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661B1 -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661B1
KR102608661B1 KR1020230060469A KR20230060469A KR102608661B1 KR 102608661 B1 KR102608661 B1 KR 102608661B1 KR 1020230060469 A KR1020230060469 A KR 1020230060469A KR 20230060469 A KR20230060469 A KR 20230060469A KR 102608661 B1 KR102608661 B1 KR 10260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polymer
oil
water
dimethicon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정
조시형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6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FOR MAKE-UP}
본 발명은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이 외층을 형성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산뜻하고 세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수분층이 최외곽에 있어 피부에 도포됨에 있어 가볍고 산뜻하며 도포 시 우수한 사용감을 갖지만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지속력과 커버력이 아쉬운 한계점을 갖는다.
한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이 외층을 형성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부드럽고 밀착력과 지속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밀착력과 지속성은 피막형성제 성분을 통해 구현되고, 상기 피막형성제를 다량 함유하면 끈적이다가 거칠어지는 사용감으로 인하여 발림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 구현예는 지속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발림성이 개선된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는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메틸/페닐폴리실세스퀴옥세인, 폴리카프릴릴실세스퀴옥세인,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4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및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3, 다이메티콘/페닐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다이비닐다이메티콘/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페닐다이메티콘/비닐다이페닐다이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라우릴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스테아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티콘/라우릴/베헤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페닐실세스퀴옥세인/페닐비스-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다이메티콘/피이지-10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비스-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실리카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0.01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의 중량비는 1:1:1 내지 5:5:1일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자외선 차단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 다이메틸폴리실록세인, 다이메틸실록세인, 메틸페닐폴리실록세인, 메틸페닐실록세인, 오르가노폴리실록세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페닐트라이메티콘 및 메틸트라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헥토라이트,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및 쿼터늄-18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30 중량%이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며,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유상 성분을 15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수상 성분을 잔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은 물, 폴리올 및 무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색소,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밀착력과 지속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개선된 발림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구현예들에 대하여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 따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상 성분은 성분 자체가 유상이거나, 유상에 용해되는 성분을 의미할 수 있고, 수상 성분은 성분 자체가 수상이거나, 수상에 용해되는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다량 함유하게 되면 제형이 끈적이다가 거칠어져 사용감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에 따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와 더불어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와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여, 유중수형 제형을 안정화시키고 매끈한 필름막을 형성하여 거친 피막을 보완하고 촉촉한 사용감을 부여하여 발림성을 개선하고 필름막이 피부에 오래도록 남아 지속력과 커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메틸/페닐폴리실세스퀴옥세인, 폴리카프릴릴실세스퀴옥세인,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제1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메틸/페닐폴리실세스퀴옥세인, 폴리카프릴릴실세스퀴옥세인,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종 이상의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밀착력 및 커버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및 제2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3:1 내지 30: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및 제2 실리콘계 피막형성제의 중량비는 10:1 내지 30:1, 10:1 내지 25:1 또는 10:1 내지 20:1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제1 실리콘계 피막형성제와 제2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혼용하는 경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밀착력 및 커버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0 중량%, 1 중량% 내지 8 중량% 또는 2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끈적거리다가 거칠어지는 사용감의 문제없이 메이크업의 지속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4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및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8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끈적거리다가 거칠어지는 사용감의 문제없이 메이크업의 지속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제형을 안정화시켜 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점도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발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3, 다이메티콘/페닐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다이비닐다이메티콘/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페닐다이메티콘/비닐다이페닐다이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라우릴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스테아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티콘/라우릴/베헤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페닐실세스퀴옥세인/페닐비스-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다이메티콘/피이지-10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비스-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실리카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는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 중량%, 0.1 중량% 내지 1.8 중량% 또는 0.3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커버력과 지속성이 개선됨과 동시에 제형의 점도 제어를 통해 사용감이 우수한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0.01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유상 성분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2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0.5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0.3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커버력, 지속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의 중량비는 1:1:1 내지 5:5:1, 2:1.5:1 내지 4:3.5:1 또는 3:2:1 내지 4:3:1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커버력, 지속성 및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자외선 차단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으로 실리콘계 오일, 자외선 차단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실리콘계 오일, 자외선 차단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45 중량% 또는 15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 다이메틸폴리실록세인, 다이메틸실록세인, 메틸페닐폴리실록세인, 메틸페닐실록세인, 오르가노폴리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페닐트라이메티콘 및 메틸트라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20 중량%, 5 중량% 내지 2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학적인 흡수 작용에 의해 자외선의 피부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 3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3 중량% 내지 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함으로써 메이크업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헥토라이트,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및 쿼터늄-18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점증제는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3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유상 성분을 15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수상 성분을 잔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성분을 15 중량% 내지 60 중량%, 15 중량% 내지 50 중량%, 15 중량% 내지 45 중량% 또는 15 중량% 내지 35 중량%로 포함하고, 잔량으로 수상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 성분은 물, 폴리올 및 무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은 정제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은 종래에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무기염류로서 사용된 어떤한 무기염류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클로라이드, 포타슘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무기염은 소듐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색소,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소, 보존제 및 향료 각각의 종류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30 중량%, 10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상 혼합액과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과 첨가제의 일부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냉각하고 첨가제의 잔부를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 혼합액 제조 시 유상 성분의 일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유상 성분의 잔부는 이후 첨가제와 함께 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피막형성제와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유상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투입하고,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는 후단의 첨가제 투입 시 함께 투입하여 유상에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일부는 색소 및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의 잔부는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온도는 10 ℃ 내지 40 ℃, 10 ℃ 내지 30 ℃ 또는 15 ℃ 내지 30 ℃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종류 및 함량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및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각 성분들을 유중수상이 될 수 있도록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각각의 조성물의 총량은 100 중량%이다.
하기 표 1에서, 실리콘계 오일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로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점증제로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로서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로서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동일한 종류의 수상 성분과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유상 성분 실리콘계 오일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15 15 15 15 15 15 15 15
자외선
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5 5 5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3.5 1 3.5 3.3 2.5 - 3.5 3.5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 - - 0.2 1 - - -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2.5 2.5 0.3 2.5 2.5 - - 2.5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1 1 1 1 1 - - -
수상 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부틸렌글리콜 3 3 3 3 3 3 3 3
소듐클로라이드 1 1 1 1 1 1 1 1
첨가제 색소 15 15 15 15 15 15 15 15
보존제 1 1 1 1 1 1 1 1
향료 1 1 1 1 1 1 1 1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20대 내지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발림성, 커버력, 내수력, 지속성, 끈적임 및 불편감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10명의 피시험자로 하여금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게 한 후 1~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여 8점 이상인 경우 매우 양호(◎), 6~8점인 경우 양호(○), 3~6점인 경우 보통(△), 3점 미만인 경우 나쁨(X)으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발림성
커버력
내수력
지속성
끈적임
불편감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모두 함유한 조성물이 우수한 발림성과 지속성을 내며, 끈적임과 불편감이 없는 좋은 사용감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발림성이 양호하고 끈적임이나 불편감이 없지만 내수력과 지속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추가한 비교예 2의 경우 내수력과 지속성이 좋은 유중수형 조성물이 형성되지만 끈적임과 불편감으로 인해 나쁜 사용감을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가 추가되어 끈적임과 불편한 사용감이 개선되었지만 커버력이 아쉬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따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밀착력, 커버력 및 지속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우수한 발림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5)

  1.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제1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폴리카프릴릴실세스퀴옥세인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및 제2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3:1 내지 30: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4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및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라우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3, 다이메티콘/페닐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다이비닐다이메티콘/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페닐다이메티콘/비닐다이페닐다이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라우릴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틸/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스테아릴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티콘/라우릴/베헤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페닐실세스퀴옥세인/페닐비스-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비스-비닐다이메티콘/피이지-10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비스-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메티콘크로스폴리머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실리카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를 0.01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상기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의 중량비는 1:1:1 내지 5:5:1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자외선 차단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 다이메틸폴리실록세인, 다이메틸실록세인, 메틸페닐폴리실록세인, 메틸페닐실록세인, 오르가노폴리실록세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페닐트라이메티콘 및 메틸트라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및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헥토라이트,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및 쿼터늄-18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30 중량%이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며,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5 중량%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상기 유상 성분을 15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수상 성분을 잔량으로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물, 폴리올 및 무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색소,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30 중량%인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60469A 2023-05-10 2023-05-10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469A KR102608661B1 (ko) 2023-05-10 2023-05-10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469A KR102608661B1 (ko) 2023-05-10 2023-05-10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661B1 true KR102608661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469A KR102608661B1 (ko) 2023-05-10 2023-05-10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66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762A (ko) * 2015-02-23 2016-08-31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7808A (ko) * 2016-01-21 2017-07-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8776B1 (ko) * 2018-02-14 2019-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69866B1 (ko) * 2020-10-30 2021-06-28 한국콜마주식회사 수분감이 극대화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7959A (ko) * 2020-01-31 2021-08-10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 2020-10-28 2022-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2875A (ko) * 2019-11-14 2022-06-17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762A (ko) * 2015-02-23 2016-08-31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7808A (ko) * 2016-01-21 2017-07-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8776B1 (ko) * 2018-02-14 2019-10-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2875A (ko) * 2019-11-14 2022-06-17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KR20210097959A (ko) * 2020-01-31 2021-08-10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 2020-10-28 2022-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9866B1 (ko) * 2020-10-30 2021-06-28 한국콜마주식회사 수분감이 극대화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320B2 (ja) 粉末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90110130A (ko) 요철 보정 화장료
JP6809255B2 (ja) 油中水型化粧料
US11510863B2 (en) Water-in-oil emulsion cosmetics
EP4267097A1 (en)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in w/o composition
US6579515B2 (en) Preparation of antiperspirant gels which obviates the use of simple glycols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129410B1 (ko)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KR102608661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4209056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2610439B1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CN113164371B (zh) 光泽感和颜色沾染程度得到改善的嘴唇用化妆料组合物
JP6488491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5951155B1 (ja) 乳化デオドラント組成物およびデオドラント剤
KR102058513B1 (ko)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21534B1 (ko)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278738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22098752A (ja) W/o型組成物中の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の安定化
KR102664076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239119A (ja) 化粧料
JP3130969B2 (ja) 皮膚化粧料
KR20190128515A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JP2003226635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163474B1 (ko) 탁도가 감소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