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6534A1 -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6534A1
WO2019216534A1 PCT/KR2019/002714 KR2019002714W WO2019216534A1 WO 2019216534 A1 WO2019216534 A1 WO 2019216534A1 KR 2019002714 W KR2019002714 W KR 2019002714W WO 2019216534 A1 WO2019216534 A1 WO 20192165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methicone
weight
glycol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7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세민
안예희
박성미
박천호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2165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65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Definitions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ransparent solid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but includes both an organic sunscreen and an inorganic sunscreen. However, when emulsified products are implemented by the existing functional prescriptions, th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colors could not be realized due to the white raw materials,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 the emulsion has a bluish color as the water content of the emulsified product increases.
  • the amount of lubricant should be increased by the amount of water that is reduced, and as a result, the emulsion stability decreases as the inner phase of the emulsion becomes smaller,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formulation becomes unstable.
  • Patent Document 1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0072639
  • One aspect is an organic sunscreen; Purified water; And a polyol, thereby improving transparency and providing a semi-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usability such as glossiness and moisturizing feeling.
  • 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of preparing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does not use an inorganic sunscreen as the sunscreen functional ingredient, but uses only an organic sunscreen, improves transparency by minimizing purified water content and increasing polyol content, and has excellent glossiness and moisturizing feeling.
  • FIG. 2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right photograph of FIG. 1.
  • FIG. 3 is a photograph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pack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and photographing the transparen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FIG. 4 is a photograph taken by enlarging the right picture of FIG. 3.
  • Figure 5 is a photograph of the transparen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by putt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in a transparent container.
  • FIG. 6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right photograph of FIG. 5.
  • Example 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Example 8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3 i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i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FIG. 10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i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One aspect is an organic sunscreen; Purified water; And it provides a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
  • translucent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hape and color of the object are changed when the object is seen through the medium
  • transparent means that the form and color are not changed when viewed through the medium. It means the visible state. Since almost no object is completely transparent,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pressed as a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but the substrate is not completely excluded from being transparent. Thus, the terms “translucent” or “transparen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 the sunscreen functional ingredients can be divided into organic sunscreens and inorganic sunscreens.
  • Inorganic sunscreens such as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have a white color, making it difficult to realize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lors. Accordingly,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transparen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by using only an organic sunscreen agent without including an inorganic sunscreen agent as a sunscreen functional ingredient. Therefore,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n inorganic sunscreen agent-free cosmetic composition.
  • inorganic sunscreen agent-free means a formulation in which no inorganic raw material, such as zinc oxide, titanium dioxide, or the like is used in the sunscreen functional ingredient.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mulsion formul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emulsified products, such as emulsion formulations, the higher the water content, the more turbid the color becomes. Therefore,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roved transparency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polyol instead of minimizing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to less than 15% by weight, preferably less than 10% by weight.
  • the semi-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an organic sunscreen instead of using an inorganic sunscreen as a sunscreen functional ingredient, and increases the content of polyol instead of minimizing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thereby improving glossiness and moisturizing feeling. Can be excellent.
  • one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5 to 30% by weight of an organic sunscree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1 to 15% by weight purified water; And it provides a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9 to 30% by weight of a polyol.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20 to 25% by weight of an organic sunscreen; 1 to 10% by weight purified water; And 15 to 30 weight percent polyol.
  • the organic sunscreen agent is ethylhexylmethoxycinnamate, ethylhexylsalicylate, octocrylene, homosalate, ethylhexyltrizone,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e, octylmethoxycinnamate, isoamyl- cinnamate derivatives of p-methoxycinnamate,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salicylic acid derivatives of octyl salicylate, PABA derivatives, benzophenones, and anthranilates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ganic sunscreen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hexylmethoxycinnamate, ethylhexyl salicylate, octocrylene, homosalate, ethylhexyltriazone, and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or all six.
  • the content of the organic sunscreen may be a content specified according to the cosmetic raw material functional permit.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is 15 wt% or less, less than 15 wt%, 1-15 wt%, 5-15 wt%, 10 wt%, less than 10 wt%, 1-1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t%, or 5-10 wt% of purified water. When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exceeds 15%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due to an increase in opacity.
  • polyol and “polyhydric alcohol” are used interchangeably and refer to aliphat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hydroxyl groups (-OH).
  • the polyol may be glycerol, glycols,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lycerol may be glycerin, diglycerin, polyglycerol, glycerol, glycyl alcohol,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lycerin may be mixed with other commonly used names such as rislin, propane-1,2,3-triol, 1,2,3-propenriol, trihydroxypropane, and the like.
  • glycols are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hex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or It may b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ol may be glycerin, diglycerin, polyglycerin, glycerol, glycyl alcoh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hex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and polyethylene glycol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comprise 9% by weight, 9% by weight to 30% by weight, 10% by weight to 30% by weight, or 15% by weight to 3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have.
  • the lubricant content is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polyol content, as a result, the emulsion may become unstable and the formulation may become unstable as the internal phase of the emulsion becomes smaller. Therefore, formulation stability may decrease when the content of polyol is outside the above content range.
  •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wax.
  • the wax may be selected in the appropriate type and content to prepare a cosmetic composition in solid form.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5 to 10% by weight of the wax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wax may include waxe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for example, beeswax, candelilla wax, ceresin, carnauba wax, ozokerite, microstalin wax, synthetic wax, beeswax, bispage- 12 Dimethicone Beeswax, BisPig-12 Dimethicone Candelylate, BisPig-18 Dimethicone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Stearyl Dimethicone, C30-45 Alkyl Dimethicone, C30-45 Olefin, Behenoxy Dimethicon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aroxy dimethicone, cetyl dimethic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x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one embodiment, the wax may use a combination of beeswax, candelilla wax, and ceresin.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ulsifier.
  • the emulsifier may include an emulsifier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for example, PIG-10 Dimethicone,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dimethicone (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Caprylyl Methicone, PIG-12 Dimethicone / PPG-20 Crosspolymer (Caprylyl Methicone, PEG-12 Dimethicone / PPG-20 Crosspolymer), Dimethicone / Pig-10-10 / 15 Crosspolymer (Dimethicone / PEG-10 / 15 Crosspolymer), Dimethicone / Polygly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igment.
  • the pigment may be used at least one of inorganic pigments, organic pigments, extender pigments.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be in a solid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 base make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undation, makeup primer, makeup base, concealer, and BB cre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 foundation formulation in a solid form.
  • Cosmetic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lso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s, such as dispersants, flavorings, fillers, preservatives, preservatives, neutralizing agents, lubricants, absorbents, antioxidant sweeteners, vitamins, free-radical scavengers, metal ions It may further comprise any conventional cosmetic ingredients that may be selected from containment agents, and mixtures thereof.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comprise any functional ingredient that can be selected from functional ingredients that can be used in cosmetics, such as wrinkle improving functional ingredients, whitening functional ingredients, and mixtures thereof.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adversely affected or substantially affected by the expected addition.
  • Another aspect includes mixing an oily ingredient comprising an organic sunscreen;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the water phase component comprising purified water and polyol and emulsified in the mixed oil phase component.
  • organic sunscreen Details of the organic sunscreen, purified water, polyols, and translucent cosmetic compositions are as described above.
  • the oil phas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 wax.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ersing a powder component including a pigment in the mixed oil phase component before the emulsifying step.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2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 Example 1 An organic sunscreen, purified water, and a moisturizer were prepared,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 inorganic sunscreen was prepared as Example 1. Specifically, after mixing the oily material except for the wax in Table 1, the wax was added and heated to 80 °C to make a homogeneous liquid. The powder was dispersed at 4000 RPM through a homomixer at the same temperature. Thereafter, water phase was added to start emulsification at 6000 RPM to form an emulsion.
  • Example 1 the organic sunscreen was used as ethylhexylmethoxycinnamate, ethylhexyl salicylate, octocrylene, homosalate, ethylhexyltriazone, and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e.
  • Glycerin and butylene glycol were used in a weight ratio of 1: 1. That is, 13 weight% of glycerin and 13 weight% of butylene glycol were used.
  •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an inorganic sunscreen and an organic sunscree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using a large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a small amount of a moisturizer.
  • the humectant was glycerin and butylene glycol in a weight ratio of 1: 1, specifically, 3% by weight of glycerin and 3% by weight of 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2 except the inorganic sunscreen componen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using a large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a small amount of a moisturizer.
  • the humectant was glycerin and butylene glycol in a weight ratio of 1: 1, specifically, 3% by weight of glycerin and 3% by weight of butylene glycol.
  • Table 1 shows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Unless stated otherwise herein, the component content is percent by weight.
  •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prepared in the form of an opaque emulsion,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prepared in the form of a translucent emulsion. Transparency evaluation and sensory evaluation were performed on the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 1, and detailed evaluation methods and results are as follows.
  • FIG. 2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right photograph of FIG. 1.
  • FIG. 3 is a photograph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pack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and photographing the transparen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FIG. 4 is a photograph taken by enlarging the right picture of FIG. 3.
  • Figure 5 is a photograph of the transparen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by putt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in a transparent container.
  • FIG. 6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right photograph of FIG. 5.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no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inorganic sunscreen component, but because of the high content of purified water had a full opac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ulsified product.
  • Example 1 using only the organic sunscreen component as a sunscreen functional ingredient and reduced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was confirmed that the transparency is very improv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could.
  • Example 1 As shown in Table 2,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evaluated to be excellent in both gloss and moisturizing feeling compar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 Example 2 The presence of inorganic sunscreen as well as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was determined to affect the transparen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o evaluate the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2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4 were prepared by different amounts of purified water and a moisturizer, as shown in Table 3 below. Manufacturing method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each composition wa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n applicator to a thickness of 100 ⁇ m.
  • Example 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Example 8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3 i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i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FIG. 10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is applied to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100 ⁇ m.
  • Example 2 As shown in Figures 7 to 10, the translucent emulsion of Example 2 was almost transparent, and the text behind the glass plate was clearly seen by the naked eye, and in Example 3, where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was increased by 7% by weight, the transparency was slightly reduced but semitransparent. It confirmed that it did. On the other hand, in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having a content of purified water of 20% by weight or more, the opacity of the emulsion increased as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increased, and in particular, Comparative Example 3 was confirmed to be close to opa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정제수,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으로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사용하며, 정제수 함량을 최소화하고 폴리올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투명도가 향상되고, 광택감 및 보습감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처방에는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무기 원료인 징크옥사이드 및 티타늄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특허문헌 1은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기능성 처방으로 유화 제품을 구현할 경우, 흰색 원료인 징크옥사이드 및 티타늄디옥사이드로 인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색을 구현할 수 없었다.
또한, 유화 제품의 특성상 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에멀젼은 뿌연색을 띠게 되기 때문에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가 쉽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물의 함량을 줄일 경우, 감소시킨 물의 양만큼 윤활제 양을 증가시켜야 하며, 결과적으로 에멀젼의 내상이 작아지게 되면서 유화 안정도가 감소하여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2639호
투명 또는 반투명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 양상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정제수; 및 폴리올을 포함함으로써 투명도가 향상되고, 광택감, 보습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으로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사용하며, 정제수 함량을 최소화하고 폴리올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투명도가 향상되고, 광택감 및 보습감이 우수하다.
도 1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용기에 담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 사진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용기에 담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우측 사진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용기에 담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우측 사진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일 양상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정제수;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반투명(translucent)"이란 매질을 통하여 물체를 볼 때 그 형과 색이 일부 변화되어 보이는 상태를 의미하며, "투명(transparent)"이란 매질을 통하여 볼 때 그 형과 색이 변화되지 않고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어떤 물체가 완벽히 투명한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러한 기재가 투명한 것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반투명" 또는 "투명"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나눌 수 있는데,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흰색을 띠고 있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색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으로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사용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프리(inorganic sunscreen agent-free)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용어, "무기 자외선 차단제-프리(inorganic sunscreen agent-free)"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 중 무기 원료, 예를 들어,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등이 사용되지 않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emulsion) 제형일 수 있다. 에멀젼 제형과 같은 유화 제품의 특성상 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탁도가 증가하여 뿌연색을 띤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의 함량을 1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여 최소화하는 대신 폴리올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투명도가 향상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으로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사용하고, 정제수의 함량을 최소화하는 대신 폴리올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광택감 및 보습감이 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양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5 내지 30 중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5 중량%의 정제수; 및 9 내지 30 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25 중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0 중량%의 정제수; 및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신나메이트 유도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틸살리실레이트의 살리실산유도체, PABA 유도체, 벤조페논, 및 안트라닐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및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거나 6종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화장품 원료 기능성 허가에 따라 지정된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5 중량% 이하, 15 중량% 미만, 1 내지 15 중량%, 5 내지 15 중량%, 10 중량% 이하, 10 중량% 미만, 1 내지 10 중량%, 또는 5 내지 10 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제수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불투명도가 증가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용어, "폴리올(polyol)", 및 "다가 알콜"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2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롤류, 글라이콜류,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글리세롤류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글리세리톨, 글리실알콜, 또는 이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글리세린은 리슬린, 프로판-1,2,3-트리올, 1,2,3-프로페네트리올, 트리히드록시프로판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명칭과 혼용될 수 있다.
상기 글라이콜류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에틸렌글라이콜, 트리에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또는 이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글리세리톨, 글리실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9 중량% 이상, 9 중량% 내지 30 중량%, 10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15 중량% 내지 30 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 향상을 위해 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폴리올의 함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윤활제 함량을 증가시킨다면 결과적으로 에멀젼의 내상이 작아지게 되면서 유화 안정도가 감소하여 제형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제형 안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고체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적절한 종류 및 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10 중량%의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왁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즈왁스, 칸데릴라왁스, 세레신, 카나우바왁스, 오조케라이트, 마이크로스탈린왁스, 합성왁스, 밀납, 비스 피이지-12 디메치콘 밀납, 비스 피이지-12 디메치콘 칸데릴레이트, 비스 피이지-18 디메치콘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스테아릴 디메치콘, C30-45 알킬 디메치콘, C30-45 올레핀, 베헤녹시 디메치콘, 스테아록시 디메치콘, 세틸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왁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왁스는 비즈왁스, 칸데릴라왁스, 및 세레신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이지-10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카프릴릴 메치콘, 피이지-12 디메치콘/PPG-20 크로스폴리머(Caprylyl Methicone, 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세틸 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Cetyl Dimethicone Copolyol),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화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무기안료, 유기안료, 체질안료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고체 형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용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컨실러, 및 비비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고체 형태의 파운데이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분산제,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윤활제, 흡수제, 항산화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성분, 예컨대 주름 개선 기능성 성분, 미백 기능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 정제수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된 유상 성분에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정제수, 폴리올, 및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유상 성분에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혼합된 유상 성분에 색소를 포함하는 분체 성분을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정제수, 및 보습제를 포함하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1에서 왁스를 제외한 유상원료를 배합 한 후, 왁스를 첨가하고 80℃로 가온하여 균질의 액상을 만들었다. 그리고 같은 온도에서 호모믹서를 통하여 4000 RPM으로 분체를 분산시켰다. 그 후에, 수상을 첨가하여 6000 RPM으로 유화를 시작하여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에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및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사용하였으며, 보습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1:1의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즉, 글리세린 13 중량% 및 부틸렌글리콜 13 중량%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다량의 정제수를 사용하고, 소량의 보습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보습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1:1의 중량비로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3 중량% 및 부틸렌글리콜 3 중량%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을 배제하였으며, 다량의 정제수를 사용하고, 소량의 보습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보습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1:1의 중량비로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3 중량% 및 부틸렌글리콜 3 중량%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구분 No.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유상 1 유화제 5.0 5.0 5.0
유상 2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6.0 6.0 7.0
유상 3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2.0 2.0 4.5
유상 4 옥토크릴렌 - - 2.0
유상 5 호모살레이트 - - 5.0
유상 6 에칠헥실트리아존 - - 1.0
유상 7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 - 3.5
유상 8 왁스 5.5 5.5 5.5
유상 9 윤활제 28.25 38.25 26.0
유상 10 점증제 0.5 0.5 0.5
수상 11 정제수 30.19 30.19 7.44
수상 12 보습제(폴리올) 6 6 26
수상 1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수상 14 나이아신아마이드 2 2 2
수상 15 아데노신 0.04 0.04 0.04
수상 16 방부제 2 2 2
분체 17 무기 자외선 차단제 10 - -
분체 18 흡수제 2 2 2
분체 19 색소 0.5 0.5 0.5
상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불투명 에멀젼 형태로 제조되었으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반투명 에멀젼 형태로 제조되었다.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투명도 평가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예 1: 투명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투명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도 1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용기에 담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 사진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용기에 담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우측 사진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용기에 담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우측 사진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으로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이 포함된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완전 불투명도를 띠고 있었다.
또한,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정제수의 함량이 높아 유화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완전 불투명도를 띠고 있었다.
반면,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차단 기능성 성분으로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만을 사용하며 정제수의 함량을 줄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도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매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감 및 보습감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여성 패널 10명에게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 후 비교 평가하도록 하였다. 광택감은 얼굴에 도포시 반짝이는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보습감은 피부의 촉촉함이 유지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가장 평가가 좋은 점수를 10, 좋지 않은 점수를 0으로 하여 평균을 내는 점수법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광택감 5.5 6.5
보습감 5.0 8.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광택감 및 보습감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3~4: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유무뿐만 아니라 정제수의 함량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정제수의 함량에 따른 투명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정제수 및 보습제의 함량을 각각 다르게 하여 하기 표 3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2~3 및 비교예 3~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분 No. 원료명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3 비교예4
유상 1 유화제 5.0 5.0 5.0 5.0
유상 2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유상 3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 4.5 4.5 4.5
유상 4 옥토크릴렌 2.0 2.0 2.0 2.0
유상 5 호모살레이트 5.0 5.0 5.0 5.0
유상 6 에칠헥실트리아존 1.0 1.0 1.0 1.0
유상 7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3.5 3.5 3.5 3.5
유상 8 왁스 5.5 5.5 5.5 5.5
유상 9 윤활제 28.0 28.0 28.0 28.0
유상 10 점증제 0.5 0.5 0.5 0.5
분체 11 색소 0.5 0.5 0.5 0.5
수상 12 정제수 7.44 14.44 21.44 29.44
수상 13 보습제 26.0 19.0 12.0 4.0
수상 14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수상 15 나이아신아마이드 2.0 2.0 2.0 2.0
수상 16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수상 17 방부제 2.0 2.0 2.0 2.0
시험예 3: 투명도 평가
상기 실시예 2~3 및 비교예 3~4의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성물을 유리판에 어플리케이터로 100 μm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 7은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판에 100 μm 두께로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 내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반투명 에멀젼은 거의 투명하여 유리판 뒤의 글씨가 육안으로 분명히 확인되었으며, 정제수의 함량이 7 중량% 증가한 실시예 3의 경우에도 투명도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반투명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정제수의 함량이 20 중량% 이상인 비교예 3 및 4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정제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에멀젼의 불투명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비교예 3은 불투명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제수의 함량이 감소하고, 폴리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5 내지 30 중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5 중량%의 정제수; 및 9 내지 30 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25 중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0 중량%의 정제수; 및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프리(inorganic sunscreen agent-free) 화장료 조성물인 것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신나메이트 유도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틸살리실레이트의 살리실산유도체, PABA 유도체, 벤조페논, 및 안트라닐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글리세리톨, 글리실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10 중량%의 왁스를 더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비즈왁스, 칸데릴라왁스, 세레신, 카나우바왁스, 오조케라이트, 마이크로스탈린왁스, 합성왁스, 밀납, 비스 피이지-12 디메치콘 밀납, 비스 피이지-12 디메치콘 칸데릴레이트, 비스 피이지-18 디메치콘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스테아릴 디메치콘, C30-45 알킬 디메치콘, C30-45 올레핀, 베헤녹시 디메치콘, 스테아록시 디메치콘, 세틸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체 형태인 것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메이크업용인 것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컨실러, 및 비비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PCT/KR2019/002714 2018-05-08 2019-03-08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192165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86 2018-05-08
KR1020180052786A KR102104768B1 (ko) 2018-05-08 2018-05-08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534A1 true WO2019216534A1 (ko) 2019-11-14

Family

ID=6846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714 WO2019216534A1 (ko) 2018-05-08 2019-03-08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4768B1 (ko)
WO (1) WO2019216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90B1 (ko) * 2018-02-09 2020-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한 저점도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700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제닉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20140026056A (ko) * 2012-08-24 2014-03-05 한국콜마주식회사 반투명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5232A (ko) * 2013-12-04 2015-06-1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우수한 흡수력 및 보습력을 가지는 투명한 오일젤 화장료 조성물
KR101598623B1 (ko) * 2014-04-23 2016-03-02 주식회사 엔에프씨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8950B1 (ko) * 2014-04-15 2016-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없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923715B1 (ko) * 2017-07-21 2018-11-29 한국콜마주식회사 워터드롭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91B1 (ko) * 2005-12-30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 2008-05-23 2010-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142233B1 (ko) * 2009-06-30 2012-05-07 한국콜마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2639A (ko) 2009-12-23 2011-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700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제닉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20140026056A (ko) * 2012-08-24 2014-03-05 한국콜마주식회사 반투명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5232A (ko) * 2013-12-04 2015-06-1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우수한 흡수력 및 보습력을 가지는 투명한 오일젤 화장료 조성물
KR101638950B1 (ko) * 2014-04-15 2016-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없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598623B1 (ko) * 2014-04-23 2016-03-02 주식회사 엔에프씨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3715B1 (ko) * 2017-07-21 2018-11-29 한국콜마주식회사 워터드롭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515A (ko) 2019-11-18
KR102104768B1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4971B2 (ja) 固形状化粧用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の調製におけるアルキルジメチコーンコポリオール型のシリコーン界面活性剤の使用および得られた固形状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
JP2003534361A (ja) 油中水型乳化メークアップ組成物
KR19980064627A (ko) 유기폴리실록산 및 지방 상을 함유하는 비-전달성 메이크업또는 보호 조성물
WO2018062725A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1158718A (ja) 口紅用組成物
WO2019004627A1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022437A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216534A1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15108383A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H05262617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US20230143138A1 (en) Makeup application method
WO2018056590A1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286653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US20230172836A1 (en) Makeup application method
WO2022092768A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62224A (ja) 油中水型口唇化粧料
WO2023054972A1 (ko)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90831A1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2144A (ko)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8168210B2 (en) Pressed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laky glass
WO2023158261A1 (ko)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USRE39218E1 (en) Anhydrous and wat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JP5545702B2 (ja) 乳化化粧料
WO2022092579A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996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996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