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849B1 -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849B1
KR101811849B1 KR1020150105088A KR20150105088A KR101811849B1 KR 101811849 B1 KR101811849 B1 KR 101811849B1 KR 1020150105088 A KR1020150105088 A KR 1020150105088A KR 20150105088 A KR20150105088 A KR 20150105088A KR 101811849 B1 KR101811849 B1 KR 10181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owder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963A (ko
Inventor
이계호
오민선
이상연
김성준
박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Publication of KR2016001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Abstract

본발명은
a) 휘발성 오일 및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천연송진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유상 성분;
b) 계면활성제;
c) 유기계헥토라이트 및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성분; 및
d) 정제수 및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끈적임이 적고 피부 도포시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소량의 수분을 가진 역미셀에 의해 신규한 제형을 가짐에 따라 많은 양의 파우더를 배합할 수 있어 커버력이 우수하며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며 일정한 점성을 가지며 수분 보호막으로 인해 보습감을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moisturizer and transfer resistant ability for long lasting concealing effe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결점을 감출 수 있는 커버력(concealing)을 가지면서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력이 우수하고, 뛰어난 보습력으로 피부 당김 현상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결점을 감출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중, 유중수형에멀젼(water-in-oil(w/o) emulsion)은 유상, 수상, 유화제 및 안료를 함유하고 일정한 점성을 유지하여 보편적인 제형으로 널리 사용된다. 점성에 의해 크림(cream)이나 로션(lotion)의 형태를 지니지만 비휘발성 오일의 함량과 유상 점증제 성분이 많아 사용감이 무겁다. 파우더 성분만으로 제조된 고상 화장료의 경우에는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한 사용감이 있지만, 사용시 가루가 많이 날리고, 쉽게 깨지며, 지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파우더 성분을 유상 성분에만 분산시킨 화장료가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오일을 사용함에 따라 내수성 및 지속력은 우수하지만, 사용감이 무거우며, 수상성분이 없고 화장막이 두껍고 딱딱하기 때문에 피부 당김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수중유형 에멀젼(oil-in-water(o/w) emulsion) 제형의 경우에도, 피부 도포 후 쉽게 묻어나고, 특히 외부 피막형성 성분이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쉽게 지워지며, 지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화장료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놀랍게도 유중수형 제형에서 수상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포함하는 제형으로 화장료를 구성하는 경우, 가벼운 사용감으로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고 일정한 점성을 가지므로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유상, 수상 피막 형성제를 동시에 함유할 수 있고 커버력이 우수하여 묻어나지 않으면서 오래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결점을 감출 수 있는 커버력(concealing)을 가지면서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력이 우수하고, 피부 당김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가벼운 사용감으로 커버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휘발성 오일 5 내지 50 중량%,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0.1 내지 5 중량%,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0.1 내지 5 중량%, 천연송진 0.1 내지 30.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5 내지 30.0 중량%를 함유하는 유상 성분;
b)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c) 유기계헥토라이트 0.5 내지 30 중량% 및 분체 0.5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파우더 성분; 및
d) 정제수 0.5 내지 20.0 중량% 및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VP, vinyl pyrrolidone)코폴리머 0.01 내지 3.00 중량%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모든 성분의 중량%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천연 송진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에 가온 용해하는 단계;
(ⅱ) 휘발성 오일 및 분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iii) 계면활성제에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유기계헥토라이트를 투입 후 혼합하는 단계; 및
(iv)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정제수에 따로 용해시킨 후, 단계 (i) 내지 (iii)에서 제조된 물질들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송진에 의해 고형화된 색소와 파우더 성분이 피부에 밀착됨에 따라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에 지워지지 않아 워터 프루프 기능이 우수하고, 지속력이 우수하며, 수상 성분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가 피부에 수분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 당김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커버력 및 수분 보유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휘발성 오일을 고용량으로 함유하여도 소량의 수상 성분에 의해 작은 역미셀을 형성하여 매우 안정한 점성을 이룰 수 있으며 파우더 성분에 의해 신규한 제형으로 가벼운 발림감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는 과정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휘발성 오일과 함께 천연 송진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에 가온 용해시킨 후,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와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휘발성 오일을 첨가하는 경우, 휘발성 오일이 휘발하면서 천연송진에 의해 파우더 성분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제수와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의 수상부를 투입하는 경우, 이러한 수상부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점성이 있는 신규한 제형으로 보습막을 형성하여, 발색의 지속력이 우수하면서 피부 당김 현상이 감소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인 유중수형(w/o) 에멀젼 제형은 유상으로 왁스, 지방산 고급 알콜, 수상으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등과 유화제, 및 파우더(안료 등)로 구성되어 있어 무거운 질감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과 파우더상, 소량의 수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매우 가벼운 신규한 제형을 나타낸다. 본 신규한 제형은 고온과 저온의 상태에서도 유상과 파우더상 및 수상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계면활성제가 오일의 유상 성분과 적정 소량의 수상 성분에 작용하여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파우더 성분의 밀착과 역미셀의 형성으로 인해 점성을 지니면서 신규한 제형을 나타내어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나아가,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가볍게 발리면서, 역미셀의 외측 휘발성 오일이 휘발되어 2 이상의 경도를 가진 송진과 분체에 의해 파우더리한 느낌을 나타내면서도 수상의 수분막에 의해 피부가 건조하거나 당기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구체적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상 성분 중, 천연송진은 딱딱하게 굳은, 경도 2의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천연송진은 피부에 우수한 유용성 피막을 형성시키는 성분으로서, 상기 파우더 성분을 피부에서 밀착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경도를 가지므로 피부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종래의 유중수형 및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과 유상으로만 구성된 제형에 비하여 화장료가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물에 잘 지워지지 않으며 우수한 지속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존의 수상이 배제된 유상으로만 구성된 화장료들은 휘발성 오일에 의해 피부에서 파우더 성분이 잔존하여 피부에 건조한 느낌을 제공하고 다량의 오일과 파우더에 의해 안정성이 불안하지만 본 발명은 소량의 수상 성분이 역미셀 형태로 함유되어 휘발이 쉽지 않으면서 피부에 오랫동안 보습력을 제공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유상으로만 구성된 제형의 경우 피부에 건조한 느낌을 제공하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역미셀 형태의 수상 성분이 직접 피부에 접촉하므로 이로 인해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상 성분 중, 휘발성 오일은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분산시키고, 조성물의 발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매이다. 상기 휘발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분산성 및 발림성 향상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휘발성 오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메티콘(methicone) 및 디메티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상 성분 중 디메티콘은 점도가 0.1 내지 10 cps로 극저점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cps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0.65 cp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유상 성분 중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는 송진의 용매 역할을 하여 휘발성 오일과의 상용성(compatibility)을 높혀준다.
상기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은 발수성 및 피부 당김 현상 완화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상과 각 유상 성분들의 총합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40 내지 7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과 수상이 역미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바람직하게 피이지(PEG, polyethylene glycol)-10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와사이클로펜타실록산의 혼합물, 또는 세틸피이지/피피지(PPG, polypropylene glycol)-10/1 디메티콘을 사용할 수 있고,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휘발성 성분의 휘발에 따라 색소 성분이 송진에 밀착되어서 통상적인 다른 제형의 화장료에 비하여 우수한 커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파우더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각 파우더 성분의 총합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우더 성분 중, 유기계헥토라이트는 피부에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도포력을 부여하며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포함되는 성분으로서,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hector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ternium-18 hectorite), 및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hector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우더 성분 중, 분체는 피지를 흡착하고, 피부 커버력을 향상시키며, 조성물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탈크, 실리카, 및 나일론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체는 조성물의 발림성을 고려하여 그 형상이 구상 또는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체는 조성물 내에서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화합물로 표면 코팅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메티콘(methicone), 메틸폴리실록산(methylpolysiloxane), 디메티코놀스테아레이트(dimethiconol stearate),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및 디메티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실리콘 화합물로 표면 코팅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체의 함량은 커버력, 발림성 및 화장료의 색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으로서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 중에서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는 수용성 피막 형성제로 점도를 증가시켜 흘러내리지 않는 제형을 형성하면서 수분 보습막을 형성하여, 상기 유용성 피막 형성 성분인 천연 송진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묻어남이 적고, 물에 잘 지워지지 않으며 지속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게 한다. 바람직하게, 각 수상 성분의 총합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methoxycinnamate),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벤조페논-3(bezophenone-3), 벤조페논-4(bezophenone-4), 벤조페논-8(bezophenone-8),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digalloyltrioleate), 3-(4-메틸벤질리덴)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멘틸안트라닐레이트(menthylanthranil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옥틸트리아존(octyltriazone), 및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nobezo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성분비에 따라 액체 파운데이션(liquid foundation), 로션 파운데이션(lotion foundation), 크림 파운데이션(cream foundation), 컨실러(concealer), 썬 로션(sun lotion), 또는 썬 크림(sun cream), 비비 로션(bb lotion), 비비 크림(bb cream) 등의 색조 화장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천연 송진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에 가온 용해하는 단계;
(ⅱ) 휘발성 오일 및 분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iii) 계면활성제에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유기계헥토라이트를 투입 후 혼합하는 단계; 및
(iv)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정제수에 따로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i) 내지 (iii)에서 제조된 물질들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천연 송진은 딱딱하게 굳은 물성을 나타내는, 구체적으로 경도 2 이상의 것을 의미하고, 단계 (i)에서 상기 천연 송진을 가온 용해하는 온도 범위는 35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다.
또한, 상기 분체, 계면활성제, 유기계헥토라이트 등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나아가, 상기 단계 (ii)에서 휘발성 오일 및 분체를 균일하기 혼합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혼합 장치를 1 이상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교반기(mixer) 및 다단 롤러(multi-step roller)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iv)에서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정제수를 혼합하기 위해서도 공지의 혼합 장치를 1 이상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호모믹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묻어나지 않는 견고한 저항성, 높은 피부 보습력, 빠른 밀착력 및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 유중 수형(w/o) 제형으로 인해 끈적임이 적고 휘발성 오일의 사용으로 인해 피부 도포시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수상의 수분막으로 인해 보습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중수형에멀젼은 다량의 파우더상 및 수상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도포성이 떨어져 화장을 고르게 할 수 없는 것에 비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 소량의 수분을 가진 역미셀에 의해 특유의 신규한 제형을 가짐에 따라 많은 양의 파우더를 배합할 수 있어 커버력이 우수하며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며 일정한 점성을 가지며 수분 보호막으로 인해 보습감을 부여하는 장점을 나타내므로, 묻어남이 적고, 피부 보습력이 높으면서도, 밀착력이 빠르고, 제형 안정성이 높은 화장료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0 내지 49세 여성 피검사자 5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관능평가한 결과, 피부 당김과 건조감이 없으면서도 색 지속력과 묻어나지 않음이 뛰어남을 확인하였고, 보습력 평가에서도 피부 도포시 50 내지 59 A.U.의 탁월한 보습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① 내지 ⑤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및 함량비(단위: 중량%)로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분 1, 2을 평량 후 40℃에서 메인 교반조에서 용해하였다. 성분 3 내지 10을 각각 평량하여 교반조에 넣고 고속 교반기로 혼합한 후, 3단 롤러로 3회 처리하여 더욱 균일하게 혼합 후 메인 교반조에 투입하였고, 나머지 11 내지 20를 메인 교반조에 투입하였다. 여기에 성분 21를 22에 용해 후 메인 교반조에 첨가하고 교반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① 실시예② 실시예③ 실시예④ 실시예⑤
1 송진
(Rosin)
0.3 1.0 15.0 0.5 7.0
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2.0 3.0 25.0 2.0 15.0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Cyclopentasiloxane)
17.0 30 10 15 25
4 디메티콘(dimethicone) 13.0 9.0 26.0 15.0 40.0
5 산화철(iron oxides[CI 77491, CI77492, CI77499]) 2.04 2.04 2.04 2.04 2.04
6 이산화티탄
(titanium dioxide[CI 77891])
16.0 16.0 16.0 16.0 16.0
7 탈크
(Talc)
2.97 2.97 2.97 2.97 2.97
8 트리에톡시카프릴리실란
(triethoxycaprylylsilane)
0.06 0.06 0.06 0.06 0.06
9 나이론
(Nylon-12)
0.5 0.5 0.5 0.5 0.5
10 실리카
(Silica)
2.0 2.0 2.0 2.0 2.0
11 피이지-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PEG-10Dimethicone/Vinyl DimethiconeCrosspolymer&Cyclopentasiloxane)
2.0 2.3 1.8 1.5 2.5
12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Cetyl PEG/PPG-10/1 Dimethicone)
2.0 1.5 1.7 2.5 2.3
13 이소도데칸(isododecane) 17.4 26.1 13.05 34.8 21.75
14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0.6 0.9 0.45 1.2 2.5
15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KSG16]) 7.0 10.0 5.0 13.0 3.0
16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Crosspolymer, [DC9041])
3.0 2.0 3.0 1.0 0.5
17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hectorite)
2.0 3.0 1.5 4.0 0.75
18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
0.03 0.03 0.03 0.03 0.03
19 방부제 0.5 0.5 0.5 0.5 0.5
20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ethylhexylmethoxycinnamate)
5.0 5.0 5.0 5.0 5.0
21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1 1.0 1.2 0.8 0.7
22 정제수
(Water)
10 10 10 10 10
비교예 ① 내지 ⑤
하기 표 2과 같은 조성 및 함량비(단위: 중량%)로 비교예 ① 내지 ⑤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분 1, 2를 평량 후 40℃의 메인 교반조에서 용해하였다. 성분 3 내지 11을 각각 평량하여 교반조에 넣고 고속 교반기로 혼합한 후, 3단 롤러로 3회 처리하여 더욱 균일하게 혼합 후 메인 교반조에 투입하였고, 나머지 12 내지 22를 메인 교반조에 투입하였다. 여기에 성분 23 내지 25를 26에 용해시킨 후 메인 교반조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① 비교예 ② 비교예 ③ 비교예 ④ 비교예 ⑤
1 송진
(Rosin)
0.1 - - 3.0 -
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2.0 3.0 5.0 3.0 10.0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Cyclopentasiloxane)
17.0 30 10 15 25
4 디메티콘(dimethicone) 13.0 9.0 26.0 15.0 40.0
5 산화철(iron oxides[CI 77491, CI77492, CI77499]) 2.04 2.04 2.04 2.04 2.04
6 이산화티탄
(titanium dioxide[CI 77891])
16.0 16.0 16.0 16.0 16.0
7 탈크
(Talc)
2.97 2.97 2.97 2.97 2.97
8 트리에톡시카프릴리실란
(triethoxycaprylylsilane)
0.06 0.06 0.06 0.06 0.06
9 나이론
(Nylon-12)
0.5 0.5 0.5 0.5 0.5
10 실리카
(Silica)
2.0 2.0 2.0 2.0 2.0
11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3.0 3.0 3.0 3.0 -
12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trimethylsiloxysilicate)
5.0 10.0 15.0 - 25.0
13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PEG-10Dimethicone/Vinyl DimethiconeCrosspolymer&Cyclopentasiloxane)
- - 2.6 0.5 0.5
14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Cetyl PEG/PPG-10/1 Dimethicone)
2.0 5.0 - 1.0 -
15 이소도데칸(isododecane) 17.4 26.1 13.05 34.8 21.75
16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0.6 0.9 0.45 1.2 2.5
17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dimethiconecrosspolymer) 7.0 10.0 5.0 13.0 3.0
18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hectorite)
2.0 3.0 1.5 4.0 0.75
19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
0.03 0.03 0.03 0.03 0.03
20 방부제 0.5 0.5 0.5 0.5 0.5
21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ethylhexylmethoxycinnamate)
5.0 5.0 5.0 5.0 5.0
22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Crosspolymer)
3.0 1.0 10.0 2.0 0.1
23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0.1 2.0 - - -
24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 Pyrrolidone)
0.5 0.9 2.0 - -
25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 - 0.1 - -
26 정제수
(Water)
7.0 10 10 - -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묻어남 및 물에 지워지지 않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색 지속성, 묻어나지 않는 정도, 피부 당김 및 건조감'은 관능 평가를 하였으며 보습력은 기기측정 평가를 실시하였다.
묻어남 및 물에 지워지지 않는 정도 측정
A) 묻어남 정도는 사람의 피부[(가로)×(세로)= (3cm)×(3cm)]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0.1 g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약 10분 경과 후 휴지를 이용하여 도포 부위를 눌러준다. 이때 휴지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B) 물에 지워지지 않는 정도는 인공 피부[(가로)×(세로)= (3cm)×(3cm)]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0.1 g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약 10분 경과 후 시료를 물에 침적시켜 자동 쉐이커(shaker) 안에서 1시간 동안 인위적으로 조성물이 물에 씻겨 나가도록 하여 시험 전/후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각각 3회씩 반복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무게 변화가 적다는 것은 묻어남이 적고, 또한 물에 씻겨남이 적어 지속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구 분 실시예 ① 실시예 ② 실시예 ③ 실시예 ④ 실시예 ⑤
묻어남 정도(Δ㎎) 1.9 1.1 0.1 1.4 0.5
물에 지워지지
않는 정도(Δ㎎)
0.6 0.2 0.01 0.3 0.1
구 분 비교예 ① 비교예 ② 비교예 ③ 비교예 ④ 비교예 ⑤
묻어남 정도(Δ㎎) 10.9 15.3 13.1 7.8 6.2
물에 지워지지
않는 정도(Δ㎎)
1.9 2.1 2.0 1.0 1.2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① 내지 ⑤는 비교예 ① 내지 ⑤에 비하여 묻어남 정도 및 물에 지워지지 않는 정도가 우수하였다.
즉, 비교예 ①는 유중수상제형으로 송진이 함유되어 있으나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는 함유하지 않는 제형이며 비교예 ②는 송진과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가 모두 함유하지 않은 유중 수상 제형으로 비교예 ③은 송진은 함유하지 않으나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은 함유한 유중수상제형이며 비교예 ④는 송진은 함유하나 수상 성분이 없는 유상 제형만으로 비교예 ⑤는 송진과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모두 함유하지 않는 유상제형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진을 함유한 비교예 ① 및 ④ 제형은 묻어남의 현상이 적게 발생하였으나 비교예 ① 제형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가 없어 실시예 제형보다 묻어남 정도가 많으며, 비교예 ④ 제형은 유상 제형으로 묻어남은 우수하지만 보습감이 부족하여 피부 담김 현상이 발생했다. 비교예 ② 및 ③ 제형은 송진을 함유하지 않아 묻어남 현상이 송진 함유 제형보다 많으며 비교예 ⑤ 제형은 비록 송진을 함유하지 않았으나 유상으로만 구성되어 보습감이 떨어지고 피부의 당김 현상이 발생하였다.
관능 평가 (색 지속성, 묻어나지 않는 정도, 피부 당김 및 건조감)
20 내지 49세 여성 피검사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매일 매회 약 0.5 g 씩 21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색 지속성, 묻어나지 않는 정도, 피부 당김 및 건조감을 관능 평가하도록 하였다. 색 지속성 및 묻어나지 않는 정도는 각각 상, 중, 하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피부 당김 및 건조감은 발생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① 실시예 ② 실시예 ③ 실시예 ④ 실시예 ⑤
색 지속성
(인원수)
우수 38 42 47 40 45
중간 12 8 3 10 5
미흡 0 0 0 0 0
묻어나지 않는 정도(인원수) 우수 41 40 45 39 42
중간 9 10 5 11 8
미흡 0 0 0 0 0
피부 당김 및 건조감
(발생 인원수)
없음 44 46 38 45 47
중간 6 4 12 5 3
있음 0 0 0 0 0
구 분 비교예 ① 비교예 ② 비교예 ③ 비교예 ④ 비교예 ⑤
색 지속성
(인원수)
우수 25 11 24 32 3
중간 8 7 9 14 12
미흡 1 2 1 4 5
묻어나지 않는 정도(인원수) 우수 10 11 9 8 2
중간 8 7 10 10 10
미흡 2 2 1 2 8
피부 당김 및 건조감
(발생 인원수)
없음 7 5 10 1 3
중간 33 43 37 34 35
있음 10 6 3 15 12
상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① 내지 ⑤은 비교예 ① 내지 ⑤에 비하여 색 지속성, 묻어나지 않는 정도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종래의 유상 제형으로만 형성된 제형이 비록 묻어남의 정도와 색지속성이 다른 비교예의 제형과 보다 우수할 수는 있지만 피부 당김 및 건조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습력 측정
피부가 건강하고 최근 3개월 이후 피부과 치료를 하지 않은 건강한 20∼30대 여성 40명(평균 연령: 30.5세)을 상대로 시료 도포 전후의 피부 수분 보유 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온도 23°C, 상대 습도 50∼55%의 조건에서 측정할 부위를 동일한 클렌징 제품으로 자가 세안을 하도록 하고 1회 각 도포 분량은 0.7g씩 볼 주변에 도포하였으며 실시예 ①은 우측 볼에 비교예 ⑤는 좌측 볼 주변에 동일인에 도포하였다. 도포 3시간 경과 후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electr-onicGmaH,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위: AU : Arbitrary Unit>
도포 전 도포 후
우측 볼(실시예 ①) 40.3±4.44 57.2±7.69
좌측 볼(비교예 ⑤) 42.3±7.02 34.3±6.02
The Journal of Skin Barrier Research <Volume 8 Number 1, 68-75 Page, 출판한 곳: The Journal of Skin Barrier Research, 제목: Device evaluation for skin effect, 발행년도 2006, 저자: 소병화(so byeong-hwa)>에 의하면 측정값이 볼 주변은 30 내지 49일 때 건조한 상태로 판단하며 측정값이 50 내지 59일 때 피부 상태는 보습력을 가지는 촉촉한 상태를 의미한다. 결과값의 측정 수치가 높을수록 충분한 보습력을 유지한다. 도포 전의 경우 시험에 참가한 여성들의 평균 측정값은 40.3으로 건조한 피부 상태이었으며 우측 볼에 실시예 ①의 시료를 도포 한 3시간 경과 후에는 촉촉함을 느끼는 단계로 보습력이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⑤를 도포한 좌측 볼의 경우에는 휘발성 오일이 휘발하면서 볼 주변의 보습 물질과 함께 휘발되고 딱딱한 고체 상태로 시료가 잔존하기 때문에 건조한 피부 상태로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제형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의 제형과 비교예의 제형을 표 7과 표 8와 같이 일정온도에 보관 후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안정도의 판단을 위해 오일과 수상성분의 분리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① 제형은 분리현상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제형은 파우더에 함유된 고용량의 오일 성분의 분리현상이 관찰되어 안정성이 매우 낮아 제형이 불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관
온도
측정기간  실시예 ①
제형
실시예②
제형
실시예③
제형
실시예④
제형
실시예⑤
제형
4℃ 1달 후 o o o o o
2달 후 o o o o o
3달 후 o o o o o
20℃ 1달 후 o o o o o
2달 후 o o o o o
3달 후 o o o o o
45℃ 1달 후 o o o o o
2달 후 o o o o o
3달 후 o o o o o
(o: 안정, ×: 분리)
보관
온도
측정 시간 비교예 ①
제형
비교예②
제형
비교예③
제형
비교예④
제형
비교예⑤
제형
4℃ 1달 후 o o o × ×
2달 후 o o o × ×
3달 후 o o o × ×
20℃ 1달 후 o o o × ×
2달 후 × × o × ×
3달 후 × × o × ×
45℃ 1달 후 × × o × ×
2달 후 × × × × ×
3달 후 × × × × ×
(o: 안정, ×: 분리)

Claims (21)

  1.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a) 휘발성 오일 5 내지 50 중량%,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0.1 내지 5 중량%,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0.1 내지 5 중량%, 천연송진 0.1 내지 30.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5 내지 30.0 중량%를 함유하는 유상 성분;
    b)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c) 유기계헥토라이트 0.5 내지 30.0 중량% 및 분체 0.5 내지 30.0 중량%를 함유하는 파우더 성분; 및
    d) 정제수 0.5 내지 20.0 중량% 및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 내지 3.00 중량%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휘발성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메티콘(methicone) 및 디메티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분체는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탈크, 실리카, 및 나일론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송진의 경도가 2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헥토라이트는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hector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ternium-18 hectorite), 및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hector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메티콘(methicone), 메틸폴리실록산(methylpolysiloxane), 디메티코놀스테아레이트(dimethiconol stearate), 트리에톡시카프릴일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및 디메티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실리콘 화합물로 표면 코팅 처리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methoxycinnamate),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벤조페논-3(bezophenone-3), 벤조페논-4(bezophenone-4), 벤조페논-8(bezophenone-8),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digalloyltrioleate), 3-(4-메틸벤질리덴)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멘틸안트라닐레이트(menthylanthranil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옥틸트리아존(octyltriazone), 및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nobezo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체 파운데이션(liquid foundation), 크림 파운데이션(cream foundation), 컨실러(concealer), 썬 로션(sun lotion), 썬 크림(sun cream), 비비 로션(bb lotion), 비비 크림(bb cream) 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의 역미셀 구조를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ⅰ) 천연 송진을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에 가온 용해하는 단계;
    (ⅱ) 휘발성 오일 및 분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iii) 계면활성제에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유기계헥토라이트를 투입 후 혼합하는 단계; 및
    (iv)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i) 내지 (iii)에서 제조된 물질들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휘발성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메티콘(methicone) 및 디메티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분체는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탈크, 실리카, 및 나일론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송진의 경도가 2 이상인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는 35 내지 60℃에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은 40℃에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헥토라이트는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hector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ternium-18 hectorite), 및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hector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제조방법.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교반기(mixer) 및 다단 롤러(multi-step roller)를 사용하여 혼합하는 것인 제조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에서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하는 것인 제조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피부 도포 후 50 내지 59 A.U.의 보습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05088A 2014-07-25 2015-07-24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11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61265.4 2014-07-25
CN201410361265.4A CN105267051A (zh) 2014-07-25 2014-07-25 化妆料组合物及其制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963A KR20160012963A (ko) 2016-02-03
KR101811849B1 true KR101811849B1 (ko) 2017-12-22

Family

ID=5513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0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1849B1 (ko) 2014-07-25 2015-07-24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1849B1 (ko)
CN (1) CN1052670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71A (ko) 2018-06-20 2019-12-30 (주)이미인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5221B1 (ko) * 2016-09-19 2024-10-10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6619159B (zh) * 2017-01-10 2019-10-11 韩后化妆品股份有限公司 提高油包水型乳霜粘度稳定性的方法
WO2018186531A1 (ko) * 2017-04-03 2018-10-11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액적 방출 화장료
KR102370390B1 (ko) * 2017-04-10 2022-03-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CN107308012A (zh) * 2017-06-30 2017-11-03 广州澳希亚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低粘度悬浮能力好的油包水型防晒乳及其制备方法
KR101995998B1 (ko) * 2017-11-07 2019-07-03 조예나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518B1 (ko) * 2018-02-14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8776B1 (ko) * 2018-02-14 2019-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7084166B2 (ja) * 2018-03-08 2022-06-14 株式会社 資生堂 離漿防止用油中水型化粧料組成物
CN108815019A (zh) * 2018-06-22 2018-11-16 广州市蔻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色的口红雨衣及其制备方法
CN110051553A (zh) * 2019-03-13 2019-07-26 广州蔓缇化妆品有限公司 一种防水粉底液的配方及其制备方法
WO2020227908A1 (en) * 2019-05-14 2020-11-19 Beiersdorf Daily Chemical (Wuhan) Co. Ltd. Quick breaking w/o-emulsion free from cyclomethicones
KR102692678B1 (ko) * 2019-06-19 2024-08-07 (주)아모레퍼시픽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45504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해성이 향상된 고체 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6139048A (zh) * 2022-12-30 2023-05-23 浙江宜格美妆集团有限公司 一种多形态的组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72B1 (ko) 2006-08-09 2008-01-22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묻어남을 방지하고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US20130315846A1 (en) 2012-05-22 2013-11-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8644A1 (en) * 2006-08-09 2008-02-14 Stc Nara Co., Ltd. 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ransfer-resistant and long-wearing
ES2608837T3 (es) * 2009-07-20 2017-04-17 L'oreal Emulsión que contiene una dispersión de oxicloruro de bismuto
FR2962037B1 (fr) * 2010-07-02 2013-01-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elastomere d'organopolysiloxane et au moins une resine tackifiante
KR101314680B1 (ko) * 2013-01-04 2013-10-04 주식회사 다솔 복분자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72B1 (ko) 2006-08-09 2008-01-22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묻어남을 방지하고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US20130315846A1 (en) 2012-05-22 2013-11-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71A (ko) 2018-06-20 2019-12-30 (주)이미인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67051A (zh) 2016-01-27
KR20160012963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9855199B2 (en) Cosmetic base composition and its use
KR100797072B1 (ko) 묻어남을 방지하고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E60019541T2 (de) Strukturierte langhaltige Zubereitung enthaltend ein Polymer und pastöse Fettstoffe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60133005T2 (de) Haltbar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die ein bestimmtes haftungsförderndes material enthält
KR20160077756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15174241A1 (ja) うるおい補給用スティック状化粧料
US20130302385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water-based gel and a water-in-oil emulsion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20070134189A1 (en) Anti-wrinkle cosmetic
JP7407819B2 (ja) マット効果のある化粧用組成物
JP7075926B2 (ja) 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の形態の唇用化粧品およびメーキャップ方法
EP1787628A1 (en) Oily cosmetic preparation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EP3368161B1 (en) Cosmetic composition imparting a natural complexion and a healthy-looking appearance effect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61124B1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808203B1 (ko) 입술 메이크업 및 관리용 수중유 에멀젼
DE60221592T2 (de) Kosmetische Verwendung eines Vinylpyrrolidon/Alken-Copolymers, um das Aussehen der Haut und/oder der Semischleimhäute zu verändern
KR100845731B1 (ko)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CN111317673A (zh) 一种添加油莎草根油的隔离霜及其制备方法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518B1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