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199B1 -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199B1
KR101454199B1 KR1020120097148A KR20120097148A KR101454199B1 KR 101454199 B1 KR101454199 B1 KR 101454199B1 KR 1020120097148 A KR1020120097148 A KR 1020120097148A KR 20120097148 A KR20120097148 A KR 20120097148A KR 101454199 B1 KR101454199 B1 KR 10145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ling agent
agent
cosmetic composition
oil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503A (ko
Inventor
안유진
박명삼
서은주
지진구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199B1/ko
Priority to PCT/KR2013/007889 priority patent/WO2014035213A1/ko
Publication of KR2014003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 및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투명성과 탄성감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겔화제와 충분한 스틱 강도를 갖는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주 베이스로 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주 베이스로 하여 투명성과 탄성감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및 충분한 스틱 강도를 갖는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포함함으로써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외관을 갖고 충진시 용이할 뿐 아니라 발림성도 우수하며, 부서지거나 스웨팅 현상이 없이 안정도가 높은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transparent sticks sunscreen age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lyamide gelling agen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아미드 겔화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품진행시 충진이 용이하고 피부에 발림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며, 쉽게 바를 수 있고 충분한 스틱 강도를 갖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겔화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탄성감과 안정도를 향상시켜 주는 제3급-아미드-말단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류(ATPA) 겔화제와 스틱의 강도와 함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및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한 스틱 강도를 갖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환경오염에 따른 오존층 파괴 문제가 대두 되면서, 자외선 차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자외선은 280nm 내지 400nm 파장 범위의 태양광선으로서 태양광방사의 10% 에너지를 차지하고 있다. 자외선의 작용으로는 살균작용, 피부병치료 및 건강미를 표현하도록 피부결의 태닝을 돕고, 인체 필수인 비타민 D 합성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에, 잔주름, 각질 비후, 기미, 주근깨합성, 피부건조, 흑화 및 장기적인 영향으로는 피부 광노화를 일으키고 피부암의 중요한 환경요인이기도 하다.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제형으로는 액상, 크림상, 케익상, 고형상, 스프레이형, 스틱형이 있다. 그러나 액상 및 크림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은 손에 덜어 펴서 발라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케익상이나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은 사용한 스펀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스펀지 자체가 오염되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의 경우에는 안면에 적용이 어려워 용도가 제한적이다.
한편, 무기자외선차단제 혹은 왁스 성분은 발림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시 잘 펴서 바르지 않으면 피부가 하얗거나 뿌옇게 보이는 백탁현상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하는 경우, 스틱의 탄성감을 주어 피부에 도포시 부서지는 현상을 개선하고, 발한 현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투명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동물성, 식물성 및/또는 광물성 에스테르 계열의 왁스 성분을 대체하여 스틱형태의 제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제공하면서도 부드러운 발림성을 갖고 유기자외선 차단제만 사용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이 출현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28355(2010. 3. 12. 공개)에는 유기자외선차단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및 에스테르 오일을 사용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투명한 외관을 가지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나 안정성이 낮아 발한이 일어나고, 피부에 도포 시 내용물이 부서지는 등 이러한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충진시 내용물 온도가 125 ~ 130℃로 충진온도가 높기 때문에 내용물을 녹이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고, 충진 조건을 잡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틱 자외선 차단제의 스틱에 탄성감을 주어 피부에 도포 시 부서지는 현상을 개선하고, 발한 현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투명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탄성감과 안정도를 향상시켜 주는 제3급-아미드-말단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류(ATPA) 겔화제와 스틱의 강도와 함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와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이용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 및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로 제3급-아미드-말단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류(ATPA) 겔화제는 유성 오일 성분과 혼합 가능한 어떠한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칠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알킬 아민(Ethylenediamine/hydrogenated dimer dilinoleate copolymer bis-di-C14-C18 alkyl a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는 10~5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급-아미드-말단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류(ATPA)는 겔화제에 주 베이스로 함유하여 탄성감과 안정도를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10중량% 이내이면 스틱형태의 제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제공할 수 없고, 50중량% 초과 시에는 발림성이 뻣뻣하여 부드러운 발림성을 부여할 수 없으며, 도포 시 끈적거리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 가능한 제3급-아미드-말단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류(APTA)는 에칠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알킬 아민(Ethylenediamine/hydrogenated dimer dilinoleate copolymer bis-di-C14-C18 alkyl amine), 에칠렌디아민/스테아릴 다이머 탈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diamine/stearyl dimer tallate copolymer)를 원료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겔화제로 사용되는 에칠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알킬 아민(Ethylenediamine/hydrogenated dimer dilinoleate copolymer bis-di-C14-C18 alkyl amine)은 폴리아미드계 오일 겔화제로서 상온에서는 고형상이며, 유성 오일 성분과 혼합하여 고온에서 용해시 약간 옐로우한 액상이 되고, 이를 용기에 충진하여 냉각하면 탄성감을 갖는 투명상의 스틱으로 제형화가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노산계 겔화제로는 유성 오일 성분과 혼합 가능한 어떠한 아미노산계 겔화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아마이드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0.1~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겔화제인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는 0.1중량% 이내이면 강도를 가지지 못해 부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중량% 초과 시에는 제품의 강도가 너무 높아 발림성이 부드럽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겔화제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스틱의 강도와 함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함유되는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는 저분자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로서 상온에서는 분말상이며 유성 오일 성분과 혼합하여 고온에서 균일 용해시 무색 투명한 액상이 되고, 이를 용기에 충진하여 냉각하면 투명상의 스틱으로 제형화가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1 안정성 평가에 대한 결과인 표2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종래의 투명 스틱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된 비교예 1 내지 3은 종래에 사용한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중 ETPA에 해당하는 겔화제를 함유한 비교예4에 비해 안정성에서 낮은 결과를 나타내며 비교예 1 내지 4는 아미노계 겔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ATPA계 겔화제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비교예5에 비해 안정성이 낮으며, ATPA 계 겔화제와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모두 함유하는 실시예는 투명성과 안전성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ATPA계 겔화제와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혼합하여 사용 시 발한현상을 최소화하면서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제형 탄성감 및 발림성, 사용감 평가에 대한 결과인 표 4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종래의 투명스틱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된 비교예 1 내지 3과 종래에 사용한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중 ETPA에 해당하는 겔화제를 함유한 비교예 4는 아미노산 겔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ATPA계 겔화제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5와 ATPA계 겔화제와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에 비해 탄성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비교예 5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탄성감은 높으나 경도가 낮아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발림성 및 사용감이 떨어지는 반면에 실시예는 탄성감도 높으면서 스틱의 강도를 유지하여 발림성이 우수하고 폴리아미드계 겔화제가 피부에 가볍고 얇게 피막형성을 하면서 밀착력이 우수하여 사용감 및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자외선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벤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폴리실리콘-1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는 2~9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유기자외선차단제는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얻을 수 없고 9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바람직한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자외선차단제 종류에 따른 함량은 다음과 같다.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0.5~7.5중량%, 글리세릴파바 0.5~3.0중량%, 드로메트리졸 0.5~7.0중량%, 호모살레이트 0.5~10.0중량%,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0.5~7.0중량%, 3-(4-메칠벤질리덴)-캄파 0.5%5.0중량%, 메틸안트라닐레이트 0.5~5.0중량%,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5~10%, 벤조페논-3 0.5~5.0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0.5~5.0중량%, 벤조페논-4 0.5~5.0중량%,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0.5~4.0중량%, 벤조페논-8 0.5~3.0중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5.0중량%, 시녹세이트 0.5~5.0중량%, 에칠헥실트리아존 0.5~5.0중량%, 옥토크릴렌 0.5~10중량%, 옥틸디메칠파바 0.5~8.0중량%, 파라아미노안식향산 0.5~5.0중량%,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0.0~10.0중량%,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0~10.0중량%,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0.0~15.0중량%, 및 폴리실리콘-15 0.0~10.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유기자외선차단제의 종류 및 조성비는 식품의약품안정청에 기능성화장품 자외선 차단원료로 고시되어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종류 및 조성비로서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성분은 에스테르 계열의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계열 오일로는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트리메칠올프로판이소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등이 있으며,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트리메칠올프로판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물성 오일로는 마카다미아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호호바씨오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성분은 2~8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가 좋다. 오일 성분이 10% 미만으로 포함되면 다른 성분을 녹일 수 없어서 스틱 제형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85%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바람직한 강도를 갖는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타 오일성분이나 알코올류,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미용영양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주요성분 외에도 이 분야에서 공지된 기타 오일성분이나 알코올류,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미용영양성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포함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스틱의 탄성감을 주어 피부에 도포시 부서지는 현상을 개선하고 발림성도 향상시키면서 발한 현상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조예1 : 비교예 1 내지 5 및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1 내지 5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각각의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1의 비교예 1 내지 3은 종래의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이고, 비교예 4는 종래 사용되던 폴리아미드계겔화제 중 ETPA에 해당하는 겔화제를 이용한 투명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이며, 비교예 5는 ATPA계 겔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의 투명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경우는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포함하여 아미노산계 겔화제, 에스테르계 오일,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사용 처방한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이다.
구분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실시예
A상 에칠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알킬 아민 - - - - 25.0 25.0
에칠렌디아민/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 - - 25.0 - -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 - - 5.0 5.0 5.0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 - - 5.0 5.0 5.0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 - - 2.0 2.0 2.0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 - - to 100 to 100 to 100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 - - 1.0 1.0 1.0
B상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3.0 3.0 3.0 - - 3.0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3.0 3.0 3.0 - - 3.0
옥틸도데칸올 20.0 20.0 20.0 - - 15.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to 100 to 100 to 100 - - -
C상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5 7.5 - 7.0 7.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5.0 5.0 5.0 - -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5.0 - - - -
옥토크릴렌 5.0 10.0 10.0 7.0 7.0 7.0
폴리실리콘-15 10.0 - 5.0 - - -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 - 4.0 - - -
호모살레이트 - - - 8.5 8.5 8.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 - - 3.0 3.0 3.0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B상을 125℃~14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투명성을 확인한 다음, A상에 B상과 C상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완전히 용해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4 내지 5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상을 95℃~11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C상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완전히 용해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상을 95℃~11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B상을 125℃~14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투명성을 확인한 다음, A상에 B상과 따로 처리하지 않은 C상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완전히 용해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에칠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알킬 아민(Ethylenediamine/hydrogenated dimer dilinoleate copolymer bis-di-C14-C18 alkyl amine)은 탄화수소계 오일이나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에 혼합되어 균일하게 용해되며, 녹는점은 90℃이상이며 녹아서 연한 노란색을 띄는 투명한 액상이 된다.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samide)는 고급 알코올류,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에스테르계 오일에 혼합되어 균일하게 용해되며, 녹는점은 120℃이상이며 녹아서 완전히 투명한 액상이 된다.
실시예 1: 안정성 평가
안정성 평가는 -10℃, 0℃, 25℃, 45℃에서 1개월 기간으로 6개월까지 보관한 후 제품의 상태를 관찰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아래 평가기준으로 스틱 제형의 안정도와 시료 표면의 발한 현상을 육안 관찰하였다.
<평가기준>
◎ : 투명도가 높음, 발한현상이 없음.
○ : 투명하지만 조금 흐릿함, 발한현상이 적어 오일 방울을 볼 수 없음.
△ : 반투명함, 발한 현상이 관찰됨.
X : 불투명함, 발한 현상이 심함.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투명도 -10℃
0℃
25℃
45℃
발한성 -10℃
0℃
25℃
45℃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계 겔화제와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혼합하여 사용 처방한 화장료가 투명도와 안정성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2 :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SPF 측정
SPF-2999 analyzer 기계를 이용하여 메뉴얼에 제공된 방법에 따라 SPF 측정 판에 2mg/cm2를 펴발라 준 후 자외선차단지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자외선차단지수 A + + - ++ ++ ++
자외선차단지수 B 15 29 40 36 37 37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유기자외선차단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서 자외선 차단지수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외선차단지수 A 및 B에서 우수한 값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3 : 제형 탄성감 발림성 , 사용감 평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5 및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탄성감과 발림성, 사용감에 대하여 패널 20명(25 ~ 45세의 여성)이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가장 좋지 않은 평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좋은 평가 점수를 9로 하는 점수 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탄성감 3.1 3.2 3.0 4.0 9.0 9.0
발림성 7.8 7.0 7.4 8.2 8.5 8.7
사용감 7.7 7.4 7.3 7.8 7.9 8.4
지속성 7.4 7.4 7.3 7.2 7.5 7.8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계 겔화제와 아미노산계 겔화제를 혼합하여 사용 처방한 화장료가 비교예에 비해서 탄성감이나 발림성, 사용감에서 전체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화장료의 발림성 결과,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 1 내지 3보다 높게 평가된 것은 화장료의 탄성감이 좋아 피부 도포 시 부드럽게 도포되는 이유로 높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되며, 비교예 5의 경우는 탄성감은 좋으나 내용물의 경도가 낮아 쉽게 부러지는 단점이 있다. 사용감 평가는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 매끄럽게 발리기는 하나, 내용물이 쪼개지거나 부서지는 현상이 있었고, 실시예의 경우에는 점도가 낮은 에스테르 오일과 폴리아미드계 겔화제가 피부에 가볍고 얇게 피막형성을 하면서 밀착력이 우수하여 사용감 및 지속성이 높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4 : 충진 용이성 평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5 및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충진온도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125 ~ 130℃ 부근으로 충진온도가 높기 때문에 내용물을 녹이는 데 걸리는 시간과 충진조건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반면, 비교예 4 내지 5와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90 ~ 100 ℃ 부근으로 충진온도가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보다 낮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내용물을 녹이고 충진하기가 용이하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충진온도(℃)

125~130

125~130
1
25~130

90~95

0~95

95~100
상기 실험의 결과 본 발명의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성, 안정성, 발림성, 충진조건 등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비교예들에 비하여 훨씬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 및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탄성감을 주어 피부에 도포 시 부서지는 현상을 개선하면서 발림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며 발한 현상을 최소화 하며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충진시 용이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점을 갖춘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의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폴리아미드계 겔화제, 아미노산계 겔화제, 유기자외선차단제 및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으로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는 제3급-아미드-말단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류(ATPA)이고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는 10~50중량% 함유하며,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이고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0.1~10중량% 함유하며, 유기자외선차단제는 2 ~ 80중량% 함유하고, 오일성분은 2 ~ 80중량%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급-아미드-말단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류(ATPA) 겔화제는 에칠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알킬 아민(Ethylenediamine/hydrogenated dimer dilinoleate copolymer bis-di-C14-C18 alkyl a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유기자외선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벤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폴리실리콘-1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오일성분은 에스테르 계열의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기타 오일성분이나 알코올류,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미용영양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다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97148A 2012-09-03 2012-09-03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148A KR101454199B1 (ko) 2012-09-03 2012-09-03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3/007889 WO2014035213A1 (ko) 2012-09-03 2013-09-02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148A KR101454199B1 (ko) 2012-09-03 2012-09-03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03A KR20140031503A (ko) 2014-03-13
KR101454199B1 true KR101454199B1 (ko) 2014-10-21

Family

ID=5018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148A KR101454199B1 (ko) 2012-09-03 2012-09-03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4199B1 (ko)
WO (1) WO201403521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777A (ko) 2016-04-22 2017-11-01 (주)아모레퍼시픽 스틱형 자외선 차단 화장품
KR20180074938A (ko) * 2016-12-26 2018-07-04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3455A (ko) 2017-08-29 2019-03-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09175A (ko)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인터코스코리아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444B1 (ko) * 2016-09-30 2023-12-0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JP6503008B2 (ja) 2017-05-30 2019-04-17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透明油性固形化粧料
KR101988208B1 (ko) * 2018-01-22 2019-06-12 한국콜마주식회사 투명 스틱 화장품 및 그 제조 방법
JP6503107B1 (ja) 2018-03-16 2019-04-17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固形化粧料
KR102299932B1 (ko) 2018-08-17 2021-09-0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 발생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102500001B1 (ko) * 2020-09-23 2023-02-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오일 겔화제를 함유한 유분산 글로시 스틱형 립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0076A1 (en) * 2008-05-12 2009-11-12 Kokyu Alcohol Kogyo Co., Ltd. Cosmetics having excellent usability and stability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00028355A (ko) * 2008-09-04 2010-03-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1327A1 (en) * 2003-12-24 2005-09-01 Wei Yu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wo different hetero polymers and method of using same
EP1676556B1 (en) * 2004-10-22 2012-01-11 L'Oré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rganosiloxane polymer
FR2958159B1 (fr) * 2010-03-31 2014-06-13 Lvmh Rech Compos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0076A1 (en) * 2008-05-12 2009-11-12 Kokyu Alcohol Kogyo Co., Ltd. Cosmetics having excellent usability and stability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00028355A (ko) * 2008-09-04 2010-03-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777A (ko) 2016-04-22 2017-11-01 (주)아모레퍼시픽 스틱형 자외선 차단 화장품
KR20180074938A (ko) * 2016-12-26 2018-07-04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2644591B1 (ko) * 2016-12-26 2024-03-07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3455A (ko) 2017-08-29 2019-03-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09175A (ko)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인터코스코리아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03A (ko) 2014-03-13
WO2014035213A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199B1 (ko)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3821499B2 (ja) 固体の親油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32391B1 (en) Transparent scent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5736381B2 (ja) 日焼け止め組成物
KR102079513B1 (ko) 투명 유성 고형 화장료
JP2744267B2 (ja) 皮膚外用剤
KR102007800B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8355A (ko)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5282B1 (ko)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피부 도포시 가역적인 상전이 성질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S2753187T3 (es) Composición que cambia el color en emulsión O/W en forma de oleosomas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2639A (ko) 투명한 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0027A (ko) 고형 프리믹스 화장료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9517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3523B1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5004630A1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 in o/w emulsion form comprising a gemini surfactant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EP2964186B1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emulsion form comprising an emulsifying hydrophilic gelifying agent
KR102463836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7630B1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9469A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4199178B2 (ja) 固形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