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596A -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596A
KR20130012596A KR1020110073654A KR20110073654A KR20130012596A KR 20130012596 A KR20130012596 A KR 20130012596A KR 1020110073654 A KR1020110073654 A KR 1020110073654A KR 20110073654 A KR20110073654 A KR 20110073654A KR 20130012596 A KR20130012596 A KR 2013001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ax
cold storage
dimethico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507B1 (ko
Inventor
김동찬
이상호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7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5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유화 무수 제형의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로서, 25~35℃의 융점을 가진 왁스를 5~30 중량% 포함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에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하고 인체 피부의 온도에서는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액상 형태로 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냉장 조건에서 보관하고 상온 조건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 피부 도포시 바로 액상으로 변화하지 않지만 작은 힘의 롤링에도 빠르게 액상으로 변화하여 향상된 도포성을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단일 상의 비유화 무수 제형이기 때문에 장시간 냉장 조건에서 보관하여도 상이 분리되지 않고 결정 등의 석출 및 뭉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향상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low melting wax for cold storage}
본 발명은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 25~35℃의 융점을 가진 왁스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여 냉장 온도에서 고형을 유지하고 피부 도포시 소정의 시간 내에 액상으로 변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물이 포함되지 않거나 물이 1 중량% 이하로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무수 제형이라 하는데, 상기 무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강한 보습력을 유지하기 위해 다량의 오일을 함유하고 그로 인해 액상 형태를 띄게 된다. 이러한 액상 형태의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얼굴이나 피부 도포시 바로 흘러내려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로션이나 크림과 같은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증점 및 보습력을 부여하기 위해 융점이 약 45℃ 이상인 고융점 왁스상 성분(왁스 또는 왁스와 유사한 기능을 부여하는 성분)을 약 2~5 중량%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고융점 왁스상 성분들로는 비스왁스(Beeswax, 융점은 약 62~64℃)와 같은 동물 유래 왁스,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융점은 약 68~73℃),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융점은 약 82~86℃), 캐스터 왁스(Castor wax, 융점은 약 61~69℃)와 같은 식물 유래 왁스, 몬탄 왁스(Montan wax, 융점은 약 82~95℃)와 같은 광물 유래 왁스,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또는 고형 파라핀으로도 불림, 융점은 약 47~64℃)와 같은 석유 유래 왁스,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융점은 약 59℃),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융점은 약 48~56℃)과 같은 탄소수 16~22의 지방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알코올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융점이 약 45℃ 이상인 고융점 왁스를 약 2~5 중량% 포함하고 있는 로션이나 크림과 같은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약 0~10℃의 냉장 조건에 보관하는 경우 결정 등의 석출과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보관 안정성이 떨어지고, 점도나 경도가 증가하여 발림성과 같은 사용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융점이 약 45℃ 이상인 고융점 왁스의 함량을 약 1% 이하로 낮추면 왁스 고유의 기능인 보습력이 거의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현재 냉장유통의 제품을 살펴보면 거의 식품이나 식재료, 음료 등으로 부패가 빨리 일어나 먹거나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신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에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항산화제, 미백제, 주름 개선제, 피부 탄력 유지제, 피부 재생제, 자외선 차단제 등과 같은 유효성분의 활성을 장시간 유지시키기 위해 화장품을 냉장 조건에서 보관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소비자들의 사용 양태 변화에 따라 냉장유통용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편이성을 위해 보관 시 또는 얼굴이나 피부 도포시에는 고체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도포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액체 형태로 상이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냉장 조건에서 보관시 고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인체 피부에 도포 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액체 형태로 상이 변화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유화 무수 제형의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로서, 25~35℃의 융점을 가진 왁스를 5~30 중량% 포함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4℃에서 소정의 경도를 나타내어 고체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4℃에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인체 피부에 도포시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액체 형태로 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밤(Balm)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냉장 조건에서 보관되고, 상온 조건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에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하고 인체 피부의 온도에서는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액상 형태로 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냉장 조건에서 보관하고 상온 조건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 피부 도포시 바로 액상으로 변화하지 않지만 작은 힘의 롤링에도 빠르게 액상으로 변화하여 향상된 도포성을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단일 상의 비유화 무수 제형이기 때문에 장시간 냉장 조건에서 보관하여도 상이 분리되지 않고 결정 등의 석출 및 뭉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향상된 보관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무수 제형"은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물을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제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유화 제형"이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상을 유지하는 제형을 의미하며, 이때 계면활성제란 화장품 업계에서 유상과 수상을 유화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화제를 말하며 구체적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주재로 한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로서 25~35℃의 융점을 가진 왁스를 소정 함량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무수 제형이면서 동시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하나의 상을 유지하는 비유화 무수 제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70~95 중량%, 바람직하게는 65~90 중량% 포함한다. 이때 사용되는 오일로는 액체 유지,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등이 있다. 액체 유지로는 예컨대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퍼식유, 밀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홍화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비자나무유, 왕겨유, 오동나무유, 일본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유로는 예컨대 스쿠알란, 프리스탄, 세레신, 스쿠알렌,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예컨대 디메티콘, 메틸 트리메티콘,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일에는 지방산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틸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지네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25~35℃의 융점을 가진 왁스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30 중량%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이 고상에서 액상으로 변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 포함한다. 이때, 왁스의 종류는 상기의 융점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주재인 오일과의 혼합성 등을 고려할 때 실리콘 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왁스로는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 융점은 약 26~30℃; 상업적 제품으로는 WACKER사의 WACKER-BELSIL? SDM 5055 VP 또는 EVONIK사의 ABIL? Wax 9800), 비스-피이지 15-메틸 에테르 디메티콘(Bis-PEG 15-Methyl Ether Dimethicone; 융점은 약 30℃; 상업적 제품으로는 WACKER사의 WACKER-BELSIL? DMC 6038), 비스-피이지 18-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Bis-PEG 18-methyl ether dimethyl silane; 융점은 약 29~35℃), 스테아록시 디메티콘(Stearoxy Dimethicone; 융점은 약 25~36℃; 상업적 제품으로는 EVONIK사의 ABIL? Wax 2434), 또는 세틸 디메티콘(Cetyl Dimethicone; 융점은 약 25℃; 상업적 제품으로는 EVONIK사의 ABIL? Wax 9840) 등이 있고, 이들을 1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과 혼합되어 단일 상을 구성할 수 있는 성분으로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산화 방지제, 항염제, 미백제, 주름 개선제, 피부 재생제, 자외선 차단제 등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1.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로는 예컨대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타노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 옥타노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사노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카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사노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사노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 헥사노산 글리세린, 트리옥타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카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 라우레이트, 세박산 디 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세노산, 톨유 지방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는 예컨대 직쇄 알코올(예컨대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 분지쇄 알코올(예컨대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컨대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제로는, 예컨대 글리실리진산 유도체, 글리실레진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4℃에서의 경도가 50~3000 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에서의 경도가 70~2600 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에서의 경도가 70~1500 g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4℃에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20℃의 주변 환경에서 인체 피부에 도포시 30초 내지 8분 이내에 액체 형태로 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에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20℃의 주변 환경에서 인체 피부에 도포시 50초 내지 6분 이내에 액체 형태로 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냉장 보관 조건에서 고체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라면 구체적인 제품 형태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밤(Balm)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미량의 수준으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방부제는 파라벤류((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안식향산과 같은 합성 방부제뿐만 아니라, 솔빈산 및 그 염류, 항균력이나 방부력이 있는 폴리올류, 천연 식물 추출물, 천연 동물 추출물, 유산균 등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방부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냉장 조건에서 보관 및 유통되기 때문에 항산화제, 미백제, 주름 개선제, 피부 재생제,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유효성분의 변성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 자극 등의 우려가 사전에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은 냉장 조건에서의 보관 안정성이 뛰어나고, 냉장 조건에서 고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상온 주변 환경에서 인체에 도포시 액체 형태로 상이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냉장 조건인 0~10℃에서 보관되고, 상온 조건인 15~35℃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아니다.
1.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조성 비율로 모든 원료를 혼합하고 약 75℃로 가열하여 하나의 상으로 만든 후, 교반하면서 약 25℃로 냉각하여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원료 함량(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 5.0 10.0 15.0 20.0 25.0
메틸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 30.0 30.0 30.0 30.0 30.0
디메티콘(Dimethicone) 20.0 20.0 20.0 20.0 20.0
메틸 트리메티콘(Methyl trimethicone) 10.0 10.0 10.0 10.0 10.0
스쿠알란(Squalane) 5.0 5.0 5.0 5.0 5.0
올리브 오일(Olive oil) 1.0 1.0 1.0 1.0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10.0 10.0 10.0 10.0 10.0
디에틸 세바케이트(Diethyl sebacate) 5.0 5.0 5.0 5.0 5.0
토코페롤(Tocopherol) 0.1 0.1 0.1 0.1 0.1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Stearyl glycyrrhetinate) 0.1 0.1 0.1 0.1 0.1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원료명 원료 함량(중량%)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 30.0 - 2.5 35.0
메틸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 30.0 30.0 30.0 30.0
디메티콘(Dimethicone) 16.8 20.0 20.0 11.5
메틸 트리메티콘(Methyl trimethicone) 10.0 10.0 10.0 10.0
스쿠알란(Squalane) 5.0 5.0 5.0 5.0
올리브 오일(Olive oil) 1.0 1.0 1.0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10.0 10.0 10.0 10.0
디에틸 세바케이트(Diethyl sebacate) 5.0 5.0 5.0 5.0
토코페롤(Tocopherol) 0.1 0.1 0.1 0.1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Stearyl glycyrrhetinate) 0.1 0.1 0.1 0.1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측정
실시예 1~6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도(Hardness)를 측정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도 측정은 물성 측정기의 Standard Model인 Fudoh Rheo Meter(RT-3005D, Japan)를 이용하였다. Fudoh Rheo Meter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경공업제품 등 광범위한 분양에서 주로 단단함, 부드러움과 같은 감촉이나 감각적인 물건의 수치화에 사용되고 있고, 이용자의 필요에 의한 연구, 개발을 거듭해서 더욱더 실용적이며 고품질, 고성능의 표준형 물성 측정기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시료를 측정 온도에서 지름이 5 ㎝이고 높이가 6 ㎜인 내용기에 충진한 다음 1 시간 경과 후, 지름이 1 ㎝인 압축탄성용 아답타를 이용하여 2 ㎝/min 속도와 2㎜ 깊이(depth)의 조건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4℃에서의 경도(gf/㎠) 20℃에서의 경도(gf/㎠) 37℃에서의 경도(gf/㎠)
실시예 1 74 액상 액상
실시예 2 353 20 액상
실시예 3 940 137 액상
실시예 4 1420 200 액상
실시예 5 1960 257 액상
실시예 6 2520 313 액상
한편, 저융점 왁스인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저융점 왁스인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을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4℃ 내지 37℃에서 모두 액상으로 존재하여 경도 측정 실험에서 제외하였고, 저융점 왁스인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을 30 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비교예 3의 경우 화장품용 스파츌러(spatula)로 화장료 조성물을 뜨는 것이 불편하여 경도 측정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3. 화장료 조성물의 인체 피부 도포시 상 변화 시간 측정
실내 온도가 20℃인 방안에서 실시예 1~6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4℃에서 보관한 것) 2g을 각각 화장품용 스파츌러(spatula)로 뜨고 이를 손등에 도포한 후 액상으로 완전히 변화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작은 힘의 롤링에도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었다.
실시예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액상으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 51초 2분 24초 4분 8초 5분 33초 6분 29초 7분 33초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상에서 액상으로 상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50초 내지 7분 40초가 소요되었다. 일반적으로 냉장 조건에서 보관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후 액상으로 변화하는 시간이 너무 길면 사용자가 한기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저융점 왁스인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의 함량은 5~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4.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편의성에 대한 관능 평가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화장품용 스파츌러(spatula)로 뜰 때의 용이성, 피부에 바를 때의 도포성 및 흐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사용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점수를 5점 척도(1~5점)로 하였고, 평균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구분 실시예 3 비교예 1
사용 편의성에 대한 평균 값 4.2 2.3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유화 무수 제형의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로서,
    25~35℃의 융점을 가진 왁스를 5~30 중량% 포함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실리콘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왁스는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 비스-피이지 15-메틸 에테르 디메티콘(Bis-PEG 15-Methyl Ether Dimethicone), 비스-피이지 18-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Bis-PEG 18-methyl ether dimethyl silane), 스테아록시 디메티콘(Stearoxy Dimethicone), 및 세틸 디메티콘(Cet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4℃에서의 경도가 50~3000 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4℃에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20℃의 주변 환경에서 인체 피부에 도포시 30초 내지 8분 이내에 액체 형태로 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밤(Balm)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냉장 조건인 0~10℃에서 보관되고, 상온 조건인 15~35℃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73654A 2011-07-25 2011-07-25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54A KR101787507B1 (ko) 2011-07-25 2011-07-25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54A KR101787507B1 (ko) 2011-07-25 2011-07-25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596A true KR20130012596A (ko) 2013-02-05
KR101787507B1 KR101787507B1 (ko) 2017-10-18

Family

ID=4789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654A KR101787507B1 (ko) 2011-07-25 2011-07-25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5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939A (ko) * 2014-04-08 2015-10-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10052483A1 (en) * 2018-02-05 2021-02-25 Shiseido Company, Ltd. Oily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741780A (zh) * 2019-10-31 2021-05-0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相转移化妆料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134A (ja) * 1998-10-16 2000-04-25 Kose Corp 油性固型化粧料
US20060134038A1 (en) 2002-09-06 2006-06-22 De La Poterie Valerie Make-up composition for keratin fibres such as eyelash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939A (ko) * 2014-04-08 2015-10-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10052483A1 (en) * 2018-02-05 2021-02-25 Shiseido Company, Ltd. Oily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741780A (zh) * 2019-10-31 2021-05-0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相转移化妆料组合物
CN112741780B (zh) * 2019-10-31 2024-02-0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相转移化妆料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507B1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1298B (zh) 安定之油中甘油型乳液
EP3087970B1 (en) Water-in-oil emulsified sunscreen cosmetic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JP2006282632A (ja) 固形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060053893A (ko)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JP2012197241A (ja) 固型状化粧料
EP2514404A1 (en) Emulsified cosmetic material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JPH09110636A (ja) 皮膚又は毛髪用泡状化粧料
KR101406830B1 (ko)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I694841B (zh) W/o型乳化物及由其製造之預混物
KR20130012596A (ko)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JP6133618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0740598B1 (ko)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JP7348767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97323A (ko) 점도가 높은 클렌징 오일 겔
JP3515154B2 (ja) 乳化化粧料
US11298300B2 (en) Stable Pickering-type emulsions
KR20070089302A (ko) 투명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1919578A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