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552B1 -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552B1
KR101252552B1 KR1020060009665A KR20060009665A KR101252552B1 KR 101252552 B1 KR101252552 B1 KR 101252552B1 KR 1020060009665 A KR1020060009665 A KR 1020060009665A KR 20060009665 A KR20060009665 A KR 20060009665A KR 101252552 B1 KR101252552 B1 KR 10125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ascorbyl
derivatives
whitening cosmetic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166A (ko
Inventor
양정훈
김진한
채병근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0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55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의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유중수분산 제형의 내상에 포집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수분, 온도, 공기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외상에 사용함으로써 비타민C 유도체로 인한 끈적임, 밀림등의 사용상 불편함을 개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C * 비타민C 유도체 * 미백 * 탄력 * 유중수분산 * 실리콘 에몰리언트

Description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vitamin C or derivatives thereof}
본 발명은 고함량의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유중수분산 제형의 내상에 포집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수분, 온도, 공기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외상에 사용함으로써 비타민C 유도체로 인한 끈적임, 밀림등의 사용상 불편함을 개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되게 되면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이 합성되고 방출되어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멜라닌의 합성과정은, 먼저 세포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고,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산화 반응과 효소반응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피부색이 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과정 중 일부반응을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자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합성과정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미백원료로는 코직산, 알부틴, 비타민 A, 비타민 C 등이 있다.
특히 비타민C(Ascorbic acid)는 인체의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연골, 모세혈관, 근육 등의 구성요소인 콜라겐(collagen)의 생성을 촉진하며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여 생기는 화학물질을 파괴하여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항산화제로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주름을 방지하고,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며, 상처난 피부 조직의 치료를 돕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히스타민(Histamin)의 형성을 막고, 노화 과정 중에 피부를 퇴색시키는 멜라민(melamine)의 형성을 막아주는 노화 방지효과 및 미백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타민 C는 γ-락톤과 유사한 구조로서 불안정하여 공기, 특히 산소와 열, 빛 등의 외부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산화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비타민C의 산화반응은 대개 연속적인 두개의 전자전이과정(electron transfer process)으로서, 수소 이온의 해리로 인하여 비타민C의 산화 중간체(intermediate)인 디하이드로아스콜베이트 라디칼이 만들어지며, 이는 반응성이 풍부하고 그 자체가 2분자로 반응하여 1분자의 비타민C와 디하이드로아스코르빈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타민C는 비수용액 중에서는 극소량이 용해되는 반면에 수용액 중에서는 많은 양이 용해되지만, 빠른 산화 작용으로 인하여 충분한 양의 비타민C가 안정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의약, 식품, 화장품 등에서는 활성물질(active ingredient)로서 소량의 비타민C만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비타민C 고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타민C의 구조를 변경한 비타민C 유도체(ascorbic acid derivative)를 사용하여 물, 빛, 공기에 대한 산화 저항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C 유도체를 사용하더라도 비타민C 자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제형 내에서 활성을 잃는 경향이 심하고, 이를 제형에 응용할 경우, 끈적이거나 손에 묻어나는 경우가 심하여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한다. 특히, 고함량의 비타민 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사용할 경우에 이런 문제점이 더욱 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유중수분산 제형의 내상에 포집함으로써 외부의 공기, 수분, 열, 빛, 특히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비타민C의 활성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외상으로서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활용함으로써 피부에 도포시 수분이 흡수 및 증발하여 발생하는 비타민C 유도체 문제점인 끈적임, 손에 묻어남, 밀림 등을 괄목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함량의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면서 사용에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미백화장료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백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가)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 20.0~30.0 중량%; (나)평균 분자량 300~2000의 저분자량 실리콘 에몰리언트 5.0~30.0중량%; (다)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10.0중량%; 및 (라) 잔량의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유중수분산 제형의 내상에 포집하고,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외상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비타민C는 순수한 비타민C 또는 수용성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C 유도체는 소듐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phosphate; SAP),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phosphate; MAP), 칼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Calsium ascorbylphosphate), 아스코르브산폴리펩티드(Ascorbic acid polypeptide),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및 아스코르빌에틸실라놀펙티네이트(Ascorbyl ethylsilanol pect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C 유도체를 사용하여 인체에 적용하면 체내의 포스파타제와 같은 효소에 의해 비타민C로의 분해기작이 확실하기 때문에 비타민C의 미백, 탄력 등의 효과를 그대로 갖는다. 그러나, 유용성 비타민C를 사용할 경우 이 같은 분해기작이 불확실할 뿐 아니라, 인체 내에서 심각한 피부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의 사용은 배제한다.
상기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0~30.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에서는 피부미백 및 탄력에 있어서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 초과에서는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타민C 유도체의 끈적임, 밀림등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부와의 밀착성이 좋고 사용성이 부드러운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함유한다. 실리콘 에몰리언트는 유중수분산 제형의 외상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비타민C 유도체가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고, 피부와의 밀착력을 증진시키고 비타민C 유도체가 밀리거나 손에 묻어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비타민C 유도체가 체내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용매역할을 하는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다량의 비타민C 유도체가 효율적으로 체내흡수 되도록 도와준다.
상기 실리콘 에몰리언트(silicone emollient)는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지만, 디메치콘(dimethicone) 및 사이클로메치콘(cyclo 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에몰리언트는 평균 분자량 300~2000의 저분자량 실리콘 에 몰리언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자량이 300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도를 불안하게 하여 실용성인 측면에서 무의미하기 때문이며, 분자량이 2000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분자량의 증가로 인해 많은 양의 끈적임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끈적임은 분자간의 인력에 의해서 좌우되는 경우가 많은데 분자량이 커지면 분자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이 커지므로 끈적임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상기 실리콘 에몰리언트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5.0~30.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실리콘 에몰리언트의 함량이 5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여 미백화장료로서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30중량% 초과에서는 과다한 비타민C로 인한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가 이온성 그룹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부분전하를 띄고 있는 계면활성제로서 다른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이 에멀젼의 안정도를 향상시킨다. 다만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일반적으로 자극성이 적기 때문에 화장료와 같이 인체와 밀접한 제품에 종종 이용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지만,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디메치콘코폴리올,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10.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으로 너무 소량 사용하게 되면 유중수분산 제형이 불안정하여 수개월 보관시 내상과 외상이 분 리되고, 10중량% 초과로 너무 다량 사용하게 되면 계면활성제로 인한 피부자극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에센스,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유중수분산 형태의 유화제형을 제조하였다. 점도는 약 16,000cps이며, 점도는 Brookfield(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하였다.
조성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1) 물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5.00 5.00
(3)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10.00 10.00
(4)비타민C 유도체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22.00 22.00 22.00 22.00 22.00 22.00 22.00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5)비이온성계면활성제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0 3.0 - - - 3.0 3.0
폴리소르베이트 80 1.0 - 3.0 - - 2.0 2.0
디메치콘코폴리올 1.0 - - 3.0 - - -
(6)실리콘 에몰리언트 디메치콘
(평균분자량 1500)
5.0 20.0 5.0 10.0 - - -
사이클로메치콘
(평균분자량 400)
5.0 - 10.0 5.0 - - 5.0
디메치콘
(평균분자량 5000)
- - - - - - 10.0
(7) 폴리실리콘 11 10.0 - 15.0 15.0 - - 15.0
(8) 씨트릭 에씨드 2.5 2.5 2.5 2.5 2.5 2.5 2.5
<제조방법>
① 먼저 비이커나 플라스크에 성분(1)~(3)을 담고 용해시킨다.
② 상온에서 성분 (4)~(7)을 함께 섞고 충분히 용해시킨다.
③ 상기 ②를 ①에 첨가하여 6000rpm으로 충분히 섞는다.
④ 상기 ③에 성분(8)을 첨가하여 pH를 6.0~7.0사이로 조절한다.
[시험예 1] 비타민C 유도체에 대한 역가 시험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 내에서의 비타민C 유도체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 후의 비타민C 유도체의 역가를 실온, 37℃ 및 40℃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실온 37℃ 40℃
실시예 1 98.2 94.5 92.1
실시예 2 97.1 94.1 93.0
실시예 3 97.5 95.0 91.6
실시예 4 97.4 94.6 90.9
비교예 1 92.2 85.3 80.1
비교예 2 93.0 84.1 79.5
비교예 3 97.3 94.0 92.9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경우가 비교예 1~2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비타민C 유도체의 역가 감소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4와 분자량이 큰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사용한 비교예 3을 비교해 보면 거의 유사한 역가 수준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 부위에 직경 1.5㎝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다음,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하루에 2회씩(아침, 저녁) 매일 도포한 후, 두 달 후에 크로마미터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피부의 명암을 나타내는 "L"값을 구하여 결정하였다(태우지 않은 한국인 피부색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냄). 시험물질을 도포하여 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시험물질들 사이의 비교는 ΔL 값(최종 L값 - 시험물질 도포전의 값)으로 표현하였다. ΔL값이 클수록 미백효과가 큰 것이며, 실험 결과에 따른 ΔL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미백효과(ΔL)
실시예 1 3.21
실시예 2 3.15
실시예 3 3.07
실시예 4 3.40
비교예 1 2.62
비교예 2 2.48
비교예 3 3.21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ΔL값이 비교예 1~2 보다 높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 3의 경우는 실시예 1~4와 거의 유사한 미백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전문 패널에 의한 사용성 시험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를 사용하고 난 후의 피부 밀림, 끈적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피부 밀림, 끈적임 변화의 각 항목에 대하여 제품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1~5점(숫자가 클수록 만족도 높음)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만족도(평균 점수)
피부 밀림 피부 끈적임
실시예1 4.5 4.0
실시예 2 4.4 4.7
실시예 3 4.0 3.9
실시예 4 4.3 4.5
비교예 1 1.5 1.0
비교예 2 1.3 1.2
비교예 3 1.2 1.0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경우 비교예 1~3에 비하여 피부의 밀림, 끈적임을 개선하는 효과가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비교예 3의 경우, 상기 시험예 1~2의 비타민C에 대한 역가 및 미백효과 시험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실시예 4와 유사한 결과를 보인 반면, 전문패널에 의한 사용성 테스트 결과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즉, 분자량이 큰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에 피부 밀림 및 끈적임에 있어서 매우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중수분산 제형을 이용하여 내상에 고함량의 비타민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포집함으로써 비타민 및 비타민C 유도체의 안정도가 더욱 증가하고 인체 미백효능 역시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상으로서 밀착감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실리콘 에몰리언트를 사용함으로써 제형의 끈적임 및 밀림등의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로 유용하다.

Claims (6)

  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가) 비타민C 또는 비타민C유도체 20.0~30.0 중량%;
    (나) 평균 분자량 300 ~ 2000의 실리콘 에몰리언트 5.0~30.0중량%;
    (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10.0중량%; 및
    (라) 잔량의 물
    을 함유하는 유중수분산 제형으로서, 피부 밀림 및 끈적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소듐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phosphate; SAP),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phosphate; MAP), 칼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Calsium ascorbylphosphate), 아스코르브산폴리펩티드(Ascorbic acid polypeptide),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및 아스코르빌에틸실라놀펙티네이트(Ascorbyl ethylsilanol pect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에몰리언트는 디메치콘 및 사이클로메치콘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디메치콘코폴리올,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에센스,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09665A 2006-02-01 2006-02-01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KR10125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65A KR101252552B1 (ko) 2006-02-01 2006-02-01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65A KR101252552B1 (ko) 2006-02-01 2006-02-01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166A KR20070079166A (ko) 2007-08-06
KR101252552B1 true KR101252552B1 (ko) 2013-04-08

Family

ID=3859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665A KR101252552B1 (ko) 2006-02-01 2006-02-01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66A (ko) * 2021-02-24 2022-08-31 한국콜마주식회사 비타민c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7413B1 (ko) * 2022-07-01 2023-04-03 주식회사 덤스토리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447B1 (ko) 2015-12-01 2018-07-23 김배용 생리활성물질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0375A (ko) 2019-06-25 2021-01-05 (주)아모레퍼시픽 무계면활성제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2552A (ko) * 2020-04-01 2021-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비타민 c 산화 방지용 첨가제 조성물
CN115363973B (zh) * 2021-11-16 2023-06-23 广东格烯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4-丁基间苯二酚共输送纳米载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280A (ko) * 1998-01-16 2000-12-26 카렌 에이. 로우니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280A (ko) * 1998-01-16 2000-12-26 카렌 에이. 로우니 안정화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66A (ko) * 2021-02-24 2022-08-31 한국콜마주식회사 비타민c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9047B1 (ko) 2021-02-24 2023-08-23 한국콜마주식회사 비타민c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7413B1 (ko) * 2022-07-01 2023-04-03 주식회사 덤스토리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166A (ko) 200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552B1 (ko)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WO2013187574A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JP2000514843A (ja) 生物学的に活性な成分を含有する安定性組成物
KR20190013101A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00056210A (ko)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WO2002005757A1 (fr) Preparations externes servant a embellir la peau
KR102517413B1 (ko)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1250A (ko)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7153B1 (ko) 실리콘오일 혼합물로 코팅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20070089327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75338B1 (ko) 미백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EP0607642B1 (en)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to the skin for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radiation-induced skin damage
KR102205025B1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418845B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EP1996514B1 (en) Removal of skin changes
KR100292143B1 (ko)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113317B1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879133B1 (ko) 비수유화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692833A (ja) 皮膚外用剤
KR20100033729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74A (ja) 化粧料組成物
KR101432273B1 (ko) 알부틴 및 펙티나아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