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785A -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785A
KR20180087785A KR1020170012281A KR20170012281A KR20180087785A KR 20180087785 A KR20180087785 A KR 20180087785A KR 1020170012281 A KR1020170012281 A KR 1020170012281A KR 20170012281 A KR20170012281 A KR 20170012281A KR 20180087785 A KR20180087785 A KR 20180087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279B1 (ko
Inventor
김윤관
김성은
강내규
한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1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퀴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여 우수한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을 구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n은 30 내지 50이다.

Description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mposition having improved emulsion stability comprising hydroquinone}
본 발명은 하이드로퀴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여 우수한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을 구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30 내지 50이다.
피부가 햇빛을 받으면 멜라노사이트가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 내면서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나타나는데 이를 기미, 주근깨라고 한다. 동양인보다 금발이나 붉은 머리카락을 가진 사람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후천성 질환이다. 자외선에 의해 발생이 촉진되지만,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여성호르몬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나이, 생리 주기, 임신 여부 등에 의해 정도가 변화한다.
많은 이들이 기미, 주근깨를 치료하기 위해 병원에서 레이저나 화학물질을 이용한 박피 시술을 받기도 하고, 미백 화장품 혹은 의약품을 이용하기도 한다. 기미, 주근깨 치료용 화장품 혹은 의약품의 경우,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로퀴논, 레티노산 등의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그 중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물질 중 하나이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수분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다량의 정제수가 배합되는 유화 제형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약산성 이상의 pH에서도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화 제형 pH를 낮추는 경우가 많지만, 낮은 pH에서는 유화물의 경시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과량의 왁스나 유화제를 첨가할 경우 끈적임과 백탁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한 화장료 제품은 유화 제형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지 않고, 유화 제형으로 제조된 것들이라도 낮은 유화 안정성에 의해 분리, 고상 원료의 석출 등이 일어나고 보관 기간이 늘어날수록 제형이 경화되는 현상이 확인된다.
미국 출원특허(US2015-0290121)는 하이드로퀴논의 안정성 및 무자극성 국소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나이아신아마이드, a-알부틴, 코직산 등의 활성 물질을 연속상에 첨가해 효율이 높고 자극이 낮은 하이드로퀴논 함유 수중유형 에멀전을 제시한다.
미국 출원특허(US2014-0161746)는 하이드로퀴논의 산화에 의한 갈변을 막기 위해 금속 이온을 방출하지 않도록 보호막을 씌운 탱크에서 하이드로퀴논, 보존제, 킬레이트제, 유화제, 보습제, pH 조절제, 항산화제, 에몰리언트, 환원제 등을 포함하는 에멀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위 발명들은 하이드로퀴논의 자극 완화, 변색 방지 등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다량의 정제수가 포함되는 유화 제형으로 제조된 많은 제품들이 가지는 나쁜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에 대한 인식이나 근본적 해결 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이드로퀴논이 배합된 안정한 수중유형 유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30개 내지 50개의 옥시에틸렌기를 포함하는 폴리옥실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유화제로 배합함으로써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면서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퀴논에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유화제로 배합함으로써,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백탁 현상, 끈적임 없이 사용감이 좋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30 내지 50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드로퀴논,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n은 30 내지 50이다. 구체적으로는 n은 35 내지 45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배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실질적으로 안정한 유화물이 형성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의 점도가 크게 떨어지고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백탁 현상과 끈적임으로 인해 사용감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배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실질적으로 안정한 유화물이 형성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이 경화되고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백탁 현상과 끈적임으로 인해 사용감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는 40개의 옥시에틸렌기를 포함하는 폴리옥실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모두 첨가한 하이드로퀴논 함유 조성물에서 경시 안정성과 사용감이 모두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표 3 및 표 4)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는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하이드로퀴논 1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은 0.1 내지 1 중량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는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오일, 비휘발성 에몰리언트 또는 둘 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오일은 수분증발차단제, 모발컨디셔닝제, 피부유연화제로 주로 사용된다. 이는 화장품 로션의 기름진 느낌을 감소시키고 부드러운 발림성과 사용감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 특유의 휘발성으로 인해 빨리 흡수가 되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3 내지 2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1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배합량이 0.3 중량부 미만이면 사용감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의 고온 안정성이 떨어져 쉽게 층 분리가 일어나고 실리콘에 의한 뻑뻑한 사용감이 과도하게 느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일 수 있고,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휘발성 실리콘오일은 디메치콘 5cs, 디메치콘 6cs, 디메치콘 20cs, 디메치콘 100c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휘발성 실리콘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휘발성 에몰리언트는 유분을 공급하는 성분으로, 피부 세포의 간극 사이에 유분이 스며들게 한다. 건성용 에센스, 로션, 크림 등에 함유되어 보습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비휘발성 에몰리언트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3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 내지 2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배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유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오일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수상 층 분리가 쉽게 일어나고 과도한 오일감으로 사용감이 좋지 않다.
상기 비휘발성 에몰리언트는 옥수수오일, 목화씨오일, 올리브오일, 피넛오일, 동백오일, 참깨오일, 콩오일, 스쿠알란, C12- 15알킬 벤조에이트,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올리에이트,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 팔미테이트, 올레인산 및 올레일 알코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폴리올 또는 둘 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장기간 진열되거나 뚜껑을 열어 방치한 경우 기름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산화 방지제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0.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0.3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0.03 내지 0.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소듐설파이트, 소듐하이드로젠설파이트,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포타슘설파이트, 포타슘하이드로젠설파이트, 포타슘메타바이설파이트,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및 a-토코페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올은 정제수와 같이 물질을 녹이기 위한 용매로 사용되고, 피부 위에 하나의 막을 형성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속도를 늦추기 때문에 보습제로도 작용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7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1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600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점증제, 글리세린, 보조제, pH조절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를 들어 지방 물질, 유기용매, 점증제,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pH조절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뿐만 아니라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와 함께 일반 화장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화장품(cosmedical, cosmeceutical)"이란 화장품에 의약품의 전문적인 치료기능이 도입되어, 생리활성적인 효능, 효과가 강조된 전문적인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서,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를 곱게 태우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퀴논, 30개 내지 50개의 옥시에틸렌기를 포함하는 폴리옥실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을 구현한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제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아래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다.
1. 경시 안정성
제조된 제형을 40℃, 0℃, cycle, RT(상온) 조건에서 4주 동안 보관한 후 유수상의 층 분리, 고상 원료 석출, 면 상태가 매끈하고 균일한지 등을 육안으로 관찰해 평가하였다.
2. 사용감
제조된 제형을 5명의 평가자들이 발라본 후 발림성, 흡수성, 끈적임, 백탁 현상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전반적인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8 : 다양한 유화제를 사용한 조성물의 경시안정성 및 사용감 평가
<비교예 1>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하이드로퀴논 4.0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중량부,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스쿠알란 10.0 중량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중량부를 완전히 분산혼합해 70℃로 유지된 유상 용액을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0.03 중량부,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중량부, 첨가제(점증제, 보존제, pH 조절제 등) 적량,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해 70℃로 유지된 수상 용액에 투입해 10분간 4,000rpm(T.K. Robomix)으로 유화하였다. 유화 후 제형이 뭉치지 않도록 서서히 교반하며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대신에 폴리소르베이트60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대신에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4>
비교예 1에서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대신에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5>
비교예 1의 유상에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6>
비교예 2의 유상에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과 동일하다.
<비교예 7>
비교예 6에서 폴리소르베이트60 대신에 폴리옥실8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하다.
<비교예 8>
비교예 6에서 폴리소르베이트60 대신에 폴리옥실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하다.
하기 표 1에 비교예 1 내지 8의 조성을 기재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하이드로퀴논 4.0 4.0 4.0 4.0 4.0 4.0 4.0 4.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1.5 1.5
폴리옥실8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2.0 2.0
폴리옥실100스테아레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60 2.0 2.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2.0
스쿠알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2.0 2.0 2.0 2.0 2.0 2.0 2.0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첨가제(점증제, 보존제, pH 조절제 등)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 사용감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3단계로 하였고, 좋음(o), 보통(△), 나 쁨(x)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경시 안정성(40℃) x x x x x x x x
경시 안정성(0℃) x x x x
경시 안정성(cycle) x x x x x x x x
경시 안정성(RT) x x x x
사용감 x x x x x
비교예 1 내지 4는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비교예 1) 또는 소르비탄스테아 레이트(비교예 3) 중 하나만 사용하거나, 이들 외에 다른 유화제로 교체한 경우(비 교예 2, 비교예 4), 모두 보관 중 유수상 분리 또는 왁스 석출 등으로 경시 안정성 이 떨어졌고, 끈적임이나 뻑뻑함 등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폴리옥실8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비교예 7), 폴리옥실100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비교예 8)를 유화제로 사용한 경우에도 경시 안정성과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7 :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유화제로 배합
<실시예 1>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하이드로퀴논 4.0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중량부,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스쿠알란 10.0 중량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중량부를 완전히 분산혼합해 70℃로 유지된 유상 용액을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0.03 중량부,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중량부, 첨가제(점증제, 보존제, pH 조절제 등) 적량,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해 70℃로 유지된 수상 용액에 투입해 10분간 4,000rpm(T.K. Robomix)으로 유화하였다. 유화 후 제형이 뭉치지 않도록 서서히 교반하며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스쿠알란 대신에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스쿠알란 함량을 7.0 중량부로 줄이고, 유상에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3.0 중량부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유상에 디메치콘 6cs 1.0 중량부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대신에 아스코빌팔미테이트 0.15 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디프로필렌글리콜을 12.0 중량부로 줄이고, 수상에 글리세린 3.0 중량부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수상에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0.03 중량부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하기의 표 3에 실시예 1 내지 7의 조성을 기재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하이드로퀴논 4.0 4.0 4.0 4.0 4.0 4.0 4.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1.5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스쿠알란 10.0 7.0 7.0 7.0 7.0 7.0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10.0 3.0 3.0 3.0 3.0 3.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2.0 2.0 2.0 2.0 2.0 2.0
디메치콘 6cs 1.0 1.0 1.0 1.0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0.03 0.03 0.03 0.03 0.03
아스코빌팔미테이트 0.15 0.15 0.15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2.0 12.0
글리세린 3.0 3.0
첨가제(점증제, 보존제, pH 조절제 등)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 사용감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3단계로 하였고, 좋음(o), 보통(△), 나 쁨(x)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경시 안정성(40℃)
경시 안정성(0℃)
경시 안정성(cycle)
경시 안정성(RT)
사용감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 내지 7은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배합하여 유화제로 사용한 경우로서, 모두 우수한 경시 안정성과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3과 실시예 1을 비교해 볼 때, 폴리옥실40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배합하여 함께 사용할 때,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경시 안정성과 사용감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하이드로퀴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n은 30 내지 5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오일, 비휘발성 에몰리언트 또는 둘 다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5cs, 디메치콘 6cs, 디메치콘 20cs, 디메치콘 100cs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에몰리언트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에몰리언트는 옥수수오일, 목화씨오일, 올리브오일, 피넛오일, 동백오일, 참깨오일, 콩오일, 스쿠알란, C12- 15알킬 벤조에이트,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올리에이트,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 팔미테이트, 올레인산 및 올레일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폴리올 또는 둘 다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0.5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소듐설파이트, 소듐하이드로젠설파이트,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포타슘설파이트, 포타슘하이드로젠설파이트, 포타슘메타바이설파이트,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및 a-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60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부의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퀴논 1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0.1 내지 1 중량부의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12281A 2017-01-25 2017-01-25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81A KR102646279B1 (ko) 2017-01-25 2017-01-25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81A KR102646279B1 (ko) 2017-01-25 2017-01-25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85A true KR20180087785A (ko) 2018-08-02
KR102646279B1 KR102646279B1 (ko) 2024-03-11

Family

ID=6325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81A KR102646279B1 (ko) 2017-01-25 2017-01-25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867A1 (ko) 2018-07-27 2020-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050A (ko) * 2002-02-06 2003-08-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4963A (ko) * 2013-07-03 2015-01-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3300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2264A (ko) * 2016-03-31 2017-10-12 김진황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우레탄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050A (ko) * 2002-02-06 2003-08-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4963A (ko) * 2013-07-03 2015-01-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3300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2264A (ko) * 2016-03-31 2017-10-12 김진황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우레탄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867A1 (ko) 2018-07-27 2020-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279B1 (ko)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0398B1 (en) Skin care compositions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9883998B2 (en) Methods for lightening skin using arbutin compositions
JPH1112150A (ja) 安定性が改善され、かつ送達が高められた自己日焼けジヒドロキシアセトン製剤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1997002803A1 (fr) Preparation externe pour la peau
DE602004012440T2 (de) Sprühbare zusammensetzung zur verabreichung von vitamin d derivaten
KR20060053893A (ko)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TW202203912A (zh) 非水性局部調配物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JP2002161027A (ja) 炎症および紅斑の減少方法および組成物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012498A (ja) 外用組成物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87785A (ko)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TW202308591A (zh) 化妝料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138679B2 (ja) 刺激緩和剤
JP2005132828A (ja) 外用組成物
KR20180032842A (ko)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83121B2 (ja) ラベンダー油と補酵素qを含む化粧料
JP2020015699A (ja) 皮膚化粧料
JPH0692833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