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646B1 -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646B1
KR100502646B1 KR10-2002-0021436A KR20020021436A KR100502646B1 KR 100502646 B1 KR100502646 B1 KR 100502646B1 KR 20020021436 A KR20020021436 A KR 20020021436A KR 100502646 B1 KR100502646 B1 KR 10050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weight
liposomes
cosmetic composition
reti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3057A (ko
Inventor
전종택
Original Assignee
(주)스피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피어테크 filed Critical (주)스피어테크
Priority to KR10-2002-002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64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성분을 리포좀화하여 안정화하고 이를 다시 다공성 파우더내에서 안정화시킨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조성물{HIGH PERFORMANCE POWDER SHAPE COMPOSITION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ES IN REFORSOME}
본 발명은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성분을 리포좀화하여 안정화하고 이를 다시 다공성 파우더내에서 안정화시킨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름개선 효과나 또는 미백효과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원료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원료는 레티놀(Retinol),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비타민씨(Ascorbic acid) 등이 있고, 미백효과를 갖는 기능성 원료는 알부틴(Arbutin), 비타민씨(Ascorbic Acid), 코직액씨드(Kojic Acid), 그 밖에 한약 유래의 추출물 등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기능성 화장료 원료 중 레티놀(Retinol), 레티닐팔미테이트 (Retinyl Palmitate), 비타민씨(Ascorbic Acid) 등은 효과가 우수함에 비하여 열, 빛 그리고 수분에 의하여 쉽게 산화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의 안정화기술로는 유화제를 이용한 안정화방법, 다공성 파우더를 이용한 안정화 방법, 리포좀을 이용한 안정화 방법 등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성분 안정화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졌다. 그러나 일반 유화제를 이용하여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의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요인을 차단 하기가 힘들었으며, 비타민씨의 경우 수용성분과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공성 파우더을 이용한 안정화 방법은 다공성 파우더의 입자로 균일하게 기능성 물질을 함유시키는데 문제가 있어 함량이 일정하게 분포하지 못하여 처방을 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었다. 위 안정화 방법 중 리포좀을 이용한 안정화 방법은 상기의 방법들 중 가장 진보된 기술로서 기능성 물질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또 안정성도 좋다. 그러나 이 방법은 리포좀 제조에서의 가장 큰 단점으로서, 리포좀 사이즈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문제로 되어왔다.
이와 같이 고기능성 화장료 원료 중 레티놀(Retinol), 레티닐팔미테이트 (Retinyl Palmitate), 비타민씨(Ascorbic Acid) 등은 효과가 우수함에 비하여 열, 빛 그리고 수분에 의하여 쉽게 산화되는 단점을 갖고 있어 처방에서의 안정성이 문제시 되어왔고, 위 기능성 화장료 원료를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변형을 방지하며, 그 본래의 기능성분 효과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제형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현재 화장품의 효능효과가 중요시 되어지고 있으며, 주로 그 기능은 피부의 주름개선, 미백, 항산화 그리고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현재 개발되어 있는 주름개선 기능성원료는 레티놀(Retinol), 레티닐 팔미테이트(Rtinyl Palmitate), 비타민씨(Ascorbic Acid)등이 있고, 미백 효과를 갖는 기능성 원료는 알부틴(Arbutin), 비타민씨(Ascorbic Acid), 코직액씨드(Kojic Acid)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열 과 빛 민감한 레티놀과 레티닐 팔미테이트의 경우 빛 과 열로부터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고, 순수 비타민씨의 경우 미백, 항 산화, 주름 개선에 큰 효과를 보여 주는 여러 논문들이 발표 되었으나, 비타민씨 자체의 불안정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수분과 접촉할 경우 쉽게 산화되므로 이를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 진보된 안정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목적은 기능성 성분을 리포좀화하여 안정화하고 이를 다시 다공성 파우더내에서 안정화시킨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능성 성분을 리포좀화하여 안정화하고 이를 다시 다공성 파우더내에서 안정화시킨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화장료 원료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고, 기능성 성분이 외부요인에 의하여 파괴되지 않고 효과를 장시간 보존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능성 성분을 이용해 리포좀을 제조하고, 리포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입자 사이즈를 균일하게 20 ~ 100 nm 되도록 제조하고, 안정화된 리포좀을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는 실리카살리실레이트(Silica silylate)에 분산시켜 2 차 안정화를 하여 기능성 성분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능성 유효성분을 리포좀화 시킨 리포좀은 레시틴 2 ~ 4.5 중량 %, 콜레스테롤 2 ~ 5 중량 % , 베타시토스테롤 1.0 ~ 2.5 중량 % 을 사용하여 리포좀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포좀이 안정하도록 하기 위해서 리포좀의 사이즈를 20 ~ 100nm로 제조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 50 nm 로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능성 유효성분은 0, 5 에서 30 중량 %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에서 20 중량 %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은 60 에서 9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포좀을 제조에는 상기 성분이외에 자외서 흡수제 및 오일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유효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드, 비티민 씨, 코직애씨드,알부틴, 플라보노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리포좀 사이즈를 일정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플로다이저 (Microfludiz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포좀의 사이즈가 100 nm를 초과하면 실리카살리실레이트에 분산하였을 경우 층 분리 현상이 일어나 제형의 문제점이 발견되며, 리포좀의 사이즈가 20nm 이하로 제조된 경우에는 리포좀내에 기능성 물질을 많이 함유 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있다.
2 차 안정화를 위해서, 리포좀내에 기능성 유효성분을 함유한 파우더 성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에 실리카 실레이트 1 ~ 10 중량%, 용매 20 ~ 90 중량% 그리고 리포좀화된 기능성 유효성분이(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비타민씨등) 0.01 ~ 50 중량 %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실리카살리실레이트에 리포좀화된 기능성 성분을 0.01 ~ 50 중량 % 까지 분산을 시켜 2 차 안정화하고 파우더 성상에 청량감과 같은 사용감을 보다 증진하기 위하여, 폴리올 2 ~ 5.5 중량 % 와 수분 20 ~ 90 중량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을 사용한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의 제조는 먼저 실리카살리실레이트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올 및 수분의 혼합물을 스프레이 투입하여 교반한 다음에 리포좀화된 기능성 유효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리카실레이트 5 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중량%, 글리세린 1 중량%, 처방 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 10 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그리고 정제수를 이용하여 전체 중량을 100 중량 % 로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3도 위의 조성을 이용하여 제조 하였으며 리포좀은 처방 예 2 과 3의 조성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2, 3은 실시 예와 같은 조성을 갖으나 한가지 다른 것은 기능성 물질을 리포좀화하지 않고 직접 제품에 처방 되었다.
비교예 1-3및 실시예 1-3
표 1 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은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 시킨 조성물 배합표이고, 표 2 에는 안정화된 리포좀을 기능성 파우더 화장료 를 만들기 위한 조성물이다. 표 3 에는 레티놀을 12주간 안정성 조사 결과, 표4 에는 레티놀팔미테이트를 12주간 안정성 조사결과, 표5는 파우더 제품내의 리포좀 사이즈에 따른 경시변화를 보여주고 있고 그리고 표 6은 비타민씨 12주간 안정성 조사결과 이다.
실험예
기능성 유효성분 안정도 측정 방법
(가) 레티놀(Retinol)측정법
레티놀 표준용액을 5, 10, 20, 30, 40, 50 ppm으로 제조한다. 이때 녹이는 용액은 분석 등급의 이소프로필알콜을 사용하여 표준품을 용해시켰다. 제품은 100ml의 볼륨메트릭플라스크에 1g을 정밀하게 측량하여 녹인 후 증류수를 5ml을 첨가 시켜 완전하게 분산시킨 후 이소프로필알콜을 이용하여 100ml의 볼륨메트릭플라스크를 채운다. 제품내에서 레티놀을 추출하기 위하여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0분간 추출 후 0.45m필터를 이용하여 필터 후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 이용하여 분석을 행한다.
분석조건은 컬럼은 탄소체인이 18개 붙어있는 역상컬럼(0.4515 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95%의 메탄올을 분당 1ml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검출은 자외선 가시광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368nm에서 행하여졌다.
정량 방법은 레틴올 표준용액을 이용하여서 얻은 일차 방정식 Y=aX + b를 이용하여 정량을 하였다.
(나)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측정법
레틴닐팔미테이트 표준용액을 5, 10, 20, 30, 40, 50 ppm으로 제조한다. 이때 녹이는 용액은 분석 등급의 이소프로필알콜을 사용하여 표준품을 용해시켰다. 제품은 100ml의 볼륨메트릭플라스크에 1g을 정밀하게 측량하여 녹인 후 증류수를 5ml을 첨가 시켜 완전하게 분산시킨 후 이소프로필알콜을 이용하여 100ml의 볼륨메트릭플라스크를 채운다. 제품내에서 레티닐팔미테이트를 추출하기 위하여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0분간 추출 후 0.45m필터를 이용하여 필터 후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분석을 행한다.
분석조건은 컬럼은 탄소체인이 18개 붙어있는 역상컬럼(0.4515 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과 이소프로필알콜을 50 대 50으로 분당 1ml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검출은 자외선 가시광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368nm에서 행하여졌다.
정량 방법은 레틴닐팔미테이트 표준용액을 이용하여서 얻은 일차 방정식 Y=aX + b를 이용하여 정량을 하였다.
(다) 비타민씨(Ascorbic Acid)측정법
비타민씨 표준용액을 25, 50, 100, 200, 300ppm으로 제조한다. 이때 녹이는 용액은 1%의 메타포스포릭산을 사용하여 표준품을 용해시켰다. 제품은 100ml의 볼륨메트릭플라스크에 1g을 정밀하게 측량하여 넣고 1% 메타포스포릭산을 100ml을 첨가 시켜 완전하게 분산시킨다. 제품내에서 비타민을 완전 추출하기 위하여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0분간 추출 후 0.45m필터를 이용하여 필터 후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분석을 행한다.
분석조건은 컬럼은 탄소체인이 18개 붙어있는 역상컬럼(0.4515 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과 5mM의 구연산완충요액을 70 대 30으로 분당 1ml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검출은 자외선 가시광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254nm에서 행하여졌다.
정량 방법은 비타민씨 표준용액을 이용하여서 얻은 일차 방정식 Y=aX + b를 이용하여 정량을 하였다.
표 3 에는 레티놀을 12주간 안정성 조사 결과, 표4 에는 레티닐팔미테이트를 12주간 안정성 조사결과, 그리고 표 6는 비타민씨 12주간 안정성 조사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3, 4, 5 의 결과에서 보듯이 기능성 유효성분을 리포좀화하여 제조한 기능성 파우더가 기능성 성분을 직접 투입하여 만든 파우더에 비해서 우수한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서, 기능성 유효성분을 리포좀화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파우더 성상에 투입하여 만든 기능성 파우더 제품으로, 파우더 제품이면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때 수분이 피부에 도포되어 청량감 및 사용감을 한층 더 배가 시킬 수 있으며, 특히 기능성 유효성분의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여 기능성 원료들이 나타내고자 하는 효능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레티놀 분석 크로마토그래피,
도 2은 레티닐팔미테이트 분석 크로마토그래피,
도 3은 비타민씨 분석 크로마토그래피,
도 4은 레티놀 안정성 실험 결과,
도 5은 레티닐팔미테이트 안정성 실험 결과,
도 6은 비타민씨 안정성 실험 결과이다.

Claims (7)

  1.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드, 비티민 씨, 코직애씨드, 알부틴, 플라보노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성분 0.5 ~ 30 중량 %, 레시틴 2 ~ 4.5 중량 %, 콜레스테롤 2 ~ 5 중량 % , 베타시토스테롤 1.0 ~ 2.5 중량 % 및 물 60 ~ 95 중량 % 을 리포좀화하는 단계;
    실리카살리실레이트에 폴리올 및 수분의 혼합물을 스프레이투입한 후, 리포좀화 된 것을 분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화 된것의 입자크기를 20 ~ 100 nm 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차단제,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4. 제 1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화 된 것의 입자크기를 20 ~ 100 nm 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02-0021436A 2002-04-19 2002-04-19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KR10050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36A KR100502646B1 (ko) 2002-04-19 2002-04-19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436A KR100502646B1 (ko) 2002-04-19 2002-04-19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057A KR20030083057A (ko) 2003-10-30
KR100502646B1 true KR100502646B1 (ko) 2005-07-20

Family

ID=3237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436A KR100502646B1 (ko) 2002-04-19 2002-04-19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35B1 (ko) 2009-11-27 2011-03-21 (주)스피어테크 파우더 성상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92B1 (ko) * 2010-09-03 2014-01-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내상에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9659A1 (fr) * 1987-06-12 1988-12-15 Lvmh Recherche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contenant de l'hydroquinone et de l'acide kojique
KR920008159A (ko) * 1990-10-16 1992-05-27 베른하르트 엠. 벡크, 칼-헤르만 메이어-둘호이어 액체 피복제
JPH069359A (ja) * 1992-06-23 1994-01-18 Yakult Honsha Co Ltd 紫外線遮断性粉体
KR940021030A (ko) * 1993-03-11 1994-10-17 임충헌 실리카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용 리포좀파우더의 제조방법
KR960006860A (ko) * 1994-08-06 1996-03-22 이헌조 가정용 제빵기
KR960006857A (ko) * 1994-08-16 1996-03-22 배순훈 전자렌지용 커피제조기
KR19990025583A (ko) * 1997-09-12 1999-04-06 유상옥 유용성 활성 물질을 안정화 시킨 화장료 조성물
KR20000050464A (ko) * 1999-01-09 2000-08-05 윤동한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20077632A (ko) * 2001-04-02 2002-10-12 한국콜마 주식회사 분말상의 기능성 색조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9659A1 (fr) * 1987-06-12 1988-12-15 Lvmh Recherche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contenant de l'hydroquinone et de l'acide kojique
KR920008159A (ko) * 1990-10-16 1992-05-27 베른하르트 엠. 벡크, 칼-헤르만 메이어-둘호이어 액체 피복제
JPH069359A (ja) * 1992-06-23 1994-01-18 Yakult Honsha Co Ltd 紫外線遮断性粉体
KR940021030A (ko) * 1993-03-11 1994-10-17 임충헌 실리카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용 리포좀파우더의 제조방법
KR960006860A (ko) * 1994-08-06 1996-03-22 이헌조 가정용 제빵기
KR960006857A (ko) * 1994-08-16 1996-03-22 배순훈 전자렌지용 커피제조기
KR19990025583A (ko) * 1997-09-12 1999-04-06 유상옥 유용성 활성 물질을 안정화 시킨 화장료 조성물
KR100320087B1 (ko) * 1997-09-12 2002-08-1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용성활성물질을안정화시킨화장료조성물
KR20000050464A (ko) * 1999-01-09 2000-08-05 윤동한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20077632A (ko) * 2001-04-02 2002-10-12 한국콜마 주식회사 분말상의 기능성 색조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35B1 (ko) 2009-11-27 2011-03-21 (주)스피어테크 파우더 성상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057A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simopoulou et a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rocus sativus L. extract and its bioactive constituents
EP3031453B1 (en) Stable triple-layer capsule using poorly water-soluble substan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same
KR102586207B1 (ko) 활성 성분을 갖는 건조 플레이크
CN101484121B (zh) 大尺寸脂质囊乳剂组合物和含有它的化妆品组合物
Nizioł‐Łukaszewska et al. Saponins as natural raw materials for increasing the safety of bodywash cosmetic use
EP0400910A3 (en) Shaped articles containing liquefiable powders for delivery of cosmetic and other personal care agents
KR20110062708A (ko) 화장품용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분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643376A (zh) 一种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Gharibzahedi et al. Formulation design and physicochemical stability characterization of nanoemulsions of nettle (Urtica dioica) essential oil using a model‐based methodology
DE10028718A1 (de) Kosmetische Stifte
CN112386507A (zh) 一种囊泡型载体的制备方法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0502646B1 (ko) 리포좀내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조성물
KR20170127165A (ko)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고형 에멀젼 비드 및 이를 사용하는 즉시 미백용 화장조성물
CN112932986A (zh) 一种具有淡化唇纹功效的蓝莓花青素基础组合物、唇膏及其制备方法
KR100670440B1 (ko) 아데노신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US20030199576A1 (en) Stabilized pure vitamin C in powder-to-liquid form using multi-encapsulation method
WO2015064681A1 (ja) 外用組成物
KR100425260B1 (ko) 파우더 성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H1017436A (ja) 皮膚外用剤
CN107669513A (zh) 一种具有护肤抑菌作用的橄榄油/ve微乳凝胶及其制备方法
Szymczyk et al. Adsorption and volumetric properties of some nonionic surfactants and their mixtures with quercetin and rutin
KR101495038B1 (ko)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05410B1 (ko) 인돌-3-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314129A (zh) 一种膏霜及其制备方法
KR102653555B1 (ko) 유효성분이 안정화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