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932A -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932A
KR20150081932A KR1020140001936A KR20140001936A KR20150081932A KR 20150081932 A KR20150081932 A KR 20150081932A KR 1020140001936 A KR1020140001936 A KR 1020140001936A KR 20140001936 A KR20140001936 A KR 20140001936A KR 20150081932 A KR20150081932 A KR 2015008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wax
emulsion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467B1 (ko
Inventor
김도훈
태미령
조영석
남개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00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4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 및 오일(oil), 왁스(wax) 및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측면에서 오일,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자신을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가꾸며, 자외선이나 건조 등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해서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과 사회활동의 증가로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피부를 가꾸고 건강하게 유지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제형의 기초 및 색조 화장품이 연구·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피부 건성화를 개선시켜 주는 피부 보습효과의 화장품에 대한 고객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 즉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함으로써,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 이들 각질층 표면은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으로 만들어진 얇은 천연 보호막이 감싸져 있어서 수분의 증발을 예방한다. 즉, 물을 머금고 있는 스폰지(각질층)를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비닐 랩(천연 보호막)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피부 환경 변화, 냉/난방의 인위적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자외선,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외부에서 피부 보습력, 피부장벽기능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humectant)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aer)를 사용하여 결국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하는 방식을 사용해 왔다. 휴멕턴트로는 거의 대부분 폴리올류를 사용해 왔는데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물질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에 도포시 폴리올의 고유 점성과 물성으로 인하여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었고, 건조한 환경에 가면 보습력이 떨어지고 수용성이라는 한계 때문에 보습지속력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감이 산뜻하고 외부로부터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시켜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진 새로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 및 오일(oil), 왁스(wax) 및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의 중량비가 1:1.5 ~ 1:3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방 알코올 및 오일의 중량비는 일측면에서 1:4 ~ 1:6일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수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 성분은 오일,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산뜻하며 도포 후 막감이 있다. 또한, 피부 온도에서 에멀젼의 입자들이 자연스럽게 녹아 박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촉촉함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분자 구조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수상에 반고체상의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수중유형 제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에멀젼은 하나의 액상에 섞이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액상이 분산되어 있는 액-액 분산계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수 ㎛에서 수백 ㎛의 크기 분포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내상 성분(유상 성분)으로, 오일(oil), 왁스(wax) 및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외상 성분(수상 성분)으로, 정제수(deionized water) 및 기타 수용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은 예를 들어 트리에칠헥사노인, 디메치콘, 세틸옥타노에이트, 디카프릴레이트와 디카프레이트의 혼합물,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토코페놀아세테이트 및 카프릴릭와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로서, 매도우폼씨 오일(Meadowform seed oil), 해바라기 오일(Sunflower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녹차씨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Macadamia oil),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 오일, 보리지 오일, 카멜리아 오일, 카놀라 오일, 파마자유, 옥수수 오일, 목화씨 오일, 달맞이꽃 오일, 야자핵 오일, 말레산염화 대두유, 인지질유, 평지씨 오일, 장미 열매 오일, 대두유 등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은 매도우폼씨 오일(Meadowform seed oil)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원하는 제형의 사용감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특정 함량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오일의 함량이 적을수록 보습감은 떨어질 수 있다. 일측면에서 상기 오일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 다른 일측면에서 0.1 내지 40 중량%, 또 다른 일측면에서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오일의 함량"은 에멀젼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오일상 구성 성분의 총량을 의미하며, 상기 오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보습감 및 에몰리언트(emollient)한 사용감이 저하되어 사용성이 떨어지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유화 입자가 커져서 유화 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피부 온도에서 잘 녹을 수 있기 위해서 녹는점이 낮은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왁스의 녹는점은 50~70℃일 수 있으나, 사용하는 왁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측면에서 상기 왁스는 카르누바, 세라신, 세틸 에스테르류, 미정질 왁스, 몬탄 왁스, 지랍, 합성 왁스 등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0.1 내지 30 중량%, 다른 일측면에서 0.2 내지 20 중량%, 또 다른 일측면에서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 알코올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세틸 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 등과 같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지방 알코올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0.1 내지 25 중량%, 다른 일측면에서 0.5 내지 20 중량%, 또 다른 일측면에서 1.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슈크로오스 폴리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퀴올레에이트, 솔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계면활성제는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 즉 계면활성제의 물과 기름에 대한 친화성의 정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또는 계면활성력이 너무 좋은 경우에는 입자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0 내지 1 중량%, 다른 일측면에서 0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수용성 물질은 비타민과 같은 유용성 성분, 수용성 보습제, 색소, 향, 방부제 또는 점증제 등일 수 있으며, 수용성 물질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양친매성 성질을 갖는 물질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기타 수용성 물질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의 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서, 천연 고분자 화합물, 반합성 고분자 화합물 및 합성 고분자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은 중량비에 있어서, 일측면에서 1:0.5 ~ 1:4의 비율, 다른 일측면에서 1:1 ~ 1:3.5의 비율, 또 다른 일측면에서 1:1.5 ~ 1:3의 비율일 수 있다.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이 상기 비율을 갖는 경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에서 비교적 균일한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방 알코올 및 오일은 중량비에 있어서, 일측면에서 1:3 ~ 1:7의 비율, 다른 일측면에서 1:3.5 ~ 1:6.5의 비율, 또 다른 일측면에서 1:4 ~ 1:6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 알코올 및 오일의 중량비는 약 1:5이다.
지방 알코올 및 오일이 상기 비율은 갖는 경우, 피부 유사 온도에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입자가 이물감 없이 알갱이 입자가 사르르 잘 녹아 사용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조성물이 도포된 후 피부에 막이 형성된 것과 같은 사용감이 있으며, 피부의 촉촉함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분자 구조를 도 2에 모형으로 나타내었으며, 수상에 반고체상(semi-solid particle)의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수중유형 제형을 가질 수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오일,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내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정제수(deionized water) 및/또는 기타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외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투입하면서 천천히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하는 단계의 가열 온도는 일측면에서 40~100℃, 다른 일측면에서 50~90℃, 또 다른 일측면에서 55~8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 온도는 약 70℃이다. 상기 교반하는 단계에서 교반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측면에서 1~30분, 다른 일측면에서 2~25분, 또 다른 일측면에서 5~20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반 시간은 약 10분이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수상 성분은 점도가 낮을수록 입자 모양이 구형으로 잘 제조되기 때문에 냉각을 통해 입자를 석출시킨 후에, 추가로 점증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교반하는 단계는 일측면에서 50~350 rpm, 다른 일측면에서 100~300 rpm의 저속으로 유상과 수상을 혼합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아지 믹서 또는 패들 믹서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패들 믹서를 사용하여 150~250 rpm의 저속으로 유상과 수상을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고온에서 장시간 동안 교반을 하게 되면, 입자들이 쪼개져 작은 크기의 입자들이 많이 생성되게 되므로, 초기 가온한 온도가 너무 높거나 스케일이 커서 냉각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는 약 55℃까지 자연 냉각을 시킨 후 냉각수를 사용하여 빠르게 냉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피부, 점막, 두피 또는 모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크림, 팩, 젤, 패치 또는 스프레이(미스트)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또는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의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각각의 함량(단위: 중량%)으로 따로, 75℃까지 가온하였다. 그 후,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투입하면서 패들 믹서를 사용하여 200 rpm의 저속으로 10분간 천천히 교반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천천히 냉각하여 입자를 생성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Lanette 22, Cognis 사) 1.5 1.5 3 4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Witco사, 미국) 1.5 1 1 1
매도우폼씨 오일(Meadowform seed oil) (Cropure Meadowfoam, Croda Europe,Ltd.) 7 7 9 12
왁스:지방 알코올 (중량비) 1:1 1:1.5 1:3 1:4
지방 알코올:오일 (중량비) 1:4.7 1:4.7 1:3 1:3
상기 실시예의 수행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모두 입자를 가진 수중유형 에멀젼이 제조되었다. 각각을 손등에 발라 사용감을 느껴본 결과, 비교예 1의 경우 입자 크기가 너무 작고 만졌을 때 몽글거리는 느낌이 있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는 구형으로 입자 크기도 적당하고, 깨짐성도 적당하였다. 다만, 비교예 2의 경우는 실시예 1에 비해서, 입자가 더 단단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했다. 비교예 3의 경우는 입자가 너무 단단하여 이물감이 느껴졌다. 즉, 오일,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으로 새로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었다. 특히,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의 중량비가 1:1.5 ~ 1:3의 비율을 만족하며, 지방 알코올 및 오일의 중량비가 1:4 ~ 1:6의 비율을 만족하는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입자 크기가 사용하기에 적절하고 피부 온도에서 잘 녹아내리며, 깨짐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상기 실시예 1로 제조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어서 도 1에 나타내었다(도 1 참조).
[실시예 2]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하기 표 2의 함량(중량%)으로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되, 유상 성분에 계면활성제를 추가하였다.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 함량(중량%)
수상 성분 정제수 Up to 100
유상 성분 계면활성제 0.3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Lanette 22, Cognis 사)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Witco사, 미국) 1
매도우폼씨 오일(Meadowform seed oil) 7
[시험예 1] 수중유형 에멀젼의 안정도 검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시험 물질로 하여, 상온(25℃), 냉장(4℃), 냉동(-20℃), 및 45℃의 항온조에서 4주 동안 보관하면서 크리밍(creaming) 또는 오일 분리 등의 발생 여부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의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모두, 크리밍 및 오일 분리 등의 발생 없이 안정하게 본래의 조성물 입자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제형예 1] 화장수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또는 2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또는 2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마사지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또는 2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팩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또는 2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0.2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젤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또는 2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0.5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연고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또는 2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9)

  1.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 및
    오일(oil), 왁스(wax) 및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의 중량비가 1:1.5 ~ 1:3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 및 오일의 중량비가 1:4 ~ 1:6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매도우폼씨 오일(Meadowform seed oil), 해바라기 오일(Sunflower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녹차씨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Macadamia oil),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 오일, 보리지 오일, 카멜리아 오일, 카놀라 오일, 파마자유, 옥수수 오일, 목화씨 오일, 달맞이꽃 오일, 야자핵 오일, 말레산염화 대두유, 인지질유, 평지씨 오일, 장미 열매 오일, 대두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카르누바, 세라신, 세틸 에스테르류, 미정질 왁스, 몬탄 왁스, 지랍, 합성 왁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은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세틸 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퀴올레에이트, 솔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유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수상 성분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 성분은 오일, 왁스 및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40001936A 2014-01-07 2014-01-07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36A KR102175467B1 (ko) 2014-01-07 2014-01-07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36A KR102175467B1 (ko) 2014-01-07 2014-01-07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932A true KR20150081932A (ko) 2015-07-15
KR102175467B1 KR102175467B1 (ko) 2020-11-06

Family

ID=5379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936A KR102175467B1 (ko) 2014-01-07 2014-01-07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4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750A (zh) * 2015-11-25 2016-02-17 杨挺 孕妇专用的茶油护肤乳
KR20230012707A (ko) * 2021-07-16 2023-01-2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외곽 에멀전층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170A (ko) * 2009-03-20 2010-09-29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부염착방지용 신속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211A (ko) *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7020A (ko) * 2010-11-26 2012-06-05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172A (ko) * 2012-02-10 2013-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170A (ko) * 2009-03-20 2010-09-29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부염착방지용 신속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211A (ko) * 2010-06-25 2012-01-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7020A (ko) * 2010-11-26 2012-06-05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172A (ko) * 2012-02-10 2013-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750A (zh) * 2015-11-25 2016-02-17 杨挺 孕妇专用的茶油护肤乳
KR20230012707A (ko) * 2021-07-16 2023-01-2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외곽 에멀전층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467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1353B1 (en) Method of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US6534071B1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cellulose fibrils, and its uses, especially cosmetic uses
CN102361626B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3105B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20000062704A (ko)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36341A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265A (ko) 천연 스크럽 원료를 고함량 함유하는 안정한 폴리올중유형 조성물
KR102070557B1 (ko) 세라마이드 함유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0168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BR112017023693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ou dermatológica na forma de uma nanoemulsão de óleo-em-água, uso cosmético da composição e uso da composição
KR100482355B1 (ko)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과 소이이소플라본을 함유한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110058240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5307A (ko)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