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4293A1 -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4293A1
WO2020204293A1 PCT/KR2019/014397 KR2019014397W WO2020204293A1 WO 2020204293 A1 WO2020204293 A1 WO 2020204293A1 KR 2019014397 W KR2019014397 W KR 2019014397W WO 2020204293 A1 WO2020204293 A1 WO 20202042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dimeth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3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영
최수빈
김경진
홍성은
계성봉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80006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512496A/zh
Priority to US16/769,456 priority patent/US20210251876A1/en
Publication of WO20202042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42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and relates to a gel-typ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no white turbidity and excellent feeling of use and sunscreen function.
  • sunscreen products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ulations such as cream, lotion, cake, stick and powder type.
  • sun stick products in which oil-type sunscreens and emollients are hardened into a solid solid form have been highly evaluated by consumers for their excellent transparent skin expression, portability, and reapplyability.
  • a transparent sun stick produc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oil, so after use, a greasy or sticky feel is felt,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on curved skin.
  • it cannot provide a feeling of cooling when applied to the skin in summer because water is not contained or is contained in a small amount when manufactured as a stick formulation.
  • a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organic sunscreen agent, a thickener, a silicone elastomer, ethanol, and oil.
  • the silicone elastomer may be in the form of a powder.
  • the silicone elastomer is a dimethicone crosspolymer, a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a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silica, a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It may conta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dimethicone,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and mixtures thereof.
  • the thickener may include polyvinylpyrrolidone.
  • the thickener is hydroxyprop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tearoxy ether, 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carbomer, hydroxyethylacryl R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polyacrylate-13, polyvinyl alcohol,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polyacrylate crosspolymer-6, polyacrylate crosspolymer- 11,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copolymers and mixtures thereof.
  • the organic sunscreen agent is ethylhexylmethoxycinnamate, ethylhexyl salicylate, homosalate, octocrylene, polysilicon-15, isoamylp-methoxycinnamate, ethylhexyltriazone ,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e, 4-methylbenzylidene camphor, benzophenone-3, phenylbenzimidazolesulphonic acid, draw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rizoltrisiloxane, terephthalylidene dicamphorsulphonic acid, disodium phenyl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and mixtures thereof.
  • the oil is butyloctyl salicylate, dibutyl adipate,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propylene glycol Dicaprylate, dicaprylyl carbonate, propylheptylcaprylate, dicaprylyl ether, coco-caprylate/caprate, ethylhexyl palmitate, cyclopentasiloxane, dimethicone, disiloxane , Trisiloxane, ethyl methicone, methyl tr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aprylyl methicone, isododecane, isoeiko acid, C15-19 alkanes and mixtures thereof. can do.
  • the composition comprises 1 to 60% by weight of an organic sunscreen, 0.05 to 20% by weight of a thickener, 0.05 to 30% by weight of silicone elastomer powder, 1 to 80% by weight of ethanol, and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may contain 1 to 60% by weight.
  • the composition comprises 5 to 40% by weight of an organic sunscreen, 0.1 to 8% by weight of a thickener, 0.1 to 10% by weight of silicone elastomer powder, 4 to 60% by weight of ethanol, and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may contain 5 to 40% by weight.
  •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owder particles of the silicone elastomer may be 1 to 20 micrometers.
  • the composition may be a gel formulation.
  • the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24,000 cP or more.
  • the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30,000 to 100,000 cP.
  • the viscosity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and the gel type has the advantage of good applicationability and easy re-application. It is not sticky or greasy, and can provide a fresh feeling of use.
  • the skin adhesion and persistence are high, so that the UV blocking effect is excellent, and an excellent water resistance effect can be provided.
  • Example 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 Exampl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mposition formulation of Example 8.
  • th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rganic sunscreen agent, a thickener, a silicone elastomer, ethanol, and oil.
  • the organic sun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having a sunscreen effect, and an organic sunscreen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More specifically, ethylhexyl methoxycinnamate (Ethylhexyl Methoxycinnamate), ethylhexyl salicylate (Ethylhexyl Salicylate), homosalate (Homosalate), octocrylene (Octocrylene), polysilicone-15 (Polysilicone-15), Isoamyl p-Methoxycinnamate, Ethylhexyl Triazone,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is-Ethylhexyl 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4-Methylbenzylidene Camphor, Benzophenone-3, Phenylbenzimidazole Sulphonic Acid (P
  • the organic sunscreen agent will contain 1 to 60% by weight, preferably 5 to 40% by weight, more preferably 7 to 35% by weight, most preferably 1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 can.
  • the organic sunscreen composition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 by weight, the sunscreen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organic sunscreen composition is more than 60% by weight, the organic sunscreen composition may precipitate in the form of grains or the feeling of use may be reduced. have.
  • the organic sunscreen is ethylhexylmethoxycinnamate 2.0 to 20.0 wt%, ethylhexyl salicylate 2.0 to 15.0 wt%, homosalate 0.1 to 15.0 wt%, octocrylene 0.1 ⁇ 12.0% by weight, polysilicon-15 0.1 ⁇ 10.0% by weight, isoamylp-methoxycinnamate 0.1 ⁇ 20.0% by weight, ethylhexyltriazone 0.1 ⁇ 10.0% by weight,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0.1 ⁇ 10.0% by weight, 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0.1 to 10.0 wt%,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e 0.1 to 10.0 wt%, 4-methylbenzylidene camphor 0.1 to 4.0 wt%, benzophenone-3 0.1 to 5.0%
  • the thick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and may include polyvinyl pyrrolidone (PVP).
  • PVP polyvinyl pyrrolidone
  • Polyvinylpyrrolidone is a thickener having a very large thickening effect, and can be used to improv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ick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thickeners in addition to polyvinylpyrrolidone. Since polyvinylpyrrolidone alone may have poor viscosity reten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a separate thickener having good viscosity retention in the ethanol dispersion phase while having good compatibility with organic sunscreens and oil components is added to improve the viscosity retention of the composition. Can be improved.
  • Thickeners that can be mixed with polyvinylpyrrolidone include Hydroxyprop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Stearoxy Ether, and acrylate.
  • /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Carbomer,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 Polyacrylate-13, Polyvinyl Alcohol,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Polyacrylate Crosspolymer-6 (Polyacrylate) Crosspolymer-6), polyacrylate crosspolymer-11 (Polyacrylate Crosspolymer-11), acrylate copolymer (Acrylate Copolymer),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 the thickener will contain 0.05 to 20% by weight, preferably 0.1 to 8%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6%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1.5 to 4%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 can.
  • the thicken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05%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gel form because the viscosit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annot be maintained above a certain value, and when the thickener is included in an amount exceeding 20% by weight, dispersion of the thickener is difficult.
  • the silicone elast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mproving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and may preferably be in the form of a powder. Specifically, when the cross-linked silicone elastomer powder absorbs the oil, it swells to improv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can stably maintain the composition in a gel type by acting together with a thickener to shape and maintain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above a certain level.
  • silicone elastomer powder can maximize the feeling of use because it has a unique silky and elastic feeling.
  • powders such as silica,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and polymethylsilsesquioxane have a spherical shape and have oil absorption, so they are often used to improve the feeling of use.
  • oil when the oil is absorbed in a large amount, it does not swell and hardens, or when it is mixed with an oil having an oil absorption amount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il absorbed is re-released to reduce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while maintaining the gel property and greatly improves the feeling of use by mixing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with the thickener.
  •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methicone Crosspolymer,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and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 Silica),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 Silica ⁇ Dimethicone, Vinyldimethicone/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thereof.
  •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contains 0.05 to 30% by weight,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 by weight, most preferably 2 to 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can do.
  •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05% by weight, an excessive amount of the thickener should be used. As the powder absorbs an excessive amount of oil, the solubility of the sunscreen in a solid state may decrease, resulting in formulation instability.
  •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particles may be 0.5 to 20 micrometers, preferably 1 to 10 micrometers. It may have excellent oil absorption and formulation stability in the particle size ran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than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ispersing the organic thickener, and may provide a cooling feeling when applied to the skin.
  • ethanol may contain 1 to 80% by weight, preferably 4 to 60% by weight, more preferably 8 to 50% by weight, most preferably 12 to 4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If ethanol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disperse the thickener and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oling sensation when applied to the skin. If it contains more than 80% by weight of ethanol, it is difficult to adhere evenly to the skin due to high volatility, and viscosity retention. This can fall.
  • the o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the organic sunscreen, and can improve the feeling of use and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 the oil is Butyloctyl Salicylate, Dibutyl Adipate,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and Propylene Glycol Dicaprylate.
  • Caprylate/Dicaprate 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 Propylene Glycol Dicaprylate Dicaprylyl Carbonate
  • Propylheptyl Caprylate Di Caprylyl Ether
  • Coco-caprylate/Caprate Ethylhexyl Palmitate, Cyclopentasiloxane, Dimethicone, Disiloxane, Trisiloxane, Ethyl Methicone, Methyl Tr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aprylyl Methicone, Iso Dodecane (Isododecane), Isoeicosane (Isoeicosane), C15-19 Alkane (C15-19 Alkane) and may
  • the oil may contain 1 to 60% by weight, preferably 5 to 40%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30% by weight, most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have. If the oil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solubility of the organic sunscreen cannot be improved,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flexible feeling of use. If the oil is included in excess of 60% by weight, the oil content is excessive and Absorption power is lowered and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may be lowered, such as separation of oil.
  • th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additive having effects such as whitening, antioxidant, wrinkle improvement, moisturizing, etc.,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art, skin conditioning agents, preservatives, fragrances, lubricants, antioxidants, discoloration inhibitors, stabilizers. And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other additives.
  • the functional additive is not limited to the form,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powder type, liquid type, and capsule type.
  • the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additive may be composed of hydrolyzed collagen, adenosine, and the like.
  • the moisturizing functional additive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glycerin, and the like.
  • the whitening functional additive may be composed of oil-soluble licorice extract (Oil Soluble Licorice (Glycyrrihiza) Extract), bisabolol, and niacinamide.
  • Oil-soluble licorice extract Oil Soluble Licorice (Glycyrrihiza) Extract
  • bisabolol bisabolol
  • niacinamide niacinamide
  • the antioxidant functional additive and skin conditioning agent may be composed of Panthenol, Tocopheryl Acetate, Hydroxyacetophenone, and the like.
  • the preservative may be composed of phenoxyethanol, ethylhexylglycerin, or the like.
  • Stabilizers include PEG-10 Dimethicone,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Lauryl PEG-10 Tris (Tri Methylsiloxy) silyl ethyl dimethicone (Lauryl PEG-10 Tris (Trimethylsiloxy) silylethyl Dimethicon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and the like.
  • th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to 60% by weight of organic sunscreen, 0.05 to 20% by weight of thickener, 0.05 to 30% by weight of silicone elastomer powder, 1 to 80% by weight of ethanol, and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may contain 1 to 60% by weight.
  • th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5 to 40% by weight of an organic sunscreen, 0.1 to 8% by weight of a thickener, 0.1 to 10% by weight of silicone elastomer powder, and 4 to 60 of ethano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may contain 5 to 40% by weight and oil.
  • th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issolution stability of the sunscreen agent, maintains water resistance, and can provide a cool and refreshing feeling of use.
  • th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el formulation. Specifically, it may be a gel formulation having a viscosity of 24,000 cP or more, preferably 30,000 cP to 100,000 cP, more preferably 30,000 cP to 80,000 cP.
  •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nd maintain a gel-type formulation due to the mixed use of a thickener and a powder-type silicone elastomer. Specifically, while forming a certain level of viscosity due to the thickener, the silicone elastomer in the powder form swells while absorbing the oil, thereby maintaining a high viscosity.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able viscosity for a long time by mixing and containing polyvinylpyrrolidone and one or more thickeners, and by enabling the maintenance of a complex viscosity due to the swelling action of the silicone elastomer and oil, it is stable and high viscosity for a long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intain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viscosity of a certain value or more, so it has good portability, is easy to reapply, and has high adhesion and persistence to the skin, so it can have an excellent water resistance effect. .
  • 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was prepared using the ingredients shown in Table 1 below.
  • phase A oil was added to phase A to prepare phase B.
  • Ethanol and a thickener were uniformly dispers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n AGI mixer to prepare a C phase.
  • dispersion was performed for 5 minutes at 4000 rpm using a HOMO mixer.
  • thickener while essentially including polyvinylpyrrolidone, additional organic thickeners'hydroxyprop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stearoxyether, polyacrylate crosspolymer-6' , Examples 1 to 6 were prepared by mixing one of the acrylate copolymers, respectively.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Example 4
  • Example 5 Organic sunscreen Ethylhexylmethoxycinnamate 7.0 7.0 7.0 7.0
  • Ethylhexyl salicylate 3.0 3.0 3.0 3.0 3.0 Homosalate 4.0 4.0 4.0 4.0 4.0 4.0 Octocrylene 3.0 3.0 3.0 3.0 3.0 3.0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e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of Table 2 was added to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to prepare Examples 7 to 15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able 3.
  • the components, oil absorption and size of the added silicone elastomer powder are shown in Table 2.
  • the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 the organic sunscreen was dissolved by heating at 80° C. and then cooled to 25° C. to prepare phase A, followed by adding oil to phase A to prepare phase B.
  • Ethanol and a thickener were uniformly dispers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n AGI mixer to prepare a C phase.
  • phase D was prepared by performing dispersion for 5 minutes at 4000 rpm using a HOMO mixer.
  • the second dispersion was performed at 3500 rpm using a HOMO mixer to prepare a phase E. Thereafter, the E phase was added to the D phase, and uniformly dispersed for 3 minutes at 4000 rpm using a HOMO mixer to prepare.
  • Viscosity evaluation of 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1 to 15 was performed and shown in Table 4. Viscos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Brookfield Viscosmeter LVT. It was carried out under conditions of 4 and a spin speed of 6 rpm.
  • Example 2 the state of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is shown in Figure 1, and the form of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8 is shown in Figure 2. Since the viscosity of Example 8 is very high compared to Example 2,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do not flow even if the bottle is tilted and the gel properties are stably maintained.
  • the experimental method is to take 1 mg/cm 2 of the sample of the above example, apply it to the back of the person's hand with a width of 3 cm and a length of 2 cm, as usual, and then evaluate the feeling in the evaluation item in 5 steps as an evaluation scale, The score was given out of 5 points in units of 1 according to the stage. The feeling of use was evaluated by excluding the deviation after obtaining the average value obtained by summing the scores of 10 people.
  • Examples 7 to 15 including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obtained higher scores than Examples 1 to 6 in the overall items.
  • the absorption rate and the feeling of stickiness were evaluated in five stages, as in the above-described feeling evaluation method, and the score was given in units of 1 point according to the stage with a perfect score of 5 points, and the cloudiness wa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 Example 9 69
  • Example 2 28 Example 10 70
  • Example 3 21 Example 11 75
  • Example 4 20 Example 12 77
  • Example 5 29 Example 13
  • Example 6 21 Example 14 71
  • Examples 7 to 15 including silicone elastomer powder have very excellent water resistance compared to Examples 1 to 6. Since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has excellent skin adhesion, is hydrophobic, and does not get wet with water, the water resistance of the composition can be improved when the silicone elastomer powder is included.
  • Comparative example 1 to 6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in which silicone elastomer powder is changed to other ingredients
  •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prepared by changing the silicone elastomer component in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7 to 15 to the components shown in Table 8 below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manufacturing method is It is the same as Examples 7 to 15, and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s shown in Table 9.
  • ingredients in Table 8 ar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s, and'amorphous silica, silica,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polymethylsilsesquioxane' is in the form of a spherical powder, and'dimethicone ⁇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is a silicone gel with high viscosity, and'Trimethylsiloxysilicate' is a silicone resin in powder form.
  • Formulation st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7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and shown in Table 10.
  • Formulation stability is maintained at 25°C, 45°C and CYC (-5°C ⁇ 40°C) by putting each composition in a transparent plastic bottle container, and after 1 month, viscosity change, separation and deodorant according to temperature conditions are observed. It evaluated by doing.
  • compositions of Examples 7 to 15 showed an increase in viscosity within 10%, and it was confirmed that a very stable formulation was maintained without separating or deodorizing components.
  • Comparative Example 1 the formulation was cured by the high oil absorption of the added amorphous silica, so that the formulation was not formed in a gel form.
  • Comparative Example 3 a phenomenon of separation of the formulation was observed along with a rapid increase in viscosity, and in Comparative Example 4, a separation phenomenon occurred and a peculiar odor was felt in the formulation when long-term storage for 3 weeks or more.
  • Comparative Example 5 during manufacture, when the A+B+C phase and the D phase were mixed, the viscosity decreased, and the formulation was not maintained and separated. It is expected that the organic sunscreen and oil having a high polarity affect the swelling degree of the non-polar silicone elastomer gel, thereby completely inhibiting the viscosity-forming ability.
  • Comparative Example 6 a separation phenomenon occurred during long-term storage, and a peculiar odor was felt.
  • Comparative Examples 1 and 5 the feeling of use was not evaluated because the formulation was not completed. Comparative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6 all received poor evaluation in common stickiness, and in particular Comparative Example 6 can be confirmed that the overall feeling of use is not g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실리콘 엘라스토머, 에탄올 및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백탁 현상이 없고 사용감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자외선의 지표도달 양이 증가되어 자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관심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여름이나 스포츠, 레저 활동 시에만 자외선 차단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자외선 차단의 필요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로 인해 한국도 아열대 기후로 변하면서 소비자들이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의 선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제품은 크림, 로션, 케익, 스틱 및 파우더 타입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오일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 및 에몰리언트를 단단한 고체 형태로 굳힌 선스틱 제품은 투명한 피부표현과 휴대성, 덧바름성이 우수하여 소비자들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 선스틱 제품의 경우, 오일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사용 후 번들거림이나 끈적임이 느껴지고 굴곡진 피부 위에는 바르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틱 제형으로 제조 시 물이 함유되지 않거나 미량 함유되기 때문에, 여름철 피부에 도포 시 쿨링감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저점도의 오일 제형으로 제조시에는 번들거림이나 끈적거림이 심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고, 표면장력이 낮아 화장품 용기에 적용 시, 용기 틈 사이로 누액이 발생하여 저장성 및 휴대성에 관한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는 다량의 유화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물에 닿으면 재유화 되면서 하얗게 밀키화되는 백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백탁 현상이 없고 사용감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실리콘 엘라스토머, 에탄올 및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파우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다이메티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증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증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카보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비닐알코올,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옥토크릴렌, 폴리실리콘-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4-메칠벤질리덴캠퍼, 벤조페논-3,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다이부틸아디페이트,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다이메티콘, 다이실록세인, 트라이실록세인, 에틸메티콘, 메틸트라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아이소도데케인, 아이소에이코산, C15-19알케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1~60중량%, 점증제 0.05~20중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0.05~30 중량%, 에탄올 1~80중량% 및 오일 1~60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5~40중량%, 점증제 0.1~8중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0.1~10 중량%, 에탄올 4~60중량% 및 오일 5~40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파우더 입자의 입경이 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젤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24,000cP 이상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30,000 내지 100,000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젖은 피부에 도포할 경우에도 재유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 점증제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의 혼합 사용으로 인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점도가 유지되며, 젤 타입으로 발림성이 좋고 덧바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끈적이거나 번들거리지 않으며,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부착성 및 지속성이 높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우수한 내수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 2의 조성물 제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8의 조성물 제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실리콘 엘라스토머, 에탄올 및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각 구성 성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 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4-메칠벤질리덴캠퍼(4-Methylbenzylidene Camphor), 벤조페논-3(Benzophenone-3),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Disodium Phenyl Dibenzimidazole Tetrasulfon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3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알갱이 형태로 석출되거나 끈적이는 등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0 ~ 20.0 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2.0 ~ 15.0 중량%, 호모살레이트 0.1 ~ 15.0 중량%, 옥토크릴렌 0.1 ~ 12.0 중량%, 폴리실리콘-15 0.1 ~ 10.0 중량%,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0.1 ~ 20.0 중량%, 에칠헥실트리아존 0.1 ~ 10.0 중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 ~ 10.0 중량%,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1 ~ 10.0 중량%,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1 ~ 10.0 중량%, 4-메칠벤질리덴캠퍼 0.1 ~ 4.0 중량%, 벤조페논-3 0.1 ~ 5.0 중량%,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0.1 ~ 8.0 중량%,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0.1 ~ 15.0 중량%,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0.1 ~ 10.0 중량%,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0.1 ~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점증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PVP)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점증 효과가 매우 큰 점증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증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외에 1종 이상의 점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단독으로는 장기간 점도 유지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 성분과의 상용성이 좋으면서도 에탄올 분산상에서 점도 유지력이 좋은 별도의 점증제를 추가하여, 조성물의 점도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혼합될 수 있는 점증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Stearoxy Eth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카보머(Cabomer),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13(Polyacrylate-13),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Polyacrylate Crosspolymer-11),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 Copolym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4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를 0.05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점도가 일정 값 이상 유지되지 못하여 젤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점증제를 20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증제의 분산이 어렵다.
본 발명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파우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교 결합되어 있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가 오일을 흡유하면 팽윤되면서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는 점증제와 함께 작용하여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형상 및 유지시킴으로써, 조성물을 젤 타입으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는 특유의 실키함 및 탄성감을 보유하고 있어, 사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실리카(Silica),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Polymethylsilsesquioxane) 등의 파우더가 구형의 형태를 띄고 있으면서 오일 흡유력이 있어 사용감 개선을 위해 많이 사용되지만, 오일을 다량 흡유하면 팽윤되지 않고 경화되거나, 흡유량 이상의 오일과 함께 배합할 경우, 흡유했던 오일이 재방출되어 제형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증제와 함께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혼합함으로써, 젤 성상을 유지시키면서 제형의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감을 크게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는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Silica),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다이메티콘(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Silica·Dimethicone),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Vinyldimethicone/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6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0.05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증제를 과량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사용감이 끈적거리고, 점증제의 분산이 어려우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30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가 오일을 과량 흡유하면서 고체 상태의 자외선 차단제 용해성을 떨어뜨려 제형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입자의 입경은 0.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자 크기 범위에서 우수한 흡유력 및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에탄올은 유기 점증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 도포 시 쿨링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탄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4~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2~4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에탄올을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증제의 분산이 어렵고 피부 도포 시 쿨링감을 제공하지 못하며, 에탄올을 8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높은 휘발성으로 피부에 고르게 부착되기 어렵고, 점도 유지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조성물의 사용감 및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은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다이부틸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Propylheptyl Caprylate), 다이카프릴릴에터(Dicaprylyl Ether),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에틸헥실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다이실록세인(Disiloxane), 트라이실록세인(Trisiloxane), 에틸메티콘(Ethyl Methicone), 메틸트라이메티콘(Methyl Trimethicone), 페닐트라이메티콘(Phenyl Trimethicone), 카프릴릴메티콘(Caprylyl Methicone),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 아이소에이코산(Isoeicosane), C15-19알케인(C15-19 Alk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5~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용해성을 높여주지 못하며 유연성있는 사용감의 구현이 어렵고, 오일을 6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분이 과다하여 사용감 및 흡수력이 저하되며, 오일이 분리되는 등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백,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등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첨가제, 피부컨디셔닝제, 방부제, 향료, 윤활제, 산화 방지제, 변색 방지제, 안정화제 및 기타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파우더 타입, 액상타입, 캡슐 타입 등의 다양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개선 기능성 첨가제로는 가수 분해된 콜라겐, 아데노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습 기능성 첨가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백 기능성 첨가제로는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ihiza) Extract), 비사보롤(Bisabolol),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항산화 기능성 첨가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는 판테놀(Pantheno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정화제는 피이지-10다이메티콘(PEG-10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Lauryl PEG-10 Tris(Trimethylsiloxy)silyl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피부 기능성 첨가제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1~60중량%, 점증제 0.05~20중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0.05~30중량%, 에탄올 1~80중량% 및 오일 1~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5~40중량%, 점증제 0.1~8중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0.1~10 중량%, 에탄올 4~60중량% 및 오일 5~4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 성분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경우, 자외선 차단제의 용해 안정성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유지되며 시원하면서도 청량감 있는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젤 제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4,000cP 이상의 점도, 바람직하게는 30,000cP 내지 100,000cP의 점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cP 내지 80,000cP의 점도를 가지는 젤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증제 및 파우더 형태의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혼합 사용으로 인하여 젤 타입의 제형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증제로 인해 일정 수준의 점도를 형성하면서, 파우더 제형의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오일을 흡유하면서 팽윤되어 높은 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하나 이상의 점증제를 혼합 함유함으로써 장기간 안정적인 점도를 형성하고,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오일의 팽윤 작용으로 인하여 복합적인 점도 유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기간 안정적이고 높은 점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정한 값 이상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 용기에 대한 제한이 없어 휴대성이 좋으며, 덧바름이 용이하고, 피부에 대한 부착성 및 지속성이 높아 우수한 내수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80℃에서 가온 용해 후 25℃로 냉각시켜 A상을 제조한 이후, 오일을 A상에 첨가하여 B상을 제조하였다. 에탄올, 점증제를 AGI 믹서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균일하게 분산을 실시하여 C상을 제조하였다. C상에 B상을 투입 후, HOMO 믹서를 이용하여 4000rpm에서 5분간 분산을 실시하였다.
이때, 점증제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필수로 포함하면서, 추가로 유기 점증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중 하나를 각각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6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유기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3.0 3.0 3.0 3.0
호모살레이트 4.0 4.0 4.0 4.0 4.0 4.0
옥토크릴렌 3.0 3.0 3.0 3.0 3.0 3.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0 1.0 1.0 1.0 1.0 1.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2.0 2.0 2.0 2.0 2.0 2.0
오일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6.5 6.0 6.0 6.0 6.0 6.0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14.0 14.0 14.0 14.0 14.0 14.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0 1.0 1.0 1.0 1.0 1.0
에탄올 에탄올 45.0 45.0 45.0 45.0 45.0 45.0
점증제 폴리비닐피롤리돈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 0.5 - - -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 0.5 - -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 - - - 0.5 - -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 - - - 0.5 -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 - - - - 0.5
실시예 7 내지 15: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에 하기 표 2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첨가하여 표 3의 조성비에 따라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를 제조하였다. 추가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의 성분, 흡유력 및 크기는 표 2와 같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80℃에서 가온 용해 후 25℃로 냉각시켜 A상을 제조한 이후, 오일을 A상에 첨가하여 B상을 제조하였다. 에탄올, 점증제를 AGI 믹서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균일하게 분산을 실시하여 C상을 제조하였다. C상에 B상을 투입 후, HOMO 믹서를 이용하여 4000rpm에서 5분간 분산을 실시하여 D상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AGI 믹서로 1차 분산 후, HOMO 믹서를 이용하여 3500rpm에서 2차 분산을 실시하여 E상을 제조하였다. 이후, D상에 E상을 투입하고, HOMO 믹서를 이용하여 4000rpm에서 3분간 균일하게 분산을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성상 성분 흡유력(ml/100g) 크기(um)
파우더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120-150 1-10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200-250 1-10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50-70 1-10
구분 성분(중량%)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유기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7.0 7.0 7.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3.0
호모살레이트 4.0 4.0 4.0 4.0 4.0 4.0 4.0 4.0 4.0
옥토크릴렌 3.0 3.0 3.0 3.0 3.0 3.0 3.0 3.0 3.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2.0 2.0 2.0 2.0 2.0 2.0 2.0 2.0 2.0
오일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10.0 8.0 6.0 10.0 8.0 6.0 10.0 8.0 6.0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6.0 4.0 2.0 6.0 4.0 2.0 6.0 4.0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에탄올 에탄올 45.0 45.0 45.0 45.0 45.0 45.0 45.0 45.0 45.0
점증제 폴리비닐피롤리돈 3.5 3.5 3.5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0.5 0.5 0.5
실리콘 엘라스토머 다이메티콘 12.0 14.0 16.0 12.0 14.0 16.0 12.0 14.0 16.0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2.0 4.0 6.0 - - - - - -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 - - 2.0 4.0 6.0 - - -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 - - - - - 2.0 4.0 6.0
실험예 1: 점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점도 평가를 실시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은 Brookfield Viscosmeter LVT 를 사용하여 스핀들 No. 4 및 스핀속도 6rpm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구분 점도(cP) 구분 점도(cP)
실시예1 24,000 실시예9 53,000
실시예2 26,000 실시예10 55,000
실시예3 26,000 실시예11 70,000
실시예4 24,000 실시예12 87,000
실시예5 25,000 실시예13 30,000
실시예6 25,000 실시예14 33,000
실시예7 34,000 실시예15 40,000
실시예8 46,000
상기 표 4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 단독 사용한 실시예 1 보다는 점증제를 혼합 사용한 경우(실시예 2 내지 6)의 경우 점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실시예 1 내지 6) 점도가 약 24,000 내지 26,000cP인데 반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첨가한 경우(실시예 7 내지 15) 점도가 약 30,000cP 이상으로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실시예 2의 조성물의 제형의 모습을 도 1에 도시하고, 실시예 8의 조성물의 제형의 모습을 도 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8의 점도가 실시예 2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에, 병을 기울여도 내용물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젤 성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20~30대 남성 및 여성 각각 3명, 7명에게 부착속도, 광택감, 번들거림 및 끈적임 항목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시예 샘플을 1mg/㎠씩 취하여, 측정인의 손등에 가로 3㎝, 세로 2㎝ 넓이로 평소 화장 습관대로 도포하도록 한 후 평가 항목에 느낌을 평가 척도로서 5단계로 평가하고, 점수는 5점 만점으로 단계에 따라 1점 단위로 부여하였다. 사용감은 10명의 점수를 합산한 평균값을 구한 뒤 편차를 제외한 값으로 평가하였다.
<평가항목>
-부착속도 : 부착속도가 빠를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광택감 : 광택감이 낮을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번들거림 : 번들거림이 낮을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끈적임 : 끈적임이 없고 산뜻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구분 부착속도 광택감 번들거림 끈적임
실시예1 4.2 2.2 2.4 1.9
실시예2 4.5 2.3 2.8 1.9
실시예3 4.4 1.5 2.8 2.2
실시예4 3.9 1.9 2.5 2.0
실시예5 3.5 2.0 2.4 1.7
실시예6 4.2 2.1 2.0 1.5
실시예7 4.3 4.0 4.4 4.5
실시예8 4.4 4.2 4.6 4.4
실시예9 4.3 4.7 4.6 4.4
실시예10 4.2 4.5 4.7 4.7
실시예11 4.6 4.5 4.9 4.9
실시예12 4.6 4.8 5.0 4.9
실시예13 4.5 4.3 4.2 4.5
실시예14 4.4 4.2 4.2 4.7
실시예15 4.4 4.6 4.6 4.7
1: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 4: 좋다 5: 매우 좋다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포함하는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가 전체적인 항목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비해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는 번들거림 및 끈적임 항목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으나,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흡수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에 따른 조성물에 대하여 물에 젖은 피부에 대한 흡수력을 평가하기 위해 20~30대 남성 및 여성 각각 3명, 7명에게 흡수속도, 끈적임 항목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방법은 상기 사용감 평가 방법과 동일하게 흡수속도 및 끈적임에 대한 느낌을 5단계로 평가하고, 점수는 5점 만점으로 단계에 따라 1점 단위로 부여하였으며, 백탁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항목>
-흡수속도 : 흡수속도가 빠를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끈적임 : 끈적임이 없고 산뜻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구분 흡수속도 끈적임 백탁 현상
실시예1 4.5 3.5 X
실시예2 4.2 3.8 X
실시예3 4.3 3.6 X
실시예4 4.0 3.5 X
실시예5 4.0 3.2 X
실시예6 4.4 3.4 X
실시예7 4.3 4.3 X
실시예8 4.2 4.4 X
실시예9 4.4 4.5 X
실시예10 4.6 4.9 X
실시예11 4.5 4.8 X
실시예12 4.9 4.8 X
실시예13 4.3 4.3 X
실시예14 4.3 4.3 X
실시예15 4.6 4.6 X
1: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 4: 좋다 5: 매우 좋다
그 결과, 모든 실시예에서 백탁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에서 흡수속도 및 끈적임 효과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험자 관찰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젖은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조성물이 흡수되지 못하여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횟수가 잦았으며, 흡수 후에도 끈적임이 많아 사용감 평가 결과가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의 조성물을 젖은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특유의 부드러운 감촉에 기인하여 끈적임이 없고 산뜻한 느낌을 부여하여 사용감 평가 결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내수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내수성 평가를 수행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내수성 측정을 위하여, PMMA 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의 샘플 1.3mg/㎠ 씩 취한 후, 약 30초 동안 발라 도포한 후, 15분 동안 암실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샘플을 Labsphere UV 2000S In Vitro SPF Analyser를 이용하여 침수 전 SPF를 측정하였다. 물이 든 비커에 마그네틱바를 이용하여 교반시키면서 상기 플레이트를 20분씩 2번 침수시켰다. 암실에서 2분 동안 건조한 다음, 침수 후 SPF를 측정하여 침수 전, 후의 SPF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유지력을 계산하였다.
구분 자외선 차단 유지력(%) 구분 자외선 차단 유지력(%)
실시예1 23 실시예9 69
실시예2 28 실시예10 70
실시예3 21 실시예11 75
실시예4 20 실시예12 77
실시예5 29 실시예13 69
실시예6 21 실시예14 71
실시예7 66 실시예15 74
실시예8 65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포함하는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비해 내수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는 피부 부착성이 뛰어나고, 소수성이며, 물에 잘 젖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6: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다른 성분으로 변경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의 조성물에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을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기 표 8의 성분으로 변경하여 비교예 1 내지 6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와 동일하며, 각 성분의 함량은 표 9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 8의 성분들은 통상적으로 화장품에서 많이 사용되는 성분들로서, '무정형실리카, 실리카,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은 구상의 파우더 형태이며, '다이메티콘·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는 고점도의 실리콘 겔이고,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는 실리콘 레진으로 파우더 형태이다.
성상 성분 흡유력(ml/100g) 크기(um) 점도(cP)
파우더 무정형실리카 350-400 2-5 -
실리카 200-250 1-10 -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00-150 1-10 -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50-70 1-10 -
다이메티콘·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 - 1.8×105- 2.0×105
파우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 1-10 -
구분 성분(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5 비교예5 비교예6
유기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3.0 3.0 3.0 3.0
호모살레이트 4.0 4.0 4.0 4.0 4.0 4.0
옥토크릴렌 3.0 3.0 3.0 3.0 3.0 3.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0 1.0 1.0 1.0 1.0 1.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2.0 2.0 2.0 2.0 2.0 2.0
오일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9.0 10.0 10.0 10.0 10.0 10.0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5.0 6.0 6.0 6.0 6.0 6.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0 1.0 1.0 1.0 1.0 1.0
에탄올 에탄올 45.0 45.0 45.0 45.0 45.0 45.0
점증제 폴리비닐피롤리돈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성분변경 다이메티콘 13.0 10.0 10.0 10.0 - 10.0
무정형실리카 3.0 - - - - -
실리카 - 4.0 - - - -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 - 4.0 - - -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 - - 4.0 - -
다이메티콘(80)·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20) - - - - 14.0 -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 - - - - 4.0
비교 실험예 1: 제형 안정도 평가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제형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제형 안정도는 각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병 용기에 담아 25℃, 45℃ 및 CYC(-5℃~40℃) 온도를 유지하고, 1개월이 경과한 후 온도조건에 따른 점도변화, 분리, 변취를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구분 점도변화 분리 변취
실시예7 X X X
실시예8 X X X
실시예9 5℃ 조건에서 3% 점도 상승 X X
실시예10 X X X
실시예11 X X X
실시예12 5℃ 조건에서 6% 점도 상승 X X
실시예13 X X X
실시예14 X X X
실시예15 5℃ 조건에서 3% 점도 상승 X X
비교예1 - - -
비교예2 25℃, 45℃ 조건에서 40% 점도 상승 CYC 조건에서 분리 X
비교예3 25℃, 45℃ 조건에서 40% 점도 상승 CYC 조건에서 분리 X
비교예4 X 45℃, CYC 조건에서 분리 특이취
비교예5 - - -
비교예6 X 전 조건에서 분리 특이취
그 결과,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의 조성물은 10% 이내 수준의 점도 상승을 보였으며, 성분이 분리되거나 변취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제형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 첨가된 무정형 실리카의 높은 흡유력에 의해 제형이 경화되어 제형이 젤 형태로 형성되지 못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0 내지 12에 적용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와 유사한 흡유력을 가진 실리카를 사용하였지만,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와 다르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하게 점도가 상승되었고, 변화되는 온도 조건 하에서는 오일이 다시 방출되어 분리 현상이 발생되었다.
비교예 3은 급격한 점도 상승과 함께 제형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고, 비교예 4는 분리현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3주 이상 장기 보관 시 제형에서 특이취가 느껴졌다. 비교예 5는 제조하는 도중, A+B+C상과 D상이 혼합될 때 점도가 하락되었고, 결국 제형이 유지되지 못하고 분리되었다. 이는, 극성도가 높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이, 비극성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겔의 팽윤도에 영향을 미쳐, 점도 형성 능력을 완전히 저해시킨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예 6은 장기 보관 시 분리현상이 발생되었고, 특이취가 느껴졌다.
비교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상기 실험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사용감을 테스트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부착속도 광택감 번들거림 끈적임
비교예1 - - - -
비교예2 3.5 2.5 2.4 2.3
비교예3 3.2 2.9 2.6 2.6
비교예4 3.4 2.1 2.7 1.9
비교예5 - - - -
비교예6 3.8 2.2 2.0 1.1
1: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 4: 좋다 5: 매우 좋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5는 제형이 완성되지 못하여 사용감 평가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 및 비교예 6은 모두 공통적으로 끈적임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고, 특히 비교예 6은 전체적으로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실리콘 엘라스토머, 에탄올 및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파우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다이메티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에터,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카보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비닐알코올,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옥토크릴렌, 폴리실리콘-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4-메칠벤질리덴캠퍼, 벤조페논-3,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다이부틸아디페이트,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다이메티콘, 다이실록세인, 트라이실록세인, 에틸메티콘, 메틸트라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아이소도데케인, 아이소에이코산, C15-19알케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1~60중량%, 점증제 0.05~20중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0.05~30 중량%, 에탄올 1~80중량% 및 오일 1~60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5~40중량%, 점증제 0.1~8중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0.1~10 중량%, 에탄올 4~60중량% 및 오일 5~40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파우더 입자의 입경이 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4,000cP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0,000 내지 100,000cP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9/014397 2019-04-03 2019-10-29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20429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06177.3A CN112512496A (zh) 2019-04-03 2019-10-29 防紫外线用化妆品组合物
US16/769,456 US20210251876A1 (en) 2019-04-03 2019-10-29 Uv protection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62 2019-04-03
KR1020190039162A KR102012161B1 (ko) 2019-04-03 2019-04-03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293A1 true WO2020204293A1 (ko) 2020-10-08

Family

ID=6780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397 WO2020204293A1 (ko) 2019-04-03 2019-10-29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51876A1 (ko)
KR (1) KR102012161B1 (ko)
CN (1) CN112512496A (ko)
WO (1) WO2020204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161B1 (ko) *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8277B1 (ko) * 2020-04-27 2020-08-26 한국콜마주식회사 이종의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0447B1 (ko) 2020-05-13 2022-11-24 유정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KR102641181B1 (ko) * 2023-08-09 2024-02-28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크림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151A (ko) * 2004-11-04 2006-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940A (ko) * 2010-11-30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3989A (ko) * 2011-04-27 2014-02-27 아이에스피이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팃드 투명 습윤 스프레이 및 젤
KR20140060006A (ko) * 2012-11-09 2014-05-19 (주)아모레퍼시픽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9844B1 (ko) * 2014-10-16 2016-09-3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2161B1 (ko) *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R2976178B1 (fr) * 2011-06-09 2013-09-27 Oreal Creme anhydre solaire comprenant un organopolysiloxane elastomere non emulsionnant, un agent matifiant, un epaississant organique non silicone d'huile
US9526925B2 (en) * 2012-05-17 2016-12-27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Viscous alcohol-containing sunscreen compositions
US20150202145A1 (en) * 2014-01-21 2015-07-23 Md Solarciences Corp. Sunscreen composition with improved aesthetic properties
CA3063190C (en) * 2017-05-11 2023-02-21 Beiersdorf Ag Gel sunscreens comprising octyldodecyl/glyceryl hydroxy stearate dimethicone copolymer and fumed silica
KR101798024B1 (ko) * 2017-06-29 2017-11-16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151A (ko) * 2004-11-04 2006-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940A (ko) * 2010-11-30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3989A (ko) * 2011-04-27 2014-02-27 아이에스피이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팃드 투명 습윤 스프레이 및 젤
KR20140060006A (ko) * 2012-11-09 2014-05-19 (주)아모레퍼시픽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9844B1 (ko) * 2014-10-16 2016-09-3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2161B1 (ko) *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2496A (zh) 2021-03-16
US20210251876A1 (en) 2021-08-19
KR102012161B1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4293A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57862A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6258347B1 (en) Film-forming silicone composition and toiletry composition containing same
WO2018044003A1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04596A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15012424A1 (ko)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BRPI0820166B1 (pt) composição dispersa em água absorvedora de ultravioleta, e, cosmético
WO2017175981A1 (ko)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035213A1 (ko)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34150A1 (ko)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24572A1 (ko) 실리콘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
WO2020071643A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21228A1 (ko) 이종의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46704A1 (ko)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59580A1 (ko)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17090974A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034121A1 (ko)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114466A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WO2023085677A1 (ko)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162408A1 (ko) 수분산 오일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51566A1 (ko) 무기 점증제 및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03194A1 (ko) 올레아놀릭산 및 살비아놀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33414A1 (ko) 유효 성분의 포집력이 우수한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WO2017119728A1 (ko)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093774A2 (ko) 포스포릴콜린 단위체를 함유하는 가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34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34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