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515B1 -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515B1
KR101254515B1 KR1020120107417A KR20120107417A KR101254515B1 KR 101254515 B1 KR101254515 B1 KR 101254515B1 KR 1020120107417 A KR1020120107417 A KR 1020120107417A KR 20120107417 A KR20120107417 A KR 20120107417A KR 101254515 B1 KR101254515 B1 KR 10125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mica
powder
titanium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석
Original Assignee
네이쳐 앤 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쳐 앤 바이오(주) filed Critical 네이쳐 앤 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12010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S1)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칭량하여 분쇄기에 투입하는 단계, (S2) 상기 투입된 무기물질을 분쇄하여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게 하지 않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Powder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UV sunscree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옥시염화 비스무트, 실리카 및 산화철을 분쇄하며 혼합하고 여과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빛의 약 1%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 A(320~400nm), 자외선 B(280~320nm) 및 자외선 C(200~280nm)의 3개의 영역으로 분류된다. 상기 자외선 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고, 자외선 B는 대부분 오존층에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에 도달하여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키며, 자외선 A는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는 것으로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고, 오존층 파괴가 심화됨에 따라 인체의 피부가 과도하게 자외선에 노출되어 피부에 기미, 주근깨, 홍반, 부종, 피부암 등을 유발시키며,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피부의 신진대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은 자외선 차단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는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1151호에는 유기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므로, 피부에 도포할 경우 밀착력이 있고 사용감이 우수하며, 투명성이 높으므로 자연스러운 화장을 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좁은 범위의 특정 파장에서만 흡수 파장대를 가지므로 광범위하게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한다. 또한, 유기물질은 분자량이 낮고 지용성이므로 피부 내부로 침투할 수 있고, 그 자체는 독성이 없더라도 자외선을 흡수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되어 독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며,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 끈적임을 유발하고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물리적으로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시키고 자외선 흡수 파장대가 넓으므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피지에 녹지 않기 때문에 피부 내부로 침투하지 않으므로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다. 하지만,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도포할 경우 건조함을 느끼게 하고,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 백탁 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11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피부에 도포할 경우 건조함을 느끼게 하고,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 백탁 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운모(Mica)의 함량을 45 중량% 내지 55 중량%로 사용하고, 산화아연(Zinc oxide)의 함량을 15 중량%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며,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의 함량을 12 중량% 내지 22 중량%로 사용하고, 실리카(Silica)의 함량을 3 중량% 내지 8 중량%로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게 하지 않고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할 수 있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S1)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을 칭량하여 분쇄기에 투입하는 단계, (S2) 상기 투입된 무기물질을 분쇄하여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운모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45 중량% 내지 55 중량%, 상기 산화아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5 중량% 내지 25 중량%, 상기 이산화티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중량% 내지 22 중량% 및 상기 실리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3 중량% 내지 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옥시염화 비스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내지 8 중량% 및 상기 산화철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단계 (S2)는 2500 rpm 내지 3700 rpm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의 사용량을 한정함으로써,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게 하지 않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분말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색조화장 후에도 지속적으로 덧바를 수 있고, 휴대하기 편리하며 사용이 간편하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칭량하여 분쇄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
상기 운모(Mica)는 층상 구조형의 규산염 광물로서, 탄성이 풍부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경우 부착성이 우수하고 사용감이 좋으며, 피부를 윤기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판상 형태로서,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게 하지 않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운모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45 중량% 내지 5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모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45 중량% 이하이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저하되고 피부에 도포시 윤기가 감소하며, 55 중량% 이상이면 운모의 판상 입자의 두께가 두꺼워 인위적인 화장의 느낌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Zinc oxide)은 가벼운 백색 분말로서, 자외선 A의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결점 은폐력이 높은 물질이다. 상기 산화아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5 중량% 내지 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아연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5 중량% 이하이면 자외선 A의 차단 효과가 저하되고, 25 중량% 이상이면 산화아연 입자의 재응집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에 도포할 경우 화장이 뭉치는 백탁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은 백색의 무기안료로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피부의 결점 커버력이 높으며, 자외선 B 및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중량% 내지 2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티탄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중량% 이하이면 자외선 및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저하되고, 22 중량% 이상이면 이산화티탄이 응집 현상을 일으켜 입자의 크기가 커지므로 백탁 현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Silica)는 규소와 산소의 화학적 결합체로서 소수성 성분이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경우 퍼짐성이 우수하고 사용 질감이 매끄러우며, 피지나 땀 등의 흡수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의 번들거림을 방지하고 화사한 상태를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퍼짐성이 우수하므로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의 응집현상의 발생을 저하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백탁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실리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3 중량% 내지 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3 중량% 이하이면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사용감이 저하되고 백탁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8 중량% 이상이면 피부에 건조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 후에, 상기 투입된 무기물질을 분쇄하여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는 혼합하는 무기물질들의 입자 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쇄하며 혼합하는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무기물질들이 균일하게 혼합할 있도록 2500 rpm 내지 3700 rpm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도가 2500 rpm 이하이면 무기물질들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3700 rpm 이상이면 마찰력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무기물질들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 후에, 상기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3)는 무기물질 혼합물에 이물질이나 혹은 혼합물의 뭉침 입자 또는 기준 입자 크키보다 큰 입자들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무기물질의 기준 입자 크기 이하의 혼합물 입자는 통과시키지만 이물질 혹은 혼합물의 뭉침 입자, 기준 입자 크기보다 큰 입자는 통과시키지 못하는 크기의 망(Mesh)을 이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옥시염화 비스무트(Bismuth oxychloride)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진주분말 또는 무기안료로 사용되고, 단결정 구조로서 반사율이 높으므로 자연스럽고 윤기 있는 피부를 표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옥시염화 비스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내지 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염화 비스무트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이하이면 피부의 윤기가 저하되고, 8 중량% 이상이면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경우 번들거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화철(Iron oxide)은 착색안료로서, 적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다. 상기 산화철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철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이하이면 화장의 지속성이 저하되고, 5 중량% 이상이면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경우 색상이 진하게 표현되고 산화철 입자 간의 응집이 발생하여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피부 자극이 적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지속적이며,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게 하지 않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운모 50.0 중량%, 산화아연 20.0 중량%, 이산화티탄 17.0 중량%, 옥시염화 비스무트 5.0 중량%, 실리카 5.0 중량%, 이산화티탄(CI 77891) 2.0 중량%, 산화철(CI 77491) 0.3 중량% 및 산화철(CI 77492) 0.4 중량%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8>의 조성물을 분쇄기(Mill)를 이용하여 3600 rmp의 속도로 분쇄 및 혼합하여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얻었다.
(2) 상기 무기물질 혼합물을 망(Mesh)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철
< 실험예 1>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8>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 사용감, 백탁 현상, 촉촉함에 대하여 20 ~ 40 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의 평가는 사용감, 백탁 현상, 촉촉함에 대한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매우 좋음 또는 만족인 경우를 5점으로 하고, 매우 나쁨 또는 불만족인 경우를 1점으로 하였고, 자외선 차단 효과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8>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in vitro 자외선차단지수(SPF)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료를 2㎛/cm2의 수준으로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도포 후 SPF 분석기(Analyer)로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평균한 값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평가 항목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SPF 수치 33.6 36.2 35.8 33.2 42.3 43.6 43.9 44.6
사용감
(퍼짐성, 촉감)
3.3 3.1 3.5 3.5 4.4 4.4 4.4 4.6
백탁 현상 2.8 2.5 3.5 3,0 4.3 4.3 4.3 4.6
촉촉함 3.5 3.3 3.0 3.2 4.1 4.3 4.0 4.5
평균 3.2 2.97 3.33 3.23 4.27 4.33 4.23 4.57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제조예 5> 내지 <제조예 8>의 조성물이 사용감 및 촉촉함의 효과가 높이 평가되었고, 백탁 현상이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자외선 차단 효과도 우수하였다.
이는 퍼짐성이 우수한 실리카를 사용함으로써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의 응집 현상을 저하시켜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의 입자들을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사용감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아지고 백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감이 좋고 윤기나게 하는 효과를 가진 운모를 사용하여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지 않고 촉촉하고 윤기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옥시염화 비스무트를 포함한 <제조예 6>은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의 4가지만 혼합한 <제조예 5>에 비해 촉촉함이 증가한 사실을 통해, 옥시염화 비스무트도 자연스럽고 윤기 있는 피부를 표현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화철을 포함한 <제조예 7>은 색상을 나타내는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을 모두 포함한 <제조예 8>은 사용감 및 촉촉함이 우수하고 백탁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사용량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1) 본 발명의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중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한 중량%에 따라 제조한 <제조예 9> 내지 <제조예 12>의 조성물을 분쇄기(Mill)를 이용하여 3600 rmp의 속도로 분쇄 및 혼합하여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얻었다.
(2) 상기 무기물질 혼합물을 망(Mesh)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중량%)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운모 35 45 55 65
산화아연 5 15 25 35
이산화티탄 2 12 22 32
실리카 1 3 8 13
옥시염화 비스무트 1 2 8 13
산화철 1 2 5 10
< 실험예 2> 본 발명의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사용량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중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9> 내지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 사용감, 백탁 현상, 촉촉함에 대하여 20 ~ 40 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의 평가는 사용감, 백탁 현상, 촉촉함에 대한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매우 좋음 또는 만족인 경우를 5점으로 하고, 매우 나쁨 또는 불만족인 경우를 1점으로 하였고, 자외선 차단 효과는 상기 <제조예 9> 내지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in vitro 자외선차단지수(SPF)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료를 2㎛/cm2의 수준으로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도포 후 SPF 분석기(Analyer)로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평균한 값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평가 항목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SPF 수치 23.6 41.3 45.6 46.9
사용감
(퍼짐성, 촉감)
3.2 4.6 4.4 2.8
백탁 현상 3.5 4.5 4.4 3.0
촉촉함 3.3 4.0 4.3 3.5
평균 3.33 4.37 4.37 3.1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을 각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5 중량% 및 12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제조예 9>의 조성물은 SPF 수치가 23.6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의 사용량이 적어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을 각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5 중량% 및 22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한 <제조예 12>의 조성물이 백탁 현상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들의 응집 현상이 발생하여 백탁 현상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운모 및 실리카를 각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45 중량% 및 3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제조예 9>의 조성물은 백탁 현상이 나타나고 사용감 및 촉촉함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용감이 좋고 윤기나게 하는 효과를 가진 운모 및 퍼짐성이 우수한 실리카의 사용량이 적어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탄의 응집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고,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게 하는 결과를 야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운모 및 실리카를 각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55 중량% 및 8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한 <제조예 12>의 조성물은 사용감에 있어서 피부가 번들거리고 백탁 현상도 심하게 나타나며, 피부의 건조함도 느끼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한정한 적정량을 사용한 <제조예 10> 및 <제조예 11>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으면서 사용감 및 촉촉함이 나타나며 백탁 현상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모 45 중량%, 실리카 3 중량% 및 옥시염화 비스무트 2 중량%를 포함한 <제조예 10>에 비해, 운모 55 중량%, 실리카 8 중량% 및 옥시염화 비스무트 8 중량%를 포함한 <제조예 11>이 사용감 및 촉촉함의 효과가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 또는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질들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한정한 양을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피부에 건조함을 느끼게 하지 않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S1) 운모,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실리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및 산화철을 칭량하여 분쇄기에 투입하는 단계;
    (S2) 상기 투입된 무기물질을 분쇄하여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분쇄된 무기물질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45 중량% 내지 55 중량%;
    상기 산화아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5 중량% 내지 25 중량%;
    상기 이산화티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중량% 내지 22 중량%; 및
    상기 실리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3 중량% 내지 8 중량%;
    상기 옥시염화 비스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내지 8 중량%; 및
    상기 산화철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2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는 2500 rpm 내지 3700 rpm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07417A 2012-09-26 2012-09-26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5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17A KR101254515B1 (ko) 2012-09-26 2012-09-26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17A KR101254515B1 (ko) 2012-09-26 2012-09-26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515B1 true KR101254515B1 (ko) 2013-04-19

Family

ID=4844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417A KR101254515B1 (ko) 2012-09-26 2012-09-26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5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128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솔레온 자외선 차단 복합 안료, 복합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0713204A (zh) * 2019-09-30 2020-01-21 成都理工大学 一种白云母负载纳米ZnO复合抗紫外剂及其制备技术
CN111297710A (zh) * 2019-11-06 2020-06-19 成都理工大学 一种白云母负载纳米ZnO复合抗紫外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125A (ja) * 1994-01-27 1995-10-03 Ajinomoto Co Inc 紫外線遮蔽性粉体および化粧料
KR970000745B1 (ko) * 1993-11-19 1997-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성 화장료용 안료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639A (ko) * 2009-12-23 2011-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4920A (ko) * 2010-10-04 2012-04-13 주식회사 선진화학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복합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745B1 (ko) * 1993-11-19 1997-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성 화장료용 안료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252125A (ja) * 1994-01-27 1995-10-03 Ajinomoto Co Inc 紫外線遮蔽性粉体および化粧料
KR20110072639A (ko) * 2009-12-23 2011-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4920A (ko) * 2010-10-04 2012-04-13 주식회사 선진화학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복합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128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솔레온 자외선 차단 복합 안료, 복합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0713204A (zh) * 2019-09-30 2020-01-21 成都理工大学 一种白云母负载纳米ZnO复合抗紫外剂及其制备技术
CN111297710A (zh) * 2019-11-06 2020-06-19 成都理工大学 一种白云母负载纳米ZnO复合抗紫外剂及其制备方法
CN111297710B (zh) * 2019-11-06 2023-03-24 成都理工大学 一种白云母负载纳米ZnO复合抗紫外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KR101727527B1 (ko)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62543B1 (ko) 블루 라이트 차단용 이산화티탄 유분산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0148180A2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uv protection
KR101261784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989B1 (ko) 마크로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4515B1 (ko)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771B1 (ko)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1537A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3719A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20150133110A (ko)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KR102520887B1 (ko) 다공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3920380B2 (ja) 紫外線遮断機能を有する保湿剤分散体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Benjatikul et al. Sunscreen properties of Marl
KR20120033593A (ko)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47555A (ko) 자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430584A (zh) 包含至少一种低导热率粉末的美容组合物
KR101117411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59134B1 (ko) 자외선 차단용 무기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7693B1 (ko) 분말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196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853A (ko) 나노 물질 및 중국 의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자외선차단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