3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3은 온열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인 캡사이신을 포함한 비교예 1 및 2와 유사하게 온열효과를 나타냈으며, 멘틸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3 및 4보다 우수한 온열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예3 , 피부자극도 및 자극지속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 20,3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방법은 핀챔버에 시료 0.2g을 적하한 후 이것을 피시험자의 팔 안쪽에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피부의 자극 정도 및 자극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피부 자극도=[(0×명)+(1×명)+(2×명)+(3×명)]/피시험자 수
판정기준
0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이 없음
1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2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3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피부 자극 지속정도=[(0×명)+(1×명)+(2×명)+(3×명)]/피시험자 수
판정기준
0 : 피부에 도포시에만 느껴짐.
1 : 피부에 도포 후 1분 이상 지속됨.
2 : 피부에 도포 후 5분 이상 지속됨.
3 : 피부에 도포 후 5분 이상 지속되며, 통증이 느껴짐.
아래 표 4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피부 자극도 및 피부 자극 지속정도를 나타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피부자극도 0 0 0 1.6±0.7 2.2±0.3 0.2±0.5 0.4±0.6 0
피부 자극 지속정도 1.8±0.4 1.8±0.4 0.3±0.6 0.8±0.3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글리세린을 사용하였을때, 피부 자극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글리세린과 유사하게 온열효과를 나타내는 캡사이신과 멘틸락테이트는 소량으로도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며, 특히 캡사이신은 피부 자극도와 자극의 지속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4 ,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5에 대한 경표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였다. 경표피수분손실량은 수분이 진피조직으로부터 각질층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는 속도를 의미하는 중요한 생리학적 지표로써 사용된다. 20,3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의 하박부위에 일정한 위치와 크기의 시험 부위를 지정한 후, 도포 전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초기값으로 놓고 수분 증발량 측정기(TEWL Meter)를 이용하여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1시간 간격으로 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경표피수분손실량은 g/h·㎡으로 표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5 무도포
경표피
수분 손실량
(g/h·㎡)
0시간 4.2±0.2 4.1±0.5 4.3±0.4 4.1±0.2 4.4±0.1
1시간 3.0±0.4 2.7±0.6 2.3±0.3 3.7±0.5 4.0±0.6
2시간 2.9±0.4 2.8±0.3 2.2±0.6 3.8±0.3 4.2±0.2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5에 비하여 경표피수분손실량이 20~40%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글리세린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온열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에 수분막을 형성하여 피부에 보습감을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온열효과를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60 내지 70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탄화수소계 고급 알코올 0.1 내지 5.0 중량%;
    유기 자외선차단제는 1 내지 15 중량%;
    무기 자외선차단제 1 내지 5 중량%;
    액상오일 1 내지 10 중량%;
    수용성점증제 0.01 내지 2.0 중량%; 및
    폴리머 0.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머는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및 C14-22 알코올/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고급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3,4-메틸벤질리덴 켐퍼,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자외선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철,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오일은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및 사이클로 메치콘 및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잔탄검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KR1020110089694A 2011-09-05 2011-09-05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2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94A KR101342292B1 (ko) 2011-09-05 2011-09-05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94A KR101342292B1 (ko) 2011-09-05 2011-09-05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209A KR20130026209A (ko) 2013-03-13
KR101342292B1 true KR101342292B1 (ko) 2013-12-16

Family

ID=4817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694A KR101342292B1 (ko) 2011-09-05 2011-09-05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463A (ko)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2742A (ko) 2017-02-10 2018-08-20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440B1 (ko) * 2014-02-21 2021-11-09 (주)아모레퍼시픽 내수성이 있는 무스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610931B1 (ko) * 2016-09-07 2023-12-08 (주)아모레퍼시픽 온열 화장료 조성물
KR101877211B1 (ko) * 2017-03-28 2018-07-12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농도의 미네랄 성분 또는 미네랄 성분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229B1 (ko) * 2017-09-29 2019-10-0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0647B1 (ko) * 2018-03-13 2023-01-20 코스맥스 주식회사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2720B1 (ko) * 2018-10-11 2020-06-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6658B1 (ko) * 2019-02-27 2019-09-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151893A1 (en) * 2019-02-27 2022-05-19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uv-protection that increases uv protection efficiency by means of uv light
KR102313519B1 (ko) * 2020-06-03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967B1 (ko) * 2003-12-03 2006-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8517888A (ja) 2004-10-25 2008-05-29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グリセリンおよびヒドロキシプロピル第四級アンモニウム塩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1002866B1 (ko) * 2008-05-23 2010-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967B1 (ko) * 2003-12-03 2006-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8517888A (ja) 2004-10-25 2008-05-29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グリセリンおよびヒドロキシプロピル第四級アンモニウム塩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1002866B1 (ko) * 2008-05-23 2010-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463A (ko)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2742A (ko) 2017-02-10 2018-08-20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209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29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11833242B2 (en) Skin care formulations
KR101355051B1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0643A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CN101856319A (zh) 用于改善皮肤色泽的植物提取物的组合
ES2310272T5 (es) Composiciones cosméticas o dermatológicas que contienen una combinación de un colorante verde y un ingrediente activo antiinflamatorio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6291A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524749B1 (ko) 스프레이형 무스 타입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1338518B1 (ko)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BR102012000372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aquosa de protetor solar e uso da mesma, método cosmético para aplicação da referida composição, método cosmético para prevenir e controlar a oleosidade da pele, método cosmético para proteger a pele dos danos causados pela radiação ultravioleta, e produto cosmético
BR112021011123A2 (pt) Composição, uso da mesma, processo cosmético para o cuidado de um material de queratina, notavelmente a pele, e mais particularmente a pele do rosto e processo para tornar a pele do rosto opaca e/ou para reduzir o seu brilho
KR101590803B1 (ko)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425649A (zh) 防晒增效组合物、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714A (ko) 지속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21239A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ES2730885T3 (es) Composición para cubrir y proteger cicatrices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4086B1 (ko)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2947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5519A (ko) 화장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