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833B1 -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833B1
KR101455833B1 KR1020110107649A KR20110107649A KR101455833B1 KR 101455833 B1 KR101455833 B1 KR 101455833B1 KR 1020110107649 A KR1020110107649 A KR 1020110107649A KR 20110107649 A KR20110107649 A KR 20110107649A KR 101455833 B1 KR101455833 B1 KR 10145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il
powder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294A (ko
Inventor
김경섭
양창준
이상민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1013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높은 SPF 수치 및 PA 수치를 지녀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끈적임이나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사용감이 우수하고, 기존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서는 불가능했던 색조화장 후에도 지속적으로 덧바를 수 있는 등의 수정화장 기능도 가능한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UV block cosmetic composition of powder type}
본 발명은 높은 자외선 차단 효능을 가지면서도 끈적임이나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사용감이 우수하고, 기존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서는 불가능했던 색조화장 후에도 지속적으로 덧바를 수 있는 등의 수정화장 기능도 가능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되어 자외선 노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삶이 윤택해지면서 생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뿐만 아니라, 스키, 골프, 해수욕 등의 레저활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요구가 늘어가고 있고,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200-290 nm의 파장은 자외선 C(UV-C), 290-320 nm의 파장은 자외선 B(UV-B), 및 320-400 nm의 파장은 자외선 A(UV-A)로 분류된다. 그 중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 주름, 및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전에는 장파장 자외선(UV-A)이 염증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환영 받는 추세였으나, 최근 진피층 내 단백질의 변성, 모세혈관 확장, 핵산(DNA)의 파괴 등에 의한 피부노화를 촉진하여 경계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편, 피부의 표피 부분에서 대부분 흡수되는 중파장 자외선(UV-B)은 표피에 급격히 작용하여 화상을 입히기 때문에 유해 자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장파장 자외선은 1년 내내 피부에 와 닿고 있지만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피부는 늙게 된다.
태양광 노출에 의한 위험이 알려지면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 제품의 제형은 유제(emulsion) 타입으로 유중수형(Water-in-Oil, W/O)과 수중유형(Oil-in-Water, O/W)으로 분류된다. 그 중 수중유형 제품의 경우 사용감은 우수하나 내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땀이나 물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유중수형 제품은 수중유형 제품에 비하여 내수성은 우수하지만 사용감이 떨어진다.
오늘날 소비자들이 원하는 수준으로 높은 자외선 차단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자외선 차단제는 기본적으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지르코늄옥사이드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캄파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나뉘어진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에는 백탁 현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에는 그 자체가 상당히 높은 점도를 갖는 액상이 대부분이어서 끈적임을 유발하거나, 그의 용제가 되는 높은 점도를 갖는 오일과 함께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기존의 자외선 차단 제품은 크림 또는 로션 형태로 제조되었으나, 이러한 끈적거림은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감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최근, 왁스를 이용하여 고형상으로 자외선 차단제품을 만들고 퍼프를 이용하여 얼굴에 자외선 차단제를 펴바르는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제품은 사용시 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손에 끈적거림이 남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제품의 끈적임을 없애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일상생활 중, 특히 메이컵 화장을 한 후에도 자외선 차단제를 자주 덧바르길 원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로션 또는 크림상의 제품 또는 왁스상의 고형상 제품으로는 끈적임 때문에 덧바르기가 어렵고, 특히 메이컵 화장 위에 덧바를 경우는 화장이 무너지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덧바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능을 지니면서도 끈적임이나 백탁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사용감이 우수하고, 기존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서는 불가능했던 색조화장 후에도 지속적으로 덧바를 수 있는 등의 수정화장 기능도 가능한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파우더상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 사용할 경우 피부가 허옇게 떠보이는 백탁 현상이 유발되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과량 사용할 경우 파우더 상으로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끈적임을 유발하므로, 끈적임 및 백탁현상이 거의 유발되지 않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끈적임을 유발함 없이 자유롭게 덧바를 수 있으며, 높은 자외선 차단 효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액상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줄이면서 분말상을 다량 함유시킴으로써 사용감이 양호한 파우더상으로 제조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화장료 총 중량 대비 오일 바인더부(B) 3-30 중량%를 분체부(A) 70-97 중량%에 스프레이하고 혼합하여 침입경도가 5-65(JIS K 6301, Asker JAL Type)인 파우상으로 제조되며,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30-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우더형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상기 스프레이 및 혼합 후, 예를 들면, 타정 등에 의한 압축 성형 또는 베이크드(baked) 성형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침입경도가 5-65(JIS K 6301, Asker JAL Type)인 파우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상기 타정 또는 압축 과정 전에 체과(sieving) 및/또는 숙성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일 바인더부(B)를 상기 분체부(A)에 스프레이 혼합하는 과정은, 분사된 오일부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헨셀믹서 등의 혼합기에서 고속으로 혼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분체부(A)와 오일 바인더부를 혼합하는 방법은 상기 헨셀믹서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분체부(A)와 스프레이되는 오일 바인더부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형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균일하게 혼합된 분체부(A)와 오일 바인더부(B)의 혼합물은 입자간 뭉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추가로 분쇄공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혼합된 분체부(A)와 오일 바인더부(B)의 혼합물에 이물질 혹은 혼합물의 뭉침 입자가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압축 성형 또는 베이크드 성형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혼합물을 특정 크기, 예를 들어 상기 혼합물 입자는 통과시키지만 이물질 혹은 뭉침 입자는 통과시키지 못하는 크기의 망(mesh)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혼합된 분체부(A)와 오일 바인더부(B)의 혼합물을 바로 압축성형 또는 베이크드 성형하면 혼합물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로 인해 불균일한 기공이 생성되어 제품의 크랙(crack)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성형 또는 베이크드 성형 전에 혼합물을 일정시간 이상 방치하여 불균일한 기공을 제거하는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체부(A)와 오일 바인더부(B)의 혼합물을 타정 등의 압축성형 혹은 베이크드 성형을 수행하는 조건, 예를 들면 타정 압력 혹은 베이크드 성형 온도 등은 경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원하는 경도에 따라 당업자라면 성형 조건의 변형은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 성형시의 압력은 15-100 kg/cm2의 범위로 수행될 수 있으며, 베이크드 성형은 40-120℃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A 차단등급(PA)이 더블 플러스(PA++) 내지 트리플 플러스(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상기 분체부(A)를 화장료 총 중량 대비 70 내지 9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끈적임이 없는 파우더상의 제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7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성형성 및 부착성, 즉, 가공 및 파우더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97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체부를 97 중량%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오일부에 의한 분체 입자 간의 결합이 약화되기 때문에 가루 날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된 '분체'는 통상 1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고체물질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분체는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체질안료, 착색안료,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및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 포함되는 상기 분체부(A)는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착색안료를 0 내지 0.5 중량부로 함유한다. 이는 분체부에서 착색안료의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더라도 매우 작은 양으로써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화장품을 바른 후에 색조 화장의 색상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고, 화장 완료 후에 차후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덧바를 시에 색조화장의 색상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된 착색안료는 색조 화장품에서 색을 발현시킬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하며, 예를 들면 유기합성색소, 천연 색소, 진주광택안료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질안료는 운모, 활석,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실리카,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를 포함하는 무기안료; 폴리스타이렌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나이론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기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나열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체질안료, 예를 들면 「신화장품학, 권경옥 외 번역, 도서출판 도화기술, 발행일 1997년 10월 30일」에 기재된 체질안료 등이 본 발명에 기술된 체질안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질안료는 소수화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점도 실리콘, 알킬 수소 폴리실록산,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왁스로 상기 분말 안료의 표면을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예를 들면 평균입도가 0.01 내지 100 nm인 이산화티탄, 평균입도가 0.01 내지 300nm인 산화아연 및 평균입도가 1 내지 300nm인 산화세륨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약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물질이라면 본 발명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화장료 총 중량 대비 상기 오일 바인더부(B)를 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로 포함한다. 즉, 상기 오일성 성분은 제형안정성, 즉 분체부(B)를 형성하는 분체입자 간의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감 및 끈적이지 않는 파우더 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2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명세서에서 정의된 '오일'은 상온에서 점성을 갖는 소수성의 액상의 물질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일은 분체 입자들 간의 결합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바를 때 매끄러운 사용감을 제공하여 얼굴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로는 화장품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오일성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상기 오일 바인더부(B)의 성분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및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및 사이클로메치콘 및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당업계에 공지된 미네랄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 오일 등도 경우에 따라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예를 들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약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물질이라면 본 발명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분체부(A)가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체질안료 59.5 내지 95 중량부; 착색안료 0 내지 0.5 중량부;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 경우 오일 바인더부(B)는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체부(A)가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체질안료 99.5 내지 100 중량부; 및 착색안료 0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며, 오일 바인더부(B)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50 내지 100 중량부 및 오일 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 경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자체가 오일 성분이기 때문에 상기 분체부(A)의 바인딩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로 오일을 함유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감 및 추가적인 분체부(A)의 바인딩 역할을 위해서 오일을 유기자외선 차단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체부(A)가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체질안료 59.5 내지 95 중량부; 착색안료 0 내지 0.5 중량부; 무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자외선 차단 효능 촉진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오일 바인더부(B)는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자외선차단 효능 촉진제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바닐라 타히텐시스 푸루트 익스트랙트, 치커리 루트 익스트랙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틸트리아존,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벤조페논-3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차단 효능 촉진제는 그 자체로도 자외선 차단능을 지니고 있지만, 그 차단능은 다른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높지 않은 물질로서, 다른 자외선 차단제, 특히 무기 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배합적용 시에 비약적인 자외선 차단능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 있어, 상기 자외선차단 효능 촉진제로는 특히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사의 미립자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50 중량부 수분산액(상품명: Ciba Tinosorb 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 효능 촉진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유기 자외선 차단제 함량을 통상의 수준 혹은 요구되는 수준보다 낮은 양으로 사용하면서도 무기 자외선 차단제 함유량을 줄일 수 있어, 끈적이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백탁현상도 거의 유발하지 않는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분체부(A)가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체질안료 59.5 내지 95 중량부; 착색안료 0 내지 0.5 중량부; 무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 경우 오일 바인더부(B)는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분체상 유기자외선 차단제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틸트리아존,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벤조페논-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분체화한 것을 사용하는 바람직하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분체화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크 등과 같은 널리 사용되는 체질안료에 액상의 분산상으로 제조된 유기 자외선차단제, 예를 들면, MBBT 수분산액(상품명: TINOSORB M, 제조원: CHIBA SPECIALTY CHEMICAL)을 수계의 습식처리(교반, 여과, 세정, 및/또는 분쇄)공정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유기 액상 자외선 차단제 함량을 통상의 수준 또는 통상적인 것보다 낮은 수준으로 사용하면서도 무기 자외선 차단제 함유량을 줄일 수 있어, 끈적이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백탁현상도 유발하지 않는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제형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및 솔비탄 올리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화장료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제형안정성을 고려하여 0.5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감을 위하여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향료, 색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화제, 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하기 실시예 등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상 화장료 조성물은 매우 높은 수준(SPF 50+, PA+++)의 자외선 차단능을 지녀 화장 후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착색안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투명성이 높은 저굴절율의 안료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하게 발리며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선크림, 선로션 및 선밤에 비하여 끈적이는 사용감이 전혀 없으며 언제 어디서나 덧바를 수 있고 수정화장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지닌 최고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기 실시예들에 있어 MBBT는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을 의미하며, BEMT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의미하고, BMDBM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의미한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백탁 (ΔE)
인조피부(4㎝×4㎝) 위에 동량(10㎎)의 시료를 도포한 후, 도포 전/후의 색상(L, a, b 값)을 색차계로 측정하여 색상차(ΔE)값으로 백탁 현상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색상차(ΔE) 값은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1082272276-pat00001
(△L: 도포 전후의 백색도(whiteness) 변화 값, △a: 도포 전후의 적색도 변화 값, △b: 도포 전후의 황색도 변화 값)
자외선차단지수( SPF ) 측정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자외선 차단지수(SPF)를 측정하였다. 시료가 2mg/cm2 수준이 되도록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도포하고 15분 건조 후, SPF 290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자외선A 차단등급( PA ) 측정
본 실험은 화장품법 제9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6조 규정에 의한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의 자외선 A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체 건강한 18-50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피시험자의 등 부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2mg/cm2 두께로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그 후, Xenon lamp를 장착한 Multi-port Solar simulator 601-300W(Solar Light사, 미국)를 광원으로 자외선 A를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그 후, 숙련자 2인이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을 판정하고 그 판정 값을 이용하여 자외선 A 차단지수를 하기 식으로 계산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자외선 A 차단등급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류된다.
Figure 112011082272276-pat00002
자외선 A 차단지수 (PFA) 자외선 A 차단등급 (PA) 자외선 A 차단효과
2 이상 4 미만 PA+ 있음
4 이상 8 미만 PA++ 많이 있음
8 이상 PA+++ 매우 많이 있음
관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에 대한 사용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20-50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브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포시의 끈적임 만족도, 번들거림 만족도, 화장효과 만족도(덧바름 측면에서) 및 제형 선호도를 하기 표 2의 평가기준에 따라 관능평가하였다. 결과는 그 평균값이다.
평가기준
5 매우 우수
4 우수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분체부 제조예 1-6
하기 표 3에 기재된 배합비율로 700L의 헨셀믹서 내에서 저속(330 rpm)으로 교반하면서 각각의 원료를 투입하여 최종 무게 100 kg의 분체부 1-6을 제조하였다.
성분 분류 원료명 제조예
1 2 3 4 5 6
체질안료 탈크 80.0 94.9 60.0 79.5 60.0 40.0
마이카 15.0 14.7 20.0 16.0
실리카 5.0 3.6
착색안료 황색산화철 0.3 0.5 0.3
적색202호 0.1 0.1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산화아연 5.0 20.0 10.0 20.0
이산화티탄 5.0 20.0 10.0 20.0
분체부 제조예 7-9
하기 표 4에 기재된 배합비율로 700L의 헨셀믹서 내에서 저속(330 rpm) 으로 교반하면서 각각의 원료를 투입하여 최종 무게 100 kg의 분체부 7-9를 제조하였다.
성분 분류 원료명 제조예
7 8 9
체질안료 탈크 90.0 100.0 60.0
마이카 5.0 40.0
실리카 4.5
착색안료 황색산화철 0.5
적색202호
분체부 제조예 10-13
하기 표 5에 기재된 배합비율로 700L의 헨셀믹서 내에서 저속(330 rpm) 으로 교반하면서 각각의 원료를 투입하여 최종 무게 100 kg의 분체부 10-13을 제조하였다.
성분 분류 원료명 제조예
10 11 12 13
체질안료 탈크 80.0 70.0 70.0 79.5
마이카 16.8
실리카 7.0
착색안료 황색산화철 0.5
적색202호 0.1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산화아연 3.0 15.0 20.0
이산화티탄 5.0 10.0
자외선 차단 효능 촉진제 MBBT 0.1 3.0 1.0
옥틸트리아존 2.0 5.0
벤조페논-3 7.0 5.0
분체부 제조예 14-17
하기 표 6에 기재된 배합비율로 700L의 헨셀믹서 내에서 저속(330 rpm)으로 교반하면서 각각의 원료를 투입하여 최종 무게 100 kg의 분체부 14-17을 제조하였다.
성분 분류 원료명 제조예
14 15 16 17
체질안료 탈크 96.5 60.0 80.0 70.0
마이카 17.0 6.0
실리카
착색안료 황색산화철 0.4
적색202호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산화아연 3.0 5.0 10.0
이산화티탄 15.0 20.0
분체상 유기자외선 차단제 MBBT1 ) 0.1 3.0 5.0
BEMT2 ) 2.0 5.0
BMDBM3 ) 2.0
상기 1) MBBT는 체질안료 탈크에 90 대 10의 중량비율로 흡착시킨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Ciba Tinosorb M; CHIBA SPECIALTY CHEMICAL)이며, 2) BEMT는 CHIBA SPECIALTY CHEMICAL사에서 구입한 상품명 TINOSORB S인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이며, 3) BMDBM은 ROCHE사에서 구입한 상품명 PARSOL 1789인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이다.
오일바인더부 제조예 1-7
하기 표 7에 기재된 배합비율로 60-70℃의 온도로 가온한 호모믹서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100 kg의 오일 바인더부 1-7을 제조하였다.
성분 분류 원료명 제조예
1 2 3 4 5 6 7
오일 유동 파라핀 100.0 80.0 10.0 60.0
스쿠알란 100.0 80.0 10.0
디메치콘 오일 20.0 10.0 10.0
유기 자외선 차단제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00.0 80.0 20.0 10.0
옥틸살리실레이트 10.0
옥토크릴렌
오일바인더부 제조예 8-14
하기 표 8에 기재된 배합비율로 60-70도의 온도로 가온한 호모믹서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100 kg의 오일 바인더부 8-14를 제조하였다.
성분 분류 원료명 제조예
8 9 10 11 12 13 14
오일 유동 파라핀 10.0 40.0 40.0
스쿠알란 20.0 10.0
디메치콘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0.0 50.0 30.0 50.0
옥틸살리실레이트 90.0 100.0 50.0 50.0
옥토크릴렌 100.0 20.0 30.0
실시예 1-10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9에 기재된 비율로 분체부를 임펠러가 장착된 700L 헨셀믹서에 넣고 3-5분간 660rpm으로 교반하면서 오일 바인더부를 스프레이하였다. 분체부 및 오일부의 총 중량은 100 kg이었다. 오일 바인더부를 모두 스프레이 분사하여 투입한 후에, 오일 바인더부가 분체부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고속으로, 즉 660 rpm으로 다시 혼합한 후에 입자간의 뭉침 현상을 막기 위해서 분쇄공정을 수행하고, 30-50 메시의 망에 체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방치하는 숙성공정을 수행하여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불균일한 기공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30-40 kg/cm2의 압력으로 타정을 수행하여 파우더형의 자외선차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 후에 상기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1-10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분류 원료명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분체부 제조예 제조예1 97.0 48.0
제조예2 90.0 94.0 48.0
제조예3 95.0 75.0
제조예4 96.0
제조예5 93.0
제조예6 90.0 85.0
오일바인더부 제조예 제조예1 3.0 4.0
제조예2 5.0
제조예3 10.0 15.0 25.0
제조예4 4.0
제조예5 6.0
제조예6 10.0
제조예7 7.0
분류 원료명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물성평가 백탁(ΔE) 0.3 0.3 0.9 4.2 2.6 3.6 0.4 0.5 3.8 3.6
SPF 30.2 30.1 42.7 59.8 45.7 39.8 32.1 38.3 50.7 56.0
PFA 3.2 3.8 6.7 9.2 7.8 8.2 4.1 4.7 8.6 6.7
침입경도
(5~65)
30.4 48.3 37.6 46.8 46.2 38.6 37.8 42.7 61.0 62.0
관능평가
(만족도)
끈적임 4.8 4.7 4.8 4.7 4.7 4.6 4.7 4.7 4.3 4.1
번들거림 4.8 4.2 4.5 4.5 4.6 4.5 4.5 4.4 4.2 3.9
화장효과 4.3 3.9 4.1 3.9 4.0 4.2 4.1 4.2 3.8 3.7
제형선호도 4.6 4.1 4.2 4.5 4.1 4.2 4.2 4.2 4.0 3.8
실시예 11-20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11에 기재된 비율로 분체부를 임펠러가 장착된 700L 헨셀믹서에 넣고 3-5분간 660rpm으로 교반하면서 오일 바인더부를 스프레이하였다. 분체부 및 오일부의 총 중량은 100 kg이었다. 오일 바인더부를 모두 스프레이 분사하여 투입한 후에, 오일 바인더부가 분체부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고속으로, 즉 660 rpm으로 다시 혼합한 후에 입자간의 뭉침 현상을 막기 위해서 분쇄공정을 수행하고, 30-50 메시의 망에 체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방치하는 숙성공정을 수행하여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불균일한 기공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30-40 kg/cm2의 압력으로 타정을 수행하여 파우더형의 자외선차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 후에 상기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11-20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분류 원료명 실시예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분체부 제조예 제조예7 80.0 85.0 80.0 83.0
제조예8 86.0 85.0 83.0
제조예9 90.0 88.0 85.0
오일바인더부 제조예 제조예8 20.0 12.0
제조예9 15.0
제조예10 17.0
제조예11 20.0 10.0 15.0
제조예12 15.0
제조예13 17.0
제조예14 14.0
분류 원료명 실시예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물성평가 백탁(ΔE) 0.6 0.7 0.4 0.4 0.1 0.2 0.1 0.1 0.2 0.1
SPF 30.7 30.1 36.6 33.0 34.1 30.2 34.2 31.2 30.8 33.8
PFA 3.2 3.3 3.9 3.5 3.9 3.4 4.1 3.4 2.8 3.7
침입경도
(5~65)
54.0 56.4 57.1 55.2 50.7 51.2 57.9 49.0 44.9 54.6
관능평가
(만족도)
끈적임 4.2 4.3 4.1 4.1 4.6 4.1 4.0 4.2 4.3 4.0
번들거림 3.8 4.0 3.7 3.9 4.2 4.0 3.9 4.3 4.1 3.8
화장효과 3.8 3.8 3.9 3.9 4.0 3.8 3.9 3.8 4.0 3.9
제형선호도 4.0 3.8 4.0 3.9 4.1 4.1 4.2 4.1 3.8 4.2
실시예 21-30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13에 기재된 비율로 분체부를 임펠러가 장착된 700L 헨셀믹서에 넣고 3-5분간 660rpm으로 교반하면서 오일 바인더부를 스프레이하였다. 분체부 및 오일부의 총 중량은 100 kg이었다. 오일 바인더부를 모두 스프레이 분사하여 투입한 후에, 오일 바인더부가 분체부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고속으로, 즉 660 rpm으로 다시 혼합한 후에 입자간의 뭉침 현상을 막기 위해서 분쇄공정을 수행하고, 30-50 메시의 망에 체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방치하는 숙성공정을 수행하여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불균일한 기공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30-40 kg/cm2의 압력으로 타정을 수행하여 파우더형의 자외선차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 후에 상기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21-30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분류 원료명 실시예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분체부 제조예 제조예10 94.0 90.0
제조예11 93.0 91.0 90.0
제조예12 96.0 92.0 95.0
제조예13 96.0 97.0
오일바인더부 제조예 제조예1 5.0
제조예2
제조예3 4.0 3.0
제조예4 6.0 7.0 4.0
제조예5 8.0
제조예6 10.0 9.0
제조예7 10.0
분류 원료명 실시예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물성평가 백탁(ΔE) 0.1 0.1 1.2 1.1 1.1 0.7 0.7 0.8 1.5 1.4
SPF 33.1 32.7 73.4 69.1 64.4 61.7 59.6 60.0 58.8 54.9
PFA 2.4 2.9 16.4 11.7 12.8 13.1 10.4 9.8 8.7 7.9
침입경도
(5~65)
48.7 58.4 52.7 57.3 61.7 49.9 50.4 49.4 47.7 46.2
관능평가
(만족도)
끈적임 4.1 4.0 4.1 4.2 4.1 4.0 4.2 4.4 4.4 4.1
번들거림 4.1 4.1 4.0 4.2 4.0 4.1 4.3 4.5 4.1 4.0
화장효과 4.3 4.5 4.5 4.3 4.6 4.5 4.5 4.4 4.1 4.0
제형선호도 4.0 4.1 4.1 4.0 4.2 4.3 4.2 4.3 4.0 3.9
실시예 31-40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15에 기재된 비율로 분체부를 임펠러가 장착된 700L 헨셀믹서에 넣고 3-5분간 660rpm으로 교반하면서 오일 바인더부를 스프레이하였다. 분체부 및 오일부의 총 중량은 100 kg이었다. 오일 바인더부를 모두 스프레이 분사하여 투입한 후에, 오일 바인더부가 분체부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고속으로, 즉 660 rpm으로 다시 혼합한 후에 입자간의 뭉침 현상을 막기 위해서 분쇄공정을 수행하고, 30-50 메시의 망에 체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방치하는 숙성공정을 수행하여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불균일한 기공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30-40 kg/cm2의 압력으로 타정을 수행하여 파우더형의 자외선차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 후에 상기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31-40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16에 나타내었다.
분류 원료명 실시예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분체부 제조예 제조예14 94.0 90.0
제조예15 93.0 91.0 90.0
제조예16 96.0 92.0 95.0
제조예17 96.0 97.0
오일바인더부 제조예 제조예1 5.0
제조예2 7.0
제조예3 10.0 3.0
제조예4 6.0 4.0 4.0
제조예5 8.0
제조예6 9.0
제조예7 10.0
분류 원료명 실시예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물성평가 백탁(ΔE) 0.1 0.1 2.6 2.2 2.3 0.8 0.9 0.8 3.1 2.9
SPF 31.8 30.1 67.4 66.4 61.1 39.0 43.4 37.6 78.1 61.7
PFA 5.5 2.1 13.4 8.7 13.1 24.0 22.1 21.9 14.3 12.7
침입경도
(5~65)
57.1 61.0 57.0 62.1 64.0 49.7 55.0 51.8 47.6 39.8
관능평가
(만족도)
끈적임 4.1 4.3 4.1 4.2 3.9 4.2 4.0 3.9 4.1 4.3
번들거림 4.2 4.0 4.2 4.1 3.8 3.9 4.0 4.0 3.9 4.0
화장효과 4.2 4.3 3.8 3.7 3.8 4.1 4.2 4.1 3.6 3.7
제형선호도 4.5 4.1 4.3 4.4 3.9 4.0 4.3 4.2 4.1 3.9
비교예 1 및 2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17에 나타낸 조성 비율로 수상 및 유상 성분을 75℃에서 용해 및 분산시켰다. 이어서 비교예 1은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첨가하여 경도가 28 dyne/cm2인 유중수형(W/O) 유화물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수상에 유상을 천천히 첨가하여 경도가 30 dyne/cm2인 수중유형(O/W)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의 평가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수상 정제수 46.0 45.4
글리세린 7.0 7.0
프로필렌 글리콜 5.0 5.0
마그네슘 설페이트 0.5 -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 0.3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1
유상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0 2.0
사이클로메치콘 5.0 2.0
디메치콘 1.0 1.0
이소노닐 이소노나네이트 2.0 3.0
헥실라우레이트 2.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3.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 1.0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 1.2
벤토나이트 0.5 -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4.0 1.0
디메치콘 코폴리올 1.0 1.0
이산화티탄 5.0 5.0
산화아연 11.0 11.0
시료 비교예 1 비교예 2
백탁(ΔE) 2.3 2.1
SPF 51.20 52.56
PFA 8.67 8.48
끈적임만족도 3.8 3.5
번들거림만족도 3.7 3.8
화장효과만족도 3.8 3.7
제형 선호도 3.7 3.8
비교예 3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19에 나타낸 조성 비율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왁스 성분인 세레신;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피이지-10 디메치콘; 오일 성분인 디메치콘 및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실리콘 폴리머인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방부제인 메틸 파라벤을 8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및 안료인 실리카 파우더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이어서 상기 조성물을 80℃에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탈포시킨 후, 몰드에 충진시키고 25℃에서 냉각시켜 고형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의 평가 결과를 표 20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3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0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0
세레신 왁스 6.0
피이지-10 디메치콘 2.0
메틸 파라벤 0.1
디메치콘 15.0
글리세릴 트리에틸학세노에이트 20.9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4.0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10.0
이산화티탄 5.0
산화아연 11.0
실리카파우더 17.0
시료 비교예 3
백탁(ΔE) 2.5
SPF 52.20
PFA 8.57
끈적임만족도 3.9
번들거림만족도 3.9
화장효과만족도 3.9
제형 선호도 3.9

Claims (9)

  1. 화장료 총 중량 대비 오일 바인더부(B) 3-30 중량%를 분체부(A) 70-97 중량%에 스프레이하고 혼합하며,
    화장료의 침입경도가 5-65(JIS K 6301, Asker JAL Type)이고,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30-80이며,
    오일 바인더부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합성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오일성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분체부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체질안료, 착색안료,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분체부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착색안료는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0.5 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화장료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혼합 후에 압축 또는 타정(tabletting)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압축 또는 타정 전에 체과(sieving)하는 단계 및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부(A)는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체질안료 59.5 내지 95 중량부; 착색안료 0 내지 0.5 중량부;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며,
    오일 바인더부(B)는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부(A)는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체질안료 59.5 내지 95 중량부; 착색안료 0 내지 0.5 중량부; 무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자외선 차단 효능 촉진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 효능 촉진제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바닐라 타히텐시스 푸루트 익스트랙트, 치커리 루트 익스트랙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틸트리아존,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및 벤조페논-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오일 바인더부(B)는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부(A)는 분체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체질안료 59.5 내지 95 중량부; 착색안료 0 내지 0.5 중량부; 무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분체상 유기 자외선 차단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오일 바인더부(B)는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
  9. 제 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료는 자외선 A 차단등급(PA)이 더블 플러스(PA++) 내지 트리플 플러스(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 방법.
KR1020110107649A 2008-04-11 2011-10-20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455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924 2008-04-11
KR20080033924 2008-04-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777A Division KR101117411B1 (ko) 2008-04-11 2009-04-03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294A KR20110132294A (ko) 2011-12-07
KR101455833B1 true KR101455833B1 (ko) 2014-11-13

Family

ID=455004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02A KR101049238B1 (ko) 2008-04-11 2008-07-15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07649A KR101455833B1 (ko) 2008-04-11 2011-10-20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02A KR101049238B1 (ko) 2008-04-11 2008-07-15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49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463A (ko)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69B1 (ko) * 2011-05-18 2013-10-29 주식회사 케미랜드 옥틸 메톡시 시나메이트가 코팅된 Talc 복합 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9114B1 (ko) * 2011-07-08 2019-11-27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복합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KR20160094690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JP6592346B2 (ja) * 2015-12-04 2019-10-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トラネキサム酸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KR101972835B1 (ko) 2018-04-27 2019-04-26 정인선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2787B1 (ko) 2018-08-17 2020-02-28 김동명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일 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미립자, 그 미립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미립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3818A (ja) * 1990-11-22 1992-07-13 Kanebo Ltd 固型粉末化粧料
US6436378B1 (en) * 2001-02-28 2002-08-20 Colgate-Palmolive Company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3818A (ja) * 1990-11-22 1992-07-13 Kanebo Ltd 固型粉末化粧料
US6436378B1 (en) * 2001-02-28 2002-08-20 Colgate-Palmolive Company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463A (ko)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238B1 (ko) 2011-07-13
KR20110132294A (ko) 2011-12-07
KR20090108519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996253B1 (ko)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omc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5623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중공성 구형 실리카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62543B1 (ko) 블루 라이트 차단용 이산화티탄 유분산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40363387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uv protection
KR101142233B1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1784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301A (ko)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EP3157495B1 (en) Sunscreen composition in powder form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84480B1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006343B1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CN101998848B (zh) 粉末相防晒化妆品组合物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EP2813264A1 (en) Uv protection agent containing bismuth oxychloride
KR10154291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1117411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940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4515B1 (ko)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1072318A (ja) 紫外線遮断機能を有する保湿剤分散体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2017525683A (ja) 化粧品組成物
KR102637693B1 (ko) 분말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