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623B1 -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623B1
KR101598623B1 KR1020140048457A KR20140048457A KR101598623B1 KR 101598623 B1 KR101598623 B1 KR 101598623B1 KR 1020140048457 A KR1020140048457 A KR 1020140048457A KR 20140048457 A KR20140048457 A KR 20140048457A KR 101598623 B1 KR101598623 B1 KR 10159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phthalate
weight
ultraviolet
ethylhexyl triazone
diethylhex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820A (ko
Inventor
유우영
김학철
김용선
허준원
심영배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to KR102014004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62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1Aromatic amines, i.e. where the amino group is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nucl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포함하여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한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을 제공함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상승시켜 재결정 현상으로 인하여 자외선 차단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V blocking agents containing ethylhexyltriazon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triazone)을 유화(Emulsion)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인 수중유형(Oil-in-Water, O/W) 및 유중수형(Water-in-Oil, W/O) 화장료에 적용 시, 재결정으로 인한 석출 현상이 일어나 자외선 차단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자외선 차단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되어 자외선 노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및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남성들은 야외활동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자외선 차단을 등한시 하는 경향이 있는데, 대한피부과학회 조사에 따르면 20~30대 남성 피부암 환자가 10년 전보다 5배나 늘었다고 조사됐다. 그만큼 자외선은 미용뿐만 아니라 건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태양광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크게 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으로 구분된다. 그 중 자외선은 가시광선의 보라색보다 짧은 광선으로 UV(Ultraviolet)라 하며 세 영역으로 나뉜다. 자외선A(UV-A)는 피부를 검게 만드는 주원인으로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해 피부의 재생 기능을 방해하여 주름을 생성하고 노화를 촉진시킨다. 자외선B(UV-B)는 UV-A보다 파장이 짧아 진피까지 침투하진 않지만 각질층을 두껍게 하고 피부를 건조시켜 피부표면이 거칠어지게 하고 멜라닌 색소를 생성해 기미나 주근깨, 검버섯 등을 만들어낸다. 또한 홍반이나 화상을 일으키고 물집 같은 염증을 일으킨다. 자외선C(UV-C)는 파장이 가장 짧지만 가장 강한 자외선으로 피부암을 유발시키는데, 지금까지는 오존층으로 완전 차단되어 의식하지 않아왔지만 최근 환경오염으로 오존층이 파괴되면서 마냥 안심하고만 있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뿐만 아니라 시력 저하나 몸의 면역 기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이 쬐면 건강에 해롭다.
따라서 태양광 노출에 의한 위험이 알려지면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UV-B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SPF(Sun Protection Factor) 및 UV-A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PFA(혹은 PA, Protection Factor of UV-A)를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 제품의 제형은 유화(Emulsion) 타입으로 유중수형(Water-in-Oil, W/O)과 수중유형(Oil-in-Water, O/W)으로 분류되고, 높은 자외선 차단효능을 나타내기 위해 다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지르코늄옥사이드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및 4-메칠벤질리덴캠퍼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중에서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triazone)은 헤테로사이클릭 유기화합물로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이다. 상기 에칠헥실트리아존은 자외선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체 피부의 광보호성이 우수하지만, 유화(Emulsion) 타입의 화장료에 적용 시, 용해도가 낮아 석출되면서 재결정 현상이 일어나 제형의 안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화장료에 적용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능력의 효능도 저하되어 고유의 기능을 쉽게 잃어버리는 문제를 갖고 있어 실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제품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현재까지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선행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고, 일부 선행기술인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동시분석법(한국등록특허공보 10-0897519 B1) 외에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성분을 이용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유화(Emulsion) 타입의 화장료에 적용 시,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상승시켜 재결정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897519 B1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인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triazone)을 유화(Emulsion)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용해도가 낮아 재결정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자외선 차단능력이 저하됨으로써 고유의 기능을 쉽게 잃어버리는 문제를 갖고 있어 실제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형 내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그로인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을 개발하기 위해 다각적인 창작력과 오랜 시간을 투입하여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원료들을 대상으로 조성비를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수많은 원료들 중에서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와 살리실레이트 유도체가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의 최적 함량 비율을 찾아냄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제형 내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그로인한 자외선 차단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화(Emulsion) 타입의 화장료에 적용할 경우, 재결정 현상이 일어나는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인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자외선 차단능력의 저하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유중수형(Water-in-Oil,, 이하 “W/O”라 한다.)’라 함은 오일이 물을 감싸면서 유화가 된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수중유형(Oil-in-Water, 이하 “O/W”라 한다.)’라 함은 물이 오일을 감싸면서 유화가 된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석출’이라 함은 온도에 따른 용해도 변화에 의해 용질이 결정화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이라 함은 유화(Emulsion) 화장료 조성물에 에칠헥실트리아존을 단독으로 첨가하였을 때 발생하는 재결정 현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포함하여 Homogenizer로 균질화함으로써 용해성을 증가시킨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하여 Homogenizer로 균질화한다.
상기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triazone)은 헤테로사이클릭 유기화합물로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이다. 상기 에칠헥실트리아존은 자외선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체 피부의 광보호성이 우수하지만, 유화(Emulsion) 화장료 조성물 형태인 수중유형(O/W) 유화 타입 및 유중수형(W/O) 유화 타입 화장료에 혼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용화시키는데, 가용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적인 화장품용 오일(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또는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등)에서 제한된 용해도(전형적으로 20% 미만임)를 나타낸다. 따라서 용해도가 낮아 결정으로 석출되고, 석출된 결정이 제형의 유화 안정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장료에 적용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능력의 효능도 저하되어 고유의 기능을 쉽게 잃어버리는 문제를 갖고 있어 실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화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포함하여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함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성을 증대시켜 UV-B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SPF(Sun Protection Factor)지수 및 UV-A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PFA(혹은 PA, Protection Factor of UV-A)지수가 저하되는 문제를 현저하게 상승시키고자 한다.
상기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물질 또는 2가지 이상 물질을 혼합한 물질 15~95중량% 및 에칠헥실트리아존 5~85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물질 또는 2가지 이상 물질을 혼합한 물질 30~90중량% 및 에칠헥실트리아존 10~70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칠헥실트리아존이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내에 함유된 에칠헥실트리아존의 함량이 낮기 때문에 효능이 미미하고, 8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용해시키기가 어렵고, 안정성이 떨어져 분리 또는 석출현상이 일어나며, 특히 제형 적용 시 오일이 배어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물질 또는 2 가지 이상의 혼합물질은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15~95중량%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30~9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디-C12-13알킬말레이트가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적용시 수분산 능력이 저하되며 층분리 현상을 촉진시켜 제형적용시 분리현상 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리실레이트 유도체가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용해시키기가 어렵고, 안정성이 떨어져 분리 또는 석출현상이 일어나며, 특히 제형 적용 시 오일이 배어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는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및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은 폴리올, 유화제 및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제조한 상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은 수분산 시 안정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할 때에는 수상부에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은 전체 화합물 중량 대비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과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혼합한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40 내지 90 중량%, 폴리올 및 유화제 혼합하여 5 내지 4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은 전체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에 대해서 유화제 및 폴리올의 혼합 중량은 5 내지 40 중량% 이 바람직하다. 폴리올 및 유화제가 5 중량% 미만일 때에는 제형이 불안정하며 석출 현상이 가속화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40중량% 초과일 때에는 자외선차단제의 용해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지수인 PA 및 SPF 수치가 매우 낮다. 상기 유화제 및 폴리올의 혼합 중량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글리세린, 1,3-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메칠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레시틴유도체 또는 폴리글리세릴지방산에스터 일 수 있고, 더 상세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UV-A 및 UV-B 차단 활성을 가지는 친수성 또는 친유성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지르코늄옥사이드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에칠헥실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및 4-메칠벤질리덴캠퍼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로부터 제조된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1~10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자외선차단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1~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자외선차단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100%가 가능한 이유는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가 자외선차단고시성분으로 등재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에칠헥실트리아존 70중량%와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중량%의 비율을 첨가함으로써 총 100중량%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이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함량이 낮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때, 폴리올, 유화제, 정제수를 넣지 않고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은 유상부에 투입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 유화제, 정제수를 넣은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은 수분산능이 좋으므로 수상부에 투입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당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화장품 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으로 제형화 시에는 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용매, 결합제, 희석제, 활택제, 안정제, 항료, 물,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착색제, 보존제, 항생제, 항산화제, 소포제, 항균제, 항재침착제, 효소, 식물 또는 미네랄 오일, 지방,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보존제, 단백질, 실리콘,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스프레이, 젤, 팩, 선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a)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과 에칠헥실트리아존을 각각 가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가온된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과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전체 혼합물 중량에 대하여 15~95중량% : 5~85중량%로 혼합하여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과 에칠헥실트리아존을 각각 가온시키는 단계;
상기 a) 단계는 각 성분들을 혼합하기 전 따로 열을 가하는 단계이다.
가온의 온도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나 60 내지 100℃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일 수 있다.
b) 상기 a) 단계에서 가온된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과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전체 혼합물 중량에 대하여 15~95중량% : 5~85중량%로 혼합하여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하는 단계;
상기 b) 단계는 가온한 물질들을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하여 균질화하는 단계이다. 균질화 조건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1000~1500 rpm 이 바람직할 수 있고, 상기 혼합된 물질들이 투명하게 될 때까지 교반시킨다. 교반 후 25 내지 40℃로 냉각시킨다.
균질화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공정이다.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등을 균질화하지 않고 단순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인 비교예1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1 내지 56보다 에틴헥실트리아존의 용해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 또한 뒤떨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의 혼합비율이 갖는 의의는 상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에 대한 설명에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유화(Emulsion) 타입의 화장료에 적용 시,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된 것을 최적화된 함량으로 첨가함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향상시켜 재결정 현상 없이 안정화된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그로인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가 현저하게 증가됨으로써 UV-B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SPF(Sun Protection Factor)지수 및 UV-A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PFA(혹은 PA, Protection Factor of UV-A)지수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상 또는 오일 및 기타 Oil Soluble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말고는 적용하기 어려웠던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수상 즉, 물이나 일반적인 폴리올류에 쉽게 용해시켜 제조상 접근하기 어려웠던 특이제형 및 기타 안정하고 안전한 제형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4를 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 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5를 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 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9를 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 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0을 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 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4를 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5를 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 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19를 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 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8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실시예 20 5%에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2%를 첨가 한 후 수상 to 100% 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9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실시예 24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0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실시예 25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1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29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2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30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3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34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4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35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5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실시예 39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6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실시예 40 5%를 수상에서 분산한지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7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1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8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2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19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3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0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4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1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5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2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6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3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7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4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8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5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49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6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50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7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51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8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52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29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53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0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54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1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55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2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실시예 56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3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O/W) 비교예 1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4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비교예 2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5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비교예 3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6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O/W) 자외선 차단제인 비교예 4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7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유중수형(W/O) 비교예 5를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8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비교예 6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39는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비교예 7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도 40은 에칠헥실트리아존에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함유한 유중수형(W/O) 자외선 차단제인 비교예 8을 제조 후 1일(좌) 및 3개월(우) 경과 후에 400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찍은 입자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40: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제조
하기 표 1 내지 8에 실시예 1 내지 40를 구성하는 성분들 및 혼합 비율을 나타냈다.
하기 표 1내지 4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원료를 정밀하게 칭량한 뒤 가열기구를 이용해 85℃ 까지 가온시킨 뒤Disper Mixer(또는 Homogenizer)를 이용하여 1000~1500RPM으로 교반하면서 분산시킨 뒤 투명하게 용해가 되었는지 확인 한다. 확인이 되었으면 35℃로 냉각시킨 후 공정을 종료한다.
하기 표 5내지 8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상 및 B상의 원료를 정밀하게 칭량 한 뒤 각 상의 원료를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75℃까지 가온시킨다. 그 후 Homogenizer를 이용하여 4000RPM으로 10분간 분산 시킨 후, 미리 투명하게 녹인 B상을 A상에 Homogenizer를 가동시키면서 투입 후 유화한다. 균일하게 교반 시킨 뒤 표면이 안정하게 유화가 된 것을 확인 한 뒤 35℃로 냉각하여 공정을 종료한다.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A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디-C12-13
알킬말레이트
30 22.5 15 10 3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30 22.5 15 10 3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30 25 20 10 4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A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디-C12-13
알킬말레이트
90 70 50 30 10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A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90 70 50 30 10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A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90 70 50 30 10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B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디-C12-13
알킬말레이트
10 10 10 6 1.5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10 10 10 6 1.5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10 10 10 8 2
A 글리세린 10 10 10 5 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5 5 5 2.5 1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B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디-C12-13
알킬말레이트
30 30 30 20 5
A 글리세린 10 10 10 5 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5 5 5 2.5 1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B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30 30 30 20 5
A 글리세린 10 10 10 5 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5 5 5 2.5 1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36 실시예 37 실시예 38 실시예 39 실시예 40
B 에칠헥실트리아존 10 30 50 70 90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30 30 30 20 5
A 글리세린 10 10 10 5 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5 5 5 2.5 1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41 내지 56 및 비교예 1 내지 8: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제조
자외선차단제 혼합물로 적합한 실시예 1 내지 4, 실시예 6 내지 9, 실시예 11 내지 14, 실시예 16 내지 19, 실시예 21 내지 24, 실시예 26 내지 29, 실시예 31 내지 34, 실시예 36 내지 39 중에서 실시예 4 ,9, 14, 19, 24, 29, 34, 39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유제(Emulsion) 타입인 수중유형(Oil-in-Water, O/W)과 유중수형(Water-in-Oil, W/O)으로 제조하였다.
1. 수중유형( Oil in - Water , O/W)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제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인 실시예 4, 9, 14, 19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41 내지 44) 및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등을 유상에 따로 투입하여 제조한 비교예 1 내지 4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들을 표 9에 표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24, 29, 34, 39를 수상부에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45 내지 48)의 성분들을 표 10에 표시하였다.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A상을 80℃ 까지 가열하고 Homogenizer를 이용하여 3500rpm으로 5분동안 교반 다음, 80℃까지 가열한 B상을 A상에 투입한 후 다시 5분동안 동일한 rpm으로 교반하였다. 다음 C상을 투입하여 4000rpm으로 2분간 교반한 다음, 45℃까지 냉각하여 D상을 투입한 후, 1500rpm으로 1분간 교반한 다음 35℃까지 냉각하여 공정을 종료하였다.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41 실시예42 실시예43 실시예4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A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 글라이콜 5 5 5 5 5 5 5 5
수화레시틴 0.5 0.5 0.5 0.5 0.5 0.5 0.5 0.5
B 실시예 4 3 - - - - - - -
실시예 9 - 3 - - - - - -
실시예 14 - - 3 - - - - -
실시예 19 - - - 3 - - - -
에칠헥실트리아존 - - - - 2.1 2.1 2.1 2.1
세틸스테아릴알코올 1 1 1 1 1 1 1 1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릭애씨드 1 1 1 1 1 1 1 1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 2 2 2 2 2 2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 3 3 3 3 3 3 3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5 5 5
디-C12-13알킬말레이트 - - - - 0.45 0.9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 - - - - 0.45 - 0.9 -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 - - - 0.45 - - 0.9
C 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1 1 1 1 1 1 1 1
D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1 1 1 1 1 1 1 1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45 실시예46 실시예47 실시예48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A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 글라이콜 5 5 5 5 5 5 5 5
수화레시틴 0.5 0.5 0.5 0.5 0.5 0.5 0.5 0.5
실시예 24 3 - - - - - - -
실시예 29 - 3 - - - - - -
실시예 34 - - 3 - - - - -
실시예 39 - - - 3 - - -
B 에칠헥실트리아존 - - - - 2.1 2.1 2.1 2.1
세틸스테아릴알코올 1 1 1 1 1 1 1 1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릭애씨드 1 1 1 1 1 1 1 1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 2 2 2 2 2 2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 3 3 3 3 3 3 3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5 5 5
디-C12-13알킬말레이트 - - - - 0.45 0.9 -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 - - - - 0.45 - 0.9 -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 - - - 0.45 - - 0.9
C 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1 1 1 1 1 1 1 1
D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1 1 1 1 1 1 1 1
상기 실시예 41, 42, 43, 44는 실시예 4, 9, 14, 19를 유상부에 첨가하여 제조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실시예 45, 46, 47, 48은 실시예 24, 29, 34, 39를 수상부에 첨가하여 제조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서 사용된 비교예 1은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유상에 따로 개별 투입한 것이며, 비교예 2는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유상에 개별 투입하였고, 비교예 3은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를 유상에 개별 투입하였으며, 비교예 4는 에칠헥실트리아존과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를 유상에 개별 투입하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다.
2. 유중수형(Water-in-Oil, W/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4, 9, 14, 19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49 내지 52)의 조성은 하기 표 11에 표시하였고, 실시예 24, 29, 34, 39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53 내지 56)의 조성은 하기 표 1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49 내지 52는 실시예 4, 9, 14, 19를 유상부에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고, 실시예 53 내지 56은 실시예 24, 29, 34, 39를 각 3%씩 정밀하게 달아 수상부에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유상에 따로 투입하여 비교한 비교예 5,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C12-13알킬말레이트를 유상에 투입한 비교예 6,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비교예 7 및 에칠헥실트리아존과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을 함유한 비교예 8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B상을 평량한 후 Disper Mixer로 미리 분산시켜 준비하였다. A상을 80℃ 까지 가열하고 용해한 다음, 준비한 B상을 A상에 투입하여 Homogenizer를 이용하여 3500RPM으로 5분간 교반한 후 80℃까지 가열한 B상을 A상에 투입하여 5분동안 동일한 RPM으로 교반하였다. 다음 C상을 투입하여 4000RPM으로 5분간 교반한 다음, D상을 평량하여 8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그 후 D상을 A상에 투입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5분간 유화하였다. 다음으로 45℃까지 냉각한 후 E상을 투입하고, 4000RPM으로 3분간 교반한 후 35℃까지 냉각하여 공정을 종료하였다.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49 실시예50 실시예51 실시예52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A 실시예 4 3 - - - - - - -
실시예 9 - 3 - - - - - -
실시예 14 - - 3 - - - - -
실시예 19 - - - 3
오조케라이트 왁스 1 1 1 1 1 1 1 1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1 1 1 1 1 1 1 1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세실디메치콘 3 3 3 3 3 3 3 3
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3 3 3 3 3 3 3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3 3 3 3 3 3 3 3
에칠헥실트리아존 - - - - 2.1 2.1 2.1 2.1
디-C12-13알킬말레이트 - - - - 0.45 0.9 - -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 - - - - 0.45 - 0.9 -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 - - - 0.45 - - 0.9
B 피이지-10 디메치콘 4 4 4 4 4 4 4 4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2 12 12 12 12 12 12 12
산화티타늄, 스테아릭애씨드, 알루미늄 3 3 3 3 3 3 3 3
징크옥사이드, 디메치콘/메치콘 코폴리머 5 5 5 5 5 5 5 5
C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 4 4 4 4 4 4 4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0.8 0.8 0.8 0.8 0.8 0.8 0.8 0.8
벤토나이트 0.6 0.6 0.6 0.6 0.6 0.6 0.6 0.6
D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4 4 4 4 4 4 4 4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소듐 클로라이드 1 1 1 1 1 1 1 1
E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0.8 0.8 0.8 0.8 0.8 0.8 0.8 0.8

(Phase)
원료명(중량%) 실시예 53 실시예 54 실시예55 실시예56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A 오조케라이트 왁스 1 1 1 1 1 1 1 1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1 1 1 1 1 1 1 1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세실디메치콘 3 3 3 3 3 3 3 3
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3 3 3 3 3 3 3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3 3 3 3 3 3 3 3
에칠헥실트리아존 - - - - 2.1 2.1 2.1 2.1
디-C12-13알킬말레이트 - - - - 0.45 0.9 - -
디에칠헥실2,6-나프탈레이트 - - - - 0.45 - 0.9 -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 - - - 0.45 - - 0.9
B 피이지-10 디메치콘 4 4 4 4 4 4 4 4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2 12 12 12 12 12 12 12
산화티타늄, 스테아릭애씨드, 알루미늄 3 3 3 3 3 3 3 3
징크옥사이드, 디메치콘/메치콘 코폴리머 5 5 5 5 5 5 5 5
C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 4 4 4 4 4 4 4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0.8 0.8 0.8 0.8 0.8 0.8 0.8 0.8
벤토나이트 0.6 0.6 0.6 0.6 0.6 0.6 0.6 0.6
D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24 3 - - - - - - -
실시예 29 - 3 - - - - - -
실시예 34 - - 3 - - - - -
실시예 39 - - - 3
글리세린 4 4 4 4 4 4 4 4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소듐 클로라이드 1 1 1 1 1 1 1 1
E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0.8 0.8 0.8 0.8 0.8 0.8 0.8 0.8
실험예 1: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0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내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구분 수상부 5% Solution 상태 석출 유무
실시예 1 불안정 안정
실시예 2 불안정 안정
실시예 3 불안정 안정
실시예 4 불안정 안정
실시예 5 불안정 석출됨
실시예 6 불안정 안정
실시예 7 불안정 안정
실시예 8 불안정 안정
실시예 9 불안정 안정
실시예 10 불안정 석출됨
실시예 11 불안정 안정
실시예 12 불안정 안정
실시예 13 불안정 안정
실시예 14 불안정 안정
실시예 15 불안정 석출됨
실시예 16 불안정 안정
실시예 17 불안정 안정
실시예 18 불안정 안정
실시예 19 불안정 안정
실시예 20 불안정 석출됨
실시예 21 안정 안정
실시예 22 안정 안정
실시예 23 안정 안정
실시예 24 안정 안정
실시예 25 불안정 석출됨
실시예 26 안정 안정
실시예 27 안정 안정
실시예 28 안정 안정
실시예 29 안정 안정
실시예 30 불안정 불안정
실시예 31 안정 안정
실시예 32 안정 안정
실시예 33 안정 안정
실시예 34 안정 안정
실시예 35 불안정 불안정
실시예 36 안정 안정
실시예 37 안정 안정
실시예 38 안정 안정
실시예 39 안정 안정
실시예 40 불안정 불안정
실시예 5, 10, 15, 20, 25, 30, 35, 40은 에칠헥실트리아존이 제대로 용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실시예 1, 2, 3, 4, 6, 7, 8, 9, 11, 12, 13, 14, 16, 17, 18, 19는 투명하게 유지되나 수분산 능력이 현저히 저하 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4, 9, 14, 19를 유상부에 투입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결과, 석출 및 재결정 현상없이 안정하였다(하기 표 14에서 실시예 41 내지 44 결과 참조).
그리고 실시예 21, 22, 23, 24, 26, 27, 28, 29, 31, 32, 33, 34, 36, 37, 38, 39는 분리 및 석출현상이 없었으며 수분산 시 안정하였다. 따라서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비수계의 경우 상기 실시예 1, 2, 3, 4, 6, 7, 8, 9, 11, 12, 13, 14, 16, 17, 18, 19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에칠헥실트리아존 5~85중량%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한 것을 15~9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상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실시예 21, 22, 23, 24, 26, 27, 28, 29, 31, 32, 33, 34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에칠헥실트리아존 5~85중량%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15~9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제품의 장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41 내지 56 및 비교예 1 내지 8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내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분 안정도 석출 또는 분리 유무
실시예 41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2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3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4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5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6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7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8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49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50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51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52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53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54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55 안정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56 안정 관찰되지 않음
비교예 1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비교예 2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비교예 3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비교예 4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비교예 5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비교예 6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비교예 7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비교예 8 불안정,분리 석출현상 관찰됨
그 결과, 표 13 및 표 14, 도 1 내지 4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확연히 눈에 띄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을 단독으로 유상에 투입하거나 또는 에칠헥실트리아존과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와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상부에 투입하여 사용하였을 때 보다,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포함하여 수상부에 사용하였을 때 용해도가 증가되어 석출 및 재결정 현상 없이 장기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자외선 차단 지수 측정( in-vitro )
상기 실시예 41 내지 56 및 비교예 1 내지 8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한국생활화학시험 연구원에 의뢰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분 제형적용 샘플(수중유형(O/W)) 결과
주성분 함량 SPF PFA
실시예 41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45%
0.45%
0.45%
5%
36 8
실시예 42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32 7
실시예 43 에칠헥실트리아존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31 6
실시예 44 에칠헥실트리아존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41 8
실시예 45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45%
0.45%
0.45%
5%
39 11
실시예 46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36 8
실시예 47 에칠헥실트리아존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33 4
실시예 48 에칠헥실트리아존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44 10
비교예 1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45%
0.45%
0.45%
5%
28 6
비교예 2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21 4
비교예 3 에칠헥실트리아존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22 6
비교예 4 에칠헥실트리아존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1%
0.9%
5%
31 9
구분 제형적용 샘플(유중수형(W/O)) 결과
주성분 함량 SPF PFA
실시예 49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45%
0.45%
0.45%
3%
5%
48 31
실시예 50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9%
3%
5%
40 21
실시예 51 에칠헥실트리아존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9%
3%
5%
38 26
실시예 52 에칠헥실트리아존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9%
3%
5%
45 27
실시예 53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45%
0.45%
0.45%
3%
5%
53 30
실시예 54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1.75%
2%
3%
5%
45 22
실시예 55 에칠헥실트리아존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1.75%
2%
3%
5%
41 19
실시예 56 에칠헥실트리아존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1.75%
2%
3%
5%
51 23
비교예 5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45%
0.45%
0.45%
3%
5%
34 24
비교예 6 에칠헥실트리아존
디-C12-13알킬말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9%
3%
5%
29 20
비교예 7 에칠헥실트리아존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9%
3%
5%
32 21
비교예 8 에칠헥실트리아존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타늄 외
징크옥사이드 외
2.1%
0.9%
3%
5%
31 20
그 결과, 표 15 및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칠헥실트리아존을 단독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에칠헥실트리아존에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를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을 포함하여 사용하였을 때 UV-B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SPF(Sun Protection Factor) 지수 및 UV-A의 차단능력을 나타내는 PFA(혹은 PA, Protection Factor of UV-A) 지수가 현저하게 상승되어 자외선 차단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유도체가 에칠헥실트리아존의 용해도를 상승시켜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물질 15-95 중량% 및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triazone) 5-85 중량%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물질들은 투명하게 균질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폴리올, 유화제 및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물질들을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하여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은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1항의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이 40 내지 90중량%, 폴리올 및 유화제의 혼합 중량이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6. 제 1항 또는 제 4 항의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자외선차단제 혼합물을 1~1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8. a)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과 에칠헥실트리아존을 각각 가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가온된 디-C12-13알킬말레이트, 디에칠헥실 2,6-나프탈레이트 및 에칠헥실 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과 에칠헥실트리아존을 전체 혼합물 중량에 대하여 15~95중량% : 5~85중량%로 혼합하여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제조방법.
KR1020140048457A 2014-04-23 2014-04-23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457A KR101598623B1 (ko) 2014-04-23 2014-04-23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457A KR101598623B1 (ko) 2014-04-23 2014-04-23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20A KR20150122820A (ko) 2015-11-03
KR101598623B1 true KR101598623B1 (ko) 2016-03-02

Family

ID=5459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457A KR101598623B1 (ko) 2014-04-23 2014-04-23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34A1 (ko) * 2018-05-08 2019-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506A (ko) 2018-05-31 2019-12-10 (주)에이에스텍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210054710A (ko) 2019-11-06 2021-05-14 (주)에이에스텍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2358646B1 (ko) 2020-04-07 2022-02-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용 고분자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06B1 (ko) 2002-02-20 2007-12-21 (주)아모레퍼시픽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워터-스플래쉬 현상을 갖는자외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485B1 (ko) * 2000-07-28 2003-10-22 엔프라니 주식회사 분체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에멀젼 제형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TE550012T1 (de) * 2005-06-29 2012-04-15 Dsm Ip Assets Bv Zusammensetzung mit dichten kapseln mit einem sonnenschutzmittel
KR100897519B1 (ko) 2007-08-31 2009-05-1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차단 성분의 동시분석법
KR101438375B1 (ko) * 2007-12-26 2014-09-0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흡수제 또는 차단제가 포집된 지질 캡슐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06B1 (ko) 2002-02-20 2007-12-21 (주)아모레퍼시픽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워터-스플래쉬 현상을 갖는자외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34A1 (ko) * 2018-05-08 2019-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20A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036B1 (ko) 화장료
KR102672901B1 (ko) 유해 광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EP3087970B1 (en) Water-in-oil emulsified sunscreen cosmetic
KR20100095445A (ko) 자외선 흡수제 수-분산 조성물
JPH08507296A (ja) 植物の抽出物を含むサンスクリーン
KR101598623B1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60233725A1 (en) Non-Endocrine Disrupting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Substance
JPH09278625A (ja) サンケア用化粧組成物
JP3614511B2 (ja) 日焼け止め用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2389168B1 (ko)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JPH07101844A (ja) 多層エマルジョン
JP2000219607A (ja) 外用組成物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WO2016076202A1 (ja) 水中油型紫外線防御化粧料
KR20160110760A (ko)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89534B1 (ko) 내수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8456B1 (ko)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코아세르베이트 함유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JP4053966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刺激緩和剤
JP4138679B2 (ja) 刺激緩和剤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4018B1 (ko)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놀트리아진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1A (ko) 병풀 정량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3520149B2 (ja) 肌荒れ改善用皮膚外用剤
KR20150018065A (ko) 아스타잔틴-포함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WO2021106657A1 (ja) ルテインのブルーライトカット能増強剤および、化粧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