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233B1 -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233B1
KR101142233B1 KR1020090059105A KR20090059105A KR101142233B1 KR 101142233 B1 KR101142233 B1 KR 101142233B1 KR 1020090059105 A KR1020090059105 A KR 1020090059105A KR 20090059105 A KR20090059105 A KR 20090059105A KR 101142233 B1 KR101142233 B1 KR 10114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wax
inorganic
organic
titanium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537A (ko
Inventor
박지현
김진준
김동명
채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2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3Coating mediated by organosilicon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 15 중량%;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10 ~ 76 중량%; 왁스 성분 5 ~ 10 중량%; 오일 성분 5 ~ 20 중량%; 안료 8 ~ 35 중량%; 유기용매 0.5 ~ 5 중량%; 및 첨가제 0.5 ~ 5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무기분체를 망간 또는 실리콘오일로 코팅하여 제품의 안정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고, 글리세린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밀착감, 발림성, 화장지속성 등 사용감을 증대시키고, 고형 형태의 자외선 차폐용으로 손에 묻히지 않고 퍼프로 직접 피부에 문질러 사용하고 수시로 덧바르며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월등하다.
망간 코팅, 실리콘오일 코팅,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고형 화장료, 글리세린, 카프리릴 글라이콜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olid Formed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분체를 망간 또는 실리콘오일로 코팅하여 제품의 안정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고, 글리세린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밀착감, 발림성, 화장지속성 등 사용감을 증대시킨 고형 형태의 자외선 차폐용으로 손에 묻히지 않고 퍼프로 직접 피부에 문질러 사용하고 수시로 덧바르며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한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40~280nm의 파장은 UV-C, 280~320nm의 파장은 UV-B, 320~400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피부노화는 주름의 증가 처짐 및 이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생리적인 자연노화와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한 환경적인 요인들이 거론되고 있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이나, 부종, 주근깨,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서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제형은 수상계를 연속상으로 한 오일 분산형 즉, 수중유형(O/W) 제품들이다. 따라서, 이들 제품들은 땀이나 물에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들은 수영, 등산, 스키나 해수욕 등과 같이, 땀이나 물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므로, 종래 제품을 사용할 경우 자외선 차단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고, 이러한 환경에서 여러 차례 도포 시 끈적임이 발생하여 불쾌감이 날 수 있다. 더구나, 종래의 제형들은 UV 차단 효과가 짧아 바른 후 30분 이상이 되면 50%이하로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 시판되는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용 제품들의 제형들은 방부제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들은 파라벤류,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유도체,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이 대표적이다. 화장품이 피부트러블을 일으키는 주 요인 중의 하나가 방부제이다. 이들을 과량 사용할 경우,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으므로 피부에 침적되어 지속적인 피부트러블을 일 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사용량을 규제해 두고, 이 규정에 맞는 등록된 제품만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왁스 성분, 비이온 계면활성제, 오일 성분 및 실리콘 폴리머를 사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49,893)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무기 분체 중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를 코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므로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이 전하를 띠는 성질에 의해 제품의 안정성이 약하고, 자외선 흡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남아 있고, 고형 제형에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밀착감, 발림성, 화장지속성 등의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고형 자외선 차단제의 무기분체가 전하를 띠게되어 제품의 안정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무기분체를 망간 또는 실리콘오일로 코팅하여 해결하고,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밀착감, 발림성, 화장지속성 등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글리세린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해결한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 15 중량%;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10 ~ 76 중량%; 왁스 성분 5 ~ 10 중량%; 오일 성분 5 ~ 20 중량%; 안료 8 ~ 35 중량%; 유기용매 0.5 ~ 5 중량%; 및 첨가제 0.5 ~ 5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일반 용해조에 왁스 성분, 오일 성분, 유화제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칭량하여 75 ~ 95℃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을 형성하는 단계;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안료, 유기 용매 및 천연방부제를 3단 롤로 2 ~ 5회 처리하여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분산시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형성하는 단계;
진공 용해조에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과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넣고 75 ~ 95℃에서 믹서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몰드에 충진하고 15 ~ 35℃로 냉각하여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무기분체를 망간 또는 실리콘오일로 코팅하여 제품의 안정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고, 글리세린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밀착감, 발림성, 화장지속성 등 사용감을 증대시키고, 고형 형태의 자외선 차폐용으로 손에 묻히지 않고 퍼프로 직접 피부에 문질러 사용하고 수시로 덧바르며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월등하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 15 중량%;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10 ~ 76 중량%; 왁스 성분 5 ~ 10 중량%; 오일 성분 5 ~ 20 중량%; 안료 8 ~ 35 중량%; 유기용매 0.5 ~ 5 중량%; 및 첨가제 0.5 ~ 5 중량%;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분체 그 자체로는 전하를 띠게되어 제품의 안정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상기 무기분체를 망간 또는 실리콘오일로 코팅하여 제품의 안정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대시켰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밀착감, 발림성, 화장지속성 등 사용감이 떨어지는 것을 글리세린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사용감을 증대시켰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분체 중 망간 혹은 실리콘오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 망간 혹은 실리콘오일로 코팅된 산화아연 또는 망간 혹은 실리콘오일로 코팅된 산화철과 코팅하지 않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혹은 산화철을 사용하여 기존 유화 제형의 무겁고 번들거리는 사용감을 개선하고, 자외선의 산란 및 흡수 작용이 뛰어나 월등한 자외선 차폐효과를 가지며, 방부 효과도 우수한 고형 형태의 자외선 차폐 제품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망간 혹은 실리콘오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 망간 혹은 실리콘오일로 코팅된 산화아연 또는 망간 혹은 실리콘오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효과를 증대시켜 우수한 자외선 차폐 효과와 기존 유화형 자외선 제품과는 달리 손에 묻히지 않고 퍼프로 직접 피부에 문질러 사용하고 수시로 덧바르며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부자극이 적고, 자외선차단 효과가 지속적이며, UV-B~UV-A에 대한 광범위한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피부친화력이 우수하고, 피부보호 효과도 지닌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트러블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용하는 무방부제 베이스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또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망간 코팅 이산화티탄, 실리콘 코팅 이산화티탄, 실리콘 코팅 산화철 또는 실리콘 코팅 산화아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산화티탄, 산화철 또는 산화아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로는 실리콘으로 코팅된 미립자 이산화티탄과 실리콘으로 코팅된 산화아연을 사용하고, 망간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은 자체 항균력을 지니고 있다.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 자체는 전하를 띤 물질이므로, 코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 제품의 안정성이 약하고, 자외선 흡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리콘으로 코팅한 산화아연 및 실리콘으로 코팅한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자외선의 산란 및 흡수 작용이 뛰어나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방부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망간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높은 자외선 지수를 갖는다.
여기서, 망간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은 UVB 뿐만 아니라 UVA 영역에서도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신개념의 자외선 차단제로서 프리 라디컬 소거작용으로 제품 의 수명이나 유기계 성분의 머무름 능력이 뛰어나다.
이때, 벌크의 망간은 UV 흡수작용을 하며, 표면의 망간은 프리 라디컬 소거작용을 한다.
Mn2+ ↔ Mn3+ + e-
Mn2+ + OH? Mn3+ + OH-
Mn3+ + O2 ?→ Mn2+ + O2
상기 망간 코팅된 이산화티탄은 탁월한 항산화(Anti-Oxidantive) 효과로 2중 기능성 제품에 적합하며, 피부톤 색을 갖고 평균 입자 크기는 0.01 ~ 100nm이다.
상기 망간 코팅된 이산화티탄은 자외선 차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며 0.5 ~ 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0.5중량% 미만에서는 자외선 차폐효과가 미미하며 1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백탁 현상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으로 코팅된 산화아연은 평균 입자 크기가 0.01 ~ 300nm이고, 상기 실리콘으로 코팅된 산화철은 평균 입자 크기가 1 ~ 300nm이다.
여기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왁스 성분은 세레신왁스, 칸델리나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파라핀왁스, 또는 폴리에틸렌왁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왁스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고온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왁스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오일 성분은 헥실라울레이트,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디메치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안료 성분은 산화철, 알루미나, 활석,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티탄, 또는 폴리에틸렌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료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유분감 및 피지에 대한 흡유능이 떨어지고, 상기 안료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발림성이 좋고 촉촉한 사용감을 주기 위해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용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발림감과 촉촉한 사용감이 떨어지고, 상기 유기 용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유화제인 폴리솔베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혹은 솔비탄 올리베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 또는 천연방부제인 카프리릴 글라이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유화 효과와 방부 효과가 적어져 제형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일반 용해조에 왁스 성분, 오일 성분, 유화제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칭량하여 75 ~ 95℃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을 형성하는 단계;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안료, 유기 용매 및 천연방부제를 3단 롤로 2 ~ 5회 처리하여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분산시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형성하는 단계;
진공 용해조에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과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넣고 75 ~ 95℃에서 믹서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몰드에 충진하고 15 ~ 35℃로 냉각하여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별도의 용해조에 상기 왁스 성분, 상기 오일 성분, 상기 유화제 및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넣고 가열하여 용해시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을 형성한 후, 상기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상기 안료, 상기 유기 용매 및 상기 천연방부제를 3단 롤로 분산시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진공 용해조에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과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넣고 가온하며 교반하여 상기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형성한 후, 상기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몰드에 충진하고 15 ~ 35℃로 냉각하여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또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 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또한, 상기 망간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망간 코팅 이산화티탄, 실리콘 코팅 이산화티탄, 실리콘 코팅 산화철 또는 실리콘 코팅 산화아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산화티탄, 산화철 또는 산화아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또한, 상기 왁스 성분은 세레신왁스, 칸델리나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파라핀왁스, 또는 폴리에틸렌왁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왁스 성분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또한, 상기 오일 성분은 헥실라울레이트,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디메치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 성분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또한, 상기 안료 성분은 산화철, 알루미나, 활석,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티탄, 또는 폴리에틸렌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료 성분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유화제인 폴리솔베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혹은 솔비탄 올리베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 또는 천연방부제인 카프리릴 글라이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단위:중량%)으로 실시예 1, 2, 3, 4 비교예 1, 2의 자외선 차폐 효과가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1 비교예2
1. 세레신왁스 5.0 5.0 5.0 5.0 5.0 5.0
2. 칸델리나왁스 5.0 5.0 5.0 5.0 5.0 5.0
3. 사이크로메치콘 5.0 5.0 5.0 5.0 5.0 5.0
4. 헥실라울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5. 폴리솔베이트 1.0 1.0 1.0 1.0 1.0 1.0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7.0
7. 초미립자 이산화티탄* 15.0 13.0 11.0 9.0 15.0 15.0
8. 산화아연* 7.0 7.0 7.0 7.0 7.0 7.0
9. 망간코팅 이산화티탄* - 2.0 4.0 6.0 - -
10. 마이카 18.5 18.5 18.5 18.5 18.5 18.5
11. 실리카 3.0 3.0 3.0 3.0 3.0 3.0
12. 산화철* 20.0 20.0 20.0 20.0 20.0 20.0
13. 글리세린 3.0 3.0 3.0 3.0 3.0 -
14. 파라벤 - - - - 0.5 -
15. 카프리릴 글라이콜 0.5 0.5 0.5 0.5 - 0.5
* 망간 코팅 이산화티탄(입자크기 65nm)은 Oxonica사의 OPTISOL-AS를 사용하였다.
* 초미립자 이산화티탄은 디메치콘처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산화아연도 디메치콘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 산화철은 Daito(일본) SI-2 YELLOW,RED,BLACK제품을 사용하였다.
별도의 용해조에 세레신왁스, 칸델리나왁스, 사이클로메치콘, 헥실라울레이트, 폴리솔베이트 및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넣고 85℃로 가열하여 용해시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초미립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망간코팅 이산화티탄, 마이카, 실리카, 산화철, 글리세린, 파라벤, 카프리릴 글라이콜을 3단 롤(EXAKT,Germary 300*200)로 3회 처리하여 파우더를 분산하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형성한다. 이때, 산화철의 분산상태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진공 용해조에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과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넣고 85℃에서 AGI 믹서(AGI MIXER : 마쓰시다전기공업 주식회사(Matsushita Electric Industial Co. Ltd), SER No 515, 일본)로 교반, 혼합하여 상기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형성한 후, 상기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몰드에 충진하고 실온에서 냉각하여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자극 시험
20 ~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팔 안쪽 상박부위에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첩포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2시간 경과 후에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부작용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자극유무
자극 있음 : X, 좋지 않음 : △, 보통 : ○, 자극 없음 : ◎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2에서 파라벤을 사용한 것 보다 카프리릴 글라이콜을 사용한 것이 자극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자외선차단지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2에서 in vitro 자외선차단지수(SPF)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료를 2㎛/cm2의 수준으로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도포, 15분 건조 후 SPF 분석기(Analyer)로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평균한 값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SPF 수치 36.2 38.9 40.3 44.6 35.8 35.2
In vitro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2, 3, 4 에서 동일 함량의 이산화티탄(초미립자 이산화티탄과 망간 코팅한 이산화티탄의 총합)에서 망간 코팅한 이산화티탄 함량이 증가하면 SPF 수치가 상승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사용감 평가
20세에서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2, 3, 4와 비교예 1, 2를 얼굴 양쪽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다음평가 기준에 따라 산뜻함, 번들거림, 발림성, 밀착감, 전반적인 만족도 등 사용감을 평가하여 표에 나타내었다.
[표]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산뜻함 4 4 4 5 5 3
번들거림 3 3 3 4 4 3
발림성 2 3 4 5 4 3
밀착감 3 4 4 4 4 3
전반적인 만족도 3.0 3.5 3.7 4.5 4.2 3.0
아주 나쁨:1, 좋지 않음:2, 보통:3, 우수:4 , 매우 우수:5
비교예1, 2에서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1이 비교예 2보다 사용감 측면에서 개선되었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2, 3, 4에서 망간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높은 자외선 지수와 사용감 측면에서 보다 더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 15 중량%; 망간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10 ~ 76 중량%; 왁스 성분 5 ~ 10 중량%; 오일 성분 5 ~ 20 중량%; 안료 8 ~ 35 중량%; 유기용매 0.5 ~ 5 중량%; 및 첨가제 0.5 ~ 5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망간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망간 코팅 이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산화철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왁스 성분은 세레신왁스, 칸델리나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파라핀왁스, 및 폴리에틸렌왁스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오일 성분은 헥실라울레이트, 사이클로메치콘 및 디메치콘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료 성분은 산화철, 알루미나, 활석,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티탄, 및 폴리에틸렌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첨가제는 유화제인 폴리솔베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및 솔비탄 올리베이트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또는 천연방부제인 카프리릴 글라이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일반 용해조에 왁스 성분, 오일 성분, 유화제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칭량하여 75 ~ 95℃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을 형성하는 단계;
    망간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안료, 유기 용매 및 천연방부제를 3단 롤로 2 ~ 5회 처리하여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분산시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형성하는 단계;
    진공 용해조에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용해상과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상을 넣고 75 ~ 95℃에서 믹서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무기 혼합 자외선 차단제 혼합상을 몰드에 충진하고 15 ~ 35℃로 냉각하여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망간 코팅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망간 코팅 이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산화철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왁스 성분은 세레신왁스, 칸델리나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파라핀왁스, 및 폴리에틸렌왁스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오일 성분은 헥실라울레이트, 사이클로메치콘 및 디메치콘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료 성분은 산화철, 알루미나, 활석,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티탄, 및 폴리에틸렌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첨가제는 유화제인 폴리솔베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및 솔비탄 올리베이트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또는 천연방부제인 카프리릴 글라이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90059105A 2009-06-30 2009-06-30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05A KR101142233B1 (ko) 2009-06-30 2009-06-30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05A KR101142233B1 (ko) 2009-06-30 2009-06-30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37A KR20110001537A (ko) 2011-01-06
KR101142233B1 true KR101142233B1 (ko) 2012-05-07

Family

ID=4361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105A KR101142233B1 (ko) 2009-06-30 2009-06-30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31B1 (ko) * 2012-10-04 2015-03-03 주식회사 케미랜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 코팅된 자외선차단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69B1 (ko) 2011-05-18 2013-10-29 주식회사 케미랜드 옥틸 메톡시 시나메이트가 코팅된 Talc 복합 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800B1 (ko) * 2012-11-09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043503A1 (ko) * 2014-09-15 2016-03-24 주식회사 케미랜드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4768B1 (ko) * 2018-05-08 2020-04-27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2128326B1 (ko) * 2018-07-27 2020-06-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제조방법
CN110478263A (zh) * 2019-08-28 2019-11-22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防晒剂粉末及其制备和在彩妆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93B1 (ko) 2007-04-02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20238B1 (ko) 2006-11-27 2008-04-07 (주)아모레퍼시픽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갖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38B1 (ko) 2006-11-27 2008-04-07 (주)아모레퍼시픽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갖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품조성물
KR100749893B1 (ko) 2007-04-02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31B1 (ko) * 2012-10-04 2015-03-03 주식회사 케미랜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 코팅된 자외선차단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37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142233B1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2534389C (en) Surface-modified zinc oxides
KR101175623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중공성 구형 실리카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8858922B2 (en) Broad spectrum UVA stable, non-toxic, zinc oxide based complex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140363387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uv protection
JPS60231607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20230047985A (ko) 폴리글리세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261784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84480B1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2020524142A (ja) Ir保護用二酸化チタン粒子を使用した化粧品組成物
CN101998848B (zh) 粉末相防晒化妆品组合物
KR10154291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940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3920380B2 (ja) 紫外線遮断機能を有する保湿剤分散体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KR20120058714A (ko) 지속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4236B1 (ko) 화장 조성물
KR101117411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