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813B1 -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813B1
KR102382813B1 KR1020200123145A KR20200123145A KR102382813B1 KR 102382813 B1 KR102382813 B1 KR 102382813B1 KR 1020200123145 A KR1020200123145 A KR 1020200123145A KR 20200123145 A KR20200123145 A KR 20200123145A KR 102382813 B1 KR102382813 B1 KR 10238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apsule
weight
shaped cosmetic
to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214A (ko
Inventor
문여주
원보령
주영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8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 성분인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부; 코어부의 외부에 형성되고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제1차 피막; 및 중화된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2차 피막;을 포함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백탁도가 적고, 쿨링 효과가 우수하며, 발림성이 우수하여 산뜻하면서도, 캡슐형의 독특한 외관을 갖는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CAPSULE-SHAPE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UNSCREEN INGREDIENTS}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 성분인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부; 코어부의 외부를 둘러싸고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제1차 피막; 및 제1차 피막의 외부를 둘러싸고 중화된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2차 피막;을 포함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선 중에 포함된 자외선은 파장의 영역에 따라 장파장 자외선 (UVA, 320~400 nm), 중파장 자외선 (UVB, 280~320 nm) 및 단파장 자외선 (UVC, 200~280 nm)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자외선은 피부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은 피부 노화는 물론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침착, 검버섯 또는 피부암 등의 원인이 된다. 더욱이 자외선은 그늘이나 흐린 날에도 80% 정도가 지표면에 도달하며, 자동차 유리 또는 집 유리 등을 통과할 수 있다.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옷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거의 없고, 면 제품 등 자연 섬유도 70% 정도 밖에 차단하지 못한다.
자외선 중 UVC는 인체에 매우 유해하나 현재까지는 대기 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까지 거의 도달하지 않으나, UVA 및 UVB는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 UVB는 일광화상 (홍반, 수포 유발), 피부암, 색소 침착, 피부 단백질 변성 또는 피부 세포의 각질화를 촉진하고, UVA는 색소 침착, 광독성 또는 광알러지 등을 유발하며, 피부 진피층까지 침투해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파괴해 피부 노화를 일으키며 기미나 잡티를 유발한다. 이렇게 피부에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여러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사용감의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제형의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감 개선을 위하여 캡슐 제형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일 예는, 한천이나 카라기난 (carrageenan) 등을 이용하여 1차 캡슐화를 진행하고 알긴산 나트륨 (sodium alginate)으로 2차 캡슐화를 진행한 후, 젤이나 에멀젼 타입의 조성물에 혼합한 캡슐 제형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내부 구조가 치밀하게 형성되어 자외선 차단 성분 등과 같은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낮은 한계점이 있었다.
다른 일 예는, 버터나 왁스 성분을 이용하여 유상 성분을 재결정화하여 캡슐과 유사한 외관의 수중유 에멀전 (O/W emulsion)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재결정화에 이용되는 유용성 성분의 함량이 높아질 경우 내용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 함유할 경우 끈적임 적으면서 좋은 발림성을 기대하기는 더욱 어렵다.
나아가 최근 들어, 화장품 분야의 소비자들은 자외선 차단제를 피부에 도포 시 백탁도가 덜하거나, 차별화된 사용감을 느낄 수 있거나 또는 매력적인 외관의 제품을 갖길 원하는 니즈가 증폭되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대부분의 고 자외선 차단 제품의 경우, 자외선 차단 성분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외관의 백탁도가 높거나 끈적이며, 제품의 외관이 평범하여 그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피부에 도포 시 백탁도가 적고, 사용감이 우수하며, 독특한 외관을 갖는 캡슐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차단 성분인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부; 코어부의 외부를 둘러싸고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제1차 피막; 및 제1차 피막의 외부를 둘러싸고 중화된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2차 피막;을 포함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백탁도가 적고, 피부 온도 감소 효과 (쿨링 효과)가 우수하며, 발림성이 우수하여 산뜻하면서도, 캡슐형의 독특한 외관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 성분인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부; 코어부의 외부를 둘러싸고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제1차 피막; 및 제1차 피막의 외부를 둘러싸고 중화된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2차 피막;을 포함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부; 코어부의 외부를 둘러싸고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제1차 피막; 및 제1차 피막의 외부를 둘러싸고 중화된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2차 피막;을 포함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 성분은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오일겔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오일겔링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thylhexyl methoxycinnamate), 호모살레이트 (homosalate),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ethylhexyl salicylate),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bis-ethylhe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에틸헥실 트리아존 (ethylhexyl triazon), 옥토크릴렌 (octocrylene), 폴리실리콘-15 (polysilicone-15) 및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isoamyl p-methoxy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 중량%, 3.00 내지 6.50 중량%, 3.00 내지 6.00 중량%, 4.00 내지 7.00 중량%, 4.00 내지 6.50 중량% 또는 4.00 내지 6.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00 내지 6.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호모살레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0 내지 12.00 중량%, 8.00 내지 11.50 중량%, 8.00 내지 11.00 중량%, 9.00 내지 12.00 중량%, 9.00 내지 11.50 중량% 또는 9.00 내지 11.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9.00 내지 11.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 중량%, 3.00 내지 6.50 중량%, 3.00 내지 6.00 중량%, 4.00 내지 7.00 중량%, 4.00 내지 6.50 중량% 또는 4.00 내지 6.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00 내지 6.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5.00 중량%, 1.00 내지 4.50 중량%, 1.00 내지 4.00 중량%, 2.00 내지 5.00 중량%, 2.00 내지 4.50 중량% 또는 2.00 내지 4.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0 내지 4.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0 내지 4.00 중량%, 0.10 내지 3.50 중량%, 0.10 내지 3.00 중량%, 1.00 내지 4.00 중량%, 1.00 내지 3.50 중량% 또는 1.00 내지 3.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 내지 3.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를 5.00 중량%, 호모살레이트 10.00 중량%,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5.00 중량%,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중량%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2.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겔링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yglycerides),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 (hydrogenated C6-20 polyolefin) 및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겔링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10.50 중량%, 2.00 내지 9.50 중량%, 2.00 내지 8.50 중량%, 2.00 내지 7.50 중량%, 2.00 내지 6.50 중량%, 2.00 내지 5.50 중량%, 3.00 내지 10.50 중량%, 3.00 내지 9.50 중량%, 3.00 내지 8.50 중량%, 3.00 내지 7.50 중량%, 3.00 내지 6.50 중량%, 3.00 내지 5.50 중량%, 4.00 내지 10.50 중량%, 4.00 내지 9.50 중량%, 4.00 내지 8.50 중량%, 4.00 내지 7.50 중량%, 4.00 내지 6.50 중량% 또는 4.00 내지 5.5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00 내지 5.5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겔링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75 내지 3.75 중량%, 0.75 내지 3.50 중량%, 0.75 내지 3.25 중량%, 0.75 내지 3.00 중량%, 0.75 내지 2.75 중량%, 0.75 내지 2.50 중량%, 0.75 내지 2.25 중량%, 0.75 내지 2.00 중량%, 1.00 내지 3.75 중량%, 1.00 내지 3.50 중량%, 1.00 내지 3.25 중량%, 1.00 내지 3.00 중량%, 1.00 내지 2.75 중량%, 1.00 내지 2.50 중량%, 1.00 내지 2.25 중량%, 1.00 내지 2.00 중량%, 1.25 내지 3.75 중량%, 1.25 내지 3.50 중량%, 1.25 내지 3.25 중량%, 1.25 내지 3.00 중량%, 1.25 내지 2.75 중량%, 1.25 내지 2.50 중량%, 1.25 내지 2.25 중량%, 1.25 내지 2.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5 내지 2.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은 부드러운 사용감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일겔링제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겔링제는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5 내지 0.75 중량%, 0.15 내지 0.65 중량%, 0.12 내지 0.55 중량%, 0.15 내지 0.45 중량%, 0.25 내지 0.75 중량%, 0.25 내지 0.65 중량%, 0.25 내지 0.55 중량% 또는 0.25 내지 0.45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25 내지 0.45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오일겔링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9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 1.75 중량% 및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0.35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 성분은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 및 카보머 (carbo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 성분은 정제수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00 내지 70.00 중량%, 50.00 내지 65.00 중량%, 55.00 내지 70.00 중량%, 55.00 내지 65.00 중량%, 60.00 내지 70.00 중량%, 60.00 내지 65.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0.00 내지 65.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 성분은 프로판다이올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5.00 중량%, 1.00 내지 4.50 중량%, 1.00 내지 4.00 중량%, 2.00 내지 5.00 중량%, 2.00 내지 4.50 중량% 또는 2.00 내지 4.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0 내지 4.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 성분은 카보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50 중량%, 0.01 내지 0.40 중량%, 0.01 내지 0.30 중량%, 0.05 내지 0.50 중량%, 0.05 내지 0.40 중량%, 0.05 내지 0.30 중량%, 0.10 내지 0.50 중량%, 0.10 내지 0.40 중량% 또는 0.10 내지 0.3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0 내지 0.3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어부는 유상부를 수상부에 점적 방식으로 적하하여 유상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차 피막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상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어부는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유상 성분을 혼합한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부는 수상 성분을 혼합한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피막은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차 피막은 제1차 피막에 존재하는 카보머가 트로메타민 (tromethamine)에 의하여 중화됨으로써, 제1차 피막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트로메타민은 제2차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제1차 피막을 형성한 캡슐끼리 엉겨붙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을 과량 포함함으로써, 피부 온도 감소 (피부 쿨링)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류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추가 성분, 예를 들어, 오일류, 유화제, 분산제, 색소, 향료, 방부제, 감미료, 중화제, 비타민, 금속 이온 봉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유상부를 준비하는 유화 단계;
수상 성분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준비하는 수화 단계;
유상부를 수상부에 적하하여 제1차 피막을 형성하는 제1차 캡슐화 단계; 및
제1차 피막의 표면에 제2차 피막을 형성하는 제2차 캡슐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 단계는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유상부를 준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 단계는 아지 믹서 (AGI Mixer)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 단계는 70 내지 120 ℃, 70 내지 110 ℃, 70 내지 100 ℃, 80 내지 120 ℃, 80 내지 110 ℃, 80 내지 100 ℃, 90 내지 120 ℃, 90 내지 110 ℃, 90 내지 100 ℃ 또는 90 내지 100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90 내지 100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화 단계는 수상 성분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준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화 단계는 적어도 20분 이상 수행되거나, 20 내지 60분, 20 내지 50분, 20 내지 40분, 30 내지 60분, 30 내지 50분 또는 30 내지 40분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분 내지 40분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화 단계는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화 단계는 아지 믹서 (AGI Mixer)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 단계 및 수화 단계는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유화 단계는 수화 단계 이후에 수행되거나 또는 수화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유화 단계와 수화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는 유상부의 외부를 둘러싸는 제1차 피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는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점적 방식으로 적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는 점적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한 번에 많은 양의 유상 성분을 적하할 경우, 캡슐이 형성되기 전 호모 믹서에 의하여 유상 성분이 잘게 분산되어 캡슐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화장료 조성물의 탁도가 높아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는 점적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주사기를 이용하는 등 매우 적은 양의 유상 성분을 적하할 경우, 유상부의 온도가 낮아져 유상부 자체의 점도가 높아지고 캡슐 입자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못하며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는 호모 믹서 (HOMO Mixer)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를 수행할 때 수상부의 온도는 20 내지 50 ℃, 20 내지 45 ℃, 20 내지 40 ℃, 30 내지 50 ℃, 30 내지 45 ℃ 또는 30 내지 4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를 수행할 때 유상부의 온도는 50 내지 70 ℃, 50 내지 65 ℃, 50 내지 60 ℃, 55 내지 70 ℃, 55 내지 65 ℃ 또는 55 내지 6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차 캡슐화 단계를 수행할 때 유상부의 온도는 80도 이상일 경우 오일겔링제가 캡슐화하기 위하여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지속적으로 내용물이 교반되므로 캡슐화가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차 캡슐화 단계는 트로메타민을 수상부에 적하하여 제1차 피막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제2차 피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품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막형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이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품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인 임의의 다른 성분을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상 성분 포함한 제1차 피막 및 폴리머가 중화되어 형성된 제2차 피막으로 캡슐화된,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백탁도가 현저히 감소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산뜻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캡슐 형상을 형성하지 못한 화장료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수용성 점증제의 함량이 상이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수용성 점증제의 함량이 상이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 제조를 위하여 유상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5.00 중량%, 호모살레이트 10.00 중량%,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5.00 중량%,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중량%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2.00 중량%; 및 오일 겔링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카프릴릭/카프릭트리슬리세라이드 4.9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 1.75 중량% 및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0.35 중량%;를 혼합하고, 아지 믹서 (Agi mixer)로 90 내지 100 ℃의 온도 조건에서 가온 용해하였다.
또한, 수상부 제조를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 64.64 중량%, 프로판다이올 3.00 중량% 및 카보머 0.20 중량%를 혼합하고 아지 믹서 (AGI mixer)로 실온에서 20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였다.
준비된 유상부를 교반 중인 수상부에 소량씩 적하하여 유상부 입자의 표면에 제1차 피막을 형성시켰다.
그 후, 트로메타민 0.16 중량%를 첨가하여 수용성 점증제인 카보머를 중화하였다. 트로메타민을 첨가하면 즉각적으로 제1차 피막 외부에 중화된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2차 피막이 형성되므로, 계속 교반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만들어진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의 외관을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는 표 1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상기 실시예를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만들어진 화장료 조성물 중 비교예 1의 외관을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조성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수상 성분 정제수 64.64 64.14 64.982 64.1 63.2
프로판다이올 3.00 3.00 3.00 3.00 3.00
카보머 0.20 0.20 0.01 0.50 1.00
유상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5.00 5.00 5.00 5.00 5.00
호모살레이트 10.00 10.00 10.00 10.00 10.00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5.00 5.00 5.00 5.00 5.00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3.00 3.00 3.00 3.00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2.00 2.00 2.00 2.00 2.00
폴리소르베이트 60 - 0.50 - - -
오일 겔링제 카프릴릭/카프릭트리슬리세라이드 4.90 4.90 4.90 4.90 4.9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 1.75 1.75 1.75 1.75 1.75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0.35 0.35 0.35 0.35 0.35
중화제 트로메타민 0.16 0.16 0.008 0.4 0.8
합계 100 100 100 100 100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외관이 뚜렷한 캡슐 형태를 가졌다. 그러나,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캡슐화하지 않고 유화된 상태로서 백탁도가 있는 에멀젼상의 형태를 가졌고, 이는 백탁도가 높은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 제형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폴리소르베이트 60과 같은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교예 2는 수용성 점증제인 카보머의 함량이 현저히 낮아, 투입된 유상 성분이 완벽하게 캡슐화되지 않고 서로 엉겨 붙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3은 실시예처럼 캡슐화한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비교예 4는 수용성 점증제의 함량이 높아 캡슐과 유사한 형태가 구현되기는 하였으나, 뚜렷한 캡슐 형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유상부의 일부 성분이 수상부에 분산되어 외관의 탁도가 높은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기 때문으로 판단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 및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수상 성분이 캡슐 제형을 구현할 수 있는 적정 함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오일겔링제의 함량이 상이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표 2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제조예 1에 기재한 제조 과정을 거쳐 오일겔링제에 포함되는 조성의 함량이 상이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실시예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수상 성분 정제수 64.64 68.64 65.64 61.64 56.64
프로판다이올 3.00 3.00 3.00 3.00 3.00
카보머 0.20 0.20 0.20 0.20 0.20
유상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5.00 5.00 5.00 5.00 5.00
호모살레이트 10.00 10.00 10.00 10.00 10.00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5.00 5.00 5.00 5.00 5.00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3.00 3.00 3.00 3.00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2.00 2.00 2.00 2.00 2.00
폴리소르베이트 60 - - - - -
오일 겔링제 카프릴릭/카프릭트리슬리세라이드 4.9 2.1 3.5 7 1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 1.75 0.75 2.25 2.5 3.75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0.35 0.15 0.25 0.5 0.75
중화제 트로메타민 0.16 0.16 0.16 0.16 0.16
합계 100 100 100 100 100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비교예 5는 캡슐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오일겔링제의 함량이 낮기 때문으로 판단하였다.
비교예 6은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의 조성물이 제조되었으나, 캡슐이 단단하지 않고 쉽게 으스러지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7 역시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의 조성물이 제조되었으나, 캡슐이 매우 단단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교예 8은 유상 성분끼리 뭉쳐져 큰 덩어리가 형성될 뿐 캡슐은 형성되지 않았으며, 이는 오일겔링제의 함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상 성분이 캡슐 제형을 구현할 수 있는 적정 함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온도 감소량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특징 중 하나인 피부 쿨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 20 내지 55세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안면부에 1회 도포한 후 열화상 카메라 (T-250)를 이용하여 피부 온도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부위와 도포하지 않은 미도포 부위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온도 (℃)
도포 전 도포 후 증감
미도포 33.441±0.802 33.396±0.798 -0.10%
도포 실시예 33.247±0.921 30.582±0.795 -8.01%
비교예 3 33.482±0.859 31.104±0.803 -7.10%
비교예 6 33.535±0.907 30.738±0.790 -8.34%
비교예 7 33.661±0.842 32.213±0.721 -4.30%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는 피부 온도를 -8.01% 감소시키고, 비교예 3은 피부 온도를 -7.10% 감소시키고, 비교예 6은 피부 온도를 -8.34% 감소시킨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로부터, 상기 세 가지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피부 온도 감소 효과가 있었다.
피부 온도 감소 효과는 수상 성분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이나, 비교예 7은 수상 성분의 함량이 적고 오일겔링제의 함량이 높으므로, 실시예, 비교예 3 및 비교예 6에 비하여 피부 온도 감소 효과가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4. 피부 광택도
광택도는 광택도계 (gloss meter)로 측정하였다. 광택도계는 초기 입사된 빛의 양과 반사된 빛의 양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광택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반사된 빛의 양이 많을수록 고광택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적용될 경우, 피부 광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광택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미도포 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6 비교예 7
측정값 (A.U.) 57.5 74 73 67 79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는 74 (A.U.)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3은 실시예와 근접한 73 (A.U.)으로 측정되었고, 비교예 6은 실시예보다 현저히 낮은 67 (A.U.)로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7은 가장 높은 79 (A.U.)로 측정되었다.
실시예는 비교예 3,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광택도 평균값인 73 (A.U.)와 근접한 광택도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5. 사용감 평가
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사용감 (산뜻함, 발림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을 평가하였다.
20대 및 30대 여성 10명에게 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3회 이상 도포하게 한 다음, 사용감 (산뜻함, 발림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을 평가하였다.
산뜻함은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후 피부에 점성이 느껴지지 않고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발림성은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부드럽고 균일하게 도포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각 항목이 우수할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평가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로 하여, 매우 우수함 (5점), 우수함 (4점), 보통 (3점), 우수하지 않음 (2점), 매우 우수하지 않음 (1점)의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되었고,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실시예 비교예 3 비교예 6 비교예 7
산뜻함 3.2 2.0 3.4 1.0
발림성 4.0 2.0 3.0 1.0
전반적인 만족도 4.3 2.6 3.5 1.2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는 산뜻함에서 3.2점, 발림성에서 4.0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4.3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3은 산뜻함에서 2.0점, 발림성에서 2.0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2.6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3은 피부 온도 감소량 및 광택도 측정에서 실시예와 유사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고함량의 수용성 점증제를 함유하므로 미끌거림 및 끈적임이 있어 사용감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교예 6은 산뜻함에서 3.4점, 발림성에서 3.0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3.5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6은 광택도가 낮고, 산뜻함 면에서 양호하게 평가받았으나, 캡슐의 강도가 충분히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캡슐 제형의 유지가 곤란하고, 발림성 면에서 평가가 좋지 않아 상용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교예 7은 산뜻함에서 1.0점, 발림성에서 1.0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1.2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7은 캡슐이 단단하고 오일겔링제의 함량이 높으므로, 끈적임이 심하고, 캡슐이 잘 녹지 않아 산뜻함, 발림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 모두 평가가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종합하면, 실시예는 비교예 3, 비교예 6 및 비교예 7 중에서 가장 발림성이 우수하였고,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흡수된 후 끈적임이 적어 산뜻하므로, 전반적인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Claims (22)

  1.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부;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제1차 피막; 및 중화된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2차 피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 피막은 코어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차 피막은 제1차 피막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오일겔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thylhexyl methoxycinnamate), 호모살레이트 (homosalate),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ethylhexyl salicylate),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bis-ethylhe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에틸헥실 트리아존 (ethylhexyl triazon), 옥토크릴렌 (octocrylene), 폴리실리콘-15 (polysilicone-15) 및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isoamyl p-methoxy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호모살레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0 내지 12.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5.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성분은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0 내지 4.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링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yglycerides),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 (hydrogenated C6-20 polyolefin) 및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링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10.5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링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20 폴리올레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75 내지 3.75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링제는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5 내지 0.75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00 내지 70.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카보머 (carbomer)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4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16.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유상부를 준비하는 유화 단계;
    수상 성분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준비하는 수화 단계;
    유상부를 수상부에 적하하여 제1차 피막을 형성하는 제1차 캡슐화 단계; 및
    중화제를 첨가하여 제1차 피막의 외부에 제2차 피막을 형성하는 제2차 캡슐화 단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단계는 70 내지 120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단계는 20 내지 60분 수행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캡슐화 단계는 점적 방식을 이용하여 유상부를 수상부에 적하하는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트로메타민 (tromethamine)인 것인,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0200123145A 2020-09-23 2020-09-23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238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45A KR102382813B1 (ko) 2020-09-23 2020-09-23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45A KR102382813B1 (ko) 2020-09-23 2020-09-23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14A KR20220040214A (ko) 2022-03-30
KR102382813B1 true KR102382813B1 (ko) 2022-04-05

Family

ID=8094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145A KR102382813B1 (ko) 2020-09-23 2020-09-23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932B1 (ko) * 2022-12-07 2023-09-15 (주)나우코스 유용성 유상 성분을 캡슐화한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857A (ko) * 2006-09-01 2008-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성분 및 향 성분이 충진된 미세캡슐을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KR20170101424A (ko) * 2016-02-29 2017-09-06 코웨이 주식회사 결정성 자외선 차단제를 안정화한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4619B1 (ko) * 2017-11-29 2019-07-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60146B1 (ko) * 2018-12-28 2020-09-28 주식회사 케이피티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14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2748B2 (en) Cosmetic self-tanning agent with a sunscreen effect
KR102005229B1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3684B1 (ko) 분무가능한 화장료 썬스크린 조성물
KR102026658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7233220B (zh) 一种醇基防晒油及其制备方法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989B1 (ko) 마크로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2813B1 (ko)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JP7209056B2 (ja) 低刺激な日焼け止め乳及びその調製方法
KR102526363B1 (ko) 화장료 썬스크린 조성물
KR20160122728A (ko) 자외선 필터용 국소 무수 충전 제형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80458B1 (ko)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8623B1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8781B1 (ko)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전 형태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1424B1 (ko) 중공성의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유중수형의 자외선차단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76A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70129469A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90A (ko)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196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5337A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8618B1 (ko)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및 R-SiO3/2 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