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89B1 -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89B1
KR102152289B1 KR1020180118498A KR20180118498A KR102152289B1 KR 102152289 B1 KR102152289 B1 KR 102152289B1 KR 1020180118498 A KR1020180118498 A KR 1020180118498A KR 20180118498 A KR20180118498 A KR 20180118498A KR 102152289 B1 KR102152289 B1 KR 10215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weight
inorganic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810A (ko
Inventor
안소연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89B1/ko
Priority to PCT/KR2019/011253 priority patent/WO2020071643A1/ko
Publication of KR2020003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이 편리한 투명 스틱 형태를 갖고 안정성이 우수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면서도 백탁 현상, 발한 현상이 없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번들거리지 않아 사용감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mprising zinc oxide}
백탁 현상이 없고 사용감이 우수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 중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자외선은 일반적으로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시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200-290nm의 파장인 자외선 C(이하 UVC라 한다)는 오존층을 만나면서 반사 또는 산란이 일어나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해 소실되지만, 290-320nm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 B(이하 UVB라 한다)와 320-400nm의 파장을 지닌 자외선 A(이하 UVA라 한다)는 지표면에 도달하여 인체의 피부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하여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킬 수 있고,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멜라닌과 주름 형성 및 피부암을 유발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광 노출에 의한 위험이 알려지면서 자외선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자외선차단제에는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인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인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은 끈적임 및 번들거림과 같은 피부 도포감 저하가 발생하게 되며, 화학적 반응에 의한 피부 자극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게 되면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 광독성이 없고, 접촉성 피부염으로부터 안전하지만, 도포시 피부가 하얗거나 뿌옇게 보이는 백탁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차단제를 자주 덧바르는 것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도포가 간편한 스틱 타입의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스틱 형태로 제조하게 될 경우, 백탁 현상이 심하고 부드럽게 발리지 않아서 사용감이 떨어지고 뻑뻑하여 상용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극성이 적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만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이로 인한 백탁 현상과 번들거림이 해소되며 부드러운 발림성을 갖는 스틱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만 포함하여 저자극이면서도 백탁 현상과 번들거림이 완화되고 우수한 발림성을 갖는 스틱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미리 분산된 형태이며 글루타마이드계 겔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에 분산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분말 형태가 아니라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에 분산된 형태이기 때문에 조성물에 고르게 분산되어 뭉치지 않고 백탁 현상 없이 피부에 고르게 잘 펴발리고,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겔화제로서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투명한 제형을 구현할 수 있고 부서지거나 발한 현상 없이 안정도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 차단 지수, 예를 들어, SPF50+, PA++++의 차단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매, 분산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약 4, 30, 6 중량%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분산매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분산되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분산성이 증가하고 안정화된 제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씌워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시켜 피부 침투를 막는 물리적 차단제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티타늄디옥사이드, 미립자티타늄디옥사이드,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스테아르산, 산화아연 및 산화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0 내지 25 중량%, 약 12 내지 24 중량%, 약 15 내지 23 중량%, 약 17 내지 22 중량%, 또는 약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10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25 중량% 초과 포함될 경우, 백탁 현상이 증가하고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분말 형태가 아닌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대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에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미리 분산된 베이스 형태를 가짐에 따라, 분말 형태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에 비해서 조성물 내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제형 안정성이 증가하고 뭉침 현상이 없어진다. 뭉침 현상이 없어지면 백탁 현상이 감소되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비드밀링(bead milling)에 의하여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저분자의, 오일 겔화제로서 저분자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아마이드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상온에서는 분말상이고 유성 오일 성분과 혼합하여 약 130℃ 이상의 고온에서는 균일하게 용해되어 투명한 액상이 되므로, 이를 냉각시켜 투명한 스틱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15 중량%, 약 3 내지 14 중량%, 약 5 내지 13 중량%, 약 6 내지 12 중량%, 약 8 내지 11 중량%, 또는 약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겔화제가 약 1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조성물이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해 쉽게 부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가 약 15 중량% 초과 포함될 경우, 강도가 너무 커서 발림성이 뻑뻑하고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유상성분 또는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성분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옥틸도데칸올,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디부틸아디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0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성분이 약 10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분말상인 겔화제를 녹일 수 없어서 스틱 제형을 형성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왁스는 광물계 왁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5 중량%, 약 2 내지 4 중량%, 약 2.2 내지 3.5 중량%, 약 2.3 내지 3.3 중량%, 약 2.5 내지 3.0 중량%, 또는 약 2.7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왁스가 약 1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겔링 효과가 미비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스틱 형태로 제형화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왁스가 약 5 중량% 초과 포함될 경우, 제형이 너무 딱딱해서 발림성과 같은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상성분 및 왁스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번들거림 및 사용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투명한 스틱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틱 모양은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틱 제형은 경도가 적절하기 때문에 발림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스틱 제형으로 제형화하기 위해서 왁스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면서도, 종래 스틱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에 비하여 번들거림 현상과 발림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고체로 제형화되기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몰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롤링 장치가 포함된 제품 용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비하여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아 피부 안정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향료, 염료, 충전제, 보존제, 점증제, 중성화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및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른 활성제, 또는 착색제 등과 함께 사용되어, 색상(색조) 표현, 화사함, 입체감, 보습 효과, 미백 개선,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및 펄감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일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 또는 피부과학에서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통해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 내 성분들을 가열하여 유동성을 부여한 다음, 분체를 이에 분산시켜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몰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이 편리한 투명 스틱 형태를 갖고 안정성이 우수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면서도 백탁 현상, 발한 현상이 없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번들거리지 않아 사용감이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상은 용제이고, B상은 유기자외선차단제 및 용제이고, C상은 무기자외선차단제 자외선차단제 및 용제이다.
실시예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에 따라, A상을 130℃ 이상으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투명성을 확인한 뒤 B상과 C상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완전히 용해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C상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베이스로 표 1의 조성에 따라 균일하게 혼합한 뒤, 비드밀(bead mill) 로 2회 처리하여 베이스화한 것이다. 완전히 밀봉하여 실온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예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에 따라, A상을 130℃ 이상으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투명성을 확인한 뒤 B상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완전히 용해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4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에 따라, A상을 130℃ 이상으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투명성을 확인한 뒤 B상과 C상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완전히 용해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A상 옥틸도데칸올 30 30 30 30 30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5 5 5 5 5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5 5 5 5 5
B상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1 1 1 1 1
디부틸아디페이트 10 10 10 10 10
세레신 2.7   2.7 2.7 2.7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옥토크릴렌   3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3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3      
C상 티타늄디옥사이드     20 10  
징크옥사이드 20     10 20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1.3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10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2        
상기 조성물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총 20중량%로 고정하고 오일 및 분체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은 자외선차단제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비교예 2는 자외선차단제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티타늄디옥사이드만을 포함하고, 티타늄디옥사이드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와 함께 베이스화되지 않고 분말로 포함되는 것이다. 비교예 3은 자외선차단제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산화아연을 동량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다. 비교예 4는 자외선차단제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산화아연만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다.
실험예 1.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해당 안정성 평가는 -4℃, RT(상온), 45℃ 에서 1개월 내지 3개월까지 보관한 후 제품의 상태를 관찰하여 안정성을 평가한 것이다. 평가 시 아래 평가 기준으로 스틱 제형의 안정도와 시료 표면의 발한 현상을 육안 관찰하였고, 관찰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X 불량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발한성 -4℃
RT
45℃ X
변색 -4℃
RT
45℃ X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사용된 비교예 1을 제외한 실시예 1 및 비교에 2 내지 4는 발한성이나 변색 등의 안정성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형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에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경우 발한성이나 변색 등 안정성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차외선 차단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성능을 평가하였다. Labsphere 사의 UV Transmittance analyzer UV-2000S 기계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제공된 방법에 따라 SPF 측정 판에 2mg/cm2 의 각 조성물을 펴 발라준 뒤 자외선 차단 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SPF 110 56 37 44 39
PA ++++ ++++ +++ +++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분말 형태로 단독으로 조성물에 포함시킨 경우인 비교예 2 내지 4와 비교하여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와 함께 베이스로 만들어 사용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이 가장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였다.특히,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산화아연만을 사용하였으나, 분말 형태로 조성물에 포함하였기 때문에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사용감에 대한 기호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에 대한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25 ~ 35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대한 발림성과 끈적임, 번들거림, 투명도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및 평가기준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매우나쁨: 1, 나쁨: 2, 보통: 3, 좋음 4, 매우좋음: 5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발림성 3.8 4.1 2.4 3.3 3.7
끈적임 4.3 1.3 4.2 4.0 4.0
번들거림 3.9 1.9 4 3.9 3.7
흡수된 뒤투명도 4.1 5 1.4 2.8 3.6
만족도 4.0 3.3 2.1 2.9 3.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 비교예 1은 발림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도포된 뒤 투명도가 높지만, 끈적임, 번들거림이 심해서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았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만 구성되기 대문에 끈적임이나 번들거림이 적지만, 흡수된 뒤 투명도가 낮았다. 즉, 백탁 현상이 심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았다.
반면, 일 양상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만 구성되기 대문에 끈적임이나 번들거림이 적으면서도 흡수된 뒤 투명도와 발림성 측면에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된 비교예 1과 유사한 것으로 보여 전반적이니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실험예 4. 피부 자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인 20명에게 각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게 한 후 피부 패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 및 평가기준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정상, -: 음성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 2
+ 4 1 2 1
± 6 12 6 6 6
- 14 2 13 12 13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내지 4와 비교하여 피부 자극성이 높아서 위험한 것을 확인하였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내지 4를 비교하여도, 실시예 1은 약한 트러블 조차도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예 2 내지 4보다 인체 피부에 자극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피부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백탁도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를 평가하였다. 인조 피혁 8㎕/4cm2 에 각 조성물을 도포한 뒤 제품의 L value 를 3회 측정하고, 그 평균을 이용하여 하기 수식과 같이 White Cast Index 를 산출하였다. 측정기기는 분광측색계 (CM-2600d) (KONICA MINOLTA, Japan), Sony A7R Camera (Sony, Japan) 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8098098052-pat00001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를 3회 반복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백탁 현상이 없는 반면,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 비하여 백탁 현상이 훨씬 심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에 분산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포함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10 내지 25 중량%, 상기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1 내지 15중량%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아연,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상성분, 또는 왁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광물계 왁스를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한 스틱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18498A 2018-10-04 2018-10-04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98A KR102152289B1 (ko) 2018-10-04 2018-10-04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9/011253 WO2020071643A1 (ko) 2018-10-04 2019-09-02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98A KR102152289B1 (ko) 2018-10-04 2018-10-04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10A KR20200038810A (ko) 2020-04-14
KR102152289B1 true KR102152289B1 (ko) 2020-09-04

Family

ID=7005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98A KR102152289B1 (ko) 2018-10-04 2018-10-04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2289B1 (ko)
WO (1) WO20200716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858B1 (ko) 2022-10-17 2023-07-04 한국콜마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336B1 (ko) * 2020-06-01 2022-02-14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징크옥사이드 유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156035B (zh) * 2020-10-20 2022-10-21 上海中翊日化有限公司 一种防晒棒及其制备方法
FR3135894A1 (fr) 2022-05-29 2023-12-01 Formule&Sens Composition cosmétique sous forme de solide compact comprenant une cire d'origine végétale, un composé liquide particulier, et un composé solide ou semi-solide à base de triglycérides d'origine végéta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2145A1 (en) 2014-01-21 2015-07-23 Md Solarciences Corp. Sunscreen composition with improved aesthetic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65B1 (ko) * 2002-12-31 2008-06-09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의 미세 유분산액 및 이를 함유하는외용제 조성물
KR100968715B1 (ko) * 2007-12-27 2010-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639A (ko) * 2009-12-23 2011-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68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WO2017057918A1 (ko) * 2015-09-30 2017-04-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0929B1 (ko) * 2016-04-22 2023-12-08 (주)아모레퍼시픽 스틱형 자외선 차단 화장품
KR101725805B1 (ko) * 2017-01-17 2017-04-11 주식회사 에스알비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772B1 (ko) * 2017-05-24 2019-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2145A1 (en) 2014-01-21 2015-07-23 Md Solarciences Corp. Sunscreen composition with improved aesthetic proper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858B1 (ko) 2022-10-17 2023-07-04 한국콜마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10A (ko) 2020-04-14
WO2020071643A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342072B1 (ko)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S60231607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40060006A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639A (ko)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04629A1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 comprising pigments and a high amount of water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06010214A1 (en) Natural sunscreen composition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LU101670B1 (en) Sun protection topical composition
KR20080093574A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EP2964186B1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emulsion form comprising an emulsifying hydrophilic gelifying agent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8690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7630B1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9469A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714A (ko) 지속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2813B1 (ko)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1692769B1 (ko) 상전이 왁스를 함유하는 피부 쿨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2947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