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087B1 -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087B1
KR100320087B1 KR1019970047262A KR19970047262A KR100320087B1 KR 100320087 B1 KR100320087 B1 KR 100320087B1 KR 1019970047262 A KR1019970047262 A KR 1019970047262A KR 19970047262 A KR19970047262 A KR 19970047262A KR 100320087 B1 KR100320087 B1 KR 10032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retinyl
retino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583A (ko
Inventor
조병기
김정하
이승지
김범준
석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1997004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0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87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불포화지방산, 폴리불포화지방산(비타민 에프), 유용성 색소등 고기능성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화장품에 널리 사용 되면서도 대기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변색, 변취가 일어나 안정성 및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되고 역가가 떨어져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 시킴으로써 고기능성 효과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용성 활성물질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유용성 활성물질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불안정한 유용성 활성물질을 2중으로 안정화시켜 주름개선 및 보습력을 강화시키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장기에 일광에 대하여 피부가 쉽게 대응을 하지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조직이 점차 변화하면서 일광으로 인해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피부의 처짐, 피부 탄력의 상실, 피부의 거칠어짐, 피부의 건조함, 피부얼룩등이 생기게 된다. 일광에 의한 이러한 영향이 축적되어 생긴 결과가 "광노화"이다. 피부의 광노화로 인해 표피와 진피조직이 변화하며, 주름살이 생기고 피부가 누르스름해지고, 피부가 두꺼워지며 그리고 탄력성이 점차 감소된다.
이러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특허공보 4603146, 4877805등에는 레티노이드(비타민 A)를 이용한 사례가 개시되어 있다.
피부보호 화장료에 사용되는 레티노이드는 레티놀(Retinol: Vitamin A alcohol), 레티날(Retinal: Vitamin A aldehyde), 레티닐 에스테르의 일종인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Retnyl propion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와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등이 있다. 이 중에서 레티놀은 인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내인성 화합물로서 상피의 조직의 분화와 성장에 필수적이다. 또한 레티놀은 레티노익 애씨드(Retinoic acid)에 비해 매우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개선 화장료의 원료로서 적합하다. 과다한 레티놀의 섭취시 일부의 레티놀은 대부분이 레티닐 팔미테이트 형태로, 소량은 레티닐 아세테이트의 형태로 불활성화되어 인체에 저장된다.
최근들어 상기 레티로이드(retinoid)를 함유한 피부보호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집중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비타민 A인 레티놀은 여드름의 치료효과가 높아 피부연고제 형태의 많은 제품들이 생산되어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레티놀이 여드름 치유효과만이 아니라 다른 광범위한 효능이 밝혀져 이를 응용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인 효능으로 광노화 방지 및 일광에 손상된 피부의 치료이다.
그러나 레티노이드 레티놀, 레틴산, 레티닐알데히드 및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올레이트, 레티닐리놀레이트 등 레니틸에스테르), 토코페롤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릴리놀레이트 등 토코페릴 에스테르, 불포화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 폴리불포화지방산(비타민에프), 유용성 색소 등 화장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용성 활성성분들은 대기중이나 수용액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변색, 변취가 일어나고 역가가 떨어지는등 안정도가 나빠진다.
특히 레티놀은 피부주름 개선 및 방지효과, 여드름 치유효과가 매우 우수함에도 제품에 처방되어 변색, 변취, 역가가 떨어져 효과가 떨어지고, 소량사용에도 불구하고 피부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화장료에서 이의 사용이 극히 제한되어 왔었다.
지금까지 레티놀을 안정화 시킨것을 살펴보면 유용성 산화제인 BHT, d1-α-토코페롤과 킬레이트제인 EDTA를 사용하여 레티노익 애씨드를 함유시켜 안정화 시킨 수중유(O/W)형의 유화제형에 대한 특허(미국특허 3,906,108)가 있고, 유용성산화제인 토코페롤과, 구연산을 사용하여 레티놀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의 유화제형의 특허(미국특허 4,247,547)가 있고, 유용성 산화제인 BHT, BHA를 사용하여 레티놀,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함유시켜 안정화 시킨 유중수형의 유화제형의 특허(미국특허 4,826,828)가 있고, 레티놀을 항산화제인 BHA, 아스코르빅애씨드, 토코페릴리놀레이트를 사용하여 안정화 시킨 유중수형 특허(미국특허 4,720,353)가 있고, 레티노이드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종류 이상의 수용성 항산화제, 한종류이상의 유용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제을 함유한 수중유형유화조성물(유럽특허 0440,398 BI)이 발표되었고, 유럽특허1568106A1 에서는 레티노이드를 안정화 시키는 시스템으로 킬레이트제와 유용성항산화제, 킬레이트제와 수용성항산화제, 유화물의 유상과 수상에 동시에 존재하는 항산화제 및 자유염기형 의 이미다졸을 함유하는 수중유형의 유화조성물이 보고되었다.
상기의 여러가지 특허에서와 같이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를 안정화 시키기 위해 유화형태에 따라 유,수용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제의 종류를 변화시켜 안정화 시킨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한 결과 종래 불안정한 고기능성 유용성 활성 물질을 2중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고기능성 효과를 오래 유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용성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유용성 활성물질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용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리포스피아를 라멜라 액정구조를 갖는 수중유(O/W)형의 유화베이스에 첨가하여 얻어지며, 그 양은 화장료 중량에 대해 유용성 활성물질 1.0-20.0중량%, 바람직하게는 2.0∼12.0중량%, 리포스피아 1.0-50.0중량%, 바람직하게는 2.0중량%∼20.0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용성 활성물질은 레티놀 및 그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불포화 지방산, 폴리불포화지방산(비타민 F), 유용성색소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리포스피아는 인지질과 유성전달매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300㎚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유사 리포좀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인지질 1.0-10.0중량%, 바람직하게는 2.0∼7.0중량%, 유용성 활성물질 1.0-20.0중량%, 바람직하게는 2.0∼12.0중량%, 유성전달매체 1.0-20.0중량%, 바람직하게는 2.0-15.0중량%에 알콜수용액 50.0중량%-85.0중량%를 첨가하여 얻어지는데, 이들 중 유성전달매체는 상온에서 액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성물질을 통칭한다.
본 발명의 유화베이스는 라멜라 구조를 갖는 수중유(O/W)형이며, 화장료 중량에 대해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 0.1-2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8.0중량%, 고급지방알콜 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 고급지방산 0.1∼10.0중량%, 세라마이드 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릴에스트 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를 첨가하여 얻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안정한 유용성 활성물질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먼저 인지질과 유용성 활성물질의 혼합물을 유성전달매체를 사용하여 용해시킨 후 여기에 적당량의 알콜수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키면 유용성 활성물질이 코아(Core)에 존재하는 단층(Monolayer)로 이루어진 300㎚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베시클(리포스피아)이 만들어 진다. 일차적으로 리포스피아 안에 유용성 활성물질을 함입시켜 안정화 시킨 후, 계면활성제, 고급지방알콜, 고급지방산,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릴에스트 등을 사용하여 혼합, 유화시켜 만든 유화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라멜라 액정구조를 갖는 수중유형의 유화베이스에 리포스피아를 첨가시켜 불안정한 유용성 활성물질을 2중으로 안정화 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얻어진다.
유화형태에 관해서는 수중유(O/W)형의 유화가 유중수(W/O)형의 유화에 비교하여 미끈거리지 않고 피부로부터 쉽게 세척할 수 있으며, 사용감도 좋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조성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인지질은 대두콩, 달걀의 노른자위, 식물씨앗 등에서 얻은 레시틴을 수첨시켜 포화시킨 레시틴이고, 유용성 활성물질은 레티노이드(레티놀, 레틴산, 레티닐알데히드, 및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올레이트, 레티닐리놀레이트 등 레티닐에스테르), 토코페롤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릴리놀레이트 등 토코페릴에스테르, 불포화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 폴리불포화지방산(비타민 F), 유용성색소등이고 유성전달매체는 상온에서 액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든 종류의 유성물질로서 여기에는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유, 광물유, 실리콘 오일, 실리콘 유도체등이 있고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주로 사용되어 비이온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옥시에칠렌 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칠렌밀납 등 에톡시레이트화된 계면활성제와 폴리글리세릴 알킬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 알킬글루코스 알킬레이트, 알킬글루코시드, 솔비탄알킬레이트, 슈가에스테르등의 이온프리계면활성제가 있고, 음이온 계면활성제에는 소듐 알킬로일락틸레이트등이 있고 고급지방알코올은 탄소수가 10 - 30사이에 있는 천연 유래의 알코올이고 고급지방산은 탄소수가 8 - 30사이에 있는 천연유래의 지방산이고, 세라마이드는 합성, 발효, 효모 및 동식물등 천연에서 유래하는 스핑고신 및 이의 유도체와 세레브로사이트등이 있고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에는 합성 및 천연에서 유래되는 콜레스테롤과 여기에 에스테르화 시켜 만든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등 콜레스테릴 알킬레이트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및 팩 등의 통상적인 기초화장료의 제형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리포스피아의 제조
리포스피아는 하기 표1의 조성으로서 A상을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 후 B상에 첨가시켜 유화시켜 최종제품으로 한다.
[표 1]
리포스피아의 성분
Figure pat00001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을 가지며, A, B상을 각각 73℃까지 혼합, 가열시킨 후 유화시켜 온도를 40℃까지 냉각시며 C상, D상을 첨가, 혼합하여 최종제품으로 한다.
[표 2]
Figure pat00002
실험예 1 레티놀의 역가측정
1. 실험제품
비교예 1 : 일반 크림베이스에 레티놀용액을 첨가시킨 제품
비교예 2 : 일반 크림베이스에 레티놀리포스피아를 첨가시킨 제품
실시예 2 : 라멜라액정함유 크림베이스에 레티놀리포스피아를 첨가시킨 제품
2. 실험 방법
비교예 1, 2 및 실시예 2의 제품의 제조 직후의 레티놀 역가와 45℃에 1개월간 방치시킨 후의 레티놀역가를 HPLC(325nm에서)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비교를 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레티놀의 역가측정 결과
Figure pat00003
표 3과 같이 일반 크림베이스에서 레티놀 용액을 함유시킨 제품은 경시변화에 의해 레티놀 역가가 상당히 떨어지고 그러나 리포스피아로 레티놀을 베시클화한 제품은 레티놀 역가가 상당히 보존되고, 리포스피아를 라멜라 액정베이스에 첨가시킨 것은 고온 45℃에서도 95.0%이상의 역가가 보존되어 불안정한 물질인 레티놀이 매우 안정화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피부자극실험
1. 실험제품 : 실험예 1과 동일
2. 실험방법 : 폐쇄 첩포시험방법으로 24시간동안 시험제품을 부착한 후 제거하여 피부자극정도를 체크하였다. 판정기준은 피부자극이 전혀 없는 경우를 0, 심한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비교값을 기재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4에 기재하였다.
[표 4]
피부자극 실험결과
Figure pat00004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품(실시예2)은 피부자극물질인 레티놀이 라멜라 액정속에서 소량씩 서서히 방출되어 피부자극이 극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험예 3 : 제품 변색 실험
1. 실험제품 : 실험예 1과 동일
2. 실험방법 : 실험제품을 각각 3℃, 45℃에서 2주간 보관후 색도계(Color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판정기준은 변색이 없는 경우를 0, 심한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5에 기재하였다.
[표 5]
제품 변색 실험결과
Figure pat00005
표 5에서 알수 있듯이 레티놀은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고온(45℃)에서 상당히 역가가 떨어지나 본 발명품은 고온에서도 상당히 안정성을 나타내어 레티놀의 역가가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피부탄력조사
1. 실험제품 : 실험 예 1과 동일
2. 실험방법 :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하여 두가지 제품을 피검자의 왼쪽와 오른쪽의 얼굴에 나누어 발라 3개월 사용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표 6]
피부탄력 조사결과
Figure pat00006
표 6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품은 라멜라 액정을 형성하고 있어 피부의 수분보지력이 매우 우수하면서 또한 인지질로 되어 있는 300nm이하의 미세입자크기를 갖는 리포스피아는 리포스피아가 함유안된것 보다 유효활성성분인 레티놀의 피부 침투를 훨씬 용이하게 하여 단백질 생합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있게 해주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불안정한 고기능성 유용성 활성물질을 안정화 시키면 유용성 활성물질이 갖는 고기능성 효과(주름개선방지 및 여드름치유, 피부탄력증진, 피부톤의 개선효과, 피부보습증진, 피부상처치유 효과 등)가 오래 지속되어 최대로 피부에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불안정하면서도 피부자극이 상당하여 이의 사용량에 제한을 받고있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가 리포스피아와 라멜라 액정구조속에서 서서히 방출되어 상당량의 레티놀을 함유시켜도 자극이 거의 없는 제품을 만들수 있고 폴리불포화지방산(비타민 에프)등과 같이 대기, 수분등에 노출되어 산화됨으로써 변취, 변색되거나 피부자극 유발물질을 생성시키는 물질등도 이와 같이 안정화 시키면 안정성이 유지되어 피부자극없는 고기능성 효과제품을 만들 수 있다.

Claims (2)

  1. 화장료 중량에 대하여 유용성 활성물질인 레틴산, 레티닐알데히드,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올레이트, 레티닐리놀레이트, 레티닐에스테르, 토코페놀토코페릴아세터이트, 토코페릴리놀레이트, 토코페릴 에스테르 중 어느 1종을 1.0∼20.0중량% 함유하는 리포스피아 2.0∼70.0중량%를 라멜라 액정구조를 갖는 수중유형의 유화베이스에 첨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라멜라 액정구조를 갖는 수중유형의 유화베이스는 화장료 중량에 대하여 폴리옥시에칠렌 스테아릴 알콜 0.1∼20.0%, 탄소수가 10∼30인 고급 지방알코올 0.1∼10.0중량%, 탄소수가 8∼30인 고급지방산 0.1∼10.0중량%, 세라마이드 0.1∼10.0중량%,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0.1∼10.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47262A 1997-09-12 1997-09-12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KR10032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62A KR100320087B1 (ko) 1997-09-12 1997-09-12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62A KR100320087B1 (ko) 1997-09-12 1997-09-12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583A KR19990025583A (ko) 1999-04-06
KR100320087B1 true KR100320087B1 (ko) 2002-08-13

Family

ID=6604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262A KR100320087B1 (ko) 1997-09-12 1997-09-12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08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491B1 (ko) * 2001-06-15 2004-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주름제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조성물
KR100439068B1 (ko) * 2001-09-07 2004-07-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을 3중으로 안정화한 화장료
KR100502646B1 (ko) * 2002-04-19 2005-07-20 (주)스피어테크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KR100588743B1 (ko) * 2000-09-28 2006-06-13 엔프라니 주식회사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100867679B1 (ko) * 2001-08-14 2008-11-10 주식회사 참 존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939A (ko) 2014-04-08 2015-10-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5242B1 (ko) 2018-08-17 2019-08-27 이훈 수용성 패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600A (ko) 2019-11-25 2021-06-02 (주)한국생명과학연구소 피부개선 효과를 갖는 동결건조 패치형 화장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576B1 (ko) * 2000-07-05 2003-10-22 동아제약 주식회사 레티놀을 다중 안정화시켜 함유하는 화장료
KR100439595B1 (ko) * 2001-05-18 2004-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토코페롤 함유 세라마이드 액정 캡슐, 그 유화물 및 이를포함하는 화장료
KR20030068698A (ko) * 2002-02-16 2003-08-25 한국화장품주식회사 미세다중 라멜라 소구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743B1 (ko) * 2000-09-28 2006-06-13 엔프라니 주식회사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100428491B1 (ko) * 2001-06-15 2004-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주름제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조성물
KR100867679B1 (ko) * 2001-08-14 2008-11-10 주식회사 참 존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9068B1 (ko) * 2001-09-07 2004-07-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을 3중으로 안정화한 화장료
KR100502646B1 (ko) * 2002-04-19 2005-07-20 (주)스피어테크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KR20150116939A (ko) 2014-04-08 2015-10-19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5242B1 (ko) 2018-08-17 2019-08-27 이훈 수용성 패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600A (ko) 2019-11-25 2021-06-02 (주)한국생명과학연구소 피부개선 효과를 갖는 동결건조 패치형 화장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583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068B1 (ko) 레티놀을 3중으로 안정화한 화장료
KR930007911B1 (ko) 착색을 방지하는 외용제
KR20000069187A (ko) 비자극성 화장품 및 제약 조성물
KR100320087B1 (ko)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KR20000048910A (ko) 화장용 조성물
JPH0259518A (ja) 皮膚治療用組成物
JP3241347B2 (ja) リパーゼ、ビタミン前駆体及び脂肪アルコールを含む局所適用用製品
EP0084341B1 (en) Emulsion-type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KR100483391B1 (ko)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03356A (ko) 레티날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6778A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6979459B1 (en) Treatment of skin damage using polyenylphosphatidycholine
KR101549624B1 (ko) 온도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EP1063969B1 (en) Topical formulation of oil-in-water type as a carrier for providing a reduced irritant effect
JPH0791173B2 (ja) リポソーム含有皮膚化粧料
US20070225234A1 (en) Topical formulation of oil-in-water type as a carrier for providing a reduced irritant effect
JP2000515120A (ja) レチナールを含有する皮膚化粧組成物
JP2663136B2 (ja) 美白化粧料
KR10107219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H0780739B2 (ja) 酸化防止系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KR102334706B1 (ko) 안정화된 레티날을 포함하는 니오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개인 미용 또는 위생용 조성물
KR100652122B1 (ko) 실크아미노산과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나노베지클 조성물
KR100888752B1 (ko) 피부외용제
KR102489166B1 (ko) 피부톤, 피부결, 기미, 잡티, 윤기 및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92000228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