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776B1 -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776B1
KR101998776B1 KR1020180018581A KR20180018581A KR101998776B1 KR 101998776 B1 KR101998776 B1 KR 101998776B1 KR 1020180018581 A KR1020180018581 A KR 1020180018581A KR 20180018581 A KR20180018581 A KR 20180018581A KR 101998776 B1 KR101998776 B1 KR 10199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water
forming agent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지
정지희
한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01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776B1/ko
Priority to PCT/KR2018/015528 priority patent/WO2019160227A1/ko
Priority to CN201880089396.8A priority patent/CN111712224B/zh
Priority to TW108103644A priority patent/TWI826417B/zh
Priority to KR1020190079255A priority patent/KR102313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상과 분산상에 서로 다른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종 이상의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보습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W/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long-lasting and feeling of moisture}
본 발명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건조감을 해소하면서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속력이 우수한 쿠션 파운데이션의 니즈는 끊임없이 나오고 있으며, 이를 특징으로 하는 제품들도 계속해서 출시 되고 있다. 제형 특징상, 유중수형이 수중유형보다 지속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중수형에서 지속력을 더욱 향상시키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또한 저점도의 경우 발림성 및 사용감은 우수하지만 고점도의 경우보다 지속력이 낮아 저점도 리퀴드제형에서 지속력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기존의 방식은 주로 화장료 조성물의 외상에 유용성 필름형성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건조하다는 단점을 유발하므로, 유용성 피막 형성제를 다량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지속력이 높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서도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 후에,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건조감을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건조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건조감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뛰어난 밀착감을 갖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연속상과 분산상에 서로 다른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종 이상의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발명자들은 피부에 도포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유성피막 형성제를 다량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유성피막 형성제의 사용량을 줄여서, 피부 건조감을 개선하고,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 사용감 등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히 내상에 사용되는 수성 피막 형성제의 종류 및/또는 함량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는데 차이가 있다는 점을 처음으로 인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성 피막 형성제와 함께 사용되는 유성 피막 형성제의 종류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인 실험을 설계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속상(continuous phase)'은 연속적인 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분산상(dispersed phase)'은 연속상 속에 분산되어 있는 상이다.
에멀젼은 상기 연속상과 분산상이 서로 섞이지 않고 일정한 비를 갖고 작은 액적의 형태로 분산되는데, 연속상 내에 분산상이 존재하는 형태를 이룬다.
수중유 (O/W) 에멀젼은 연속상이 물, 분산상이 오일인 에멀젼이며, 유중수(W/O) 에멀젼 (water-in-oil emulsion)은 연속상이오일, 분산상이 물인 에멀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유중수 및 유중수중유 에멀젼과 같은 연속 오일 상을 갖는 에멀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0.01 내지 20중량%의 유성 피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 의 유성 피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피막 형성제의 함량을 적게 사용하고 하기 기술하는 바와 같이, 분산상 내에 피막 형성제를 더 포함하게 되어, 적은 양의 유성 피막 형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은 양의 유성 피막 형성제를 사용하게 되어 피부 건조감이 적고, 피부 밀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수성' 피막 형성제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피막 형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유성' 피막 형성제는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피막 형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피막 형성제와 수성 피막 형성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피막 형성제와 수성 피막 형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피막 형성제와 수성 피막 형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20중량% 이하 또는 10중량% 이하의 유성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되, 수성 피막 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성 피막 형성제와 수성 피막 형성제를 함께 사용하게 될 때, 우수한 피부 밀착감, 지속성, 사용감을 기대할 수 있었고, 특히 피부의 수분유지력 및 보습력, 피부 건조감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상기 수성 피막 형성제의 종류 및 유성 피막 형성제의 종류에 따라서 더욱더 뛰어난 보습력과 건조감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유성 피막 형성제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 및 페닐프로필디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및/또는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및/또는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사용할 때 분산상을 안정화하기 용이하였으며, 피부의 보습력, 밀착감이 우수하였고, 유연한 필름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바람직하게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는 강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유연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성 피막 형성제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및/또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성 피막 형성제로 상기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사용할 때 분산상을 안정화하기 용이하였으며, 피부의 보습력, 밀착감이 우수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피막 형성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내지 15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내지 10 중량%, 1내지 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성 피막 형성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2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1중량%, 더 바람직하게 10.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 함량의 이하이면 피막의 효과가 없고, 이 이상이면 사용감이 끈적이게 되어 발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가질 때, 피부 보습율을 유지하기 탁월하였고, 건조감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났다. 동시에 제형 안정성과 수분감을 느낄 수 있는 사용감 제공에 유리하였다.
특히,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성 피막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또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가, 수성 피막 형성제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가 이용될 때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탁월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로션, 크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나열된 제형에 포함될 수 있는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화장료 조성물을 스펀지에 저장하여 사용되는 제품에 적용될 때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스펀지 내에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문제가 되는 제형의 불안정성, 스펀지의 부식성 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펀지 내에 저장되어 제공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보습력 및 수분 유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적은 양의 유성 피막 형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착감이 우수하고, 피지 등에 의해 화장이 무너지는 속도가 더디므로 화장 지속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사용감, 피부 밀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펀지에 흡수시켜 제공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피부와의 친화도를 높여, 유용성 필름제만을 단독으로 과량 사용했을 시 나타나는 저조한 지속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단점이였던 피부 건조함까지 개선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유용성 필름제가 피막을 형성하여 지속력을 높일 수 있지만, 피부의 답답함과 건조한 느낌, 끈적이는 느낌 등 사용감이 좋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용성 필름제의 함량을 줄여서 피부의 건조감이나 화장품의 발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유성 피막 형성제와 수성 피막 형성제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보여지는 보습 개선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인조가죽을 세워두고 인조피지를 떨어뜨려 흐르게 한 뒤 인조피지에 의해 무너짐 정도를 이미지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오일 번짐 정도와 묻어남에 대한 평가 결과를 보여준다. 좌측부터 차례대로 비교예 1, 2, 3,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시험예 1] 수용성 및 유용성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
수용성 및 유용성 피막 형성제를 함유하는 유중숭형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성과 건조함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제형을 만들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중량%)에 따라 하기의 제조방법대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방법>
1) 유상성분을 혼합하여 80도(℃)로 가온한 후 분산하였다.
2) 상기 1)에 착색제성분을 혼합하고 교반시켰다.
3) 별도의 수상조에 수상성분을 80도(℃)까지 서서히 가온 후 완전 용해시켰다.
4) 상기 1)의 유상성분에 상기 3)의 수상성분을 천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5) 유화 완료 후 탈포하고 28도(℃)까지 냉각시킨다.
구분 배합성분(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유상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페닐트리메치콘 3.00 3.00 3.00 3.00
피이지-10디메치콘 3.00 3.00 3.00 3.00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30 0.30 0.30 0.30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2.00 2.00 2.00 2.00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 2.00 - -
향료 0.3 0.3 0.3 0.3
착색제 티타늄디옥사이드 10.00 10.00 10.00 10.00
황색산화철,적색산화철,흑색산화철 2.00 2.00 2.00 2.00
수상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듐클로라이드 0.50 0.50 0.50 0.50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 - 2.00 -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 - - 2.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보습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보습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보습측정은 실제 피시험자들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객관적인 보습 측정을 위하여 항온실에 20분 적응 후 보습측정기(Corneometer)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측정방법은 도포 전, 직후, 1시간, 3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고 각 3회측정 후 평균값을 계산하여 도포전과 비교해 보습 개선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값은 아래의 표 2와 그리고 도1에 나타내었다.
한편,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경우도 우수한 보습 개선율을 나타내었다.
직후 1시간 3시간
도포전 1.22 -2.02 3.26
비교예1 30.14 11.89 10.00
비교예2 36.53 16.28 11.77
비교예3 43.74 25.51 15.31
실시예1 46.28 27.11 16.19
상기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유용성피막 형성제에 수용성피막 형성제를 함께 혼합했을 때, 유용성피막 형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보습개선율이 더 높게 측정되어, 보습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3은 수용성 피막 형성제를 동일 함량으로 사용하였으나, 실시예 1이 더욱 우수한 보습 개선율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지속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사람의 피부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객관적인 지속성 테스트를 위하여 인조가죽을 사용하였다.
지속성평가를 위하여 각각의 시료 0.05g을 5cmx5cm 의 인조가죽에 동일한 크기와 두께로 도포하고 30도(℃)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그 후 인조가죽을 세워두고 인조피지를 떨어뜨려 흐르게 한 뒤 인조피지에 의해 무너짐 정도를 이미지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무너진 정도(인조가죽의 검은색부분)를 수치화하여 표3과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치화는 ImagePro Plus 소프트웨어로 화장막이 벗겨진 인조가족의 검정 부분을 수치화하여 나타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4629 2050 2501 2048
상기결과와 같이, 비교예1의 경우보다 비교예3,실시예1에서 인조피지에 의한 무너짐이 훨씬 더 적은 것을 육안과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용성 피막 형성제에 수용성피막 형성제를 혼합 사용했을 때 피지에 의한 무너짐이 덜해 화장지속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내상에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1의 경우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용성 피막 형성제의 종류에 따라서 화장지속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유성 및 묻어남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오일의 번짐 정도와 묻어남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유리판에 각각의 시료를 동일한 두께(60㎛)로 균일하게 밀어준 후, 30도(℃)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한 가운데 부분에 동일양의 인조피지를 떨어뜨린 후, 30도(℃)에서 20분간 방치 후 오일의 번짐정도를 확인하였다. 이 후, 피지 부분에 인조가죽을 올리고 일정한 압력(200g추)으로 10회 롤링하여 인조가죽에 묻어난 시료의 양을 확인하여 묻어남 정도를 평가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1에서 오일의 번짐정도와 묻어남이 가장 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1과 비교해 비교예3 및 실시예1에서 오일의 번짐정도나 묻어남이 덜하였고 이 중 특히 내상에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추가로 함유하는 실시예1에서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보다 오일의 번짐현상이 없고, 묻어남도 가장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활동으로 인해 다른 곳에 묻어나거나 지워짐이 없어 화장지속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수상피막제의 사이즈와 Charge에 따라 제형의 안정성 및 사용감에 영향을 미쳐 종류별로 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수용성 피막제의 종류 및 함량선정은 유중수형 제형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2] 수용성 피막제의 함량별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
구분 배합성분(중량%)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유상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페닐트리메치콘 3.00 3.00 3.00 3.00
피이지-10디메치콘 3.00 3.00 3.00 3.00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30 0.30 0.30 0.30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2.00 2.00 2.00 2.00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 - - -
향료 0.3 0.3 0.3 0.3
착색제 티타늄디옥사이드 10.00 10.00 10.00 10.00
황색산화철,적색산화철,흑색산화철 2.00 2.00 2.00 2.00
수상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듐클로라이드 0.50 0.50 0.50 0.50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15.00 2.00 5.00 10.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은, 상기 시험예 1에 기재된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지속력,안정성, 및 사용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속성을 평가하였고, 안정성은 45도(℃)에 2주 보관 후 실온과 비교하여 물성을 비교하였다. 사용감은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0~40대 여성 2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수분감이 느껴지는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0~5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고 점수들을 평균 내었다.
1)안정성 평가기준: O:안정, △:보통, X:분리
2)수분감 평가 기준: 1:매우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매우 좋음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지속력 2000 2048 2013 2001
안정성 O O O
수분감 4.0 4.9 4.6 4.6
상기 결과와 같이, 수성 피막 형성제의 함량이 많아질 경우 수분감이 저조하였고, 안정성도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의 경우 10%의 함량까지도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시험예3]다른종류의 유용성 피막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를 유상에 포함하여 지속성을 추가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유상 및 수상에 피막 형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배합성분(중량%) 비교예5 실시예4
유상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잔량 잔량
페닐트리메치콘 3.00 3.00
피이지-10디메치콘 3.00 3.00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30 0.30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2.00 2.00
향료 0.3 0.3
착색제 티타늄디옥사이드 10.00 10.00
황색산화철,적색산화철,흑색산화철 2.00 2.00
수상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소듐클로라이드 0.50 0.50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2.00 -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 2.00
방부제 적량 적량
<지속성 테스트>
앞선 지속성 테스트 방법과 동일하게 테스트하였고,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5 실시예4
2469 2015
상기결과와 같이, 비교예5보다 실시예4에서 인조피지에 의한 무너짐이 더 적은 것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유용성피막제를 적용했을 시에도 앞선 결과와 동일하게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보다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사용했을 때, 지속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와 함께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를 함께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와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를 함께 사용한 경우보다 보습감, 제형 안정성 등에서 더욱 탁월하였다.

Claims (9)

  1. 연속상과 분산상에 각각 유성 피막 형성제와 수성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유성 피막 형성제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C30-45알킬디메칠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 및 페닐프로필디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이며,
    상기 수성 피막 형성제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종 이상의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속상이 오일상인 유중수 에멀젼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0 중량% 이하의 유성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피막 형성제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피막 형성제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피브이피크로스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로션, 크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피막 형성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중량% 포함하고, 수성 피막 형성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2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18581A 2018-02-14 2018-02-14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581A KR101998776B1 (ko) 2018-02-14 2018-02-14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15528 WO2019160227A1 (ko) 2018-02-14 2018-12-07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89396.8A CN111712224B (zh) 2018-02-14 2018-12-07 提高了持久力且改善了干燥感的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TW108103644A TWI826417B (zh) 2018-02-14 2019-01-30 油包水型化妝料組合物用於製造化妝品的用途
KR1020190079255A KR102313518B1 (ko) 2018-02-14 2019-07-02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581A KR101998776B1 (ko) 2018-02-14 2018-02-14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255A Division KR102313518B1 (ko) 2018-02-14 2019-07-02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776B1 true KR101998776B1 (ko) 2019-10-01

Family

ID=6761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581A KR101998776B1 (ko) 2018-02-14 2018-02-14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998776B1 (ko)
CN (1) CN111712224B (ko)
TW (1) TWI826417B (ko)
WO (1) WO20191602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829B1 (ko) * 2020-04-02 2020-10-14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우수한 피부 밀착력을 가지는 컨실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8661B1 (ko) * 2023-05-10 2023-12-04 애경산업(주)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071A (en) * 1988-10-19 1990-10-23 The Gillette Company Wrinkle masking composition of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and process for use
JPH06211629A (ja) * 1992-11-30 1994-08-02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020057788A (ko) * 2000-11-22 2002-07-12 조지안느 플로 마스카라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섬유-함유 베이스 조성물
KR20070004924A (ko) * 2004-04-30 2007-01-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KR20110130451A (ko) * 2009-03-31 2011-12-05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마스카라 조성물 및 속눈썹을 처리하는 방법
KR20160012963A (ko) * 2014-07-25 2016-02-03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02677A (ja) * 2016-07-06 2018-01-1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乳化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702A (ja) * 2004-03-19 2005-09-29 Kao Corp ケラチン繊維付着用化粧料
JP6662539B2 (ja) * 2014-05-29 2020-03-11 エッジウェル パーソナル ケア ブラ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改善された皮膚外観のための色持ちが向上した化粧品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071A (en) * 1988-10-19 1990-10-23 The Gillette Company Wrinkle masking composition of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and process for use
JPH06211629A (ja) * 1992-11-30 1994-08-02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020057788A (ko) * 2000-11-22 2002-07-12 조지안느 플로 마스카라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섬유-함유 베이스 조성물
KR20070004924A (ko) * 2004-04-30 2007-01-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KR20110130451A (ko) * 2009-03-31 2011-12-05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마스카라 조성물 및 속눈썹을 처리하는 방법
KR20160012963A (ko) * 2014-07-25 2016-02-03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02677A (ja) * 2016-07-06 2018-01-1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乳化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829B1 (ko) * 2020-04-02 2020-10-14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우수한 피부 밀착력을 가지는 컨실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8661B1 (ko) * 2023-05-10 2023-12-04 애경산업(주)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6417B (zh) 2023-12-21
CN111712224B (zh) 2023-08-01
TW201936162A (zh) 2019-09-16
WO2019160227A1 (ko) 2019-08-22
CN111712224A (zh)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3905A1 (en) High gloss mascara
KR20190046740A (ko)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998776B1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6423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29410B1 (ko)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4367A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5B1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86315B1 (ko) 왁스-프리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53535A (zh) 用于化妆和护理嘴唇的水包油乳剂
KR101953335B1 (ko)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12061A (zh) 润泽持久型化妆料组合物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35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8733A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20200246244A1 (en) Mousse composition
KR20200109175A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3077B1 (ko) 수중실리콘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8337B1 (ko) 전상유화 방법을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363134B1 (ko) 실리콘중수(w/s) 유화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9125A (ko) 유분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4083A (ko) 섬유상 파이버를 포함하는 분말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7385A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