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513B1 -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513B1
KR102058513B1 KR1020190066640A KR20190066640A KR102058513B1 KR 102058513 B1 KR102058513 B1 KR 102058513B1 KR 1020190066640 A KR1020190066640 A KR 1020190066640A KR 20190066640 A KR20190066640 A KR 20190066640A KR 102058513 B1 KR102058513 B1 KR 10205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methicone
sunscreen
oil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광
조주영
함아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6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COSMETIC COMPOSITION WITH DUCTILITY FOR UV PROTECTION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가 용이하며, 피부와의 밀착력이 우수함에 따라, 우수한 메이크업 효과 또는 피부 개선 효과를 구현해낼 수 있다. 상기 메이크업 효과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등의 메이크업 용도인 경우, 커버력, 피부 밀착력, 피부 표현성 등의 구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 효과는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탄력 개선 등의 구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8225호에는 수용성 고분자 중 분자량 40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서로 다른 보습 메커니즘을 가지는 보습원료를 배합하여 조성되어,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며, 피부 보습력 향상 효과가 우수한 수중유형 실리콘 겔 화장료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용도로서 활용되었을 뿐, 피부의 보습력과 함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해내는 용도로서는 그 활용도가 낮았다. 특히,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및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 내에 균일한 분산 내지 용해가 어려웠으며, 과량의 자외선 차단제가 사용될 경우 연성(늘어나는 성질)의 구현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유중수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습 효과가 낮고, 피부와의 밀착성, 도포성, 피부 표현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며, 특히,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제를 제형 내에 안정적으로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고, 유중수형 제형으로 형성되어 관능 특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8225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재 목적은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으로서, 메이크업 효과 또는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외부의 압력에 의해 함침 부재에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길게 늘어나는 특이 성상을 가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향상된,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자외선 차단제, 유화제,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1 ~ 10 중량%, 자외선 차단제 7 ~ 35 중량%, 유화제 1 ~ 8 중량%, 오일 20 ~ 3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옥토크릴렌,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제, 점증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아이새도 및 치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함침 부재; 및 상기 함침 부재에 함침되는 제 1 항의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함침 부재는 기공도가 40 ~ 60 ppi 인 스펀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면서도 자외선 차단제가 화장료 조성물 제형 내에 안정화되어 있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제형으로 제조되어, 피부 보습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함침 부재에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것으로서, 외부의 압력에 의해 함침 부재 내에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이 외부로 토출될 때, 화장료 조성물이 길게 늘어나는 특이 성상을 가질 수 있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은 피부 개선 효과, 메이크업 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화장품, 비교예 1의 화장품 및 비교예 4의 화장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연성"은 늘어나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이 길고 가는 형태로 늘어나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간략하게 호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자외선 차단제, 유화제,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며, 연성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연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대부분 피부의 보습력 개선을 위한 용도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의 보습력 개선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제형으로 형성되어, 수중유형 제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 메이크업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는 연성(늘어나는 성질)을 구현하면서도 피부 밀착성, 도포성, 피부 표현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1 ~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2 ~ 9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3 ~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1 ~ 10 중량%로 포함할 때 보다, 연성의 특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피부 발림성, 밀착성, 피부 표현성, 지속성, 보습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1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1 ~ 10 중량%로 포함할 때 보다,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연성의 구현이 어렵고, 피부 발림성, 밀착성, 피부 표현성, 지속성, 보습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옥토크릴렌,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7 ~ 35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 30,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7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7 ~ 3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자외선 차단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에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35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7 ~ 3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연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피부에 자극적이며,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피부 발림성, 밀착성, 피부 표현성, 지속성, 보습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자외선 차단제를 1 : 3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와 자외선 차단제 간의 혼용성이 향상되어, 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제형 안정성 및 관능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관능 특성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발림성, 피부 표현성, 지속성, 보습성, 밀착성, 사용감, 만족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유화제는 유중수형 제형을 형성하며,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와 자외선 차단제 간의 혼용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유화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화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화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를 1 : 4 : 2 : 1.6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유화제가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를 1 : 4 : 2 : 1.6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자외선 차단제가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화되면서도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와 자외선 차단제 간의 혼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으로 형성되어, 연성을 가지면서도 현저히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보습 효과, 관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공지된 오일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세틸디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아모디메치콘, 메칠트리메치콘, 피씨에이디메치콘, 트리실록, 카프릴릭/카프릴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메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C12- 15알켈벤조에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인, 코레스테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디-C12-13알 킬말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 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릴린, 디에톡시에칠석시네이트, 트리카프릴린, 올리브오일, 호호바씨 오일, 아보카도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로즈힙열매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티트리잎오일, 스쿠알란,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미국개암씨오일, 산자나무오일, 동백오일, 행인오일, 기믈야자오일, 해바리기씨오일, 바자오일, 호오스팻, 밍크오일, 난황유,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이소도데칸, 폴리부텐, 페트롤라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20 ~ 35 중량%, 구체적으로는 23 ~ 3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25 ~ 2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20 ~ 3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보습력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고, 피부 발림성, 밀착성, 도포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35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20 ~ 3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사용감이 무겁고, 피부와의 밀착성이 저하되며,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에의 화장료 조성물은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성분 이외에, 피막제, 점증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아이새도 및 치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함침 부재에 함침 및 담지될 수 있는 제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함침 부재; 및 상기 함침 부재에 함침되는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자외선 차단제, 유화제,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은 압력에 의해 함침 부재 내에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이 외부로 토출될 때, 화장료 조성물이 길게 늘어나는 특이 성상을 가질 수 있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은 피부 개선 효과, 메이크업 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함침 부재로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될 수 있는 형태 또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함침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함침 부재는 NBR(Nitrile-butadiene rubber) 및/또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로 구성된 다공성 고무 폼, 폴리우레탄 폼, 에테르 및/또는 에스테르로 구성된 스펀지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함침 부재는 에테르 100 % 의 필터형 스펀지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함침 부재는 에테르 100 % 의 필터형 스펀지이되, 기공도가 40 ~ 60 ppi 이며, 경도가 45 ~ 55 인 스펀지일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함침 부재의 기공도가 40 ~ 60 ppi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함침 부재 내에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이 외부로 토출될 때, 화장료 조성물이 길게 늘어나는 특이 성상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의 피부 개선 효과, 메이크업 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3
표 1[단위 : 중량%]과 같은 조성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디메치콘/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는 Dow Corning® 3901 제품을 사용하였다.
먼저, 제 1 반응기에 자외선 차단제, 유화제, 오일, 점증제/피막제, 보존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상부에 안료를 고르게 분산시켰다.
별도의 제 2 반응기에 수상부를 용해 및 형성 한 후, 안료가 고르게 분산된 유상부에 수상부를 천천히 투입하면서 교반 및 유화시킴으로써, 1 차 유화물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1 차 유화물에 실리콘 겔을 투입 및 교반하여 유화시킴으로써, 2 차 유화물을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득된 유화물을 탈포 및 배출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2
자외선
차단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0.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 6.5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 4.5
호모살레이트 - 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 1
옥토크릴렌 - 2
티타늄디옥사이드 10 10
안료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3 3
유화제 피이지-10디메치콘 0.5 0.5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2 2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1 1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8 0.8
실리콘 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다이메치콘크로스폴리머 3 3
오일 페닐트라이메치콘 2 2
사이클로메치콘 10 10
디메치콘 2 2
카프릴릴메치콘 3 3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2 2
카프릴릭/카프릴글리세라이드 3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 3
점증제 및 피막제 디스테아디모니움헥토라이트 1 1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2 2
수상부 정제수 잔량 잔량
글리세린 3 3
부틸렌글라이콜 3 3
보존제 1.2-헥산다이올 적량 적량
카프릴릴글라이콜 적량 적량
에틸헥실글리세린 적량 적량
실시예 3 내지 4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겔을 32.5 중량%로 동일하게 포함하되, 이들을 표 2의 중량비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중량비는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을 기재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리콘 겔 1 1 1
자외선 차단제 9.8 2.5 12
실시예 5 내지 7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가 혼합된 유화제를 4.3 중량% 포함하되, 이들을 표 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피이지-10디메치콘 1 1 1 1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4 1 4 4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2 2 3 2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6 1.6 1.6 4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8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1 2 3 4 5 6 7 8
자외선
차단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 0.5 0.5 0.5 0.5 0.5 0.5 0.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6.5 6.5 1 10 6.5 6.5 6.5 6.5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 4.5 0.5 4.5 4.5 4.5 4.5 4.5
호모살레이트 5 5 1 5 5 5 5 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1 0.5 3 1 1 1 1
옥토크릴렌 2 2 0.5 2 2 2 2 2
티타늄디옥사이드 10 10 1 15 10 10 10 10
안료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3 3 3 3 3 3 3 3



유화제
피이지-10디메치콘 0.5 0.5 0.5 0.5 0.2 4 0.5 0.5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2 2 2 2 - 2 2 2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1 1 1 1 0.2 1 1 1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8 0.8 0.8 0.8 0.1 5 0.8 0.8
실리콘 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다이메치콘크로스폴리머 0.1 15 3 3 3 3 3 3
오일 페닐트라이메치콘 2 2 2 2 2 2 2 7
사이클로메치콘 10 10 10 10 10 10 1 20
디메치콘 2 2 2 2 2 2 2 2
카프릴릴메치콘 3 3 3 3 3 3 3 3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2 2 2 2 2 2 2 2
카프릴릭/카프릴글리세라이드 3 3 3 3 3 3 2.5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 3 3 3 3 3 2.5 3
점증제 및 피막제 디스테아디모니움헥토라이트 1 1 1 1 1 1 1 1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2 2 2 2 2 2 2 2
수상부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 3 3 3 3 3 3 3
부틸렌글라이콜 3 3 3 3 3 3 3 3
보존제 1.2-헥산다이올 적량
카프릴릴글라이콜 적량
에틸헥실글리세린 적량
비교예 9 내지 12
실리콘 겔로 표 5의 성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겔
실시예2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and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비교예9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cyclemethico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비교예10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cyclemethicone/dimethicone crosspolymer)
비교예11 디메치콘/폴리시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교예12 폴리실리콘-18
[실험예]
실험예 1 : 연성(늘어나는 성질) 평가
(1) 연성(늘어나는 성질) 여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1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 화장료 조성물의 연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늘어나는 성질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이때, 연성(늘어나는 성질)은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량 덜어 비이커에 옮긴 후, 이를 손끝에 묻혔을 때, 늘어나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 ○, X)에 따라 평가하도록 한 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 :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며, 화장료 조성물이 약 5 cm 이상 늘어난 경우
○ :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되, 화장료 조성물이 약 1 cm 이상 ~ 5 cm 미만으로 늘어난 경우
△ : 일시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약 1 cm 미만으로 늘어나되, 바로 끊어지는 현상을 보이는 경우
X : 늘어나는 성질이 없는 경우
연성 여부 연성 여부
실시예1 비교예1 X
실시예2 비교예2 X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X
실시예5 비교예5 X
실시예6 비교예6 X
실시예7 비교예7 X
비교예8 X
비교예9 X
비교예10 X
비교예11 X
비교예12 X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늘어나는 성질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이 길게 늘어나는 성질을 가짐을 알 수 있다.
(2) 연성(늘어나는 성질)의 안정성 평가 1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1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약 40 ℃ 의 온도에서 3 일 동안 방치한 다음, 이의 연성을 상기 실험예 1의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40 ℃, 3 일 방치 후 연성 여부 연성 여부
실시예1 비교예1 X
실시예2 비교예2 X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X
실시예5 비교예5 X
실시예6 비교예6 X
실시예7 비교예7 X
비교예8 X
비교예9 X
비교예10 X
비교예11 X
비교예12 X
표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을 고온에서 방치한 후에도, 길게 늘어나는 성질을 가짐을 알 수 있다.
(3) 연성(늘어나는 성질)의 안정성 평가 2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1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상온에서 3 달 동안 방치한 다음, 이의 연성을 상기 실험예 1의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상온, 3 달 방치 연성 여부 연성 여부
실시예1 비교예1 X
실시예2 비교예2 X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X
실시예5 비교예5 X
실시예6 비교예6 X
실시예7 비교예7 X
비교예8 X
비교예9 X
비교예10 X
비교예11 X
비교예12 X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을 고온에서 방치한 후에도, 길게 늘어나는 성질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자외선 차단 효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의 UV 차단 지수를 UV2000S 장비로 측정하였다.
UV 차단 지수 UV 차단 지수
실시예1 55 비교예1 42
실시예2 67 비교예2 40
실시예3 51 비교예3 13
실시예4 50 비교예4 45
실시예5 50 비교예5 40
실시예6 49 비교예6 39
실시예7 50 비교예7 45
비교예8 38
비교예9 35
비교예10 42
비교예11 40
비교예12 48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UV 차단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자외선 차단제가 제형 내에 충분히 안정화되어 균일하게 분산됨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관능 평가
실시에 1의 화장료 조성물을 20 ~ 30 대 여성 10 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에게, 총 21 일 동안, 스킨 케어 마지막 단게에서 이를 사용하도록 한 후, 피부 발림성, 피부 밀착성, 피부 보습감 및 메이크업 지속성을 5 점법에따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의 평균값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이때, 5 점에 가까울수록, 피부 발림성, 피부 밀착성, 피부 보습감 및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12의 관능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피부 발림성 피부 밀착성 피부 보습감 메이크업 지속성
실시예1 4.0 4.0 3.8 3.9
실시예2 4.2 4.0 4.0 3.8
실시예3 3.2 3.4 3.7 3.5
실시예4 3.5 3.6 3.6 3.5
실시예5 3.0 3.2 3.1 3.2
실시예6 3.0 3.3 3.0 3.0
실시예7 3.2 3.2 3.0 3.0
비교예1 2.0 1.8 2.1 1.5
비교예2 1.5 1.7 2.4 1.7
비교예3 3.0 3.2 3.0 2.8
비교예4 1.4 1.7 2.1 2.0
비교예5 2.0 1.4 2.0 1.8
비교예6 1.5 1.3 2.0 2.0
비교예7 2.1 2.0 2.0 2.1
비교예8 1.2 1.3 2.4 1.4
비교예9 2.0 2.0 2.2 2.1
비교예10 2.1 2.2 2.7 2.8
비교예11 2.0 2.1 2.1 2.6
비교예12 2.2 2.3 2.4 2.5
표 10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관능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실시예에 다를 경우에는 연성(늘어나는 성질)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자외선 차단능, 피부 발림성, 피부 밀착성, 피부 보습감 및 메이크업 지속성이 모두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에테르 100 % 의 필터형 스폰지(기공도 : 55 ppi, 경도 : 50)에 함침시킴으로써, 파운데이션이 함침된 화장품(쿠션 팩트)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및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화장품(쿠션 팩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도 2에 (a)실시예 2의 화장품, (b)비교예 1의 화장품 및 (c)비교예 4의 화장품을 도시하였다.
도 2를 보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함침 부재에 합침되어 압력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때, 늘어나는 성질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늘어나는 성질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3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 부재에 함침시켜, 화장품(쿠션 팩트)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자외선 차단제, 유화제,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옥토크릴렌,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1 ~ 10 중량%, 자외선 차단제 7 ~ 35 중량%, 유화제 1 ~ 8 중량%, 오일 23 ~ 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1 : 3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제, 점증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아이새도 및 치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함침 부재; 및
    상기 함침 부재에 함침되는 제 1 항의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재는
    기공도가 40 ~ 60 ppi 인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90066640A 2019-06-05 2019-06-05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5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40A KR102058513B1 (ko) 2019-06-05 2019-06-05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40A KR102058513B1 (ko) 2019-06-05 2019-06-05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513B1 true KR102058513B1 (ko) 2019-12-23

Family

ID=6905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640A KR102058513B1 (ko) 2019-06-05 2019-06-05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0021A1 (en) * 2021-01-29 2022-08-04 L'oreal Cosmetic composition for providing dark color shades,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viding dark color shad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viding dark color sha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0712A (ja) * 2005-12-23 2009-05-28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有機日焼け止め剤および共役リノール酸を含む化粧品w/o型エマルジョ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0712A (ja) * 2005-12-23 2009-05-28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有機日焼け止め剤および共役リノール酸を含む化粧品w/o型エマルジョ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0021A1 (en) * 2021-01-29 2022-08-04 L'oreal Cosmetic composition for providing dark color shades,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viding dark color shad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viding dark color shades
FR3119318A1 (fr) * 2021-01-29 2022-08-05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fournir des teintes de couleur foncée, son utilisation et ses procédés de fabr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826B1 (ko)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0643A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060014396A (ko) 겔 네트워크 중 활성제를 포함하는 개인 케어 제품
US11510863B2 (en) Water-in-oil emulsion cosmetics
CN105338956A (zh) 含有包含分散的水滴中的硅酮弹性体和特定的表面活性剂的油相的化妆品组合物
EP2925413B1 (en) Cosmetic water-in-oil emulsion in aerosol form, comprising at least one vinyl polymer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siloxane dendrimer-based unit, at least one olefin copolymer and at least one antiperspirant active agent
WO2017165931A1 (en)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latex polymer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CN111432885B (zh) 包含有机硅材料的化妆品组合物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29820A1 (en) Gelled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microdispersion of wax(es)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US10806691B2 (en) Organopolysiloxane, acid-neutralized salt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200000880A (ko)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KR102058513B1 (ko) 연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EP3727280A1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emulsion comprising a silicone resin and an amino silicone oil, and process using the same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JP6618404B2 (ja) 乳化保湿化粧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202394B1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US11141359B2 (en)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
CN107920970A (zh) 包含水杨酸化合物的化妆品组合物
WO2016012515A2 (en) Emulsions stabilized with a crosslinked silicone polymer and a semi-crystalline polymer
KR102574547B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4529B1 (ko) 수중유화 겔 베이스를 포함하는 광택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8592A (ko) 무기안료를 유상에 함유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