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684A -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684A
KR20170038684A KR1020160123046A KR20160123046A KR20170038684A KR 20170038684 A KR20170038684 A KR 20170038684A KR 1020160123046 A KR1020160123046 A KR 1020160123046A KR 20160123046 A KR20160123046 A KR 20160123046A KR 20170038684 A KR20170038684 A KR 2017003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composition
lecith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다정
김유정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7003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에테르계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천연 유래 화장료에 있어서 발림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며, 백탁 현상이 개선된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surfactant with stable formulation}
본 명세서는 천연 화장료의 안정한 제형에 관한 것이다.
자연 환경 보호 및 인체 유해성의 관점에서 화장료의 천연 성분에 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천연 성분을 사용한 화장료는,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의 수득 과정에서 자연 환경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화장료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자극, 아토피, 알러지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합성 성분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천연 성분을 사용한 화장료에 대하여 기존의 합성 성분을 사용한 화장료에서와 동등한 효능뿐만 아니라 우수한 사용감 및 안정성을 여전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화장료의 발림성을 높여주며, 소포제 역할을 하여 가벼운 사용감에 기여하기 위하여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오일은 합성 성분이기 때문에, 천연 성분을 지향하는 화장료의 경우 이와 같은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제형을 사용하게 된다.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은 천연 화장료의 경우 발림성이 좋지 않고 뻑뻑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피부 표면에 하얗게 도포되는 백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천연 성분을 사용하는 화장료에 있어서의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조성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7443호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백탁 현상을 개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림성이 우수하며,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흡수력이 개선된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균일한 유화 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도 및 제형에 있어서 경시 안정성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에테르계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백탁 현상을 개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발림성이 우수하며,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피부 흡수력이 개선된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균일한 유화 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경도 및 제형에 있어서 경시 안정성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합성피혁에 도포하여 백탁 현상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제형의 유화 입자를 나타낸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시간 변화에 따른 경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천연 유래 성분”이란 천연물로부터 자연적으로 수득되는 성분,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을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간단한 개질을 거친 성분을 포함하고,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학 합성 성분을 배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사용한 화장료에 있어서, 백탁 현상, 피부 흡수력을 개선할 수 있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균일한 유화 입자를 형성할 수 있고, 경도 및 제형에 있어서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에테르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성물은 합성 계면활성제가 아닌, 천연 유래 성분인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피부 안정성과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소이빈포스포리피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애씨드, 예를 들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애씨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화장품원료기준; 장원기), 경화레시틴(의약외품에 관한 기준 및 시험방법; KQO)이라고도 함), 레시틴(국제화장품원료집; ICID) , 소이빈포스포리피드(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 KSCI, KQ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 예를 들어 0.01 내지 5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균일한 유화 입자 형성에 유리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성물은 천연 오일인 에테르계 오일을 포함하여 화장료의 백탁을 방지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고, 피부 흡수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오일은 천연 유래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디카프릴릴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006 중량% 이상, 0.007 중량% 이상, 0.008 중량% 이상, 0.009 중량% 이상, 0.010 중량% 이상, 0.02 중량% 이상, 0.03 중량% 이상, 0.04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06 중량% 이상, 0.07 중량% 이상, 0.08 중량% 이상, 0.09 중량% 이상, 0.10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3중량% 이상, 4중량% 이상, 또는 5중량% 이상, 및 5중량% 이하, 4중량% 이하, 3중량% 이하, 2중량% 이하, 1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0.2 중량% 이하, 0.10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8 중량% 이하, 0.07 중량% 이하, 0.06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0.03 중량% 이하, 또는 0.02 중량% 이하, 예를 들어,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천연 오일의 백탁을 방지하고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피부 안전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코코스누티페라 오일(코코넛 오일; Cocos Nucifera (Coconut) Oil)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을 더 포함하여 사용감이 보다 개선되고, 백탁 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고급 지방산 알코올류 왁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상술한 코코스누티페라(코코넛)오일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이외의 에스테르계 오일로서, 데실코코에이트(decyl coco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코코글리세라이드(cocoglycer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 피토스쿠알란(phytosqualan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 알코올류 왁스는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이 95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천연 유래 성분의 총 함량이 95 중량% 이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기술을 생략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내 천연 유래 성분의 총 함량이 95 중량% 이상이면서, 제형 내 식물 유래 성분의 총 함량이 50% 이상 및 유기농 성분의 총 함량이 5 중량% 이상인 경우, 또는 제형 내 식물 유래 성분의 총 함량이 95% 이상 및 유기농 성분의 총 함량이 10 중량% 이상인 경우, 에코서트(Ecocert)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자연 및 인체에 안전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사용한 화장료에 있어서, 백탁 현상, 피부 흡수력을 개선할 수 있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균일한 유화 입자를 형성할 수 있고, 경도 및 제형에 있어서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스클레로튬검 0.5 0.5 0.5 0.5 0.5
3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1 0.1 0.1 0.1 0.1
4 프로판디올 10 10 10 10 10
5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틴 0.4 0.4 0.4 0.4 0.4
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 2 2 2 2
7 폴리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 1 1 1 1
8 코코스투시페라(코코넛) 오일*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3 3 5 3 3
9 디카프릴릴에테르 4 6 6 0 0
1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3 3 3 3 3
11 피토스쿠알란 3 3 3 3 3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14 카나우바왁스 2 2 2 2 2
15 세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6 디메치콘 0 0 0 0 4
[시험예 1] 백탁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들을 인조피혁에 50mg 씩 덜어 40회 문질러서 도포하였다. 도포된 인조피혁의 이미지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도포된 인조피혁을 색차계(Spectrophotometer; SpectrophotometerCM-5, KONICA MINOLTA OPTICS, INC, JAPAN)로 측정하여 명도(L)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1 비교예 2
명도 값(L) 3.34 0.0333333 0.031 21.38 0.01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비교예 1의 경우 명도가 높아 백탁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반면, 실시예는 명도가 현저하게 감소여 백탁 개선 효과한 우수한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콘 오일을 함유한 비교예 2와 유사한 정도로 백탁 개선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조성물은 합성 물질인 실리콘 오일을 대체하여 천연 성분 만으로 피부에 안정한 동시에 백탁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시험예 2] 제형 유화 상태
상기 실시예 2 및 3의 조성물을 전자현미경(NIKON ECLIPSE 80i, NIKON CO. ,JAPAN)으로 관찰하여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에서, 실시예 조성물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는 유화 입자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제형 안정성 변화
상기 실시예 2 및 3의 조성물을 각각 45℃, 37℃, 5℃의 사이클 항온기에서 4주 동안 유지하여, 제형의 변화를 육안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모든 온도 조건에서 4주간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경도 변화
상기 실시예 2 및 3의 조성물을 30℃의 사이클 항온기에서 4주간 유지하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경도를 RHEO METER(SUN RHEO METER COMPACT-100Ⅱ, SUN SCIENTIFIC CO.,LCD)를 사용하여 FULL SCALE, 2kg의 압력, 5mm/min scale로 깊이 20mm까지 측정하고,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 4주 기간 동안 유의적인 경도 상승이나 하락 없이 경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에테르계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소이빈포스포리피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애씨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계 오일은 디카프릴릴에테르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코코스누티페라 오일(Cocos Nucifera Oil)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이 95 중량%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23046A 2015-09-30 2016-09-26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231 2015-09-30
KR20150137231 2015-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684A true KR20170038684A (ko) 2017-04-07

Family

ID=5858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046A KR20170038684A (ko) 2015-09-30 2016-09-26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6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9987A (zh) * 2018-11-23 2019-01-15 三亚源林食品有限公司 一种含椰子活性物的修护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20200038810A (ko) * 2018-10-04 2020-04-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2962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2950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8402B1 (ko) * 2020-08-27 2021-02-22 (주)예그리나 모발 화장료용 친환경 멀티 라멜라 유화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멀티 라멜라 유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443A (ko) 2012-10-12 2014-04-22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443A (ko) 2012-10-12 2014-04-22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810A (ko) * 2018-10-04 2020-04-14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9199987A (zh) * 2018-11-23 2019-01-15 三亚源林食品有限公司 一种含椰子活性物的修护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20200102962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2950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8402B1 (ko) * 2020-08-27 2021-02-22 (주)예그리나 모발 화장료용 친환경 멀티 라멜라 유화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멀티 라멜라 유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8684A (ko)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KR102298806B1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05894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226843B2 (ja) 白濁化粧料
KR102499487B1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7688B1 (ko)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8489A (ko) 5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상을 포함하는 2-상 조성물
KR20150116939A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5051A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WO2020116011A1 (ja) 化粧料用組成物
KR20170084457A (ko)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JP6114086B2 (ja) 化粧料
JP2005306760A (ja) 乳化組成物
KR102309639B1 (ko) 고함량 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중유형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14945411A (zh) 包括至少一种极性油、脂肪族一元醇、多元醇混合物和至少一种亲水性活性剂的美容组合物
KR102585240B1 (ko) 백탁 현상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4B1 (ko)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6158041B2 (ja) 毛髪を染色又は脱色するための第2剤組成物
KR102261311B1 (ko) 글루코스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4442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US8557263B1 (en)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JP6824750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