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639A -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639A
KR20110072639A KR1020090129658A KR20090129658A KR20110072639A KR 20110072639 A KR20110072639 A KR 20110072639A KR 1020090129658 A KR1020090129658 A KR 1020090129658A KR 20090129658 A KR20090129658 A KR 20090129658A KR 20110072639 A KR20110072639 A KR 2011007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oil
transparent sol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호
주용준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639A/ko
Publication of KR2011007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6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차단제, 겔화제, 안정화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겔화제로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틱형 제품으로 제조가 가능할 정도로 적절한 경도를 갖고 투명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스틱형 제품은 종래 크림 또는 에멀젼 타입과 달리 손에 문지 않고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여러 번 덧바르기 쉬울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투명성, 스틱형, 화장료 조성, 경도

Description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Transparent solid-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UV}
본 발명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틱형 제품으로 제조가 가능할 정도로 높은 경도를 갖고 투명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중 대기 오염 등에 의해 오존층의 파괴가 심각해져 인체가 자외선에 쉽게 노출될 위험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장파장 자외선(320∼400nm, 이하 UVA라 칭함), 중파장 자외선(280∼320nm, 이하 UVB라 칭함), 단파장 자외선(200∼280nm, 이하 UVC라 칭함)으로 분류된다. 이중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 영역은 290∼400nm이며 그 광량은 태양광선 중 약 6%를 차지하며 이중 UVB가 약 0.5%, UVA가 나머지 5.5%를 차지할 정도로 UVA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UVB는 피부를 선번(sun burn)상태로 만들어 홍반, 수포유발 등을 일으키는데, 이에 반해 UVA는 UVB보다 구름 및 창문 유리를 투과하기 쉬워 1년 내내 피부에 많은 양이 노출되고 있다. 그 결과, 피하의 진피층에 침투하여 깊은 주름이 생기고, 피부가 처지며, 탄력성 저하와 같은 피부 노화의 주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UVA를 차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된다.
이에 2006년 유럽연합(EU)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UVA차단 기능의 강화를 명문화하여 권고하였다. 그 주 내용은 「UVA지수가 UVB차단지수(SPF)의 1/3을 넘어야 하며, UVA 차단지수의 평가 기준인 임계 파장(critical wavelength)이 370nm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는 2009년부터 적용되어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제는 유중수형(water-in-oil) 또는 수중유형(oil-in-water)과 같은 유화 타입이나 크림 타입, 그외에 스프레이 및 밤 제형 등이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유화 타입의 경우 화장 후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어려우며, 크림상의 자외선차단 제품은 대부분 튜브에 충진이 되어 사용시 손으로 직접 사용하게 되어 있어 피부에 도포 후 손에 이물감이 남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이러한 유화 및 크림 타입은 피부에 도포시 하얗게 일어나는 백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특허 공개 제2007-0072435호는 총 조성물에 대하여 왁스 성분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퍼프를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내특허 공개 제2009-0121848호는 수상성분 1∼50 중량%, 유기겔화제 0.01∼10중량%, 유기 자외선 차단제 1∼20 중량%, 무기 자외선 차단제 1∼40 중량 %, 왁스 2∼10 중량%, 계면활성제 1∼10 중량%, 오일 10∼50 중량% 및 안료 5∼40 중량%를 함유하며, 고형상의 유중수 에멀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의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종래에 알려진 고형타입의 제형을 만들기 위한 기술로서는 파라핀왁스, 세레신왁스, 칸델리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등의 왁스나 스테아린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고형이지만 투명하지 않다
또한 피부에 도포 후에도 왁스 특유의 무거운 감이 남아 있고, 왁스가 사용되어 사용시 손으로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으로 인해 피부 도포시 하얗게 변하는 백탁 현상이 있어 화장 후에 덧바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 함유해야하는 데, 실질적으로 현재까지는 고형인 제형에 있어서 투명도와 스틱형태의 경도를 유지하면서 자외선 차단기능을 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유화 타입 또는 크림 타입 등으로 자외선 차단제품을 만드는 대신에, 스틱형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한 고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틱형 제품으로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투명도를 유지하여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여러 번 덧바를 수 있는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로,
a)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자외선 차단제 10∼40 중량%;
b)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성 성분 겔화제 10∼70 중량%;
c)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안정화제 0.1∼10 중량%; 및
d) 오일 10∼40 중량%;
를 포함하는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스틱형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투명한 고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형상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시켜 자외선 차단을 위한 투명한 스틱 제품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스틱형 제품은 투명도가 높고 적당한 경도를 가지고, 투명하기 때문에 백탁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 번 덧바르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 적고 발한량이 적어 보존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손에 묻지 않고 쉽게 사용가능하며,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스틱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형, 바람직하기로 스틱형 제품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외선 차단을 비롯한 고형의 화장품 제조를 위해선 왁스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왁스는 고형이긴 하나 투명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에 더하여 특정 조성의 유성 성분 겔화제 및 안정화제를 사용하고 그 함량을 한정하여 투명하면서도 스틱 제형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시녹세이트, 옥틸트리아존, 옥틸디메칠파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캄파,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알루미나, 실리카, 활석, 운모, 카올린,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이러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 입도가 0.01∼100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조성물의 분산 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유기 및/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내지 10∼40 중량%, 바람직하기로 25∼35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충분한 차단력을 확보할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발한이나 분리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20 내지 80이고, 자외선A차단등급(PA)이 트리플 플러스(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지수 혹은 차단 등급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혹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두 종류의 자외선 차단제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틱형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갖는 고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기 위해, 유성 성분 겔화제를 사용한다.
상기 유성 성분 겔화제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는 비스-디옥타데실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산/에틸렌디아민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 성분 겔화제는 투명성을 구비하면서 경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도포시 밀착성, 발림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어,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한 경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 불투명한 성상을 나타내고 도포시에 밀착성,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왁스 사용이 불필요하다.
이러한 유성 성분 겔화제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10∼70 중량%, 바람직하기로 30∼5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상기 유성 성분 겔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투명성, 경도 및 성형성이 미비하여 고형, 특히 스틱 제품으로의 제조가 어렵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품 사용감이 저하될뿐만 아니라 발한성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특히, 외관 특성과, 성형성 및 윤기, 발한 및 피부 안전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상기 유성 성분 겔화제의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는 1:1 내지 1:7의 중량비로 사용한다. 상기 디이소스테라일 말레이트는 겔화제로 사용하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높이고 발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취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 중합체의 경우 투명하고도 고형의 제품 성형이 가능하나 자외선 차단제의 함유에 따라 안정성이 낮아져 발한이나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안정화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는 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와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이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10 중량%, 바람직하기로 1∼3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만약 안정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전술한 바의 효과를 확보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성형성이나 사용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안정화제는 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와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를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의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감을 좋게 하며, 조성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오일을 포함한다.
오일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고, 에스테르계 오일로는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헥사노에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세 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헥실테카놀, 및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식물성 오일로는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 등이 있으며, 실리콘 오일로는 사이클로 메치콘 및 디메치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오일 10∼40 중량%, 바람직하기로 25∼35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조성물 간 상용성이 낮아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끈적임으로 인해 사용감이 저하되고 성형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 오일 조성으로 탄화수소계 오일과 에스테르계 오일을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탄화수소계 오일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과 에스테르계 오일인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과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1:1∼1:2 중량비)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추가로, 상기 조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첨가제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펄제, 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 및 효능을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올리베이트 등을 전체 조성물 내에서 1 중량%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 착색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하는 점을 고려할때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소량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착색제로는 레이크, 착색안료 및 진주광택안료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방법을 사용한다.
일예로, 혼합기에 유성 성분 겔화제와 안정화제를 첨가한 다음, 50∼10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자외선 차단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어 얻어진 혼합액을 20∼80℃의 온도에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탈포시킨 후, 금형에 부어 냉각을 통해 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스틱형 제품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위한 제품으로, 높은 수준의 투명도를 가질뿐만 아니라 스틱형으로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두께 10μm로 평가했을 때, 투과율(%)의 최대치로서 90%이상의 투과율을,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께 1cm로 평가했을 때, 투과율(%)의 최대치로서 20% 이상의 투과율을, 가장 바람직하게는 두께 1cm로 평가했을 때, 투과율(%)의 최대치로서 3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진다. 그 결과 종래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경우 피부 상에 하얗게 일어나는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화 장전 또는 화장 후에도 여러 번 덧바르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제품으로 제조한 경우 경도가 100 내지 180gf를 갖는다. 이에 피부에 부드럽게 도포되며 끈적임이 없이 사용감이 매우 우수하며, 스틱 제품이기 때문에 종래 크림 또는 에멀젼 타입과 달리 손에 문지 않고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더불어 피부 자극이 적고 발한량이 적어 보존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왁스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왁스 특유의 무거운 감이 없이 피부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의 화장료 조성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조성 비율로, 유성 성분 겔화제와 안정화제를 100℃에서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70℃로 온도를 낮추어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을 투입한 후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탈포 후 몰더에 충진하고 25℃에서 냉각하여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조성(중량%) 1 2 3 4
자외선 차단제
옥토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옥토크릴렌 10 10 10 1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 1 1 1
옥틸살리실레이트 4 4 4 4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3 3 3 3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벤조에이트 3 3 3 3
겔화제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0 15 10 5
폴리아마이드 코폴리머1 ) 20 25 30 35
안정화제
디부틸에틱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2 2 2 2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2 2 2 2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트폴리이소부텐 15 15 15 15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5 5 5 5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조성(중량%) 1 2 3 4 5 6 7
자외선 차단제
옥토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5 5
옥토크릴렌 10 10 10 10 10 10 1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 1 1 1 1 1 1
옥틸살리실레이트 4 4 4 4 4 4 4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3 3 3 3 3 3 3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벤조에이트 3 3 3 3 3 3 3
겔화제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 5 5 5 2 20 2
폴리아마이드 코폴리머1 ) - 35 35 35 3 40 2
파라핀왁스 5 - - - - - 2
세레신왁스 5 - - - - - 5
칸데릴라왁스 5 - - - - - 5
안정화제
디부틸에틱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 - 4 - 2 2 2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 - - - 4 2 2 2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트폴리이소부텐 15 15 15 15 30 3 29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39 14 10 10 30 4 20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5 5 5 5 5 3 5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주) 1. 폴리아마이드 코폴리머: 비스디옥타데실아마이드 다이머디리놀레산/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APTA)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 투명도 평가
<육안 평가>
투명도의 평가법: 고형물이나 유성 화장료 등의 시료를 가열 용해한 것을 두께 1 cm의 메타크릴레이트 셀에 흘려 넣어 냉각한 후, 분광 광도계 UV-160A(시마즈사 제조)를 이용해 가시광 영역(400~800nm)의 투과율을 측정해, 최대 투과율을 기준으로 하는 대조구를 조제한다. 이 대조구와 비교해 시료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투명함 (투과율 30% 이상)
△: 약간 탁함 (투과율 10∼30% 미만)
×: 탁함 (투과율 10% 미만)
<투과율 측정>
두께 10μm에서의 평가:조제한 시료를 투명한 슬라이드에 두께 10μm의 층으로 도포해 최대치의 투과율(%)의 값을 얻어,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가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점 육안 평가 투과율 측정
평가 기준 투과율
투명함 30% 이상 90% 이상
약간 탁함 10∼30% 미만 80∼90% 미만
× 탁함 10% 미만 80% 미만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투명도 × × ×
상기 표 4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모두 우수한 투명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비교하여 왁스를 사용한 비교예 1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유성 성분 겔화제의 함량이 미비한 비교예 5 및 7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탁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과량의 유성 성분 겔화제의 사용으로 우수한 투명도를 나타냈다.
(실험예 2) 경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지름이 11mm인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스틱 제형)을 옆으로 뉘여 놓고, 50mm/min의 속도로 지름이 1mm인 선형 아답타를 이용하여 단면을 자르는 조건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경도(gf) 149 151 153 157 172 84 132 156 97 198 187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조성물은 149∼157gf의 수치를 나타내어 피부에 잘 도포되고 사용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2 및 5의 경우 경도가 매우 낮아 제품 사용시 깨지거나 부러지기 쉬운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비교예 6의 경우 과도한 겔화제의 사용으로 높은 수치의 경도를 가지나 피부에 바르는 사용감이 매우 뻑뻑해지는 문제가 있다.
(실험예 3) 발한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발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조제법에 기재된 50ml의 유리 용기에 보관하는 시료를, 45℃의 항온실에 2시간 보관한 후, 시료 표면의 발한량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또한, 25℃의 항온실에 다시 3시간 보관한 후의 발한상태도 평가했다.
<평가 기준>
○: 발한량이 적어 기름 방울을 볼 수 없는 것
△: 발한 정도를 미미하게 관찰할 수 있었으나, 25℃의 항온실에서 발한이 돌아오는 것
×: 발한량이 많아, 25℃의 항온실에서도 발한이 돌아오지 않는 것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발한성 × × ×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조성물은 오일이 배어 나오는 발한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비교하여 왁스를 사용한 비교예 1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유성 성분 겔화제의 함량이 미비한 비교예 5 및 7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오일이 약간 또는 심각하게 배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보존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40℃의 항온실에 3개월간 보관한 후, 45℃와 -4℃의 온도를 왕복하는 항온실에 5회 왕복하는 기간 동안 보관한 후에, 발한, 분리, 변색, 착취 등의 유무를 평가했다. 이와 더불어 장기간 보존 후 투명도 변화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 1의 육안 검사를 수행하였다.
<평가 기준>
○: 이상한 점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를 양호
△: 약간 이상한 점이 발견되나 실용상으로 문제가 없는 경우
×: 이상한 점이 인정되는 경우를 불량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보존 안정성 × × ×
투명도 × × × × ×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조성물은 장기간 보전 및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왁스를 사용한 비교예 1∼7의 조성물은 분리 현상이 발생하거나 투명도가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실험예 5) 피부 안전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피시험자인 남자 10명과 여자 10명, 합계 20명의 팔뚝굴측부 피부에, 시료 0.05 g을, 직경 1.0 cm의 린트 옷감이 붙은 원형패치 테스트용 반창고를 이용해 24시간 폐색첩포 한다.반창고를 제거하고 1시간 후 및 24시간 후의 피시험자 20명의 피부 상태를, 아래와 같은 평가 기준에 따라 판정 평가했다. 평가에는, 반창고 제거 1시간 후와 24시간 후 가운데, 반응이 강한 쪽을 채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
◎: 붉은 반점 없음, 부종 없
○: 경미한 붉은 반점
△: 붉은 반점
×: 붉은 반점, 부종, 수포
구분 실시예 비교예
피부자극 1 2 3 4 1 2 3 4 5 6 7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모두 피부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을 위한 스틱형 화장품으로 제조 판매가 가능하다.

Claims (13)

  1.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로,
    a)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자외선 차단제 10∼40 중량%;
    b)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성 성분 겔화제 10∼70 중량%;
    c) 디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안정화제 0.1∼10 중량%; 및
    d) 오일 10∼40 중량%;
    를 포함하는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20 내지 80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100 내지 180 gf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께 10㎛의 고형 화장료 층에 대한 가시광선(400∼800nm) 투과율(%)의 최대치가 90% 이상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시녹세이트, 옥틸트리아존, 옥틸디메칠파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캄파,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알루미나, 실리카, 활석, 운모, 카올린,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성분 겔화제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공중합체는 1:1 내지 1:7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디아민/비스-디C14~18 알킬 아마이드 다이머 디 리놀레이트 공중합체는 비스-디옥타데실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산/에틸렌디아민 공중합체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부틸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와 디부틸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를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과 에스테르계 오일을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이고,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과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1:1∼1:2 중량비)인 것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 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KR1020090129658A 2009-12-23 2009-12-23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58A KR20110072639A (ko) 2009-12-23 2009-12-23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58A KR20110072639A (ko) 2009-12-23 2009-12-23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639A true KR20110072639A (ko) 2011-06-29

Family

ID=4440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658A KR20110072639A (ko) 2009-12-23 2009-12-23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63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15B1 (ko) * 2012-09-26 2013-04-19 네이쳐 앤 바이오(주)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157789A (zh) * 2016-02-29 2017-09-15 爱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隔离有害射线用化妆组合物
KR20180074938A (ko) * 2016-12-26 2018-07-04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8515A (ko) 2018-05-08 2019-11-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20071643A1 (ko) * 2018-10-04 2020-04-09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1067811A (zh) * 2019-12-20 2020-04-28 成都理工大学 一种煅烧高岭土负载纳米TiO2复合抗紫外剂及其制备技术
CN114831899A (zh) * 2020-12-23 2022-08-02 蔻诗曼嘉韩国股份公司 高温稳定性和使用感提高的固体状化妆品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KR20230028921A (ko)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아이디엘케이 초고함량의 이산화티탄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15B1 (ko) * 2012-09-26 2013-04-19 네이쳐 앤 바이오(주)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157789A (zh) * 2016-02-29 2017-09-15 爱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隔离有害射线用化妆组合物
KR20180074938A (ko) * 2016-12-26 2018-07-04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8515A (ko) 2018-05-08 2019-11-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20071643A1 (ko) * 2018-10-04 2020-04-09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1067811A (zh) * 2019-12-20 2020-04-28 成都理工大学 一种煅烧高岭土负载纳米TiO2复合抗紫外剂及其制备技术
CN114831899A (zh) * 2020-12-23 2022-08-02 蔻诗曼嘉韩国股份公司 高温稳定性和使用感提高的固体状化妆品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KR20230028921A (ko)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아이디엘케이 초고함량의 이산화티탄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2639A (ko)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229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2072B1 (ko)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327826B1 (ko)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100749891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EP3409263A1 (en) Transparent oily solid cosmetics
KR20140060756A (ko) 광택감, 광택 지속력 및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401223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cattering filler and nacres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2294A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09328055B (zh) 口唇化妆品
KR20150089517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3346980B1 (en) Lipophili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elargonic acid esters
EP2866770B1 (en)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polyester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84480B1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2254A (ko)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0334A (ko) 윤기 지속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