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413B1 -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413B1
KR102517413B1 KR1020220081340A KR20220081340A KR102517413B1 KR 102517413 B1 KR102517413 B1 KR 102517413B1 KR 1020220081340 A KR1020220081340 A KR 1020220081340A KR 20220081340 A KR20220081340 A KR 20220081340A KR 102517413 B1 KR102517413 B1 KR 10251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vitamin
wrinkle improve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해
이나은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덤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덤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덤스토리
Priority to KR102022008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413B1/ko
Priority to PCT/KR2023/007307 priority patent/WO2024005381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비타민C를 다량의 수분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수중유 제형으로 이루어지고, 굴절률이 1.35 내지 1.4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wrinkles protection}
본 발명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고함량의 비타민 C 가 함유된 수중유(O/W) 제형의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이 합성되고 피부 표면으로 방출되어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멜라닌은 세포 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고,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산화 반응과 효소반응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멜라닌의 생성과정 중 일부반응을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을 감소시켜 피부색이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과정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미백원료로는 코직산, 알부틴, 비타민 C 등이 있다.
비타민 C는 γ락톤 구조를 갖고 있는 화합물로서, 불안정하여 공기, 특히 산소와 열, 빛 등의 외부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산화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비타민C의 산화반응은 대개 연속적인 두개의 전자전이과정(electron transfer process)으로서, 수소 이온의 해리로 인하여 비타민C의 산화 중간체(intermediate)인 디하이드로아스콜베이트 라디칼이 만들어지며, 이는 반응성이 풍부하고 그 자체가 2분자로 반응하여 1분자의 비타민C와 디하이드로아스코르빈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타민C는 비수용액 중에서는 극소량이 용해되는 반면에 수용액 중에서는 많은 양이 용해되지만, 빠른 산화 작용으로 인하여 충분한 양의 비타민C가 안정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의약, 식품, 화장품 등에서는 활성물질(active ingredient)로서 소량의 비타민C만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비타민 C를 제형 내에서 물이 아닌 다량의 폴리올에 분산시키는 형태의 제형이 개발되었으나, 다량의 폴리올에 비타민 C를 분산하게 되면, 제형이 끈적이고 피부 밀림 현상이 있을 뿐 아니라 비타민 C가 제형 내에 녹지 않아 미백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다량의 수분환경에서도 고농도의 비타민 C가 안정화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35028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함량의 비타민 C를 다량의 수분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감이 개선되고, 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 제형으로 이루어지고, 굴절률이 1.35 내지 1.4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유상부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에몰리언트, 흡유성 분체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수상부는 물, 비타민 C, 폴리올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5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비타민 C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3.2 내지 4.0 p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앰플, 에센스,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토너, 마스크팩, 크림, 로션, 겔, 연고, 패취 및 분무제, 미스트, 선크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량의 수분 속에서 비타민 C가 산화되어 분해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 시에도 제형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경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온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비타민 C가 산화되어 화장료 조성물이 변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노화 방지 및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유상부가 분산된 수중유(Oil in water, O/W) 제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O/W) 제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감이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발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앰플, 에센스,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토너, 마스크팩, 크림, 로션, 겔, 연고, 패취 및 분무제, 미스트, 선크림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상부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에몰리언트(emollient), 흡유성 분체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몰리언트는 비타민 C가 체내에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몰리언트는 비타민 C 가 체내로 흡수될 때 용매역할을 하는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수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다량의 비타민 C는 체내에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몰리언트는 카르복실산기를 가지며, 예를 들어,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PCA 다이메티콘,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유성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분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유성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분을 흡수하여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흡유성 분체로는 비닐 다이메티콘/메티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폴리실리콘-11(POLYSILICONE-11), 폴리실리콘-13(POLYSILICONE-13), 디페닐 다이메티콘/비닐디페닐 다이메티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다이메티콘/비닐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다이메티콘/페닐비닐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henyl 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을 체내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을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실리콘 오일로는 메티콘계 실리콘 오일, 다이메티콘계 실리콘 오일, 사이클로메티콘계 실리콘 오일, 페닐 트리메티콘계 실리콘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부는 물, 비타민 C, 폴리올 및 pH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은 비타민 C 가 용해될 수 있는 용매로 사용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5 중량% 이상으로 함유될 수 있다.
만약, 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5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수분 함량이 적어, 수분감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형이 과도하게 끈적일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 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의 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타민 C는 노화 방지 및 미백 효과를 기능하기 위해 함유될 수 있다.
비타민 C(Ascorbic acid)는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무기질과 함께 5대 영양소에 포함되는 인체에 중요한 필수 영양소 중 하나로, 인체의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 연골, 모세혈관, 근육 등의 구성요소인 콜라겐(Collagen)의 생성을 촉진한다. 또한, 비타민 C는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여 생기는 화학물질을 파괴하여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 C는 항산화제로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주름을 방지하고,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며, 상처 난 피부 조직의 치료를 돕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히스타민(Histamine)의 형성 및 노화 과정 중에 피부를 퇴색시키는 멜라닌(Melanin)의 형성을 막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타민 C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어 노화 방지 및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C는 합성 아스코빅애씨드(ascorbic acid)로서, 구체적으로, 순수 비타민 C에 당이나 지방산, 에테르기 등 화학 성분이 결합된 것으로 체내에서 효소에 의해 순수 비타민 C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C는 소듐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phosphate; SAP),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phosphate; MAP), 칼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Calsium ascorbylphosphate), 아스코르브산폴리펩티드(Ascorbic acid polypeptide),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아스코르빌에틸실라놀펙티네이트(Ascorbyl ethylsilanol pectin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타민 C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만약, 비타민 C 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비타민 C의 양이 적어 화장료 조성물의 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대로, 비타민 C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중량% 초과로 함유될 경우, 비타민 C의 제형 내 함유량이 포화되어, 비타민 C 로 인한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 향상 효과가 30 중량% 이하 함유한 경우 대비 크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은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폴리올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비타민 C가 안정화되지 않아 쉽게 산화하여 분해될 수 있다. 반대로, 폴리올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초과로 함유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끈적이고, 피부에 밀려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조절제는 비타민 C 가 보다 안정화될 수 있도록 수상부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함유될 수 있다.
pH 조절제로는 말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글리콜산, 말론산, 젖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아스파트산, 말레산, 글루타르산, 글루탐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벤조산, 살리실산, 트리에탄올아민, 알지닌, 트로메타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수상부와 유상부를 균일하게 섞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소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소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다이메티콘, 라우릴 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다이메티콘, PEG-10 다이메티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솔베이트20, 폴리솔베이트40, 폴리솔베이트60 및 폴리솔베이트80의 폴리솔베이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계면활성제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수상부와 유상부가 잘 섞이지 않아 두 물질 간에 층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계면활성제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초과로 함유될 경우,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거나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가 피부 내로 흡수되는데 가장 최적화된 산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3.2 내지 4.0의 pH를 가질 수 있다.
만약,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3.2 미만일 경우, 너무 강한 산도에 의해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다. 반대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4.0 초과일 경우, 아스코빅애씨드가 아스코빅애씨드염의 형태로 평형이 이동해 환원된 형태인 아스코빅애씨드의 함량이 줄어들어 항산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가 다량의 수중에서 안정화될 수 있는 굴절률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1.35 내지 1.46의 굴절률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상부, 수상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중유 제형의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굴절률이 특수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다량의 수분 내에서도 비타민 C의 제형 안정성을 유도하여 장기간 보관시에도 활성이 저하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굴절률이 수상부의 굴절률과 유상부의 굴절률 사이의 범위로 매칭됨에 따라, 비타민 C의 광분해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이러한 광분해 산화반응은 낮은 pH (예를 들어, pH 4.0 이하)에서 더욱 잘 유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pH 3.2 내지 4.0 범위에서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기는 어려운 기술적 과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굴절률을 유상부 및 수상부 사이의 굴절률로 제어함으로써, 광의 굴절, 산란에 의한 광분해 산화반응을 억제할 수 있고, 낮은 pH 범위내에서도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수중에서 비타민 C 가 안정화되어 있으므로, 체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노화 방지 및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굴절률과 비타민 C에 대한 경시 안정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함량을 각기 상이하게 하여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2는 [표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구성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5 8 8 8 8 8 8 8 8 8 8 8
다이메티콘 2 2 2 2 2 2 2 2 2 2 2 2


글리세린 25 25 25 20 5 5 5 3 3 3 3 3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하이드록사이드 0.01 0.01 0.01 0.01 0.05 0.05 0.05 0.05 0.05 0.05 0.3 0.3
아스코빅애씨드 30 20 15 10 10 15 20 10 15 20 5 2
계면활성제 폴리솔베이트 60 1 1 1 1 1 1 1 1 1 1 1 1
비교예 1 내지 5 는 [표2]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구성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5 8 8 8 8
다이메티콘 2 2 2 2 2


글리세린 60 50 0 0 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하이드록사이드 0.05 0.05 0.05 0.05 0.05
아스코빅애씨드 20 20 15 10 2
계면활성제 폴리솔베이트 60 1 1 1 1 1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유상부의 실리콘 오일로는 다이메티콘이 사용되었으며, 카르복실산을 갖는 에몰리언트로는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가 사용되었다.
또한, 수상부의 폴리올로는 글리세린이 사용되었으며, pH 조절제로는 소듐하이드록사이드가 사용되었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제조를 완료한 뒤, 각각의 조성물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이 때, 굴절률은 Reichert AD200 디지털 굴절계를 이용하여 20℃에서 시료를 적치하여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굴절률 pH
실시예 1 1.46 3.25
실시예 2 1.45 3.28
실시예 3 1.43 3.29
실시예 4 1.42 3.30
실시예 5 1.40 3.43
실시예 6 1.41 3.42
실시예 7 1.40 3.43
실시예 8 1.38 3.44
실시예 9 1.36 3.45
실시예 10 1.37 3.43
실시예 11 1.36 3.81
실시예 12 1.35 3.80
비교예 1 1.49 3.43
비교예 2 1.48 3.42
비교예 3 1.47 3.43
비교예 4 1.34 3.45
비교예 5 1.33 3.45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12는 1.35 내지 1.46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예 1 내지 5는 1.35 내지 1.46을 벗어난 범위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5 화장료 조성물 30ml를 인큐베이터에서 50℃로 세팅하여 보관한 후 시간에 따른 비타민 C의 함량분석 및 변색 유무를 [표 4]과 같이 확인하였다.
구분 변색유무
(50℃, 4주)
아스코빅애씨드
함량
(0주)
아스코빅애씨드
함량
(50℃, 2주)
아스코빅애씨드
함량
(50℃, 4주)
실시예 1 변색없음 100.30% 97.30% 95.20%
실시예 2 변색없음 101.20% 99.30% 97.20%
실시예 3 변색없음 99.70% 97.50% 96.30%
실시예 4 변색없음 100.00% 99.20% 98.30%
실시예 5 변색없음 99.80% 98.50% 97.20%
실시예 6 변색없음 101.10% 99.20% 97.50%
실시예 7 변색없음 100.30% 99.40% 96.30%
실시예 8 변색없음 99.90% 98.10% 96.10%
실시예 9 변색없음 100.50% 98.70% 96.00%
실시예 10 변색없음 101.00% 98.30% 95.10%
실시예 11 변색없음 100.30% 99.20% 98.50%
실시예 12 변색없음 100.00% 98.90% 97.30%
비교예 1 변색 101.30% 89.30% 77.30%
비교예 2 변색 101.10% 91.20% 82.30%
비교예 3 변색 100.60% 93.10% 81.30%
비교예 4 변색 100.30% 90.20% 79.50%
비교예 5 변색 100.20% 91.10% 81.20%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12의 경우, 4주 경과 시에도 변색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비교예 1 내지 5는 4주 경과 시, 변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의 경우, 장기간 보관 시, 비타민 C의 역가 감소가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12는 2주 경과시에도 비타민 C의 함량이 3.0% 이하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비교예 1 내지 5는 2주 경과 시 비타민 C의 함량이 7.5% 이상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의 경우, 4주 경과 시에도 비타민 C의 역가 감소가 적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12는 4주 경과시에도 비타민 C의 함량이 5.9% 이하로 감소되었다.
이와 반대로,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 4주 경과 시 비타민 C의 함량이 18.8% 이상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12는 1.35 내지 1.46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비타민 C 가 산화되어 분해되는 것이 억제되며, 이에 장기간 보관 시에도, 비타민 C의 역가 감소가 최소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는 1.35 내지 1.46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비타민 C가 산화되어 화장료 조성물이 변색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 1.35 내지 1.46을 벗어난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비타민 C가 산화되어 분해되고, 이에 장시간 보관 시, 비타민 C의 역가 감소가 최소화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며, 변색을 방지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1.35 내지 1.46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빛에 의해 비타민 C 및 물이 광분해 되어 비타민 C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3.2 내지 4.0범위의 낮은 pH에서도 우수한 제형 안정성 및 경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간동안 보관하더라도 비타민 C의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수분 및 비타민 C를 함유하므로, 촉촉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노화 방지 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수중유 제형으로 이루어지고,
    pH가 3.2 내지 4.0이고,
    굴절률이 1.35 내지 1.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에몰리언트;
    흡유성 분체;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물;
    비타민 C;
    폴리올;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5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앰플, 에센스,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토너, 마스크팩, 크림, 로션, 겔, 연고, 패취 및 분무제, 미스트, 선크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81340A 2022-07-01 2022-07-01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7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340A KR102517413B1 (ko) 2022-07-01 2022-07-01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23/007307 WO2024005381A1 (ko) 2022-07-01 2023-05-26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340A KR102517413B1 (ko) 2022-07-01 2022-07-01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413B1 true KR102517413B1 (ko) 2023-04-03

Family

ID=8593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340A KR102517413B1 (ko) 2022-07-01 2022-07-01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7413B1 (ko)
WO (1) WO2024005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81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덤스토리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118A (ja) * 1996-04-01 1997-10-14 Kao Corp 肌色改善美容剤
KR20030011844A (ko) * 2000-05-16 2003-02-11 펜타팜아게 화장용 활성 조성물
KR20040085825A (ko) * 2003-04-01 2004-10-08 주식회사 인 바이오넷 비타민c-안정화 액상 조성물
KR101252552B1 (ko) * 2006-02-01 2013-04-08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40078149A (ko) * 2012-12-17 2014-06-25 코웨이 주식회사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모공 및 주름을 커버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9191A (ko) *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8275A (ko) * 2020-06-23 2021-12-30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실리콘유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50285B1 (ko) 2021-05-26 2022-01-13 (주)나우코스 비타민c 유도체와 머루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413B1 (ko) * 2022-07-01 2023-04-03 주식회사 덤스토리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118A (ja) * 1996-04-01 1997-10-14 Kao Corp 肌色改善美容剤
KR20030011844A (ko) * 2000-05-16 2003-02-11 펜타팜아게 화장용 활성 조성물
KR20040085825A (ko) * 2003-04-01 2004-10-08 주식회사 인 바이오넷 비타민c-안정화 액상 조성물
KR101252552B1 (ko) * 2006-02-01 2013-04-08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40078149A (ko) * 2012-12-17 2014-06-25 코웨이 주식회사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모공 및 주름을 커버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9191A (ko) * 2013-10-29 2015-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8275A (ko) * 2020-06-23 2021-12-30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실리콘유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50285B1 (ko) 2021-05-26 2022-01-13 (주)나우코스 비타민c 유도체와 머루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비타민C 앰플, 화장품에 대한 모든 것" (2020.04.24.)* *
네이버 블로그, "비타민C 화장품의 이상적인 비타민 함량과 pH에 대한 논문 리뷰" (2020.05.0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81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덤스토리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381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634B1 (ko) 인산화당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1186081B1 (ko) 기능성 분체
EP1033985B1 (en) Stable ascorbic acid preparation for topical use
RU2764769C2 (ru) Продукты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 двухфазной системой
KR102517413B1 (ko)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1123B1 (ko) 혼합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3101A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252552B1 (ko) 비타민c 또는 비타민c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90071250A (ko)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3131B1 (ko) Aha, 우레아,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각질 연화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8275A (ko)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실리콘유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83040B1 (ko) 아트락틸레놀라이드 i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US11229586B2 (en) Surfactant-free cosmetic composition
JP2002370962A (ja)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KR102418845B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JPH08113525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KR102293928B1 (ko) 우고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65413B1 (ko) Prim-O-글루코실시미푸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23208B1 (ko)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7785A (ko)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3621B1 (ko) 베타하이드록시산 및 트리클로산을 함유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79133B1 (ko) 비수유화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34463A (ko) 아스코르브산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32273B1 (ko) 알부틴 및 펙티나아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제의 제조방법
KR20220134425A (ko) 아스코르브산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