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939A -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939A
KR20150116939A KR1020140041704A KR20140041704A KR20150116939A KR 20150116939 A KR20150116939 A KR 20150116939A KR 1020140041704 A KR1020140041704 A KR 1020140041704A KR 20140041704 A KR20140041704 A KR 20140041704A KR 20150116939 A KR20150116939 A KR 2015011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ctive ingredient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olubl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307B1 (ko
Inventor
김은종
오예진
전진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30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단독 또는 혼합한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 중량%,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 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여 밤 타입으로 고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유용성 활성 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한 나노 에멀젼 또는 나노 리포좀 기술에 비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AQUEOUS OIL BALM TYPE COSMETICS COMPOSITION STABILIZING THE OIL SOLUBLE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Balm type)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유용성 활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인체 내의 생체성분 즉, 물이나 전해질 등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이 인체 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와 멜라닌세포로 구성되는데, 피부 최외곽의 각질 세포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혹은 물질의 투과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요구되며, 인체로부터 외부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자체로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이 진피층에서는 70%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 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진피층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경피 수분 손실(Trans Epidermal Water Loss : TEWL)이라 하며, 이러한 경피 수분 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이 각질 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질 세포층에는 천연 보습 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각질 세포층의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가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 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각질 세포층의 수분 함량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건성피부의 경우에는 각질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 표면으로부터 비늘 조각과 같이 각질 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Scale) 현상이 나타나는 바, 이와 같이 피부가 건성화되는 것은 각질 세포층의 수분 함량이 정상피부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이 밖에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 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해 수분 부족 현상이 일어나 피부 상태가 나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각질 세포층의 수분 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는 성분으로서는 NMF(천연보습인자)와 같은 수용성 보습 성분 이외에, 유용성(油溶性) 성분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 즉, 유용성 성분은 수분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오일막을 형성하는 이외에, 그 자체가 어느 정도의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각질의 수분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최근 화장료에 쓰이는 활성성분은 미백 및 노화에 관계된 것으로서, L-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및 EGCG와 같은 수용성 물질은 그대로 화장료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활성성분의 경우 물에 녹지 않은 소수성 형태로 존재하며, 결정성이 매우 강한 물질이다. 이러한 경우 에탄올이나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에 녹여 화장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제형 내에 재결정이 생성된다. 제형 내에서 마이크로 또는 ㎜단위의 결정이 석출될 경우 활성성분이 피부에 흡수될 수 없으므로 활성성분의 효능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결정석출이 제형의 안정성뿐 아니라 외관상에도 상당히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대부분의 활성물질은 제형 내에서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변색, 변취의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기능성 성분들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수분, 빛, 열, 산소 등에 의해 변질되기 쉬운 물질이 많기 때문에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변질되지 않고 본래의 활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안정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으로는 나노 에멀젼 기술 및 나노 리포좀(Liposom) 기술 등이 있다.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한 선행기술 1(한국등록특허공보 10-0320087 B1)은 유용성 활성물질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불포화지방산, 폴리불포화지방산(비타민 에프), 유용성 색소 등 고기능성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화장품에 널리 사용 되면서도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변색, 변취가 일어나 안정성 및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되며 역가가 떨어져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시킴으로써 고기능성 효과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불안정한 고기능성 유용성 활성물질을 안정화 시킴으로 인해 유용성 활성물질이 갖는 고기능성 효과가 오래 지속되어 최대로 피부에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불안정하면서도 피부자극이 상당하여 이의 사용량에 제한을 받고 있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가 리포스피아와 라멜라 액정구조 속에서 서서히 방출되어 상당량의 레티놀을 함유시켜도 자극이 거의 없는 제품을 만들 수 있고, 폴리불포화지방산(비타민 에프)등과 같이 대기, 수분 등에 노출되어 산화됨으로써 변취, 변색되거나 피부자극 유발물질을 생성시키는 물질 등도 안정성이 유지되어 피부 자극이 없는 고기능성 효과 제품을 만들 수 있으나,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유화베이스에 첨가하여 이루어진 제형으로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2(한국등록특허공보 10-0654102 B1)는 유용성 생리활성성분이 함입된 안정도가 우수한 산성도 민감성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의 제조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메타크릴산과 n-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산성도 민감성 고분자, 이중지질층 및 콜레스테롤의 구조와 유사한 트리터페노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유용성 생리활성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또는 나노에멀젼으로써 산성도 변화에 대해여 민감한 감응성을 가지고 있어 지질 이중층에 함입되는 유용성 생리활성성분을 생체 내에서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전달체로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지질-콜레스테롤 기반으로 제조된 리포좀보다 수용액상 및 각종 염(salt)이 함유된 수용액 그리고 화장품 제형 내에서도 안정하게 존재하도록 설계된 고분자-지질기반 약물전달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발명에 따른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는 기존의 일반적인 지질-콜레스테롤 기반 리포좀에 함입될 수 없었던 트리터페노이드 이외의 유용성 생리활성성분들을 지질 이중층에 함입시킬 수 있었으며, 기존에 널리 알려진 지질-콜레스테롤 기반 리포좀보다 각종 염(salt) 및 화장품 제형에 대하여 훨씬 향상된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나,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한 나노 리포좀 기술은 고가의 공정 장비 및 복잡한 제조 단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유용성 활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면서 기능적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20087 B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54102 B1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한 종래 기술들은 물, 공기 및 열에 노출 시 불안정해지는 유용성 활성성분들을 유화제의 조합을 통해 나노 에멀젼 또는 나노 리포좀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은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에멀젼 또는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으로 인하여 고가의 공정 장비 및 복잡한 제조 단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피부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유용성 활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을 개발하기 위해 다각적인 창작력과 오랜 시간을 투입하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하면서 보습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원료들을 대상으로 조성비를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재결정화 성질을 갖고 있는 실리콘 탄성 왁스 물질 중에서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사용하였을 때 저융점 및 고융점 왁스의 조합으로 피부 온도에 녹는 실리콘 탄성 왁스를 만들어 식물성 보습 오일 및 유용성 활성성분이 밤 타입으로 안정화하는데 유리함을 알 수 있었고, 실리콘 탄성 왁스, 유용성 활성 성분 및 식물성 보습 오일의 함량을 최적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유용성 활성성분을 식물성 보습 오일에 용해한 후 실리콘 탄성 왁스를 이용하여 재결정화 시킴으로써 기존의 나노 에멀젼 또는 나노 리포좀의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효과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하면서 보습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제형 개발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탄성 왁스, 유용성 활성 성분 및 식물성 보습 오일의 최적 함량 비율을 함유하여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시키고 보습 효과가 우수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Balm type)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단독 또는 혼합한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 중량%,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 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여 밤 타입으로 고형화된 것이다.
상기 유용성 활성성분은 이데베논, 코엔자임 큐10,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비타민C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올레아놀릭산, 우르솔릭산, 디아세틸볼딘, 캐비어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알파비사볼올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 보습 오일은 아르간오일, 로즈힙오일, 달맞이꽃 오일 및 야자씨드 오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스쿠알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1) 진공 유화조에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를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에 분산한 후 70~80℃ 로 가온하여 활성부를 제조하는 단계; (2) 유상 용해조에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단독 또는 혼합한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 중량%를 70~80℃가온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유상부를 상기 단계 (1)의 진공 유화조에 투입하여 교반 및 분산한 후 20~50℃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단독 또는 혼합한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 중량%,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 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원료의 최적화된 함량을 첨가하여 밤 타입으로 고형화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유화제 사용 없이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제품 형태 및 피부에 발랐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보습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성 활성 성분'이라 함은 화장료에 효능을 부여하는 활성 성분이 물에 녹지 않고, 광물유(鑛物油), 유지(油脂) 및 유기용제 등에 녹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밤 타입(Balm type)'이라 함은 단단한 고형 상태로 되어있지만 피부에 도포시 고형의 밤이 체온에 감응하여 녹는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중량%,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여 밤 타입으로 고형화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탄성 왁스는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한다. 스테아릴디메치콘 은 녹는점이 32도℃ 근처로 높은 온도에서 액상이 되었다가 낮은 온도에서 쉽게 고체상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은 녹는점이 75℃로 고온에서 액상이 되었다가 녹는점 이하로 온도가 내려갈 경우 고체상으로 복원되는 능력이 뛰어나다. 저융점 왁스와 고융점 왁스의 함량을 조절하면 피부 온도에서 쉽게 녹는 밤타입을 만들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실리콘 탄성왁스는 스테아릴디메치콘 또는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단독으로 사용가능하고, 상기 두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시에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의 혼합 비율이 1:1 내지 3:1의 중량비 이다.
상기 실리콘 탄성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0~30.0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2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탄성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도를 형성하지 못하여 상온에서 식물성 보습 오일이 분리되는 현상을 보일 수 있고,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단단하게 굳어 피부 도포시 잘 녹지 않으며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유용성 활성성분은 이데베논, 코엔자임 큐10,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비타민C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올레아놀릭산, 우르솔릭산, 디아세틸볼딘, 캐비어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알파비사볼올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유용성 활성성분은 물질 각각의 활성도 및 용해성에 따라 함량을 정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의 범위는 이들 생리활성성분들의 용해성 및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용된 예이며, 본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 상기의 범위에 국한되는 내용은 아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유용성 활성성분의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활성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낮은 농도로 인해 이를 화장료에 적용시에 바람직한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1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안정성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화장료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 보습 오일은 아르간오일, 로즈힙오일, 달맞이꽃 오일 및 야자씨드 오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보습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70.0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6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보습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습 오일에 의한 보습 효과 및 오일이 가지는 본연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7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탄성 왁스와의 상용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장기 안정성 테스트 시 상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식물성 보습 오일 성분 중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아르간 오일(Argan oil)은 아르간 나무의 열매 안에 있는 씨의 씨핵으로부터 추출한다. 아르간 나무는 150년에서 200년까지 살수 있는 저항력이 아주 강한 나무로서 모로코의 남서쪽 지방의 건조함에 완벽하게 적응되어 있다. 아르간 나무의 뿌리는 물을 찾아 땅속 깊이 뻗어 나가면서 흙의 부식을 막아 사막화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르간 나무는 생태학의 균형과 인구의 경제 상태를 유지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여, 1999년에 유네스코에서는 모로코의 아르간 삼림(800.000헥타)을 생물권 보존 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아르간 나무의 열매는 복숭아나 망고와 비슷하고, 열매 안에 있는 씨는 호두보다 두꺼운 껍질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껍질을 신선한 과육으로 둘러싸여 있다. 아르간 씨를 짜고 남은 껍질은 요리나 남방 연료로 사용된다. 
아르간 오일의 구성성분은 땅콩의 구성성분과 아주 흡사하고 오일 조성 중 99%가 지방산으로서 지방산의 조성은 올레인산 45%, 리놀렌산 35%, 팔미틴산 16% 및 스테아린산 3%이다. 특히, 불포화 지반산인 올레인산은 피부흡수가 빨라서 각질의 수분을 유지하는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을 보충하여 모발과 피부를 유연하고 촉촉하게 유지시켜 준다. 두드러지게 다른 점은 오메가-3가 아닌 오메가-6의 단가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아르간 오일이 가지고 있는 올레인산의 높은 함유량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또한 아르간 오일에는 많은 양의 비타민 E를 포함하고 있어 강력한 산화 방지제로 근본적으로 피부 및 인체의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르간 오일은 아르간 나무의 씨로부터 얻은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화장품 용도의 아르간 오일은 저온에서 압착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스쿠알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1) 진공 유화조에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를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에 분산한 후 70~80℃로 가온하여 활성부를 제조하는 단계; (2) 유상 용해조에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단독 또는 혼합한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중량%를 70~80℃가온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유상부를 상기 단계 (1)의 진공 유화조에 투입하여 교반 및 분산한 후 20~50℃로 냉각하는 단계;의 제조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유화제가 첨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10: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제조
하기 표 1, 2에 나타낸 실시예 1 내지 10의 조성에 따라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진공 유화조에 유용성 활성성분인 이데베논(IDEBENOIN , 대만국)과 식물성 보습 오일 {아르간 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프랑스)} 및 비극성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HYDROGENATED POLY(C6-14 OLEFIN), EXXONMOBILCHEMICAL 社)}을 분산한 다음 70~80℃로 가온하여 활성부를 제조하였다. 이후 별도의 유상 용해조에 실리콘 탄성 왁스{스테아릴 디메치콘(STEARYL DIMETHICONE, 미국)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C30-45 ALKYLDIMETHYLSILYL POLYPROPYLSILSESQUIOXANE, 미국)을 12:8 중량비율로 혼합}를 70~80℃가온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유상부를 진공 유화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분산 한 후, 진공 유화조를 20~50℃로 냉각하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하기 표1 및 표 2에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중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활성부 유용성 활성성분 0.1 5 8 10 0.05
식물성 보습 오일 60 20 20 20 60
비극성 오일 19.9 60 52 40 19.95
유상부 실리콘 탄성왁스 20 15 20 30 20
성분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활성부 유용성 활성성분 15 1 1 1 1
식물성 보습 오일 60 40 40 - 89
비극성 오일 5 54 24 79 -
유상부 실리콘 탄성왁스 20 8 35 20 10
실험예 1: 성상 및 물리적 특성
실시예 1 내지 10으로부터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 및 물리적 특성은 다음 표 3 및 표 4와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분리현상 X X X X X
사용감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고형화 O O O O O
제형 안정화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보습 효과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효능 효과 O O O O X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분리현상 O O X X O
사용감 우수 X X 우수 우수
고형화 O X O O X
제형 안정화 X 우수 우수 우수 X
보습 효과 우수 우수 우수 X 우수
효능 효과 O O O O O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유용성 활성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안정화되었으며, 상온에서 녹지 않는 고형의 밤 타입 성상을 유지하였다.
또한, 실시예 5에서 유용성 활성성분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활성성분의 효과를 기대 할 수가 없으며, 실시예 6에서 처럼 활성 성분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활성 성분의 함량이 너무 높아 완벽하게 안정화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실시예 7에서 실리콘 탄성 왁스의 함량이 10.0중량% 미만일 경우 실리콘 탄성 왁스가 식물성 보습 오일 및 극성 오일을 충분히 잡아 굳어지지 않아 상온에서 고형의 오일 밤 타입이 되지 않았고, 실시예 8에서 실리콘 탄성 왁스의 함량이 30.0중량%를 초과할 경우 녹는점이 높아져 피부 위에서 자연스럽게 녹지 않으며 사용감적인 면에서 좋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9에서 식물성 보습 오일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식물성 오일에 의한 보습, 재생, 피부 연화 등을 기대 하기 어려우며, 실시예 10에서 식물성 보습 오일의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할 경우 실리콘 탄성 왁스의 함량이 부족해 상온에서 고형으로 굳어지기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으로부터 수득된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실시예 1 내지 4가 성상 및 물리적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보습 효과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으로부터 수득된 화장료 조성물 중 가장 우수한 실시예 1 내지 4를 실제 피부에 적용할 시, 피부 보습의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교예로 사용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특허출원번호: 10-2005-0093704)와 함께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은 22 ±2 ℃, 상대습도 50 ±5 %(항온항습조건)인 항온항습실에서 행하였다. 측정 방법은 시험부위(팔)을 지정된 폼클렌저로 씻은 후 항온항습조건에서 30분간 안정시킨 후 제품 도포 전, 도포 직후, 도포 30분 후, 도포 2시간 후, 도포 4시간 후, 도포 6시간 후, 도포 24시간 후의 수분함유량을 측정 (측정기기 : Corneometer)하였다. 측정 값은 연속 3회 측정한 뒤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도포 전 38.54 38.42 37.94 38.13 38.04
도포 직후 20.16 22.90 23.10 22.54 23.21
도포 30분 후 35.05 45.80 46.42 45.87 43.18
도포 2시간 후 39.84 46.56 47.20 47.01 44.98
도포 4시간 후 43.15 48.24 48.16 49.21 46.82
도포 6시간 후 40.81 46.45 47.81 48.95 44.04
도초 24시간 후 38.55 39.80 40.12 40.80 38.69
그 결과,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와 비교하였을 경우 상대적으로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내지 4는 기존의 나노 리포좀 방법으로 제조한 화장료에 비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하면서 보습효과도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 중량%,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 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여 밤 타입으로 고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활성성분은 이데베논, 코엔자임 큐10,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비타민C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올레아놀릭산, 우르솔릭산, 디아세틸볼딘, 캐비어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알파비사볼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보습 오일은 아르간오일, 로즈힙오일, 달맞이꽃 오일 및 야자씨드 오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스쿠알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5. (1) 진공 유화조에 유용성 활성 성분 0.1~10.0중량%를 식물성 보습 오일 0.1~70.0중량% 및 잔량의 비극성 오일에 분산한 후 70~80℃ 로 가온하여 활성부를 제조하는 단계;
    (2) 유상 용해조에 스테아릴디메치콘 및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단독 또는 혼합한 실리콘 탄성 왁스 10.0~30.0 중량%를 70-80℃가온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유상부를 상기 단계 (1)의 진공 유화조에 투입하여 교반 및 분산한 후 20~50℃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41704A 2014-04-08 2014-04-08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04A KR101592307B1 (ko) 2014-04-08 2014-04-08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04A KR101592307B1 (ko) 2014-04-08 2014-04-08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39A true KR20150116939A (ko) 2015-10-19
KR101592307B1 KR101592307B1 (ko) 2016-02-11

Family

ID=5439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704A KR101592307B1 (ko) 2014-04-08 2014-04-08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79257B1 (ko) * 2021-09-29 2022-03-28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769B1 (ko) * 2016-07-29 2017-01-05 주식회사 나우코스 상전이 왁스를 함유하는 피부 쿨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20773B1 (ko) * 2021-10-22 2022-07-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스코빅애씨드를 안정하게 포함하는 크림 또는 페이스트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087B1 (ko) 1997-09-12 2002-08-1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US20060013790A1 (en) * 2004-07-16 2006-01-1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defined silicone polymer and a gelling agent
US20060034791A1 (en) * 2004-07-16 2006-02-1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ilicone polymer
KR100654102B1 (ko) 2005-12-30 2006-12-05 (주)아모레퍼시픽 유용성 생리활성성분이 함입된 안정도가 우수한 산성도민감성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의 제조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품 조성물
KR20130012596A (ko) * 2011-07-25 2013-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087B1 (ko) 1997-09-12 2002-08-1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US20060013790A1 (en) * 2004-07-16 2006-01-1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defined silicone polymer and a gelling agent
US20060034791A1 (en) * 2004-07-16 2006-02-1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ilicone polymer
KR100654102B1 (ko) 2005-12-30 2006-12-05 (주)아모레퍼시픽 유용성 생리활성성분이 함입된 안정도가 우수한 산성도민감성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의 제조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품 조성물
KR20130012596A (ko) * 2011-07-25 2013-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79257B1 (ko) * 2021-09-29 2022-03-28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307B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3376B2 (ja) エマルション化されたハイ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02609A (ko) 입술용 보습 조성물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8684A (ko)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558185B1 (ko) 식물성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2938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8363A (ko) 보검 선인장 열매 추출물과 판테놀, 히알루론산 및 베타인의 복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7815A (ko) 버터류 포함 조성물 안정용 조성물
KR20180115597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5428B1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91162A (ko) 비타민 에이, 비, 씨이, 이 및 그들의 유도체를 함유한나노에멀전과 리포좀의 제조방법 및 이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392872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