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391B1 -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391B1
KR100483391B1 KR10-1999-7008377A KR19997008377A KR100483391B1 KR 100483391 B1 KR100483391 B1 KR 100483391B1 KR 19997008377 A KR19997008377 A KR 19997008377A KR 100483391 B1 KR100483391 B1 KR 100483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id
delete delete
hydroxy
encaps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280A (ko
Inventor
제프리 에렌버그
린다 나즈덱
엘레나 엠. 서리엘로
Original Assignee
칼라 액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라 액세스, 인크. filed Critical 칼라 액세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0007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제와 함께 라멜라 비지클 내에 캡슐화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히드록시산을 라멜라 비지클로 캡슐화하고, 캡슐화된 히드록시산을 미백제가 함유된 화장용 담체 또는 제약 담체에 첨가함으로써 안정한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tabilized Whi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피부에 미백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유용한 제약 및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자신의 내용물들의 독립적인 pH 값과 미백제 및 히드록시산의 여타의 다른 성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용액 중에 히드록시산 및 미백제를 함유하는 안정화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장품은 얼굴의 장식이라는 단순한 개념을 뛰어넘어 발전해 왔다. 이제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메이크업에서 간단한 색, 커버리지 또는 보습 이상의 것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피부를 희게 하는 능력은 어떤 소비자들에게는 필요한 기능이다. 이를 위해서는 피부에 있는 주근깨 또는 다른 진한 흠들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이 문화적으로 선호되는 것일 수 있다. 피부의 색은 멜라닌에 의해 결정되는데, 멜라닌이란 멜라닌생성세포로 알려진 특별한 수상 세포가 만들어내는 생체고분자 안료이다. 멜라닌생성세포는 대개 피부의 상피 또는 상층의 기저 세포들 사이나 그 아래에 위치한다. 기저층은 상피의 두 주요층 중의 하나이다. 살아있는 기저층은 진피와 접촉하는 상피의 하부에 있다. 그리고 제2 층은 피부의 표면 위로 확장된 기저층 위에 위치하는 죽은 각막 또는 각질층이다.
단세포 "샘(gland)"으로 특징 지워지는 멜라닌생성세포는 길고 얇고 분지된 흐르는 듯한 수상돌기 또는 팔(arm)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멜라닌생성세포와 바로 인접한 상피 세포 사이로 뻗어있다. 이로써 상피 세포는 각 멜라닌생성세포의 둘레로 배열된다. 멜라닌생성세포의 활성에 의해 멜라닌의 생성율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피부의 색 또는 밝거나 어두운 안색이 결정된다.
멜라닌 생성은 내부 및 외부 요인 모두에 의해 자극 받는다. 멜라닌은 일단 생성되면 멜라닌생성세포의 멜라노좀 영역에서 수상돌기 쪽으로 이동한다. 멜라닌이 적재된 수상돌기와 접촉하는 상피 세포는 그 수상돌기의 끝을 식균작용에 의해 먹어, 멜라닌을 주변 상피 세포로 운반한다. 멜라닌 과립은 상피 세포 내부의 세포 핵 위로 이동한다. 멜라닌은 이런 방식으로 스스로 위치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UV"선)의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멜라닌의 생성은 UV선이라는 외부 요인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
내적으로는 티로시나제라는 효소에 의해 멜라닌의 생화학적 자극이 이루어진다. 티로시나제는 기질인 티로신 및 레보도파를 도파퀴논으로 산화시키며, 뒤이어 수많은 중간체가 멜라닌으로 중합된다. 멜라닌 생합성 메카니즘은 복잡한 과정이며, 티로시나제가 이 과정에서 중요한 추진력이 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문헌 (M. M. Wick, V. J. Hearing and H. Rorsman, Biochemistry of Melanization, pp. 251-256 (1993))을 참조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UV선과 같은 외부 요인도 멜라닌 합성에서 멜라닌생성세포가 멜라닌을 생산하도록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티로시나제 활성은 UV 광선에 의해 억제되며, 안료 생성의 급속한 자극을 가능하게 한다.
피부에서 탈색 효과를 얻으려고 시도하는 많은 종래의 방법과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사람 피부에서 탈색 효과를 유도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많은 조성물들은 치아염소산 나트륨, 히드로퀴논, 모노에틸 에테르, 암모니아화 수은, 과산화아연, 염화제일수은 또는 염화제이수은을 써서 피부를 희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피부를 민감하게 하고, 피부를 자극하고, 예측되는 결과를 낳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티로시나제 효소의 생성이나 멜라닌 생성 과정에서 중간체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처리법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화합물로는 세로토닌 흡수 길항제 및 히스타민 아고니스트 등이 있다. 세로토닌 흡수 길항제인 6-니트로퀴파진은 티로시나제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멜라닌 활성만을 억제한다. 히스타민 아고니스트는 티로시나제 활성에 영향을 주어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며, 사실상 중단시킨다. 이들 두 화합물 이외에도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가 상피에서 멜라닌을 분해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아스코르브산은 피부 미백 제품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은 일반적인 제제 내에서 매우 불안정하고 쉽게 분해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아스코르브산을 제형화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아스코르브산은 알파 케토 락톤으로서 pH 값이 낮아서 물과 빛, 산소에 민감하다. 피부의 pH는 약 5.5이기 때문에 아스코르브산을 피부에 사용하는 것은 자극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을 그보다 더 높은 pH에서 제형화하면 아스코르브산의 분해를 유발하고 원하는 미백 활성을 얻는데 실패하게 될 것이다.
아스코르브산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또다른 어려움은 조성물 내에서 다른 활성물질 또는 성분과 합해졌을 때 아스코르브산이 불안정하다는 점이다. 제제 내의 다양한 활성물질 및 성분을 사용하는 바로 그 이유 (즉, 이들의 생체 활성)가 만일 이들이 적절한 비히클 내에 합해지지 않는다면, 효능의 감소 또는 손실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일반적으로 부딪히는 요인들로 인해 제제 내의 아스코르브산은 제제가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기도 전에 불활성화될 수 있다. 산소 및 UV광은 자연계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을 피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다른 활성물질 및 성분과 함께 안정하게 함유하면서 이들의 원하는 특성이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허용가능한 비히클에 대한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
미백 효과가 있는 제약 및 화장용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은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물질들이 변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pH 값이 다른 물질이 합해질 경우에는 서로 중화되어 개별 물질의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개별 물질은 자신의 필요한 특성을 잃거나 용액에 첨가될 때 그 물질이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염두해 두었던 특성을 더 이상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그러한 조성물에는 유사한 pH 값을 갖는 물질들이 함유된다. 전형적으로 아스코르브산을 제형화할 때 용액의 pH는 약 pH 3.5 보다 아래의 값이어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 용액의 산성은 피부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 또는 제약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액이 되지 못한다.
낮은 pH의 문제를 극복하는 또다른 방법은 인산화된 아스코르브산의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약 8 또는 9의 pH 값에서 겨우 안정한 아스코르빌인산마그네슘 ("MAP")이 미백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MAP가 함유된 용액의 pH는 염기성이며, 피부에 사용될 경우 마찬가지로 피부를 자극한다. 또한 MAP와 pH 값이 낮은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것도 어렵다. MAP는 높은 pH 값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MAP는 이보다 더 pH 값이 낮을 수 있는 다른 유용한 활성물질과 쉽게 합할 수가 없다.
피부에 능률적으로 바르기 위한 아스코르브산의 제형화에도 또다른 어려움이 도사리고 있다. 아스코르브산은 멜라닌을 상피 내에서 분해시켜서 피부에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준적인 제제는 일반적으로 크림 또는 로션이며, 여기서 아스코르브산은 기재 제제에서 피부로 확산되어서 피부를 희게 해야 한다.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가 효과적인 피부 미백제인 것으로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용액 내의 다른 활성물질 및 성분과 이들의 안정성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기재 제제로부터 피부로 아스코르브산의 운반을 개선하기 위한 비히클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스코르브산의 미백제로서의 유용한 성질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가 다른 활성물질 및 성분이 들어있는 바람직한 조성물 내에서 안정화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이들의 독립적인 유용한 성질도 유지할 수 있고 아스코르브산이 제제로부터 피부로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수단을 제공하며, 거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다. 미용상 흥미를 끌고 있는 미백제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므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안정한 미백 조성물이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라멜라 비지클로 캡슐화된 1종 이상의 히드록시산 및 미백제를 화장품에 있어서 또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내에 함유하는 안정한 화장용 및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백제는 그 안정성이 비산성 pH 수준에서 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화된 히드록시산은 히드록시산과 미백제가 용액내에 함께 공존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여 미백 조성물의 적절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히드록시산 및 미백제의 특성은 이들이 용액 내에 함께 존재하면서도 상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두 종류의 히드록시산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 히드록시산 각각이 라멜라 비지클 내에 캡슐화된다. 개별 히드록시산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비지클은 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의 금속염과 용액 내에서 합해진다. 이 금속염은 1가, 2가 또는 3가 금속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종 이상의 히드록시산을 캡슐화하고 이 캡슐화된 히드록시산을 미백제 유효량이 함유된 용액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에 미백 효과를 주는 안정한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미백 조성물에 히드록시산을 첨가하는 것은 이들의 특성으로 인해 대개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산은 우수한 박탈제 (exfoliating agent)일 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를 유발하는데에도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주요한 미백 활성물질의 작용을 보완하여 조성물 효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히드록시산이 라멜라 비지클로 캡슐화되므로, 산 성분을 미백제가 함유된 미백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만일 캡슐화되지 않는다면 산, 미백제 또는 둘 다의 특성이 상실될 수 있다. 히드록시산을 비지클 내에 캡슐화함으로써 산과 미백제가 그들의 바람직한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용액내에서 공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액은 그 내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특성의 많은 활성물질 및 여타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조성물은 피부에 발랐을 때 그 효과에 있어 여러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히드록시산의 총량이 약 0.01 내지 약 5 %인 화장용 또는 제약 조성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산의 총량이 약 0.02 내지 약 1.0 %이다. 본 발명에서 의도한 "히드록시산"이란 용어는 알파-히드록시산 및 베타-히드록시산 모두를 이들의 유리산 형태뿐만 아니라 이의 공유결합 유도체의 형태까지 포괄한다. 적절한 히드록시산으로는 알파-히드록시산, 예를 들면 유산, 글리콜산, 시트르산, 알파-히드록시옥탄산, 알파-히드록시데칸산, 알파-히드록시라우르산, 타르타르산, 글루코우론산, 갈락토우론산, 알파-히드록시부틸산, 알파-히드록시이소부틸산, 말산, 만델산, 피루브산, 및 타르트론산 (바람직한 것은 알파-히드록시데칸산 및 알파-히드록시옥탄산) 및 베타-히드록시산, 예를 들면 살리실산 등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공유결합 유도체로는 에스테르, 아미드 및 락톤과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히드록시산을 상기한 양으로 포함하는 라멜라 비지클은 조성물 내에서 약 0.04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캡슐화된 히드록시산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 중량%이다.
화장품 및 제약 활성물질를 캡슐화하고 운반하는데 라멜라 비지클을 사용하는 것은 오래 전에 정립되었다. 이들 비지클은 다수의 지질층을 포함하며, 이 개개의 지질층이 그 층을 분리하는 작은 수성 부피를 둘러싼다. 이런 종류의 비지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85,109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의 내용이 참고로 도입된다.
히드록시산을 캡슐화하는 라멜라 비지클은 지질 성분을 갖는 지질 비지클이다. 본 발명에서 의도한 "지질 비지클"이란 1종 이상의 지질 성분이 자신이 자유롭게 떠다니는 용매의 일부를 포획하는 굴곡진 지질 이중층의 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둥근 자폐 구조를 전부 일컫는 것이다. 지질 비지클은 일반적으로 "리포솜"으로도 불리며, 중심이 같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막의 두께는 약 4 nm인 반면, 리포솜의 크기는 약 20 nm에서 수십 ㎛에까지 이를 수 있다. 리포솜은 본래 자신의 내용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살아있는 세포에 독성이 없는 구형 막으로 둘러싸인 미세한 비지클 또는 낭(囊)이다.
리포솜의 내용물은 리포솜의 이중층으로 봉쇄된다. 인지질은 리포솜 이중층의 일반적인 지질 공급원이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천연 및 합성 인지질, 당지질 및 그외의 지질과 지질 협동작용물 (congener);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그외의 콜레스테롤 협동작용물; 막에 알짜전하 (net charge)를 부여하는 대전된 종류; 리포솜이 형성된 후 반응하여 부가적인 분자를 리포솜 막에 연결시킬 수 있는 반응성 종류; 그 밖에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지용성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지질의 예로는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세레아미드, 세레브로시드 및 포스파티딜글리세라이드 등의 천연 공급원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천연 인지질의 대체물도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등의 합성 인지질, 폴리글리세롤 유도체 등의 합성 양쪽성 물질,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및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물질 및 양이온성 물질 등이 있다.
리포솜은 다양한 방법을 써서 인위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지질 비지클의 제조 방법 대부분은 뱅함 (Bangham)법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문헌 (Bangham et al., J. Mol. Biol., 13: 238-252 (1965))을 참조한다. 지질 비지클에 대한 더 상세한 논의는 본원에 참고도 도입된 문헌 (D. D. Lasc, "Liposomes, From Physics To Applications," Elsevier, New York, 1993)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크기가 다양하고 내부와 외부 구획을 가르는 막 층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일 수 있다.
미백제로는 감초 추출물,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이성질체, 동족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 살리실산, 유산, 티로시나제 억제제 (예를 들면 코지산), 산화방지제 유리 라디칼 트랩, 시클릭 AMP를 억제하는 화합물, 히스타민 아고니스트, 세로토닌 흡수 억제제, 뇌하수체-난소 축 억제제, 비타민 E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떠한 미백제든지 함유할 수 있지만 미백제가 비산성 pH에서 활성이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혜택이 얻어진다. 이런 종류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들이다. 사용될 수 있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예를 들면 지방산의 아스코르빌 에스테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디메틸실라놀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등), 1가, 2가 또는 3가 금속 또는 금속 인산염 (아스코르빌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빌인산칼슘, 아스코르빌인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빌인산칼륨 등), 또는 아스코르브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칼슘, 아스코르브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칼륨 등이 있다. 이런 성분은 전형적으로는 약 0.1 내지 약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약 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아스코르브산은 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의 1가, 2가 또는 3가 금속염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아스코르브산이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의 2가 금속염의 형태인 그의 유도체이다. 이들은 하나씩 또는 둘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의 금속염과 함께, 각기 별개의 라멜라 비지클 내로 캡슐화된 2종 이상의 히드록시산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두 히드록시산 중 하나가 알파-히드록시산이고, 다른 하나가 베타-히드록시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은 조성물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산 및 살리실산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피부를 희게하는 조성물의 성능이 유산과 살리실산에 의해 향상된다. 또한 살리실산은 케라틴분해제로 작용하여 세포 전환율을 증가시키고 조성물에 박탈 특성을 제공한다.
히드록시산이 캡슐화되었다는 것은 산성인 히드록시산이 pH가 더 높은 미백제와 함께 용액내에서 안정하게 공존하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히드록시산을 캡슐화하면, 피부의 가장 효과적인 층에 히드록시산이 머물게 한다. 1종 이상의 히드록시산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하나의 리포솜 내로 또는 별개의 개별 리포솜으로 (어떤 형태든 가능하다) 조성물 내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만일 살리실산이 사용된다면 살리실산은 그것의 운반에 특수하게 맞춰진 리포솜으로 도입된다. 살리실산을 캡슐화하는 적절한 비지클은 살리실산을 캡슐화하는데 몇가지 어려움을 조절하기 위해 유산이 포함된 리포솜과는 약간 달리 설계된다. 따라서 살리실산이 포함된 리포솜 (Salisome (상표)로 알려짐)은 살리실산을 감싸는 리포솜 이중층을 형성하는 막, 극성 수용성 유기 염기 및 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Salisome (상표)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85,109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었다. 유산이 들어있는 리포솜을 제조하는데에는 여러 방법을 쓸 수 있다. 유산이 들어있는 리포솜을 제조하기 위한 많은 기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기법은 리포솜의 지질 이중층을 형성하는 성분과 리포솜 내에 캡슐화될 성분 (이 경우에는 유산)을 리포솜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서 혼합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또한 리포솜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을 마이크로유동기로 처리하면 안정한 라멜라 상태의 리포솜을 대량 제조할 수 있다. 마이크로유동화하면, 보관시 질서정연한 (ordered) 지방 이중층을 유지할 수 있는 리포솜을 형성할 수 있다. 라멜라 비지클을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마이크로유동화기의 사용은 문헌 (Mayhew et al., "Characterization of Liposomes Prepared Using a Microemulsifier," Biochem. et Biophys. Acta., 775, pp. 169-74 (1984))에 기재되어 있다.
국소 도포를 위해서는 미백 조성물을 화장품에 있어서나 제약상 허용가능한 다양한 담체와 함께 제형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제제의 다른 성분을 수용하기 적절한 양으로 제약상 또는 화장품에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할 것이다. "제약상 및(또는) 화장품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담체"란 용어는 활성 성분을 의도한 표적으로 운반하는, 제약 또는 화장 용도 중 어느 하나를 위한 비히클로서 사람 또는 다른 수령 유기체에 유해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약" 또는 "화장"은 사람 및 동물의 제약 또는 화장품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담체는 운반 형태, 예를 들면 용액, 콜로이드성 분산액, 에멀젼, 현탁액, 크림, 로션, 겔, 포움, 무스 등에 적합한 모든 형태일 수 있다.
미백 조성물은 피부에 국소 도포하기에 편리한 모든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형태는 겔, 크림, 분산액, 에멀젼 (유중수 또는 수중유), 현탁액, 로션, 포움, 무스 등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담체는 현탁액, 분산액 또는 에멀젼이다. 에멀젼은 수중유 에멀젼이나 유중수 에멀젼일 수 있다. 이런 에멀젼은 하나 이상의 오일 성분, 수성 성분 및 원하는 에멀젼의 성질에 따라서 선택된 특별한 유화제 성분을 포함한다.
오일 성분은 물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인 모든 제약상 또는 화장품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물질일 수 있다. 이들 물질은 CTFA 국제화장품성분사전 및 미국 약전 또는 그외의 이와 같은 출처에서 찾을 수 있다. 적절한 오일 성분은 천연 오일 (예: 코코넛 오일), 탄화수소 (예: 광유 및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지방 알코올 (예: 옥틸도데칸올), 에스테르 (예: 벤조산 C12-15 알킬), 디에스테르 (예: 디펠라곤산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스테르 (예: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스테롤 유도체 (예: 라놀린), 동물 왁스 (예: 밀랍), 식물 왁스 (예: 카나우바), 광물 왁스 (예: 오조케라이트), 석유 왁스 (예: 파라핀 왁스), 합성 왁스 (예: 폴리에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절한 오일 성분은 실리콘으로서 그 예로는 휘발성 실리콘 (예: 시클로메티콘), 중합성 실리콘 (예: 디메티콘), 중합성 실리콘의 알킬화 유도체 (예: 세틸 디메티콘 및 라우릴 트리메티콘), 중합성 실리콘의 히드록실화 유도체 (예: 디메티콘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성 성분은 주로 또는 우세하게 물로 이루어진 모든 제약상 또는 화장품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물질을 가리킨다.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중유 유화제는 친수성친유성 평형 (HLB)이 8 이상인 유화제 또는 이러한 유화제와 유중수 유화제 (즉, HLB가 약 2 내지 약 6인 유화제) 하나 이상과의 혼합물일 것이다. 이 경우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각 유화제의 종류와 양은 생성된 수중유 유화제 성분의 유효한 HLB가 약 6 이상이 되도록 선택한다. 유화제 혼합물의 유효한 HLB를 합하고 확인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 (L. M. Prince, in M.G. DeNavarre, "The Chemistry and Manufacture of Cosmetics", Volume III, Second Ed., (Continental Press, Orlando, 1975), pp25-37)을 참조한다.
적합한 수중유 유화제로는 소르비톨 유도체 (예: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 에톡실화 알코올 (예: 라우레트-23, PEG-100 스테아레이트 등의 에톡실화 지방산), 아미도아민 유도체 (예: 스테아르아미도에틸 디에틸아민), 술페이트 에스테르 (라우릴황산나트륨), 인산 에스테르 (예: DEA 세틸 포스페이트), 지방산 아민염 (예: TEA 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멀젼은 유중수 에멀젼도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유중수 유화제가 HLB가 6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4인 화장품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모든 유화제를 의미한다. 적절한 유중수 유화제로는 소르비탄 유도체 (예: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및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알콕실화 알코올 (예: 라우레트-4), 중합성 실리콘의 히드록실화 유도체 (예: 디메티콘 공폴리올), 히드록실화 중합성 실리콘의 알킬화 유도체 (예: 세틸 디메티콘 공폴리올), 글리세릴 에스테르 (예: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밀랍 유도체 (예: 이소스테아로일-2 락틸산 나트륨), 레시틴,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 때문에 이 미백 조성물에는 피부 치료에 사용되거나 통상적으로 국소 도포되는 활성제가 혼입될 수도 있다. 조성물의 일부를 이룰 수 있는 그러한 활성제의 예로는 노화 반점, 각질(keratose) 및 주름살을 개선하거나 제거하는 활성제, 진통제, 마취제, 좌창 방지제, 항세균제, 항효모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비듬제, 항피부염제, 진양제, 진토제, 운동멀미 방지제, 소염제, 과다케라틴분해 방지제, 건조피부 방지제, 항발한제, 항건선제, 항지루성피부염제, 모발 컨디셔너 및 모발 치료제, 항노화제, 주름살 방지제, 항천식제 및 기관지 확장제, 태양차단제, 항히스타민제, 창상 치유제, 비타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호르몬 등이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용한 활성제의 더 구체적인 예로는 레티노이드, 국소 심혈관제, 클로트리마졸, 케토코나졸, 미코노졸, 그리세오풀빈, 히드록시진, 디펜히드라민, 프라목신, 리도카인, 프로카인, 메피바카인, 모노벤존, 에리트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클린다마이신, 메클로사일린, 히드로퀴논, 미노사이클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테오필린, 크로몰린, 알부테롤, 레틴산, 13-cis 레티노산, 히드로코르티손, 히드로코르티손 21-아세테이트, 히드로코르티손 17-발레레이트, 히드로코르티손 17-부티레이트, 베타메타손 발레에이트, 베타메타손 디프로프리오네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루오시노나이드, 클로베타솔, 프로프리오네이트, 과산화벤조일, 크로타미톤, 프로프라놀올, 프로메타진,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어떤 주어진 제제에 사용되는 활성제의 양은 그것의 통상의 투여량에 따라서 용이하게 결정된다.
상기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성분이외에, 조성물은 또한 추가의 방부제, 방향제, 에몰리언트, 소독제(antiseptics), 소염제, 항세균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비타민, 안료, 염료, 보습제 및 포사약 및 조성물 내에 존재하여 화장품, 의약 또는 다른 용도로 바람직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은 CTFA 국제화장품성분사전 (위의 책)에서 찾을 수 있다. 사용되는 방부제는 제제 중량의 0.01 내지 2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절한 방부제의 예는 BHA, BHT, 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또는 메틸 파라벤 또는 이들의 이성질체, 동족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반점 치료를 위해 국소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불균일한 피부 색조, 진한 반점 또는 주근깨가 있는 부위에 이런 것들이 나타날 때 또는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바를 수 있다. 그러나 미백 조성물의 이점을 얻는 바람직한 방법은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의 안전한 유효량을 만성적으로 국소도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국소 도포는 대략 하루 걸러 한번에서 매일 약 1 내지 3회까지, 바람직하게는 대략 하루에 1회에서 대략 2회,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회 또는 2회 시행한다. 본원에서 "만성적" 도포란, 국소 도포의 기간이 사용자의 일생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 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개월 내지 약 20년의 기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 개월 내지 약 10 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년 동안이어서 결과적으로 피부에 미백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되는 치료 체계는 사용자마다 멜라닌을 생산하는 멜라닌생성세포의 활성 및 멜라닌을 파괴하는 효소 활성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반점 치료에 이상적인 반면, 필요에 따라서 얼굴 전체에 사용하거나 피부의 다른 부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 효과를 얻고자 하는 부위를 바르고 피부의 그 부위로 조성물을 혼화시킴으로써 피부에 도포된다. 미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세정 체계 이후에 사용된다. 세정 체계는 피부를 비누 또는 다른 형태의 세정제로 세정하고, 비누 잔류물을 토너 또는 클래리파잉 로션 (clarifying lotion)으로 제거하고, 보습 크림 또는 로션을 피부에 바르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3 개의 일반적인 세정 단계 이후에, 피부 색조가 불균일한 피부 영역 또는 피부에서 발견되는 다른 형태의 반점 등과 같은 미백 효과를 원하는 피부 부위에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을 바른다.
본 발명은 다음의 무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유산과 살리실산을 각기 담고 있는 리포솜 및 Salisome (상표) (살리실산이 들어 있는 리포솜)은 미국 뉴욕주 이스트 세타우켓에 위치한 Collaborative Laboratories에서 제공한 것이다. 리포솜, Salisome (상표) 및 미백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리포솜
성분 백분율
1 상
물 60 %
레시틴 3 %
2 상
유산 15 %
페노닢 1 %
3 상
아르기닌 21 %
1 상의 성분을 격렬한 교반을 통해 혼합했다. 2 상의 성분을 첨가하고 1 상의 성분과 혼합했다. 그 다음 마이크로유동화기를 통해 마이크로유동화시켰다. 마이크로유동화후 아르기닌을 첨가했다.
Salisome (상표)
성분 백분율
물 74 %
아르기닌 13 %
살리실산 10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 %
페노닢 1 %
콩 인지질 1 %
아래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얻어졌다. 다음의 단계를 실온 (20 ℃)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했다.
1. I 상 (이하 오일상)의 성분을 서로 혼합한 후, 혼합기로 혼합하면서 II 상 성분을 뿌림으로써 첨가한다.
2. 감초를 부틸렌 글로콜에 용해시키고 상기 오일상에 첨가한다.
3. 별도로, IV 상의 성분을 이들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고, 맑아지면 리포솜 및 Salisome (상표)을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상기 오일상으로 패들 혼합하면서 서서히 가한다.
pH 시험으로 조성물의 pH가 표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리포솜 및 Salisome (상표)이 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스코르빌인산마그네슘이 리포솜 내의 유산 및 Salisome (상표)내의 살리실산의 안정성으로 인해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다는 것을 실증한다.
미백 조성물
성분 백분율
I 상
세틸 디메티콘 공폴리올 2 %
디옥틸 세바케이트 5.5 %
이소헥사데칸 7 %
디메티콘 6 %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0.35 %
II 상
쿼터늄-18 헥토라이트 1 %
III 상
감초 추출물 0.06 %
부틸렌 글리콜 4 %
IV 상
탈염수 59.088 %
아스코르빌인산마그네슘 3 %
파라벤 1 %
시트르산나트륨 2 %
시트르산 0.002 %
V 상
리포솜 6 %
Salisome (상표) 3 %
100 %

Claims (4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캡슐화되지 않은 미백제 유효량과 함께 라멜라 비지클에 캡슐화된 1종 이상의 히드록시산을 포함하며, 상기 미백제가 pH 7 내지 14에서 활성이 최적인 것인 안정한 화장제 조성물.
  25.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캡슐화되지 않은 미백제 유효량과 함께 라멜라 비지클에 캡슐화된 1종 이상의 히드록시산을 포함하며, 상기 미백제가 pH 7 내지 14에서 활성이 최적인 것인 안정한 제약 조성물.
  26. 삭제
  27. 제24 또는 25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가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의 1가, 2가 또는 3가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인 조성물.
  28. 제24 또는 25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이 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29. 제24 또는 25항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 중 1종 이상이 알파 히드록시산인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이 유산인 조성물.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 중 1종 이상이 베타 히드록시산인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이 살리실산인 조성물.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이 1종 이상의 알파 히드록시산 및 1종 이상의 베타 히드록시산인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 히드록시산 및 상기 베타 히드록시산 각각이 별개의 라멜라 비지클에 캡슐화된 것인 조성물.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이 유산 및 살리실산인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 및 살리실산 각각이 별개의 라멜라 비지클로 캡슐화된 것인 조성물.
  38. 제24 또는 25항에 있어서, 용액, 콜로이드성 분산액, 에멀젼, 현탁액, 크림, 로션, 겔, 포움 또는 무스 형태인 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분산액인 조성물.
  40. 제38항에 있어서, 에멀젼인 조성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유중수 에멀젼인 조성물.
  42. 제40항에 있어서, 수중유 에멀젼인 조성물.
  43. 캡슐화되지 않은 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의 1가, 2가 또는 3가 금속염과 함께 별개의 라멜라 비지클에 캡슐화된 2종의 히드록시산을 포함하는 안정한 화장제 조성물.
  44. 캡슐화되지 않은 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의 1가, 2가 또는 3가 금속염과 함께 별개의 라멜라 비지클에 캡슐화된 2종의 히드록시산을 포함하는 안정한 제약 조성물.
  45. 제43 또는 44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산이 유산 및 살리실산인 조성물.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가 아스코르빌인산마그네슘인 조성물.
  47. 1종 이상의 히드록시산을 라멜라 비지클에 캡슐화하는 단계 및 캡슐화된 히드록시산을 캡슐화되지 않은 미백제와 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람 피부의 미백을 위한 안정한 화장제 또는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999-7008377A 1998-01-16 1998-10-26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83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958098A 1998-01-16 1998-01-16
US8/999,580 1998-01-16
US08/999,580 1998-01-16
PCT/US1998/022685 WO1999036053A1 (en) 1998-01-16 1998-10-26 Stabilized whi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280A KR20000076280A (ko) 2000-12-26
KR100483391B1 true KR100483391B1 (ko) 2005-04-15

Family

ID=2554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377A KR100483391B1 (ko) 1998-01-16 1998-10-26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563413B2 (ko)
KR (1) KR100483391B1 (ko)
AU (1) AU1201099A (ko)
CA (1) CA2283574A1 (ko)
TW (1) TWI236911B (ko)
WO (1) WO19990360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469B1 (ko) * 2022-08-31 2023-08-16 주식회사 한국리포좀 비타민 c가 포집된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9329B1 (fr) 1999-02-05 2001-03-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constituee par une emulsion du type huile-dans-l'eau formee de vesicules lipidiques dispersees dans une phase aqueuse contenant au moins un actif acide hydrophile
AU2001245474A1 (en) * 2000-03-07 2001-09-17 Young Pharmaceutical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lightening the skin
GB0006867D0 (en) * 2000-03-21 2000-05-10 Unilever Plc Method and composition for skin lightening
WO2003041665A1 (en) * 2001-11-09 2003-05-22 The Nisshin Oillio, Ltd. Gel-form composition
KR100482355B1 (ko) * 2002-05-02 2005-04-14 주식회사 알로에마임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과 소이이소플라본을 함유한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FR2873292B1 (fr) * 2004-07-23 2008-05-30 Jean Noel Colombani Composes et methodes pour controler la prise d'alcool
JP4799907B2 (ja) * 2005-04-22 2011-10-2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乳化型化粧料
FR2894961B1 (fr) * 2005-12-16 2008-05-16 Oreal Utilisation de ceramides pour depigmenter la peau
KR101252552B1 (ko) * 2006-02-01 2013-04-08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JP2010534702A (ja) * 2007-07-31 2010-11-1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化粧品最終製剤における水溶性成分の保護のためのナノディスパージョンの使用
US20110200545A1 (en) * 2010-02-14 2011-08-18 Nyangenya Maniga Deodorant composi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13523721A (ja) * 2010-03-31 2013-06-17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メラニン色素生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WO2012100366A1 (en) * 2011-01-25 2012-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iposome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JP6725207B2 (ja) * 2015-03-24 2020-07-15 小林製薬株式会社 皮膚色素沈着抑制剤
ES2895910T3 (es) * 2015-06-30 2022-02-23 Sequessome Tech Holdings Limited Composiciones multifásicas
WO2018134714A1 (en) * 2017-01-21 2018-07-26 R&R Salons Pvt. Ltd. Whitening skin care composition based on dihydromyricetin, niacinamide and a ph mod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7692A (en) * 1993-12-30 1997-03-04 L'oreal Depigmenting composition for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the surface layers and deep layers of the skin,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47744T3 (es) * 1993-03-24 2000-10-01 Collaborative Lab Inc Sistema de administracion cosmetico para acido salicilico y proceso para su preparacion.
FR2715844B1 (fr) * 1994-02-04 1996-03-29 Oreal Emulsion contenant de l'acide ascorbique stabilisé, procédé de traitement cosmétique la mettant en Óoeuvre, ses utilisations.
FR2735688B1 (fr) * 1995-06-26 1997-08-14 Oreal Utilisation en association d'un alpha-hydroxyacide et d'un oxyde de titane pour le blanchiment de la peau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7692A (en) * 1993-12-30 1997-03-04 L'oreal Depigmenting composition for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the surface layers and deep layers of the skin, and us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469B1 (ko) * 2022-08-31 2023-08-16 주식회사 한국리포좀 비타민 c가 포집된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201099A (en) 1999-08-02
KR20000076280A (ko) 2000-12-26
JP3563413B2 (ja) 2004-09-08
CA2283574A1 (en) 1999-07-22
JP2000511945A (ja) 2000-09-12
TWI236911B (en) 2005-08-01
WO1999036053A1 (en) 199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391B1 (ko)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6203802B1 (en) Composition for the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treatment of the upper layers of the epidermis by topical application to the skin, and corresponding preparation process
US5972993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osacea and sensitive skin with free radical scavengers
ES2198662T3 (es) Uso de retinoides como agente inductor de la pigmentacion de la piel.
EP0265468B1 (fr) Dispersion de spherules lipidiques
KR100439068B1 (ko) 레티놀을 3중으로 안정화한 화장료
RU2139038C1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акцептора спинов в косметической или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и косметическая или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US6183774B1 (en) Stabilizing vitamin A derivatives by encapsulation in lipid vesicles formed with alkylammonium fatty acid salts
KR20000048910A (ko) 화장용 조성물
CH616087A5 (en) Dispersion of lipid spherules
EP0968704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JPH11503165A (ja) レチノイド類とリポソームを含有するスキンケア組成物
JPH07277918A (ja) 化粧用又は皮膚科用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H08133925A (ja) リパーゼ及び活性な前駆体を含む局所への適用のための生成物
EP1082956A1 (fr) Organogel comprenant un composé hydrophile sensible à l&#39;oxydation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étiques.
KR20010013086A (ko) 물함유 왁스 기초 제품
JPH09110628A (ja) 脂漏症を処理するための活性剤としてアスコルビン酸を含む化粧用および/または皮膚科学用組成物
JP2000026275A (ja) リパ―ゼ、ビタミン前駆体及び脂肪アルコ―ルを含む局所適用用製品
JP2703526B2 (ja) リパーゼとヒドロキシ酸先駆物質を含有する局所適用用製品
US20030017183A1 (en) Dermatological suspensions(micro-matrix)
KR20050026778A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14702A (ja) 皮膚及び/又はケラチン繊維への、化粧的及び/又は薬学的活性剤の浸透を制限する方法
JP2656463B2 (ja) カプセル入りの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用もしくは皮膚科用組成物
JP3987546B2 (ja) パンテチンスルホン酸ベシクル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00001416A (ja) ポリオール含有リポソ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