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85677A1 -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85677A1
WO2023085677A1 PCT/KR2022/016976 KR2022016976W WO2023085677A1 WO 2023085677 A1 WO2023085677 A1 WO 2023085677A1 KR 2022016976 W KR2022016976 W KR 2022016976W WO 2023085677 A1 WO2023085677 A1 WO 20230856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psule
composition
pigment
solven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69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준환
김지선
김수혜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856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856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pigments are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to show various colors or to cover blemishes, irregularities, and the like of the skin.
  • lip tints, lip glosses, lip balms, lipsticks, etc. where the color of the pigments must be clearly revealed, contain a large amount of organic pigments.
  • organic dyes have a problem in that solubility and color development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solvent us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1489 0.000001 to 90% by weight of at least one pigment among dyes and organic pigments; 0.000001 to 90% by weight of inorganic pigment; 1 to 30% by weight of an organic acid including tricarboxylic acid having 3 to 9 carbon atoms and lactic acid; and 1 to 90% by weight of a polymer binder; and a pigment-carrying capsu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a capsul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the capsul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gment dissolved in a solvent as a polymer shell, but the stability of the capsule is good, excellent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can be realized, and it does not contain irritants such as acids, so it is safe for the skin, and the capsule composition and its containing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compositions that do.
  • a first object is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including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pigment; And to provide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comprising a solvent.
  • a second object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which includes the capsule composition, has a stable formulation, excellent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and visual effects according to color reversal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to the skin.
  •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including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pigment; And it provides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containing a solvent.
  • the capsule composition may include 0.01 to 3.0% by weight of the pigment, 50.0 to 80.0% by weight of the solvent, and 1.0 to 12.0% by weight of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psule composition.
  • the solvent may include diisopropyl sebacate.
  • the capsul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ubilizing agen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e seed oil, meadowfoam seed oil, avocado oil, sorbitol, maltitol,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 a solubilizing agen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e seed oil, meadowfoam seed oil, avocado oil, sorbitol, maltitol,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 Another asp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apsul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 the capsul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contains a capsule in which a pigment dissolved in a solvent is collected by a shell formed of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and may have excellent capsule stability.
  • excellent capsule stability may mean that a pigment dissolved in a solvent may be stably collected therein while forming a capsule, and the capsule may maintain a stable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 the pigment is dissolved inside the capsule and collected in a transparent state before application to the skin, and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to the skin, the capsule is broken and the pigm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excellent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can be realized. there is.
  • the visual effect by color inversion is good, so consumers' preference can be increased.
  • the capsule composition of one aspect may be safe for the skin because it does not contain ingredients that may cause irritation to the skin, such as an acidic substanc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one aspect not only has excellent properties as a cosmetic composition with a stable formulation and good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but also improves consumer preference due to the visual effect caused by color inversion.
  • Example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in Experimental Example 1 (1).
  • Example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in Experimental Example 1 (1).
  • Example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in Experimental Example 1 (2).
  • Exampl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psule composition of Example 1 observed under an electron microscop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Example 6 is a view showing evaluation of the color development of the capsule composition of Example 5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3;
  • a and/or B means A or B, or A and B.
  • One aspect provides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including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pigment; And it provides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containing a solvent.
  • the pigment and the solvent may be trapped inside the capsular film forming agent.
  • the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is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containing a pigment, a solvent and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wherein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is acrylates / 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rylates / 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bu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pigment dissolved in the solvent is collected as a shell formed of the capsular film forming agent.
  •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is acrylates / 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rylates / 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bu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pigment dissolved in the solvent is collected as a shell formed of the capsular film forming agent.
  • the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is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containing a pigment, a solvent and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wherein the solvent includes diisopropyl sebacate (Diisopropyl Sebacate),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 the solvent includes diisopropyl sebacate (Diisopropyl Sebacate)
  •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A shell containing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pigments dissolved in the solvent are collected as a shell formed by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a capsule in which a pigment dissolved in a solvent is collected by a shell formed of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and the capsule can be stably manufactured and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after manufacturing, so that the capsule stability is improved. can be excellent
  • the pigment before application to the skin, the pigment is collected in a solvent-dissolved form inside the capsule, and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to the skin, the capsule is broken and the pigm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resulting in excellent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 a visual effect by color reversal in which various colors are developed by pigments in a transparent state.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be safe for the skin as it does not contain ingredients that may cause irritation to the skin, such as an acidic substance.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pigm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igment, and the pig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pplicable to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dye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 27 (CI 45410: 1) and RED 21 (CI 45380: 2).
  • the dye may include RED 27 and RED 21, and when both of the two dyes are included, color development may be more excell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0.01 to 3.0%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2.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0.02 to 1.0% by weight of the pigm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psule composition.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0.02 to 1.0% by weight of the pigm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capsule stability, color development, coloring strength, and visual effects due to color reversal may be more excell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ontains less than 0.01% by weight of the pigm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color expression itself is not sufficient, and thus it may be difficult to use it as a color cosmetic composition.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more than 3.0% by weight of the pigm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pigment is not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solvent, or the pigment not captured in the capsule remains during the capsule manufacturing process. Since the surface of the surface is not smooth, unstable problems may occur. That is, capsule stability,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are lower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visual effects by color inversion.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solv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contain a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 pigment.
  • the solvent may include diisopropyl sebacate (Diisopropyl Sebacate), and in this case, capsule stability may be good, and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may be excellent.
  • capsule stability may be good, and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may be excellent.
  • the solvent is diisopropyl sebacate (Diisopropyl Sebacate), and in this case, the capsule stability,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are more than in the case of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stead of diisopropyl sebacate (Diisopropyl Sebacate) as the solvent. And the visual effect by color inversion can be remarkably excell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50.0 to 80.0% by weight, specifically 55.0 to 75.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60.0 to 70.0% by weight of the solv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psule composition.
  • capsule stability, coloring power, coloring power, and visual effects due to color reversal may be more excellent.
  • the pigment may not be sufficiently dissolved, and as a result, the stability, coloring power, coloring power, and visual effect of the color reversal of the capsule may be deteriorated. may be lowered
  • the pigment when the pigment is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solvent, it exhibits a transparent color and can implement a visual effect according to color inversion according to capsule destruction. Color appears, and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a color reversal effect due to capsule destruction.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more than 80.0% by weight of the solv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capsule itself may not be stably formed.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psule film forming agent, and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may form a capsule by forming a shell that collects a solvent in which a pigment is dissolved therein.
  •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nd in this case, capsule stability may be excell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1.0 to 12.0% by weight, specifically 1.5 to 11.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2.0 to 10.0% by weight of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psule composition.
  • the capsule stability, coloring power, coloring power, and visual effect by color reversal may be more excell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ontains less than 1.0% by weight or more than 12.0% by weight of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capsule itself.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olubilizing ag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olubilizing agent so that the pigment can be stably dissolved in a solvent, thereby improving capsule stability, color development, coloring strength, and visual effects by color reversal.
  • the dissolution aid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e seed oil, meadowfoam seed oil, avocado oil, sorbitol, maltitol,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 the solubilizing ag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grapeseed oil, meadowfoam seed oil, and sorbitol.
  • the pigment is effectively dissolved in the solvent, so that the capsule stability, color development, coloring strength, and visual effect by color reversal are further improved. can be improved
  • the solubilizing ag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grape seed oil, meadowfoam seed oil, and sorbitol in a weight ratio of 1: 10 to 15: 1 to 5, in which case, the pigment is more effectively dissolved in the solvent, encapsulating the capsule. Stability, coloring power, coloring power, and visual effects by color reversal can be remarkably improved.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3.0 to 6.0% by weight, specifically 3.5 to 5.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4.0 to 5.0% by weight of the solubiliz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psule composition.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xample includes 4.0 to 5.0 wt% of the solubiliz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capsule stability, color development, coloring power, and visual effect by color reversal may be more excelle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ontains less than 3.0% by weight of the solubiliz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olubility of the pigment may be insignificant.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more than 6.0% by weight of the solubiliz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the capsule may not be stably formed, and thus, color development, coloring strength, and visual effects due to color reversal may not be sufficiently implemented. there is.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sidual amount of water.
  • the water can form a shell by the capsule wall forming agent when each component is mixed.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reservat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rvative may include 1,2-hexanedi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apsule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skin by itself or may be mixed with other additives or excipients and applied to the skin.
  • Another asp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smetic capsule composition.
  • a pigment in another embodiment, a pigment; A solvent containing diisopropyl sebacate (Diisopropyl Sebacate); And an 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wherein the pigment dissolved in the solvent is collected by the shell formed from the capsule film forming agent.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psule composition formed in a form.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has excellent properties as a cosmetic composition with stable formulation and good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power, and consumers' preference can be improved due to the visual effect caused by color inversion. .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0.1 to 90.0% by weight, specifically 1.0 to 50.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1.0 to 30.0% by weight of the capsule composi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for lips.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lips may be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stick, lip tint, lip gloss, lip balm and lip mark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water, surfactant, emulsifier, emulsifier, silicone polymer, pigment, colorant, fragrance, preservative, bactericide, oxidation stabilizer, organic solvent, softener, antioxidant, free radical destroyer, opacifying agents, stabilizers, emollients, antifoaming agents, humectants, vitamins, insect repellents, preservatives, anti-inflammatory agents, fillers, polymers, propellants, basicizing agents, acidifying agents, colorants, thickening agents, skin conditioning agents, whitening agents, antioxidants, anti-wrinkle agents and It may further include one additive or excipi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lubiliz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capsule composition containing a capsule was prepared by mixing each component.
  • tint pigment (RED21,27) and diisopropyl sebacate are mixed, heated and stirred (temperature: 50 ⁇ 80 °C, stirring speed: 200 ⁇ 500 rpm) to dissolve the solution, acrylate / C10- 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nd water were added, followed by heating and stirring (temperature: 80° C. or higher, stirring speed: 2,000 to 3,000 rpm) to perform O/W emulsification.
  • a capsule composition containing capsules was prepared by mixing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able 2 [unit: weight%].
  • the manufacturing method was the same as in Example 1, but it was prepared by adding a dissolving aid together with a tint pigment.
  • Example 2 refers to a case in which only grape seed oil is included.
  • Example 2 Example 3
  • Example 4 Example 5
  • Example 6 Example 7 grapeseed oil One - - One One
  • Example 1 Diisopropyl Sebacate Comparative Example 1 Diglyceryl Triisostearate Comparative Example 2 Cetyl PG/PPG-10/1 Dimethicone Comparative Example 3 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Comparative Example 4 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5 Comparative Example 6 Comparative Example 7 Comparative Example 8 Comparative Example 9 Comparative Example 10 Red 27, Red 21 0.001 5.0 0.5 0.5 0.5 0.5 Diisopropyl Sebacate 70.0 70.0 45.0 85.0 70.0 70.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5.0 5.0 5.0 5.0 0.1 15.0 1,2-hexanediol 2.5 2.5 2.5 2.5 2.5 2.5 2.5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FIGS. 1 and 2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results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sequentially.
  •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which do not follow this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pigment is in an opaque state when dissolved in a solvent, and the color is not properly expressed even when in contact with the object.
  • Comparative Examples 2 and 4 since the color is expressed immediately after the pigment is dissolved in the solvent, it can be seen that a clear color is expressed even when contacting the object.
  • Example 1 was enlarged and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BX53 of OLYMPUS) is shown in FIG. 4, and the capsul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6 was enlarged and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is shown in FIG. .
  • the pigment is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solvent and collected in the capsule (partially transparent except for the capsule), thereby forming a stable capsule.
  • the surface of the capsule is not smooth and non-uniform, and residual pigments not captured in the capsule are observed (partially opaque except for the capsule), indicating that the capsule is in an unstable state.
  • the stability of the capsule is excellent even when left at a high temperature for about 3 weeks or more.
  • Example 5 including grape seed oil, meadowfoam seed oil, and sorbitol oil in a weight ratio of 1: 10 to 15: 1 to 5 as dissolving aids, it can be seen that the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s is further improved.
  • the color development and coloring strength may be excellent.
  • Example 5 maintains a transparent state befo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left), and th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right), the capsule bursts and develops col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일 양상은 색소;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를 포함하는 용매;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캡슐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캡슐 조성물로서, 캡슐의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는 캡슐 내부에 색소가 포집되어 있다가,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캡슐이 깨져 색소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우수한 발색력 및 착색력을 구현할 수 있고, 색 반전에 의한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캡슐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일 양상은 상기된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형이 안정하고, 발색력 및 착색력이 우수하면서도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에는 다양한 색을 나타내거나, 피부의 잡티, 요철 등의 커버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색소가 함유된다. 특히, 색소의 색깔이 뚜렷하게 드러나야 하는 립틴트, 립글로즈, 립밤, 립스틱 등에는 다량의 유기 색소가 함유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기 색소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분산 및 용해가 용이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유기 색소는 사용되는 용매에 따라 용해도 및 발색력에 차이가 큰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특정 용매에 색소를 용해하고, 이를 캡슐화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화키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1489호에서는 염료 및 유기 안료 중 1 이상의 색소 0.000001 ~ 90 중량%; 무기 안료 0.000001 ~ 90 중량%; 탄소수 3 내지 9의 트리카르복시산 및 락트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1 ~ 30 중량%; 및 고분자 바인더 1 ~ 90 중량%;를 포함하는 색소 담지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 및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를 비롯한 종래기술에서는, 캡슐 내에 색소를 안정적으로 포집 및 함유하기 위해, 시트르산, 락트산 등을 비롯한 유기산을 다량 사용하고 있는 바, 산성 물질의 사용에 따른 피부 자극성 및 캡슐 안정성 저하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색소를 캡슐화할 경우, 색소를 캡슐화하지 않고 포함하는 경우 보다, 발색력과 착색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고분자 쉘로 용매에 용해된 색소가 포집된 형태로 형성되되, 캡슐의 안정성이 좋고, 우수한 발색력과 착색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산성 물질 등 자극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피부에 안전한,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첫 번째 목적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캡슐막 형성제; 색소; 및 용매를 포함하는화장용 캡슐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캡슐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제형이 안정하며, 우수한 발색력 및 착색력을 구현하면서도, 피부에 도포 전과 후의 색 반전에 따른 시각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양상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캡슐막 형성제; 색소; 및 용매를 포함하는 화장용 캡슐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캡슐 조성물은 캡슐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색소 0.01 ~ 3.0 중량%, 상기 용매 50.0 ~ 80.0 중량%, 상기 캡슐막 형성제는 1.0 ~ 1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 조성물은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소르비톨, 말티톨,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해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된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캡슐 조성물은 캡슐막 형성제로 형성되는 쉘에 의해, 용매에 용해된 색소가 포집된 형태의 캡슐을 함유하는 것으로, 캡슐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슐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용매에 용해된 색소가 안정적으로 내부에 포집된 캡슐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캡슐이 장기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의 캡슐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는 캡슐 내부에 색소가 용해되어 투명한 상태로 포집되어 있다가,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캡슐이 깨져 색소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우수한 발색력 및 착색력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좋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의 캡슐 조성물은 산성 물질 등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피부에 안전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캡슐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제형이 안정하면서도, 발색력 및 착색력이 좋아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에 의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의 (1)에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험예 1의 (1)에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험예 1의 (2)에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라, 실시예 1의 캡슐 조성물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 5는 실험예 2에 따라, 비교예 6의 캡슐 조성물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 6은 실험예 3에 따라, 실시예 5의 캡슐 조성물의 발색력을 평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 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상은 화장용 캡슐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캡슐막 형성제; 색소; 및 용매를 포함하는 화장용 캡슐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색소 및 용매는 캡슐막 형성제 내부에 포집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용 캡슐 조성물은 색소, 용매 및 캡슐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캡슐 조성물로서, 상기 캡슐막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하되, 상기 캡슐막 형성제로 형성되는 쉘로 상기 용매에 용해된 색소가 포집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용 캡슐 조성물은 색소, 용매 및 캡슐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캡슐 조성물로서, 상기 용매는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막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하되, 상기 캡슐막 형성제로 형성되는 쉘로 상기 용매에 용해된 색소가 포집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캡슐막 형성제로 형성되는 쉘에 의해, 용매에 용해된 색소가 포집된 형태의 캡슐을 함유하는 것으로, 캡슐이 안정적으로 제조되면서도 제조 후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캡슐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는 캡슐 내부에, 색소가 용매에 용해된 형태로 포집되어 있다가,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캡슐이 깨져 색소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우수한 발색력 및 착색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투명한 상태에서 색소에 의해 다양한 색깔로 발색되는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산성 물질 등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피부에 안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캡슐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색소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색소는 RED 27(CI 45410:1) 및 RED 21(CI 45380: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색소는 RED 27 및 RED 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가지 색소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발색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상기 캡슐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색소를 0.01 ~ 3.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 ~ 2.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02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색소를 0.02 ~ 1.0 중량%로 포함할 때,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색소를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색 표현 자체가 충분하지 않아 색조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활용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색소를 3.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용매에 색소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거나, 캡슐 제조 과정에서 캡슐에 미포집된 색소가 잔류하고, 제조된 캡슐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불안정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캡슐 안정성, 발색력 및 착색력이 저하되고,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상기 색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캡슐 안정성이 좋고, 발색력 및 착색력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색소가 용매에 용해되어 캡슐 내에 포집되어 있을 때는 투명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색소가 캡슐에서 방출될 때는 특유의 색으로 발현할 수 있어, 색 반전 효과가 뚜렷하여 시각적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이며, 이 경우, 상기 용매로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를 대신하여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상기 캡슐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용매를 50.0 ~ 80.0 중량%, 구체적으로는 55.0 ~ 75.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60.0 ~ 7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용매를 60.0 ~ 70.0 중량%로 포함할 때,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용매를 5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색소가 충분히 용해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캡슐의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따른 시각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색소가 용매에 충분히 용해되면, 투명한 색을 나타내어, 캡슐 파괴에 따라 색 반전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색소가 용매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면, 투명한 색을 나타내지 않고, 용해되지 못한 색소의 색깔이 나타나, 캡슐 파괴에 따른 색 반전 효과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용매를 80.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캡슐 자체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캡슐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캡슐막 형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막 형성제는 색소가 용해된 용매를 내부에 포집하는 쉘을 형성함으로써, 캡슐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캡슐막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캡슐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상기 캡슐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캡슐막 형성제를 1.0 ~ 12.0 중량%, 구체적으로는 1.5 ~ 11.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2.0 ~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캡슐막 형성제를 2.0 ~ 10.0 중량%로 포함할 때,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캡슐막 형성제를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12.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 캡슐 자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용해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용해 보조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용매에 색소가 안정적으로 용해될 수 있도록 하여,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해 보조제는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소르비톨, 말티톨,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용해 보조제는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및 소르비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색소가 용매에 효과적으로 용해되어,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용해 보조제는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및 소르비톨을 1 : 10 ~ 15 : 1 ~ 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색소가 용매에 더욱 효과적으로 용해되어,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상기 캡슐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용해 보조제를 3.0 ~ 6.0 중량%, 구체적으로는 3.5 ~ 5.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4.0 ~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용해 보조제를 4.0 ~ 5.0 중량% 로 포함할 때, 캡슐 안정성,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용해 보조제를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색소의 용해도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용해 보조제를 6.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 캡슐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발색력, 착색력 및 색 반전에 의한 시각 효과 등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잔량의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각 성분이 혼합될 때, 캡슐벽 형성제에 의해 쉘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디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캡슐 조성물은 그 자체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이외 첨가제 또는 부형제들과 혼합되어,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은 화장용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색소;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를 포함하는 용매;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캡슐막 형성제;를 포함하여, 상기 캡슐막 형성제로 형성되는 쉘로 상기 용매에 용해된 색소가 포집된 형태로 형성되는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캡슐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제형이 안정하면서도, 발색력 및 착색력이 좋아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에 의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캡슐 조성물 0.1 ~ 90.0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 50.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0 ~ 30.0 중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즈, 립밤 및 립마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캡슐 조성물 이외에 물, 계면활성제, 유화제, 유화보조제, 실리콘 폴리머, 안료, 색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제, 유기 용매,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제, 산성화제, 착색제, 농화제, 피부컨디셔닝제, 미백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및 용해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첨가제 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하기 표 1[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캡슐을 함유한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틴트 색소 (RED21,27) 및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를 혼합하고, 가온 및 교반(온도 : 50 ~ 80℃, 교반 속도 : 200 ~ 500 rpm)하여 용해된 용액에,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및 물을 첨가하고, 가온 및 교반(온도 : 80℃ 이상, 교반 속도 : 2,000 ~ 3,000 rpm)을 실시하여, O/W 유화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캡슐 막이 형성되면 30 ℃ 이하로 냉각하고, 1,2-헥산디올을 첨가한 뒤, 25 ℃ 정도의 실온에서 200 ~ 500 rpm의 교반 속도로 혼합한 후, 이를 탈포함으로써, 캡슐을 함유한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RED 27, RED 21 0.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0.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5.0
1,2-헥산디올 2.5
To 100
실시예 2 내지 7
표 2[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캡슐을 함유한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되, 틴트 색소와 함께, 용해 보조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제조되었다.
성분 실시예 2 내지 7
RED 27, RED 21 0.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0.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5.0
용해 보조제 4.0
1,2-헥산디올 2.5
To 100
이때, 표 2에서 용해 보조제는 표 3[단위 : 중량비]에 따라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및 소르비톨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표 3에서 '-'표시는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실시예 2는 포도씨 오일만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포도씨 오일 1 - - 1 1 1
메도우폼씨 오일 - 1 - 13 5 20
소르비톨 - - 1 3 0.1 10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2 : 용매 종류에 따른 평가
표 4의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성분 용매 종류
실시예 1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비교예 1 다이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비교예 2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비교예 3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비교예 4 부틸렌글라이콜
비교예 5 내지 10 : 함량에 따른 평가
표 5[단위 : 중량%]로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성분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RED 27, RED 21 0.001 5.0 0.5 0.5 0.5 0.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0.0 70.0 45.0 85.0 70.0 70.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5.0 5.0 5.0 5.0 0.1 15.0
1,2-헥산디올 2.5 2.5 2.5 2.5 2.5 2.5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실험예 ]
실험예 1 : 용매의 선정
(1) 색소와의 상용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각 성분을 혼합한 후 캡슐을 제조하기에 앞서, 용매 내에 색소가 충분히 용해되어 투명한 상태가 되었는지,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즉, 용매 및 색소만 혼합된 상태의 관찰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실시예 2 내지 7의 경우에는 용해 보조제도 함께 혼합된 상태의 관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도 1 및 2에 도시하였으며, 도 1 및 2는 순차적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육안관찰 결과 육안관찰 결과
실시예 1 투명 실시예 7 투명
실시예 2 투명 비교예 1 불투명
실시예 3 투명 비교예 2 색 발현
실시예 4 투명 비교예 3 불투명
실시예 5 투명 비교예 4 색 발현
실시예 6 투명
표 6 및 도 1 내지 2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에는, 모두 용매 내에 색소가 용해되어, 투명한 상태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 1 및 3의 경우에는 색소가 제대로 용해 및 분산되지 않아 불투명한 상태로 형성되었으며, 비교예 2 및 4의 경우에는 색소가 용해되어 색 발현함을 알 수 있다.
(2)대상체와 접촉 시, 색 발현 성능 평가
상기 실험예 1의 (1)에 사용된 용매 및 색소의 혼합물을 대상체(틴트 발현체)에 적용하여, 색이 발현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으며, 도 3은 순차적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육안관찰 결과 육안관찰 결과
실시예 1 색 발현 실시예 7 색 발현
실시예 2 색 발현 비교예 1 불투명
실시예 3 색 발현 비교예 2 색 발현
실시예 4 색 발현 비교예 3 불투명
실시예 5 색 발현 비교예 4 색 발현
실시예 6 색 발현
표 7 및 도 3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에는, 용매에 색소가 용해되었을 때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대상체와 접촉 시, 색소의 색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 1 및 3의 경우에는, 용매에 색소가 용해되었을 때 불투명한 상태이며, 대상체와 접촉하여도 제대로 색이 발현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및 4의 경우에는 용매에 색소가 용해된 직후부터 색 발현 상태이므로, 대상체에 접촉시에도 뚜렷한 색이 발현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실험 결과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용매로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를 사용할 때, 제조 직후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피부에 접촉 시 색을 발현하여, 색 반전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캡슐 제조 및 안정성 평가
(1)캡슐의 제조 안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캡슐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캡슐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었는지를 육안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캡슐이 구형이며, 적정 크기를 가지면서도 표면이 매끄럽게 제조된 경우에는 '안정'으로 평가하였으며, 캡슐의 크기가 불균일한 경우, 캡슐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경우 또는 캡슐에 포집되지 못한 잔류 색소가 관찰된 경우에는 '불안정'으로 평가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캡슐 조성물을 전자 현미경(OLYMPUS社 BX53)으로 확대하여 관찰한 모습을 도 4에 도시하였으며, 비교예 6의 캡슐 조성물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관찰한 모습을 도 5에 도시하였다.
관찰 결과 관찰 결과
실시예 1 안정 비교예 1 불안정
실시예 2 안정 비교예 2 불안정
실시예 3 안정 비교예 3 불안정
실시예 4 안정 비교예 4 불안정
실시예 5 안정 비교예 5 안정
실시예 6 안정 비교예 6 불안정
실시예 7 안정 비교예 7 불안정
비교예 8 불안정
비교예 9 불안정
비교예 10 불안정
표 8 및 도 4 내지 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색소가 용매에 충분히 용해되어 캡슐 내에 포집됨으로써(캡슐 이외 부분 투명), 안정한 상태의 캡슐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캡슐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불균일하며, 캡슐에 포집되지 못한 잔류 색소에 관찰되어(캡슐 이외 부분 불투명), 불안정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2)고온 안정성
제조된 캡슐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캡슐 조성물을 약 50 ℃에서 약 4 주 동안 방치하면서 1 주 간격으로 캡슐 조성물의 상태를 관찰한 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1 주 후 2 주 후 3 주 후 4 주 후
실시예 1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실시예 2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실시예 3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실시예 4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실시예 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예 6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실시예 7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비교예 1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2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3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4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5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비교예 6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7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8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9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비교예 10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고온에서 약 3주 이상 방치하여도 캡슐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용해 보조제로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및 소르비톨 오일을 1 : 10 ~ 15 : 1 ~ 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5의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발색력 및 착색력 평가
(1) 발색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캡슐 조성물을 틴트 발현체에 적용할 때, 캡슐이 파괴되면서 색소가 발현되는 정도를 5 점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0[단위 : 점수]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발색력 평가는 20 ~ 30 대 여성, 10 명으로 구성된 그룹에 각각의 캡슐 조성물을 손등에 도포하도록 하여, 발색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 뒤, 그 평균값을 표 10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5의 캡슐 조성물의 발색력 평가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2)착색력 평가
상기 (1)발색력 평가 후, 손등을 흐르는 물로 가볍게 씻고, 휴지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다음, 착색 정도를 5 점법으로 평가하여, 그 평균값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발색력 착색력 발색력 착색력
실시예 1 4.0 4.0 비교예 1 - -
실시예 2 4.0 4.0 비교예 2 4.0 4.0
실시예 3 4.0 4.0 비교예 3 - -
실시예 4 4.0 4.0 비교예 4 4.0 4.0
실시예 5 5.0 4.8 비교예 5 1.0 1.0
실시예 6 4.6 4.4 비교예 6 4.0 4.0
실시예 7 4.6 4.4 비교예 7 4.5 4.0
비교예 8 2.0 2.0
비교예 9 2.5 2.5
비교예 10 2.0 2.0
표 10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발색력 및 착색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보면, 실시예 5의 캡슐 조성물은 외력을 가하기 전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좌), 외력이 가해질 때(우), 캡슐이 터지면서 발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캡슐막 형성제;
    색소; 및
    용매를 포함하는 화장용 캡슐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 및 용매는 캡슐막 형성제 내부에 포집된 것인, 화장용 캡슐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색소 0.01 ~ 3.0 중량%, 상기 용매 50.0 ~ 80.0 중량% 및 상기 캡슐막 형성제 1.0 ~ 1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용 캡슐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용 캡슐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조성물은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소르비톨, 말티톨,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해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용 캡슐 조성물.
  6. 제1 항의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22/016976 2021-11-09 2022-11-02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0856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40A KR102407550B1 (ko) 2021-11-09 2021-11-09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52740 2021-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677A1 true WO2023085677A1 (ko) 2023-05-19

Family

ID=8198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6976 WO2023085677A1 (ko) 2021-11-09 2022-11-02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7550B1 (ko)
WO (1) WO2023085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50B1 (ko) * 2021-11-09 2022-06-13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2089A (ja) * 2011-09-13 2014-12-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pH調整可能なジアミド系ゲル化剤を含むマイクロカプセル組成物
KR101471447B1 (ko) * 2012-11-30 2014-12-10 (주)케이피티 코어씨드 및 감압-파괴성 벽층을 갖는 색상-변화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7028A (ko) * 2014-04-30 2016-12-21 로레알 반사 입자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0519612A (ja) * 2017-05-18 2020-07-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ポリアクリレートマイクロカプセルの付着が増大されたコンディショナー組成物
KR102220752B1 (ko) * 2020-08-13 2021-03-02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7550B1 (ko) * 2021-11-09 2022-06-13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52B1 (ko) 2019-03-19 2022-01-10 (주)아모레퍼시픽 색소 담지 캡슐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2089A (ja) * 2011-09-13 2014-12-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pH調整可能なジアミド系ゲル化剤を含むマイクロカプセル組成物
KR101471447B1 (ko) * 2012-11-30 2014-12-10 (주)케이피티 코어씨드 및 감압-파괴성 벽층을 갖는 색상-변화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7028A (ko) * 2014-04-30 2016-12-21 로레알 반사 입자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0519612A (ja) * 2017-05-18 2020-07-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ポリアクリレートマイクロカプセルの付着が増大されたコンディショナー組成物
KR102220752B1 (ko) * 2020-08-13 2021-03-02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7550B1 (ko) * 2021-11-09 2022-06-13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550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7862A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85677A1 (ko) 화장용 캡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519A1 (ko)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다중 에멀전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WO2020204293A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04596A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15080348A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103433A1 (ko) 안정성이 개선된 신규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032436A1 (ko) 화장료 조성물의 조색시스템
WO2019083339A2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WO2023096154A1 (ko) 화장료의 표면 인쇄를 위한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의 표면 인쇄방법
WO2018124572A1 (ko) 실리콘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
WO2019103453A2 (ko) 칼라민 고함량 내상 안정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0091583A2 (ko)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080512A1 (ko) 입술 제품용 친수성 색소 조성물, 입술용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41735A1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129A1 (ko) 라멜라 구조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059580A1 (ko)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20190017A1 (ko) 색소 담지 캡슐 조성물
WO2019004562A1 (ko) 수분산 제형의 액상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WO2018062803A1 (ko) 색소를 포함하는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043504A1 (ko) 입술 색상의 지속 효과를 가지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141781A1 (ko) 흡수성 및 흡유성이 향상된 화장품용 조성물
WO2021162408A1 (ko) 수분산 오일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88831A1 (ko)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3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