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938A - 오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938A
KR20180074938A KR1020160178727A KR20160178727A KR20180074938A KR 20180074938 A KR20180074938 A KR 20180074938A KR 1020160178727 A KR1020160178727 A KR 1020160178727A KR 20160178727 A KR20160178727 A KR 20160178727A KR 20180074938 A KR20180074938 A KR 2018007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amino acid
oil cosmetic
thicken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591B1 (ko
Inventor
황윤균
남미희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7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5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액상의 오일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성형 가능한 정도의 경도를 가져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화장료 조성물 {Oi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바디 오일, 페이셜 오일, 헤어 오일과 같은 오일상 제품에 적용 가능한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서,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한 오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도포용 오일은 여러 가지 오일들의 복합체로서, 피부에 보습력과 윤기를 부여하여 매끄러운 피부를 가꾸기 위하여 사용한다.
특히, 오일은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운 가을이나 겨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바디 오일의 사용예를 보면, 주로 목욕 후에 물기를 닦아낸 상태에서 온 몸에 발라주게 되는데, 보통은 손바닥 위에 오일을 일정량 덜어낸 후 사용한다. 이 과정에 오일의 낮은 점도로 인해 손가락 사이 등으로 오일이 흘러내릴 수 있으며, 미끄러진 바닥 상태로 인해 사용자가 넘어질 수도 있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에서도 오일이 흘러내려서 고르게 바르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오일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종래 액상 제형 이외에 오일을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제를 이용하여 오일을 여러 가지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오일에 부가적인 첨가제를 가할 경우, 오일의 제형은 다양화할 수 있으나, 발림성, 사용감, 보습력과 같은 오일의 화장료로서의 고유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28355호는 오일 성분을 이용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오일 성분을 스틱 형태로 제조하였으나, 바디 오일, 페이셜 오일, 헤어 오일과 같은 스킨 케어 제품으로는 제조된 바가 없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81195호는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는 바디 오일에 관한 것으로, 덱스트린계 점증제를 과량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감, 발림성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 고유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화장료로서의 고유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제형으로 성형 가능한 물성을 가지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28355호,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81195호,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는 투명 바디 오일"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오일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소량만 사용하여도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젤, 스틱, 큐브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의 성형이 가능하고, 종래 액상의 오일 화장료 조성물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이 가능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일 및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미네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천연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젤, 스틱 및 큐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젤, 스틱, 큐브를 비롯한 여러 가지 제형으로 성형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소량의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종래 액상의 오일 화장료 조성물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성형이 가능할 정도의 경도를 가져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오일, 페이셜 오일, 헤어 오일과 같은 오일상 제품의 원료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서, 젤 상으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서, 큐브 형태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큐브 형태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이 개별 포장되어 제품화된 사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큐브 형태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이 시판되는 상품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성형 가능한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동시에 종래 액체 오일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및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오일에 점성을 부여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이 성형 가능한 정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과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의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동일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낮아 성형이 불가능하고, 4 중량% 초과이면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 역시 원하는 형태로 성형이 불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의 함량이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에 속할 경우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이 성형 용이할 정도의 경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의 함량이 0.5 중량% 내지 2 중량%인 경우 사용감 측면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미네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천연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느,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헥사노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오일은 동물성 및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을 의미할 수 있다.
동물성 오일의 예로는 생선 오일(fish oil), 소 기름, 돼지 기름, 양 기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물성 오일은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오일일 수 있으며, 해바라기씨 오일, 캐놀라유, 야자유, 옥수수유, 면실유, 평지자유, 아마인유, 홍화씨유, 귀리유, 올리브유, 땅콩유, 유채유, 쌀겨유, 아마씨유, 참깨유, 대두유, 피마자유, 동백유, 피마자유, 호호바유, 아몬드 오일, 포도씨오일, 허브 오일, 장미 오일, 코코넛 오일, 모링가 오일, 살구씨 오일, 메도폼시드 오일 및 아비시니안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 올레핀계 탄화수소 오일,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 오일 등이 있으며,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어 상용화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성형하기에 용이한 정도의 경도를 가져 젤, 스틱 및 큐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서, 젤 상으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서, 큐브 형태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큐브 형태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이 개별 포장되어 제품화된 사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큐브 형태로 제형화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이 시판되는 상품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젤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제품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큐브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제품화될 수 있으며, 사용 및 휴대하기에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오일, 페이셜 오일, 헤어 오일을 비롯한 오일상 제품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을 이용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ICID)와 세틸옥타노에이트(KSCI, KQC)에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2중량%를 첨가하여 140 ℃로 가열하여 투명하게 될 때까지 용해시켰다.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한 다음, 미네랄유(KQC), 미네랄오일(KSCI), 마카다미아테르니폴리아씨드오일,헬리안투스아누스(선플라워)씨드오일(해바라기씨오일) 및 향료를 첨가한 다음 실온(25 ℃)까지 냉각시켜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대신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2중량%를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0.25 중량%와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0.25 중량%를 함께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0.5 중량%와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0.5 중량%를 함께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1 중량%와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1 중량%를 함께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2 중량%와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2 중량%를 함께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오일 미네랄 오일 미네랄유(KQC)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미네랄오일(KSCI)
에스테르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ICID) 70 70 70 70 70 70
세틸옥타노에이트(KSCI, KQC)
식물성 오일 마카다미아테르니폴리아씨드오일 5 5 5 5 5 5
헬리안투스아누스(선플라워)씨드오일(해바라기씨오일) 5 5 5 5 5 5
첨가제 향료 0.5 0.5 0.5 0.5 0.5 0.5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2 - 0.25 0.5 1 2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 2 0.25 0.5 1 2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인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과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인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3 중량%와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3 중량%를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인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4 중량%와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4 중량%를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인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5 중량%와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5 중량%를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 대신 덱스트린계 오일 점증제인 덱스트린팔미테이트 2 중량% 및 덱스트린미리스테이트 2 중량%를 첨가하여,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오일 미네랄 오일 미네랄유
(KQC)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미네랄오일(KSCI)
에스테르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ICID) 70 70 70 70 70
세틸옥타노에이트(KSCI, KQC)
식물성 오일 마카다미아테르니폴리아씨드오일 5 5 5 5 5
헬리안투스아누스(선플라워)씨드오일(해바라기씨오일) 5 5 5 5 5
첨가제 향료 0.5 0.5 0.5 0.5 0.5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 3 4 5 -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 3 4 5 -
덱스트린계 오일 점증제 덱스트린팔미테이트 - - - - 2
덱스트린미리스테이트 - - - - 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경도, 안정성 및 사용감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1) 경도
오일 화장료 조성물 제조 후, 30 ℃에서 보관하고 레오미터 장치(CR-500DX-L(S))를 이용하여 익일 경도를 측정하였다.
(2) 안정도
-15 ℃, 상온(25 ℃), 30 ℃, 45 ℃ 및 60 ℃에서 4주 동안 보관 후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오일이 베어나오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안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오일이 베어나오지 않을수록 안정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양호, ○: 보통, △: 미흡
(3) 관능평가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스틱 형태로 성형한 스틱형 바디오일을 제조한 후, 상기 스틱형 바디오일의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이 좋을수록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양호, ○: 보통, △: 미흡
경도
(N/mm2)
안정도 관능평가
-15℃ 25℃ 30℃ 45℃ 60℃ 발림성 사용감 보습력
실시예 1 250
실시예 2 236
실시예 3 84
실시예 4 196
실시예 5 960
실시예 6 4720
비교예 1 액상형태
비교예 2 8030
비교예 3 측정불가
비교예 4 측정불가
비교예 5 250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적정량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6의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성형 가능한 정도의 경도를 나타내며, 안정도가 우수하고,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아미노산계 점증제가 포함되지 않은 조성물로서, 액상형태로 제조되므로 경도 측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는 실시예 1 내지 6에 비해 많은 양의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서,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며, 관능평가 결과 역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 및 4는 레오미터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경도의 상한치를 벗어나므로 경도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5는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 대신 덱스트린계 오일 점증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일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덱스트린계 오일 점증제를 4 중량% 사용하여도 성형 가능할 정도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5는 안정감과 사용감이 좋지 않아 젤, 스틱 및 큐브와 같은 제형으로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점증제로서 아미노산계 점증제를 0.5 내지 4 중량% 만큼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6의 오일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사용감 및 보습력을 포함하는 관능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원하는 형태로 성형 가능한 정도의 경도를 나타내는 바,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오일 및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4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미네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천연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 스틱 및 큐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78727A 2016-12-26 2016-12-26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264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727A KR102644591B1 (ko) 2016-12-26 2016-12-26 오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727A KR102644591B1 (ko) 2016-12-26 2016-12-26 오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938A true KR20180074938A (ko) 2018-07-04
KR102644591B1 KR102644591B1 (ko) 2024-03-07

Family

ID=6291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727A KR102644591B1 (ko) 2016-12-26 2016-12-26 오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721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실리콘 기반 화장품 성분에 의한 사용감 구현용 실리콘 대체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355A (ko) 2008-09-04 2010-03-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639A (ko) * 2009-12-23 2011-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1195B1 (ko) 2004-03-24 2011-11-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는 투명 바디 오일
KR101454199B1 (ko) * 2012-09-03 2014-10-21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7629B1 (ko) * 2016-02-16 2016-09-20 주식회사 인터코스 자외선 차단용 오일젤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95B1 (ko) 2004-03-24 2011-11-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는 투명 바디 오일
KR20100028355A (ko) 2008-09-04 2010-03-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639A (ko) * 2009-12-23 2011-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4199B1 (ko) * 2012-09-03 2014-10-21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7629B1 (ko) * 2016-02-16 2016-09-20 주식회사 인터코스 자외선 차단용 오일젤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된 내용(https://www.musingsofamuse.com/2016/02/milk-makeup-hydrating-oil-stick-review.html)(2016.02.2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721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실리콘 기반 화장품 성분에 의한 사용감 구현용 실리콘 대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591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732295T3 (es) Composiciones cosméticas con color, cómodas, de larga duración y resistentes a la transferencia
KR101815024B1 (ko)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KR101895906B1 (ko) 펩타이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70391B1 (ko)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5463A (ko) 비수계 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593543B1 (ko) 피부 위 전상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4938A (ko)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CN111344044A (zh) 包含阴离子丙烯酸类共聚物和亲脂性聚合物的乳液
KR20220044256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14379B1 (ko)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741959B1 (ko) 유/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피부도포시 상전이 성질을갖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389979B2 (ja) ゲル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化粧料
KR102527894B1 (ko)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612A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25349B1 (ko) 식물성버터를 포함하는 유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9590A (ko)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KR102274296B1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2354098B1 (ko) 샤베트 타입의 세안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