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940A -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940A
KR20120058940A KR20100120473A KR20100120473A KR20120058940A KR 20120058940 A KR20120058940 A KR 20120058940A KR 20100120473 A KR20100120473 A KR 20100120473A KR 20100120473 A KR20100120473 A KR 20100120473A KR 20120058940 A KR20120058940 A KR 2012005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methicone
sunscreen
crosspolymer
silicone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571B1 (ko
Inventor
최지은
이종석
박창훈
한상훈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2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71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시 사용감과 도포성이 우수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의 요철 및 잔주름을 가리는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un screening}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시 사용감과 도포성이 우수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의 요철 및 잔주름을 가리는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40~290 nm의 파장은 UV-C, 290~320 nm의 파장은 UV-B, 320~400 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및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 주름 및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자외선 보호 제품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관심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SPF(UVB 자외선 차단지수) 및 PA(UVA 자외선 차단지수)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시장에 나와 있다. 자외선 차단 제품의 유형은 최종 모양이나 점경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크림, 로션, 케익, 스틱 및 파우더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성된 상의 조성에 유중수형(W/O type: water in oil type) 및 수중유형(O/W type: oil in water type), 수분산, 유분산, 파우더 및 분리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그 도포 방법에 있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퍼프, 롤러, 붓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파우더 상태이거나 분산매에 분산된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를 제조할 경우, 우수한 도포성과 사용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에 균일한 도포가 가능해짐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대되고 피부 표면의 요철 및 잔주름을 가리는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 효과와 도포성, 사용감 및 가림 효과를 증대시킨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되고 피부의 요철과 모공, 잔주름 등이 가려지며, 손에 화장료 조성물을 묻히지 않고도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 편이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는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과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의 가교된 공중합체 물질로서 제형 내에 사용되었을 때 피부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능력이 뛰어난 물질이다. 이는 일반적인 폴리비닐피롤리돈(PVP)와 피막 형성 능력은 유사하나 밀 단백질과 가교되어 피부 친화적이며 제형 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는 1,000 내지 1,000,000달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80,000달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달톤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중에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과 안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파우더 형태, 분산매에 분산된 페이스트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우더 형태와 분산매에 분산된 페이스트 형태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파우더와 페이스트를 예를 들어 1:0.2~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매로는 디메치콘, 이소도데칸, 라우릴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스쿠알란, 라우레스-12, C12-14 파레스-12, 페닐메치콘 및 페트롤라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상용성이 우수한 화장품용 오일과 계면활성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분산매는 예를 들어 5:95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분산매를 사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혼합이 다소 어려운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제형에서 쉽게 혼합 분산하려는 것이며, 상기 혼합 비율 미만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낮아지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과도하게 낮아 미리 분산매에 분산 처리할 이유가 없으며, 혼합 비율을 초과하는 함량에서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사전 분산이 쉽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30 중량%로 함유한다. 이때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3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에 적용함에 있어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는 추가로 자외선 흡수제(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은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셀로네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4-메틸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틸디하이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틸헥실디메틸파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벤조산(PABA: Para-Aminobenzoic Acid),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호모살레이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폰산 및 그 염류, 폴리실리콘-15, 벤조페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5, 벤조페논-6, 벤조페논-9, 3-벤질리덴캠퍼, 벤질리덴캠퍼 설포닉에시드, 부틸파라아미노벤조산, 캠퍼 벤젤코늄 메토셀페이트(Camphor Benzalkonium Methosulfate),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디이소프로필 메틸신나메이트(Diisopropyl Methyl Cinnamate), 에틸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Ethyl Diisopropylcinnamate), 2-에틸헥실디메톡시벤질리딘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오네이트(2-Ethylhexyl dimethoxybenzylidene dioxoimidazolidine propionate), 에틸파라아미노벤조산(Ethyl PABA), 페룰산(Ferulic Acid), 글리세릴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Glyceryl Ethylhexanoate Dimethoxycinnamate), 이소펜틸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트리실록산(Isopentyl Trimethoxycinnamate Trisiloxane), 이소프로필메톡시신나메이트(Isopropyl Methoxycinnamate), 이소프로필벤질살리실레이트(Isopropylbenzyl Salicylate), 피이지-25 파바(PEG-25 PABA),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딘 캠퍼(Polyacrylamidomethyl Benzylidene Camphor), 포타슘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Potassium Phenylbenzimidazole Sulfonate), 소듐 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Sodium Phenylbenzimidazole Sulfonate) 및 티이에이-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TEA-Phenylbenzimidazole Sulf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40 중량%가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멀젼의 안정도가 저하되고 피부에서의 자극이 급격히 증가된다.
본 발명의 제형에 배합되는 자외선 차단제(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응집방지와 광촉매 억제를 목적으로 알킬산(주로 스테아린산), 산화알루미늄 또는 실리카 등으로, 또한 분산성 개선을 목적으로 메치콘 또는 디메치콘 등으로 표면 코팅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표면 코팅 처리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함량을 기준으로 알킬산의 경우 예를 들어 0.5~10 중량%, 실리카의 경우 예를 들어 0~15 중량%, 산화알루미늄의 경우 예를 들어 0~15 중량%, 메치콘 및 디메치콘의 경우 각각 예를 들어 0~1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면처리제의 함량과 종류가 다양한 이유는 자외선 흡수제(유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안정성 측면의 상호관계, 제형의 오일상의 조성에 따른 분산성의 차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으로 표현 처리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자외선 흡수제(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아보벤존의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제형의 오일상에 함유된 주 오일이 실리콘인 경우에는 메치콘이나 디메치콘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파우더간의 뭉침 현상을 고려할 시 크기가 작을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10 내지 100 nm 정도가 적절하다. 이때,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평균 크기가 10 nm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침투 우려가 있고, 1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기 파우더간 입자의 뭉침으로 인해 피부에 도포 시 백탁 현상이 증가된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35 중량%가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두 종류인 ZnO, TiO2는 각각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합 한도 규정에 어긋날 뿐 아니라, 피부에 도포시 백탁 현상이 심하고 균일한 도포가 어려워 화장료로서의 장점이 감소된다.
특히, 무기 파우더의 2차, 3차 입자의 뭉침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분산매에 볼밀처리하여 분산시킨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면코팅 처리된(알킬실란코팅 혹은 알루미나, 스테아린산 등으로 코팅된 것)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회전식(로터리) 방식으로 지르코늄옥사이드 재질의 비드를 이용하여(이때, 분산시키고자 하는 재질이나 처리량, 분산매의 점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소량 분산처리(1 kg 이하)의 경우 보통 5 mm 이하의 볼을 사용) 100~350 rpm 의 속도로 회전시켜, 1시간 정도 볼밀을 이용한 분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분산매인 C12-15 알킬벤조에이트 40~70 중량%(분산 처리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 기준 비율임)에 이산화티탄(알루미나,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로 코팅 처리된 것) 30~60 중량%를 볼밀을 이용하여 처리할 때 상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자외선 흡수제(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이들을 녹는점까지 가열하고, 호모믹싱이나 아지믹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보습제, 윤활제, 방부제, 향 및 기타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자외선 방어 효과(자외선 흡수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자외선 차단제(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파우더 상태 및/또는 분산매에 분산된 페이스트 상태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으로 배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무기 자외선 차단제(특히, 이산화티탄)가 피부에 도포 시 피부골에 끼여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잔주름이 돋보이는 현상 및 자외선 흡수제(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고유성질에 의한 번들거리는 현상과 피부에서 끈적이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소량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착색제로는 레이크, 착색안료 및 진주광택안료 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레이크는 적색 201호, 204호, 206호, 207호, 220호와 같은 염료를 칼슘 등의 금속성분과의 염 형태로 물에 불용화시킨 레이크 안료와 황색5호(1), 적색 230호(3)와 같은 염료를 황산 알루미늄, 황산 지르코늄 등으로 알루미나에 흡착시킨 염료레이크 등을 포함하고, 상기 착색안료는 벤가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및 카본 블랙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진주광택안료는 이산화티탄, 마이카, 실리카, 틴옥사이트, 페릭 페로시아니드 및 착색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크, 착생안료, 및 진주광택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상기 레이크 또는 착색안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최소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예를 들어 10,000~5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도가 10,000CPS 미만이면 과도하게 낮은 점도로 인해 내용물이 흘러내려 사용시 편이성이 떨어지며, 50,000 CPS 초과이면 분산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예를 들어 5~3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도가 5 g/㎠ 미만이면 과도하게 낮은 경도로 인해 내용물이 흘러내려 사용시 편이성이 떨어지며, 30 g/㎠ 초과이면 분산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붓, 퍼프, 퍼프 일체형, 롤온, 롤러 또는 스펀지 팁 타입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터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나 메이크업베이스, 메이크업 프라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품은 범용적인 메이크업용 브러시를 사용하거나 튜브용기의 전방부에 브러시가 부착되어 있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여,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브러시로 화장부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단계는 색조화장전 단계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비교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비교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비교예 1~3 및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W/O 에멀젼 자외선 차단 제형의 비교예 1~3 및 실시예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비교예 1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모두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각각 단독으로 함유하도록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 및 2 는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모두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1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 5 - 5 5
2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 - 1 1 1
3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5 1.5 1.5 1.5 1.5
4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7 7 7 7
5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 4.5 4.5 4.5 4.5
6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7 세테아릴알코올 5 5 5 5 10
8 오조케라이트 1.5 1.5 1.5 1.5 1.5
9 티타늄디옥사이드 분산혼합물 5 5 5 5 5
10 산화아연(C12-15 알킬벤조에이트 60 중량% 및 산화아연 40 중량%) 15 15 15 15 15
11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 1.5 1.5 1.5 1.5 1.5
12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1.5 1.5 1.5 1.5 3.0
13 30 30 30 30 30
14 1,3-부틸렌글리콜 10 10 10 10 10
15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0.3
16 0.1 0.1 0.1 0.1 0.1
< 비교예 1~3 및 실시예 1~2의 제조방법>
(1) 상기 1~12의 유상 성분을 8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 상기 13~14의 수상 성분들을 6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교반하에 상기 (2)에 상기 (1)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유화하였다.
(4) 상기 (3)의 유화물을 교반한 후에 방부제(페녹시에탄올)와 향을 투입하였다.
[시험예 1] 관능 평가 1
상기 비교예 1~3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손으로 도포할 경우의 도포 용이성, 균일도, 사용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적합성 평가는 화장품 업계에 3년 이상 연구개발에 참여한 10명 대상으로 도포 시, 도포 후 사용감에 대한 차이를 10점 척도로 판단하도록 했으며, 그 결과를 평균 내어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붓과 화장료 조성물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도포 용이성, 도포 균일도, 사용 편이성의 3가지 항목으로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도포 용이성, 도포 균일도, 사용 편이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평가 항목 도포 용이성 도포 균일도 사용 편이성 총점
(선호도)
비교예 1 3.2 4.1 5.0 12.3
비교예 2 4.9 4.9 5.1 14.9
비교예 3 3.9 4.3 5.2 13.4
실시예 1 6.0 5.5 6.9 18.4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은 비교예 1~3보다 3 항목에서 모두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관능 평가 2
상기 실시예 1과 2의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피부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도포 용이성, 균일도, 사용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경도와 점도는 각각 10g/㎠ 및 40,000CPS이고, 실시예 2의 경도와 점도는 각각 40 g/㎠ 및 80,000CPS였다.
어플리케이터로서 붓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도포 용이성 도포 균일도 사용 편이성 총점
(선호도)
실시예 1 9.0 8.7 9.2 27.0
실시예 2 6.9 7.5 8.0 22.4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이 실시예 2에 비하여, 어플리케이터와의 적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손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터에 적용할 경우에도 도포 용이성, 균일도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관능 평가 3: 피부 요철, 모공, 잔주름 가림 효과
상기 비교예 1~3,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피부 요청, 모공, 잔주름의 가림 효과 평가를 위해 피부에 손으로 도포한 경우와 붓 일체형 튜브 용기를 사용해 비교 도포하였다. 적합성 평가는 화장품 업계에 3년 이상 연구개발에 참여한 10명 대상으로 10점 척도로 판단하도록 했으며, 그 결과를 평균 내어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점수가 높을수록 가림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평가 항목 요철 가림효과 모공 가림효과 잔주름 가림효과
비교예 1(손) 3.3 4.9 3.8
비교예 2(손) 7.5 8.0 7.6
비교예 3(손) 4.9 5.0 4.5
실시예 1(손) 9.0 9.3 9.1
비교예 1(붓) 3.5 5.1 3.8
비교예 2(붓) 8.3 8.9 8.0
비교예 3(붓) 5.1 5.1 4.8
실시예 1(붓) 9.5 9.9 9.6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3보다 3 항목에서 모두 가림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손으로 도포하는 경우보다 붓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요철, 모공, 잔주름 가림 효과가 다소 개선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가 함유된 경우, 피부 가림 효과가 증대되며 이는 붓타입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면 그 효과가 더욱 증폭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비교예 1~3 및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피험자: 12명(남성 6명, 여성 6명)
시험부위: 등의 척추 부위를 제외한 좌우 부분
광원: ORIEL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 81293(Xenon UV Lamp 1KW, unfiltered)
광량측정기: IL1733 방사계(Radiometer), SED 240 프로브
<자외선차단 지수(SPF) 측정방법>
솔라 시물레이터(Solar simulater) 램프로부터 시험 부위에 방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20-100mj/㎠로 조정하여 피시험자의 등 부위에 조사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고 24시간 후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a:MED)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자외선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험자의 등에 2㎕/㎠의 두께로 시료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15분간 방치하여 건조하였다. 자외선 조사창을 비교예 1~3 및 제형예 1의 시료 도포 부위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조사창을 제외한 다른 부위를 피혁과 수건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피험자의 MED를 기준으로 SPF 50, 예상시료는 SPF 15-40, 조사량으로 시작하여 점차 자외선조사량을 늘려가며 시험하였다. 자외선 조사 24시간 후 최소 홍반량을 판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1~3 및 제형예 1의 자외선 차단 효과(SPF)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SPF(평균) 41.1 43.6 46.6 50.9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에 의한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1은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교예 2~3와 같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를 단독으로 포함한 조성물의 경우, 어느 정도의 부스팅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시예 1과 같이 두 원료가 함께 포함되면 이들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부스팅 효과가 더욱 증폭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여 도포 균일성이 개선되고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에 의해 필름 형성이 이루어지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가 향상되었다.

Claims (10)

  1.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는 1,000 내지 1,000,000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 폴리메틱실세스퀴옥산,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파우더 형태, 분산매에 분산된 페이스트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형태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는 디메치콘, 이소도데칸, 라우릴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스쿠알란, 라우레스-12, C12-14 파레스-12, 페닐메치콘 및 페트롤라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10,000~5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5~3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붓, 퍼프, 퍼프 일체형, 롤온, 롤러 또는 스펀지 팁 타입의 어플리케이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20473A 2010-11-30 2010-11-30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73A KR101781571B1 (ko) 2010-11-30 2010-11-30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73A KR101781571B1 (ko) 2010-11-30 2010-11-30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40A true KR20120058940A (ko) 2012-06-08
KR101781571B1 KR101781571B1 (ko) 2017-10-24

Family

ID=4661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473A KR101781571B1 (ko) 2010-11-30 2010-11-30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47A (ko) * 2017-11-29 2019-06-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60215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에버켐텍 Uv 차단성 식품포장재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204293A1 (ko) * 2019-04-03 2020-10-08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847B1 (ko) * 2019-09-27 2022-07-27 주식회사 케미랜드 자외선 차단용 분산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5156B2 (en) * 2009-05-04 2014-07-01 Elc Management Llc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inorganic particulates and an alkoxylated diphenylacrylate compoun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47A (ko) * 2017-11-29 2019-06-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60215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에버켐텍 Uv 차단성 식품포장재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33603A (ko) * 2018-09-20 2020-03-30 (주)에버켐텍 Uv 차단성 식품포장재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204293A1 (ko) * 2019-04-03 2020-10-08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571B1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5215T3 (es) Pigmento compuesto y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l mismo
EP3081206B1 (en) Sunscreen composition
KR20120042397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S2400948T3 (es) Procedimiento de fotoestabilización de un derivado de dibenzoilmetano por un derivado arilalquilbenzoato y composiciones cosméticas fotoprotectoras
KR20190090052A (ko) 광보호 조성물
WO2014097972A1 (en) Cosmetic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JP6379109B2 (ja) トランス−レスベラトロール又はトランス−レスベラトロール誘導体組成物
US20180311141A1 (en) Anhydrous scre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silicone fatty phase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220323334A1 (en) Light aesthetic sunscreen compositions
KR101142233B1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1571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6343B1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93574A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6739153B2 (ja) 疎水性変性イヌリン及びポリエーテル変性シリコーンを含む組成物
KR20120058714A (ko) 지속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230080141A1 (en) Sunscreen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tection from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EP3799859B1 (en) Sprayable sunscreen composition
US20190015315A1 (en) Light aesthetic sunscreen compositions
RU2787145C2 (ru) Распыляемая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11291621B2 (en) Transparent sunscreen composition
RU2773152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 легкой консистенцией
CN114557917A (zh) 防晒化妆品组合物
WO2024035556A1 (en) Sunscreen composition comprising visible light protecting agents and methods of use
WO2012139449A1 (en) Sunscreening emulsion containing crosslmked homopolymer of (meth)acrylamido(c1 -c4)alkylsulphonic acid and homopolymer of acrylic acid at least partially neutraliz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