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168B1 -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168B1
KR102389168B1 KR1020200060712A KR20200060712A KR102389168B1 KR 102389168 B1 KR102389168 B1 KR 102389168B1 KR 1020200060712 A KR1020200060712 A KR 1020200060712A KR 20200060712 A KR20200060712 A KR 20200060712A KR 102389168 B1 KR102389168 B1 KR 10238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nscreen
phas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017A (ko
Inventor
나종복
조아름
나현섭
이종훈
이진홍
최시영
문수민
채준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6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16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1/W/O2(최내상 유상/수상/최외상 유상) 구조의 상기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이고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최내상 유상(O1)에만 포함되어 있고 최외상 유상(O2)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직접 피부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자극이 저감되고, 최외상이 유상이기에 내수성이 우수하고, 무기자외선차단제를 유기자외선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성능 및 지속성이 우수하며, 소수성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소수성 실리카를 유상에, 친수성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친수성 실리카를 수상에, 각각 피커링입자로 사용하여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기자외선차단제, 무기자외선차단제 및 피커링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최내상 유상(O1); 증점제,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W); 및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 및 미용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최외상 유상(O2);를 포함하고, 상기 최내상 유상(O1) 및 상기 최외상 유상(O2) 중 적어도 하나의 유상에는 오일이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DOUBLE PICKERING EMULSION TYP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1/W/O2(최내상 유상/수상/최외상 유상) 구조의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이고 최외상 오일(O2)에는 유기자외선차단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피부자극이 저감되고, 최외상이 유상이기에 내수성이 우수하며, 소수성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소수성 실리카를 유상에, 친수성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친수성 실리카를 수상에, 각각 피커링입자로 사용하여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성이 향상된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40~290nm의 파장은 UV-C, 290~320nm의 파장은 UV-B, 320~400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소실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반 대중의 자외선 보호 제품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증가하여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SPF(UVB 자외선 차단지수) 및 PA(UVA 자외선차단지수)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시장에 나와 있다.
자외선차단제에는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있는데, 무기자외선차단제는, 바른 후 불투명한 흰색을 보여 백탁이 심하고, 발림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나 광범위한 파장대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으며 피부에 흡수, 축적되지 않아 피부 자극을 일으킬 확률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자외선차단제는 백탁현상이 없고 발림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피부에 흡수돼 작용하므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기자외선차단제는 방향족 링 구조의 ortho- 또는 para- 위치에 아민(amine) 또는 메톡실(methoxyl) 그룹과 같은 전자 공여 그룹을 가지는 파이-컨주게이션(π-conjugation) 분자 구조를 지니는 화합물로서, PABA(para-aminobenzoic acid), PABA 유도체, 신나메이트(cinnamate)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benzopheneone),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s) 등이 여기에 속한다.
자외선이 상기 구조의 물질을 자극하면 이 물질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화학적으로 들뜬 상태로 되며, 원래의 에너지 상태로 돌아갈 때 잉여의 흡수된 에너지가 변형된 2차 에너지로 방출됨으로써 자외선 차단 능력을 지닌다.
그러나 유기자외선차단제는 광화학적으로 들뜬 상태에서 축적된 에너지를 견디지 못하고 광분해되거나, 열에 의해 분해되어 자외선 차단효과가 감소되며, 또한 대부분의 유기자외선차단제는 화합물 자체의 독성으로 인한 피부 자극으로 사용량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기자외선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21719호에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함유하는 고분자 캡슐(피부에 문지르거나 가압 시 파열되지 않는 고분자 캡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캡슐을 제조하는 공정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1910년 즈음 피커링(Pickering)에 의해 에멀젼에 크기가 균일한 고체입자를 첨가하여 유화시스템이 안정화되는것이 발견된 후 고체입자에 의해 안정화되는 에멀젼을 통상적으로 피커링 에멀젼이라고 명명하였다.
기존의 유화제를 사용하는 에멀젼에 비해 피커링 에멀젼은 피커링입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강한 틱소성(thixotropy)을 가지고 있어 좋은 발림성 등의 새로운 사용감을 부여한다. 또한, 피커링 에멀젼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자극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장점이 부각되어 환경, 의약, 화장품 분야에서 피커링 에멀젼이 적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11-0039055에는 자외선 차단용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전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유중수형(W/O) 피커링 에멀전의 외상인 유상에 유기자외선차단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기자외선차단제에 의한 피부자극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수/유/수(W/O/W)형 또는 유/수/유(O/W/O)형의 다중 에멀젼은 화장품, 제약, 농업, 공업화학 분야에서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는 분야로써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약물의 지연방출 또는 조절방출을 위한 연구와 효소의 안정화 등을 위한 목적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다중 에멀젼의 유용함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다중 에멀젼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인 제약이 따르는 것은 다중 에멀젼의 열역학적인 안정성이 낮기 때문이다.
유/수/유(O/W/O)형의 다중 에멀젼에 있어서 불안정화는 외부 유상에 분산된 내부 유/수상의 합일 또는 내부 유상의 합일에 의한 외부 유상으로의 확산에 의해 유발되며, 최종으로 상분리 또는 불안정한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 에멀젼을 형성시킨다.
상기의 문제점에 대하여,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1997-0032845 및 10-2000-0068575는 '외부유상 중에 유기변성벤토나이트를 첨가하여 안정성이 개선된 O/W/O형 복합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의 기술들은 안정화 방법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차로 친수형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미세한 수중유형의 1차 에멀젼을 제조하고 이것을 다시 친유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유상(외부유상)에 첨가하는 2단계 제조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기술들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어서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자극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1719호(2015.10.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9055호(2011.04.1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32845호 (1997.07.2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68575호 (2000.1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내상 유상에만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고 최외상 유상에는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자극이 저감되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 저장 안정성과 발림성, 자외선 차단성능, 지속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자외선차단제, 무기자외선차단제 및 피커링입자를 포함하는 최내상 유상; 증점제,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 및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최외상 유상;를 포함하고, 상기 최내상 유상 및 상기 최외상 유상 중 적어도 하나의 유상에는 오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최내상 유상 5 내지 24.5중량부, 수상 10 내지 44.5중량부 및 최외상 유상 50.5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아보벤존(avobenzone), p-아미노벤조산(p-aminobenzoic acid), 베모트리지놀(bemotrizinol), 벤조페논-9(benzophenone-9), 벡소페놈-3(bexophenome-3), 비스옥트리졸(bisoctrizole), 3-(4-메틸벤질리덴)-캠퍼(3-(4-methylbenzylidene)-camphor), 시녹세이트(cinoxate),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디옥시벤존(dioxyben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에캄슐(ecamsule), 에틸헥실 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멘틸 안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옥틸 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이스코트리지놀(iscotrizinol), 이소펜테닐-4-메톡시신나메이트(isopentenyl-4-methoxycinnamate), 옥틸-디메틸-p-아미노벤조산(octyl-dimethyl-p-aminobenzoic acid),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옥시벤존(oxybenzon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및 트롤아민 살리실레이트(trolamine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무기자외선차단제는 산화아연(ZnO), 이산화티타늄(TiO2), 규산염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피커링입자는 실리카이며, 상기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자외선차단제는 1 내지 22중량부, 무기자외선차단제는 0.5 내지 20중량부, 피커링입자는 0.1 내지 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카보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토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잔탄검, 셀룰로오스 에테르, 폴리비닐 유도체, 알기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첨가제는 기능성 첨가제,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비타민 C, 비타민 C 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A 유도체,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알부틴,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솔비톨, 스쿠알란, 멘톨, 프로폴리스, 감초추출물, 계피추출물, 고삼추출물, 녹차추출물, 달팽이점액추출물, 당귀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석류추출물, 자스민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창포추출물 및 홍삼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보존제는 1,2 헥산디올, 1,2 펜탄디올,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MPO, 트리콜라산, 벤조익산 및 디하이드로아세트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향료는 장미향, 재스민향, 라벤더향, 바나나향, 사과향, 딸기향, 레몬향, 코코아향 및 박하향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는 0.01 내지 20 중량부, 첨가제는 2 내지 2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오일은 아보카드유, 밀배아유, 로즈힙오일, 아몬드오일, 엠씨티(medium-chain triglycerides)오일, 포도씨유, 올리브유, 참기름, 피마자유, 동백기름, 잇꽃기름, 대두유, 동백기름, 옥수수유, 유채꽃 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마카다미아넛츠 오일,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팜유, 팜핵유, 코코넛 오일, 거북이 기름, 밍크유, 계란 기름, EMU 오일, 미네랄 오일 및 실리콘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오일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내상 유상(O1)과 최외상 유상(O2)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상은 왁스 및 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고,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밀랍, 라놀린왁스, 아몬드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버터는 시어버터(Shea butter), 코코아버터, 바닐라버터, 아보카도버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최내상 유상(O1)과 최외상 유상(O2)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상에 왁스 및 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0.1 내지 20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무기자외선차단제이면서 동시에 피커링입자로 작용하는 소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을 유상에 사용하며, 친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을 수상에 사용하는 동시에, 소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실리카를 유상에 그리고 친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실리카를 수상에 피커링입자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장기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최내상 유상에만 사용하고 최외상 유상에는 사용하지 않아서 유기자외선차단제에 의한 피부 자극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최외상이 유상이기에 내수성과 지속성이 양호하고, 중간상이 수상이기에 발림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최내상 유상에는 유기자외선차단제와 무기자외선차단제가, 중간상인 수상 및 최외상 유상에는 무기자외선차단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자외선 차단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이중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사진,
도 2는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유중수(W/O)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사진,
도 3은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피커링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자극이 저감되고 장기 안정성이 향상되는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최내상 유상/수상/최외상 유상(O1/W/O2) 구조의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O1/W/O2형 이중 피커링 에멀젼은 최내상에 최내상 유상(O1)을 포함하고, 중간층인 수상(W)은 상기 최내상 유상(O1)을 둘러싸는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최외상 유상(O2)은 중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수상(W)을 둘러싸는 형태로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최내상 유상(O1)은, 유기자외선차단제, 소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무기자외선차단제 및 소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피커링입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상(W)은, 증점제, 친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무기자외선차단제, 친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피커링입자,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미용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외상 유상(O2)는, 소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무기자외선차단제, 소수성으로 표면처리 된 피커링입자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미용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최내상 유상(O1) 및 상기 최외상 유상(O2) 중 적어도 하나의 유상에는, 오일이 더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최내상 유상(O1) 5 내지 24.5중량부, 수상(W) 10 내지 44.5중량부, 최외상 유상(O2) 50.5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최내상 유상(O1) 10 내지 20중량부, 수상(W) 20 내지 30중량부, 최외상 유상(O2) 55 내지 7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최내상 유상(O1)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최내상 유상에 있는 유기자외선차단제, 무기자외선차단제 등의 함량이 너무 적어서 자외선 차단성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피커링입자의 함량이 적어서 피커링에멀전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최내상 유상(O1)의 함량이 24.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수상과 최외상 유상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수상(W)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일 때는 수중유(O1/W)에멀젼이 만들어지기 어렵고, 44.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최외상의 유상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다.
아울러, 상기 최외상 유상(O2)의 함량이 50.5중량부 미만일 때는 최외상 유상이 연속상이 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고, 85중량부 초과일 경우는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자외선 차단성능, 첨가제의 효과, 피커링입자의 효과 등을 보기가 어렵다.
여기서 상기 무기자외선차단제는 산화아연(ZnO), 이산화티타늄(TiO2), 규산염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피커링입자는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이중 피커링 에멀젼은 유상에 소수성 실리카와 소수성으로 처리된 이산화티탄 또는/및 산화아연을 함께 사용하고, 수상에 친수성 실리카와 친수성으로 처리된 이산화티탄 또는/및 산화아연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하여 장기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카,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은 평균입자크기가 1,000n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0nm이다.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자외선차단제의 함량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기자외선차단제의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일 때는 최내상 유상과 수상의 액적이 너무 커져서 에멀젼을 안정화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효과가 불충분하고, 20중량부를 초과일 경우는 오일을 과도하게 흡유하여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다.
상기 피커링입자인 실리카의 총 함량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실리카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일 때는 최내상 유상과 수상의 액적이 너무 커져서 에멀젼을 안정화하기 힘들고, 실리카의 함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오일을 과도하게 흡유하여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다.
그리고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아보벤존(avobenzone), p-아미노벤조산(p-aminobenzoic acid), 베모트리지놀(bemotrizinol), 벤조페논-9(benzophenone-9), 벡소페놈-3(bexophenome-3), 비스옥트리졸(bisoctrizole), 3-(4-메틸벤질리덴)-캠퍼(3-(4-methylbenzylidene)-camphor), 시녹세이트(cinoxate),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디옥시벤존(dioxyben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에캄슐(ecamsule), 에틸헥실 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멘틸 안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옥틸 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이스코트리지놀(iscotrizinol), 이소펜테닐-4-메톡시신나메이트(isopentenyl-4-methoxycinnamate), 옥틸-디메틸-p-아미노벤조산(octyl-dimethyl-p-aminobenzoic acid),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옥시벤존(oxybenzon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및 트롤아민 살리실레이트(trolamine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의 함량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2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일 때는 자외선 차단효과가 미흡하고, 2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최내상 유상이 과다하여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다.
상기 증점제는 카보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토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잔탄검, 셀룰로오스 에테르, 폴리비닐 유도체, 알기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증점제의 함량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일 때는 수상의 점도가 낮아서 에멀젼을 안정화하기 힘들고, 20중량부 초과일 경우는 수상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다.
상기 첨가제는 기능성 첨가제,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첨가제의 총 함량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2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의 총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일 때는 첨가제의 효과가 불충분하고, 25중량부 초과일 경우는 다른 성분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비타민 C, 비타민 C 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A 유도체,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알부틴,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솔비톨, 스쿠알란, 멘톨, 프로폴리스, 감초추출물, 계피추출물, 고삼추출물, 녹차추출물, 달팽이점액추출물, 당귀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석류추출물, 자스민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창포추출물 및 홍삼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보존제는 1,2 헥산디올, 1,2 펜탄디올,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MPO, 트리콜라산, 벤조익산 및 디하이드로아세트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향료는 장미향, 재스민향, 라벤더향, 바나나향, 사과향, 딸기향, 레몬향, 코코아향 및 박하향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최내상 유상(O1)과 최외상 유상(O2)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상은 아보카드유, 밀배아유, 로즈힙오일, 아몬드오일, 엠씨티(medium-chain triglycerides)오일, 포도씨유, 올리브유, 참기름, 피마자유, 동백기름, 잇꽃기름, 대두유, 동백기름, 옥수수유, 유채꽃 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마카다미아넛츠 오일,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팜유, 팜핵유, 코코넛 오일, 거북이 기름, 밍크유, 계란 기름, EMU 오일, 미네랄 오일 및 실리콘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함유한다.
이때, 최내상 유상(O1)과 최외상 유상(O2)에 함유되는 오일의 합계는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7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일 때는 오일의 함량이 부족하여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힘들고, 70중량부 초과일 경우는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자외선차단효과, 첨가제의 효과, 피커링입자의 효과 등이 미흡하게 된다.
최내상 유상(O1)과 최외상 유상(O2)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상은 왁스 및 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고, 그 함량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왁스 및 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총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일 때는 유상의 증점 효과가 미흡하고, 20중량부를 초과일 경우는 유상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에멀젼이 만들어지기 어렵다.
여기서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밀랍, 라놀린왁스, 아몬드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버터는 시어버터(Shea butter), 코코아버터, 바닐라버터, 아보카도버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성분들을 함유하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유기자외선차단제, 왁스류, 버터류를 별도의 용기에서 70~80℃로 가열 용해시킨 후,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를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최내상 유상 혼합물을 제조한다.
물(정제수)과 증점제를 별도의 용기에서 65~75℃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수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최내상 유상 혼합물을 상기 수상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65~75℃에서 교반하여 비연속상인 최내상 유상 액적을 형성시켜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한다.
그리고 별도의 용기에 오일, 왁스류, 버터류를 넣고 70~80℃로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최외상 유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최외상 유상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상기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65~75℃에서 교반하여 이중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한다.
이하,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시험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이중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표 1은 최내상 유상(O1)의 조성물, 표 2는 수상(W)의 조성물, 표 3은 최외상 유상(O2)의 조성물을 나타내었다. 표 1, 2, 3과 같은 조성으로 각각 최내상 유상(O1) 혼합물, 수상(W) 혼합물, 최외상 유상(O2)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이중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구분 성분 실시예
1 2 3 4 5 6 7
유기 자외선 차단제 아보벤존 2.5 1 2 0.5 0.5 2 2
호모살레이트 10 0 3 0 0 3 8
옥토크릴렌 0 2 2 2 2 2 2
옥틸 살리실레이트 0 2 2 1.5 1.5 2 1
옥시벤존 0 0 2 0 0 2 0
트롤아민 살리실레이트 0 0 3 0 0 3 0
시녹세이트 0 0 3 0 0 3 0
비스옥트리졸 0 0 2 0 0 2 0
무기 자외선 차단제 소수성 이산화티타늄 0.84 0 1 0 0 0.1 0.4
소수성 산화아연 0 2 1 2 2 0 0.5
피커링입자 소수성 실리카 1.04 1 1 1 1 2 0.1
왁스류,
버터류
카르나우바왁스 0 0 0.1 0 0 0 0
밀랍 0 0 0.2 0 0 0 0
시어버터 0 0 0.2 0 0 0 0
코코아버터 0 0 0 0 0 0 0
구분 성분 실시예
1 2 3 4 5 6 7
정제수 23.07 7 20 19 9 15 22
증점제 잔탄검 0.33 0.3 0.1 0 0.2 0.03 0.4
알기네이트 0 0 0.1 0 0.3 0 0
폴리비닐알콜 0 0 0.1 17 1 0 0
무기 자외선
차단제
친수성 이산화티타늄 3.75 1 1 2.7 5 0.1 5
친수성 산화아연 0 1 0 0 3 0.1 0
피커링입자 친수성 실리카 1.27 0.5 1 0.5 0.5 7 0.1
기능성
첨가제
감초추출물 1.88 0.3 0.5 0.3 6 1 0.1
마치현추출물 0.37 0.7 0.1 0.1 3 0.17 0
알로에추출물 1.5 0.8 0.2 0.2 5 1.1 0.2
보존제 1,2 헥산디올 0 0.5 0.2 0.5 1 0.2 0.5
페녹시에탄올 0.37 0.2 0.2 0.2 1.2 0.2 0.5
MPO 2.25 1.5 2 2 5 2 1.5
구분 성분 실시예
1 2 3 4 5 6 7
오일 엠씨티오일 43.54 27 39.5 38 38 38 15
포도씨유 0 15 0 0 0 0 5
로즈힙오일 0 10 0 0 0 7 2
올리브유 0 5 0 0 0 0 3
호호바오일 0 5 0 0 0 0 4.8
무기 자외선 차단제 소수성 이산화티타늄 1.06 4 3 3 4 0.2 4
소수성 산화아연 0 2.9 4 4 4 0.1 4
피커링입자 소수성 실리카 5.52 7.2 5 5 5 5 0.1
기능성
첨가제
비타민 A 유도체 0 0.3 0 0 0.5 0.3 0
비타민 E 유도체 0.51 0.5 0.3 0.3 0.7 0.5 0.3
스쿠알란 0 0.5 0 0 0.2 0.5 0.1
향료 장미향 0.2 0 0.2 0.2 0.2 0.1 0.2
재스민향 0 0.1 0 0 0.1 0.1 0.1
라벤더향 0 0.1 0 0 0.1 0.1 0.1
왁스류,
버터류
카르나우바왁스 0 0.1 0 0 0 0 0
밀랍 0 0.1 0 0 0 0 0
시어버터 0 0.2 0 0 0 0.1 17
코코아버터 0 0.2 0 0 0 0 0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제조>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유기자외선차단제, 왁스류, 버터류를 별도의 용기에서 75℃로 가열 용해시킨 후,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를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최내상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물(정제수)과 증점제를 별도의 용기에서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수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내상 유상 혼합물을 상기 수상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70℃에서 교반하여 비연속상인 최내상 유상 액적을 형성시켜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별도의 용기에 상기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오일, 왁스류, 버터류를 넣고 75℃로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최외상 유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최외상 유상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상기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70℃에서 교반하여 이중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이중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큰 수상의 액적 안에 작은 원형의 최내상 유상 액적이 있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1 내지 7의 피커링 에멀젼 형태를 표 4에 나타내었으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7은 모두 O1/W/O2 형태의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구분 피커링 에멀젼 형태
실시예 1 O/W/O
실시예 2 O/W/O
실시예 3 O/W/O
실시예 4 O/W/O
실시예 5 O/W/O
실시예 6 O/W/O
실시예 7 O/W/O
[ 비교예 ]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5, 6, 7과 같은 조성으로 각각 최내상 유상(O1) 혼합물, 수상(W) 혼합물, 최외상 유상(O2)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표 5에서는 비교예 1 내지 5의 최내상 유상(O1)의 조성물을 나타내었고, 표 6에서는 비교예 1 내지 5의 수상(W)의 조성물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7에서는 비교예 1 내지 5의 최외상 유상(O2)의 조성물을 나타내었다.
구분 성분 비교예
1 2 3 4 5
유기
자외선차단제
아보벤존 2.5 0.1 2 0.5 0.5
호모살레이트 10 0.4 4 0 0
옥토크릴렌 0 0.3 4 2 2
옥틸 살리실레이트 0 0 3.5 0 1.5
옥시벤존 0 0 3.5 0 0
트롤아민 살리실레이트 0 0 3 0 0
시녹세이트 0 0 3 0 0
비스옥트리졸 0 0 2 0 0
무기
자외선차단제
소수성 이산화티타늄 0.84 0 0.5 0 0
소수성 산화아연 0 0.1 0 1.5 2
피커링입자 소수성 실리카 1.04 2 0 0 1
왁스류, 버터류 카르나우바왁스 0 0 0 0 0
밀랍 0 0 0 0 0
시어버터 0 0 0 0 0
코코아버터 0 0 0 0 0
구분 성분 비교예
1 2 3 4 5
정제수 23.07 5 20 13 14
증점제 잔탄검 0.33 0 0.1 0 0.2
알기네이트 0 0 0.1 0 0.3
폴리비닐알콜 0 0.002 0.1 23 1
무기
자외선차단제
친수성 이산화티타늄 3.75 0.1 0.5 2.7 3
친수성 산화아연 0 0 0 3.5 1
피커링입자 친수성 실리카 1.27 0.5 0 0 0.5
기능성 첨가제 감초추출물 1.88 0.2 1.5 0.8 7
마치현추출물 0.37 0.008 0.1 0.1 4
알로에추출물 1.5 0.2 0.2 0.2 6
보존제 1,2 헥산디올 0 0 0.2 0.5 2
페녹시에탄올 0.37 0.5 1.2 0.2 1.2
MPO 2.25 0.5 2 2 5
구분 성분 비교예
1 2 3 4 5
오일 엠씨티오일 43.54 27 39.5 10 33
포도씨유 0 20 3.5 0 0
로즈힙오일 0 10 0 0 0
올리브유 0 10 0 0 0
호호바오일 0 8 0 0 0
무기자외선차단제 소수성 이산화티타늄 1.06 0.1 0.5 6.3 4
소수성 산화아연 0 0 0 7 4
피커링입자 소수성 실리카 5.52 14.8 0 3.2 5
기능성 첨가제 비타민 A 유도체 0 0 0 0 0.5
비타민 E 유도체 0.51 0 1.3 0.3 0.7
스쿠알란 0 0.19 0 0 0.2
향료 장미향 0.2 0 0.2 0.2 0.2
재스민향 0 0 0 0 0.1
라벤더향 0 0 0 0 0.1
왁스류, 버터류 카르나우바왁스 0 0 0.5 1 0
밀랍 0 0 1 2 0
시어버터 0 0 1 10 0
코코아버터 0 0 1 10 0
<비교예 1의 제조>
상기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물(정제수)과 증점제를 별도의 용기에서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수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유기자외선차단제, 왁스류, 버터류를 별도의 용기에서 75℃로 가열 용해시킨 후,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를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최내상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계속 이 용기에 표 7과 같은 조성으로 오일, 왁스류, 버터류를 넣고 75℃로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최외상 유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서, 최내상 유상과 최외상 유상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상 혼합물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70℃에서 교반하여 비연속상인 수상 액적을 형성시켜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피커링 에멀젼은 O1/W/O2형 이중 에멀젼 피커링 에멀젼이 아니고, 유중수(W/O)형 피커링 에멀젼으로 외상에 유기자외선차단제가 함유되어있다.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유중수(W/O)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아니고, 밝은 원형의 수상 액적 안에 작은 액적이 없는 유중수(W/O)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불규칙한 형태의 검은 점들은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석출된 것이다.
<비교예 2 ~ 5의 제조>
상기 표 5과 같은 조성으로 유기자외선차단제, 왁스류, 버터류를 별도의 용기에서 75℃로 가열 용해시킨 후,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를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최내상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6와 같은 조성으로 물(정제수)과 증점제를 별도의 용기에서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수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내상 유상 혼합물을 상기 수상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70℃에서 교반하여 비연속상인 최내상 유상 액적을 형성시켜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별도의 용기에 상기 표 7과 같은 조성으로 오일, 왁스류, 버터류를 넣고 75℃로 가열 용해시킨 후, 나머지 최외상 유상 성분을 넣고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최외상 유상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상기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70℃에서 교반하여 이중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피커링 에멀젼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O1/W/O2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아니고, 밝은 원형의 수상 액적 안에 작은 액적이 없는 유중수(W/O)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불규칙한 형태의 검은 점들은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석출된 것이다.
비교예 1 ~ 5의 피커링 에멀젼 형태를 표 8에 나타내었으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 5는 모두 유중수형(W/O)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구분 피커링 에멀젼 형태
비교예 1 W/O
비교예 2 W/O
비교예 3 W/O
비교예 4 W/O
비교예 5 W/O
[ 시험예 1] 자외선차단 성능 평가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8-111호에 의거하여 인비트로(in vitro) 방법으로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의 자외선차단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SPF PA
실시예 1 281 313
실시예 2 300 332
실시예 3 455 507
실시예 4 302 335
실시예 5 438 487
실시예 6 250 279
실시예 7 463 515
비교예 1 456 589
비교예 2 16 18
비교예 3 345 384
비교예 4 483 539
비교예 5 351 392
상기의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7은 SPF 및 PA 값이 각각 250 및 279 이상으로 모두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성능을 보였으나, 비교예 2는 SPF 및 PA 값이 각각 16 및 18으로 자외선 차단성능이 불량하였다.
조성은 동일하나, 유중수(W/O) 피커링 에멀젼인 비교예 1(SPF : 456, PA : 589)이 이중 피커링 에멀젼인 실시예 1(SPF : 281, PA : 313) 보다 자외선 차단성능(SPF 및 PA 값)이 우수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되었다.
이중 피커링 에멀젼인 실시예 1은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최내상 유상(O1)에 원형의 액적 형태로 존재하지만, 유중수(W/O) 피커링 에멀젼인 비교예 1은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외상인 유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시험을 할 때에 비교예 1의 유기자외선차단제가 더 균일하게 도포되어서 자외선 차단성능(SPF 및 PA 값)이 더 우수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3 ~ 5도 자외선 차단성능(SPF 및 PA 값)이 우수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유기자외선차단제의 함유량이 높기 때문이다.
[ 시험예 2] 인체첩포시험에 의한 피부자극 평가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7-42호),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판정 기준 및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의 인체첩포시험을 수행하였다.
표 10의 인체첩포시험 결과 판정표에 의거하여 피부자극의 경중을 평가하고,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피부반응도 판정 결과
0.00 ~ 0.75 무자극
0.76 ~ 1.50 미자극
1.51 ~ 2.50 경자극
2.51 ~ 4.00 중자극
4.01 ~ 5.00 강자극
구분 피부반응도 피부자극
실시예 1 0.82 미자극
실시예 2 0.23 무자극
실시예 3 1.21 미자극
실시예 4 0.12 무자극
실시예 5 0.19 무자극
실시예 6 1.15 미자극
실시예 7 1.06 미자극
비교예 1 2.67 중자극
비교예 2 0.81 미자극
비교예 3 4.05 강자극
비교예 4 1.02 미자극
비교예 5 1.59 경자극
상기의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7은 유기자외선차단제의 함유량이 낮거나 높아도 모두 무자극 내지는 미자극으로 유기자외선차단제에 의한 피부자극이 현저하게 저감되었으나, 비교예 1, 3, 5는 경자극 내지 강자극으로 피부자극이 심하였다
그 이유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되지 않아서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최외상 유상에 존재하여 곧 바로 피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유기자외선차단제에 의한 피부자극이 심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2와 4는 유기자외선차단제의 함유량이 매우 낮아서 미자극으로 피부자극이 약했다.
[ 시험예 3]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성 시험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성 시험은 2개월간 실온, 45℃ 항온 오븐에서 수행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안정도를 평가하였고,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의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피커링 에멀젼 안정성 평가 기준
◎ : 매우양호, ○ : 양호, △ : 오일 분리 조짐, × : 에멀젼 분리
구분 실온 안정성 45℃ 안정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비교예 4
비교예 5
상기 표 1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7은 제형이 매우 안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 ~ 5는 오일이 살짝 분리되거나, 에멀젼이 분리되는 등 피커링 에멀젼이 불안정하였다.
시험예 1 내지 시험예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중유형(O1/W/O2; oil-in-water-in-oil)으로 이루어진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로 유기자외선차단제가 최외상 유상(O2)에 포함되지 않아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저감하면서 무기자외차단제와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함께 사용하여 자외선차단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에멀젼이 분리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제형을 갖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소수성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소수성 실리카를 유상에, 친수성 무기자외선차단제와 친수성 실리카를 수상에, 각각 피커링입자로 사용하여 피커링 에멀젼의 저장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5)

  1.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자외선차단제, 무기자외선차단제 및 피커링입자를 포함하는 최내상 유상(O1);
    증점제,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W); 및
    무기자외선차단제, 피커링입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최외상 유상(O2);를 포함하고,
    상기 최내상 유상(O1) 및 상기 최외상 유상(O2) 중 적어도 하나의 유상에는 오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최내상 유상(O1) 5 내지 24.5중량부, 수상(W) 10 내지 44.5중량부 및 최외상 유상(O2) 50.5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자외선차단제는 1 내지 22중량부, 무기자외선차단제는 0.5 내지 20중량부, 피커링입자는 0.1 내지 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아보벤존(avobenzone), p-아미노벤조산(p-aminobenzoic acid), 베모트리지놀(bemotrizinol), 벤조페논-9(benzophenone-9), 벡소페놈-3(bexophenome-3), 비스옥트리졸(bisoctrizole), 3-(4-메틸벤질리덴)-캠퍼(3-(4-methylbenzylidene)-camphor), 시녹세이트(cinoxate),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디옥시벤존(dioxyben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에캄슐(ecamsule), 에틸헥실 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멘틸 안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옥틸 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이스코트리지놀(iscotrizinol), 이소펜테닐-4-메톡시신나메이트(isopentenyl-4-methoxycinnamate), 옥틸-디메틸-p-아미노벤조산(octyl-dimethyl-p-aminobenzoic acid),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옥시벤존(oxybenzon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및 트롤아민 살리실레이트(trolamine salic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무기자외선차단제는 산화아연(ZnO), 이산화티타늄(TiO2), 규산염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피커링입자는 실리카인,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카보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토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잔탄검, 셀룰로오스 에테르, 폴리비닐 유도체, 알기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첨가제는 기능성 첨가제,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비타민 C, 비타민 C 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A 유도체,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E, 비타민 E 유도체, 알부틴,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솔비톨, 스쿠알란, 멘톨, 프로폴리스, 감초추출물, 계피추출물, 고삼추출물, 녹차추출물, 달팽이점액추출물, 당귀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석류추출물, 자스민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창포추출물 및 홍삼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보존제는 1,2 헥산디올, 1,2 펜탄디올,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MPO, 트리콜라산, 벤조익산 및 디하이드로아세트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향료는 장미향, 재스민향, 라벤더향, 바나나향, 사과향, 딸기향, 레몬향, 코코아향 및 박하향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는 0.01 내지 20 중량부, 첨가제는 2 내지 2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아보카드유, 밀배아유, 로즈힙오일, 아몬드오일, 엠씨티(medium-chain triglycerides)오일, 포도씨유, 올리브유, 참기름, 피마자유, 동백기름, 잇꽃기름, 대두유, 동백기름, 옥수수유, 유채꽃 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마카다미아넛츠 오일,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팜유, 팜핵유, 코코넛 오일, 거북이 기름, 밍크유, 계란 기름, EMU 오일, 미네랄 오일 및 실리콘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오일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최내상 유상(O1)과 최외상 유상(O2)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상은 왁스 및 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고,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밀랍, 라놀린왁스, 아몬드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버터는 시어버터, 코코아버터, 바닐라버터, 아보카도버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최내상 유상(O1)과 최외상 유상(O2)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상에 왁스 및 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0.1 내지 20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60712A 2020-05-21 2020-05-21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10238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12A KR102389168B1 (ko) 2020-05-21 2020-05-21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12A KR102389168B1 (ko) 2020-05-21 2020-05-21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17A KR20210144017A (ko) 2021-11-30
KR102389168B1 true KR102389168B1 (ko) 2022-04-22

Family

ID=7872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12A KR102389168B1 (ko) 2020-05-21 2020-05-21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0099B (zh) * 2022-08-26 2023-12-29 广州栋方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油包水包油型防晒组合物的乳化方法及其应用
CN116370318A (zh) * 2023-05-09 2023-07-04 奥源新材料(广州)有限公司 一种无乳化剂的皮克林唇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528B1 (ko) 2014-01-08 2015-08-2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202962A (ja) 2018-05-24 2019-11-28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ポリマー含有ピッカリングエマル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5177A (en) 1995-12-14 1999-11-16 Shiseido Co., Ltd. O/W/O type multiple emuls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0563583B1 (ko) 1997-07-17 2006-03-3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o형 복합에멀젼
KR101144372B1 (ko) 2009-10-09 2012-05-10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전 조성물
WO2013081073A1 (ja) * 2011-11-30 2013-06-06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3721860A1 (en) 2013-02-28 2020-10-14 Tagra Biotechnologies Ltd Microcapsules comprising sunscreen agents
EP3225232B1 (en) * 2014-11-28 2023-12-20 Shiseido Company Ltd. 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
AU2016356675A1 (en) * 2015-11-19 2018-05-31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Self assembling skin care emulsions
KR102429033B1 (ko) * 2017-11-10 2022-08-04 (주)아모레퍼시픽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528B1 (ko) 2014-01-08 2015-08-2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202962A (ja) 2018-05-24 2019-11-28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ポリマー含有ピッカリングエマル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17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3662B1 (de) Wasserfest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zubereitungen
AU2006331729B2 (en) UV-radiation protectant compositions
US7144570B2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858200B2 (en) Sunscreen formulations
Santos et al. Nanotechnology-based sunscreens—a review
JP2004524342A (ja) スキンケア組成物
AU2008338479A1 (en) Enhanced photostability of avobenzone in the presence of zinc oxide using phosphate-based emulsifiers
JP2015155474A (ja) スキンケア組成物
AU2009219359A1 (en) Enhanced photostability of sun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vobenzone
KR102389168B1 (ko)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US20060233725A1 (en) Non-Endocrine Disrupting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Substance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DE4230076C2 (de) cis-Urocaninsäure als Antioxidans
US7078022B2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WO2014183973A1 (de) Stabilisiert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scorbinsäure und phosphationen
KR101598623B1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004517A (zh) 制备皮肤防晒组合物的起始制剂和制备皮肤防晒组合物的方法
DE19642090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Gele auf der Basis von Mikroemulsionen
EP2111850B1 (de) Verwendung von Citronensäureestern als W/O-Emulgatoren
EP1834631B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sowie Glucosederivate bzw. Glycerinether
EP1608331B1 (en) Sunscreen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silicas
DE10007116A1 (de) Wäßrige Dispersion wasserunlöslicher organischer UV-Filtersubstanzen
DE10057770A1 (de) Hautpflegeprodukte mit einem Gehalt an dispersen Flüssigkristallen, welche kubische Phasen darstellen ,
DE102015117981A1 (de) Handhygiene-Kosmetik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