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690A -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690A
KR20160094690A KR1020150016006A KR20150016006A KR20160094690A KR 20160094690 A KR20160094690 A KR 20160094690A KR 1020150016006 A KR1020150016006 A KR 1020150016006A KR 20150016006 A KR20150016006 A KR 20150016006A KR 20160094690 A KR20160094690 A KR 2016009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ultraviolet
weight
parts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성환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01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690A/ko
Publication of KR2016009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본 명세서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홍반, 흑화 현상이 피부에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위의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는 크게 무기자외선 차단제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등이 있다. 무기자외선 차단제의 종류에는 티타늄디옥사이드나 징크옥사이드 같은 광물질이 있으며, 물리적으로 자외선을 반사하거나 산란시켜 자외선을 차단한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학적 차단제로서 p-aminobenzoic acid와 그 유도체인 살리실산 유도체, 신남산 유도체 등에서 합성되어 자외선이 피부에 흡수되기 전 열에너지로 변화시켜 소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 성분은 피부에 홍반이 일어나는 현상이나 검어지는 흑화 현상 등을 막아주며 자외선으로 인한 광 노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기존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 중 무기 성분인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또는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는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들 중 입자크기가 0.1㎛ 이상인 분체로 인하여 하얗게 보이는 백탁 현상이 일어난다. 자외선 차단제에 사용되는 무기 성분은 자외선 차단효과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자극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의 제형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0.1㎛ 이하)크기의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또는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를 이용하고 있지만 나노 입자에 대한 유해성이 충분히 검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에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백탁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가격의 문제뿐만 아니라 자극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량에 있어서 제한이 있다.
따라서, 나노 크기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사용 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사용의 단점과 자외선 차단제의 백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고 유해성이 없고, 자극이 없는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특허 공개 제2011-0132294호
본 명세서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강황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백탁 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의 손상 및 염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사진이다.
도 3은 CIE 1976 L*a*b* 지각색 공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강황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강황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되며, 강황은 뿌리줄기를 한약재로 사용한다. 맵고 쓴 맛이 나는 황색의 약재로, 통증완화와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 인도에서는 타박상이나 염좌에 바르는 약으로 쓰며 카레 가루의 향신료로 쓰기도 한다. 생물학적인 연구에서 강황에 함유된 성분 중 하나인 커큐민(curcumin)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커큐민(curcumin)이 다면발현을 통해 염증반응이나 종양생성과 관련된 반응에 관여한다. 커큐민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대표적으로 염증반응에 관계된 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2(cyclooxygenase-2),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 유도 질소 산화물 생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등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외에도 여러 효소나 전사인자, 유전자 발현, 단백질 인산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화학구조적으로도 커큐민(curcumin)은 뛰어난 항산화제로서 B-디케토 그룹(B-diketo group), 탄소-탄소 이중 결합(carbon-carbon double bonds)과 하이드록시기와 메톡시기가 붙어 있는 페닐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어 라디칼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강황을 0.5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강황을 1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황을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백탁 현상의 완화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3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강황 특유의 색으로 인한 착색 효과가 강하여 사용에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강황은 분말 또는 분산된 액상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전체 100 중랑부에 대하여, 상기 첨가제를 97 중량부 초과 99.5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정제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유분, 계면 활성제, 합성고분자 물질, 산화방지제 , 킬레이트제, 향료 및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의 제형은 크림, 로션, 에센스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험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의 성분 1 내지 5를 70℃에서 교반하여 용해시켜 유상을 만든 후, 용해가 완료된 유상에 성분 6을 투입한 후, 아지 믹서(Agi mixer)로 10분 동안 1000rpm으로 분산시켰다. 성분 7 내지 14 및 18을 투입하여 70℃에서 균질 믹서(Homomixer)로 7분간 3500rpm으로 분산시켰다. 성분 15을 투입한 후, 70℃에서 균질 믹서(Homomixer)로 5분간 4000rpm으로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시킨 조성물에 성분 6의 분산이 완료된 유상을 투입하여 70℃에서 균질 믹서(Homomixer)로 5분간 5000rpm으로 분산시켰다. 상기 조성물에 성분 16 및 17을 투입한 후, 50℃에서 균질 믹서(Homomixer)로 2분간 5000rpm으로 분산시켰다. 상기 조성물을 실온 내지 29℃까지 냉각하였다.
하기 표에서 성분 12인 강황가루는 제조사 자연웰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성분 실시예1
(중량부)
비교예1
(중랑부)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7
2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6 4.6
3 폴리소르베이트20 1 1
4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25 2.25
5 메칠트리메치콘 3 3
6 티타늄디옥사이드 3 3
7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1.5 1.5
8 트로메타민 0.85 0.85
9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1.25 1.25
1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25 1.25
11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4 1.4
12 강황가루 1 - 
13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0.6 0.6
14 폴리메칠 메타크릴레이트 1.4 1.4
15 부틸 메톡시 벤조일 메탄 0.6 0.6
16 에탄올 8 8
17 미량 미량
18 정제수 100 까지 100 까지
비교예 1
상기 표 1의 성분 12를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육안으로 관찰 및 색차계를 이용하여 L, a 및 b값을 측정하였다.
도 1 및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사진이다.
도 1 및 2에서 (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강황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인 실시예 1을 도포한 것이며, (b)는 강황이 포함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인 비교예 1을 도포한 것이다. 도 1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비교하였을 때, 비교예 1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바른 손은 백탁 현상이 일어나, 팔목과의 색상이 완전히 구별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백탁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팔목과 색상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다.
또한, 하기 표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 및 후의 피부를 비교하기 위하여 L*a*b* 표색계를 이용하여 L, a 및 b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측정 값 실시예 1
바르기 전
실시예 1
바른 후
비교예 1
바르기 전
비교예 1
바른 후
L값 63.13 62.46 63.30 65.97
a값 9.30 9.51 9.73 8.06
b값 14.05 13.45 13.87 10.39
상기 표 2에서 L 값은 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백탁 현상이 있을수록 L 값이 커지게 된다. 측정 결과 비교예 1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바른 후, L 값이 상승했으나, 실시예 1의 지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바른 후, L 값은 감소하였다.
도 3은 CIE 1976 L*a*b* 지각색 공간을 나태나는 그래프이며, a 값이 커질수록 붉은 색을 나타내고, b 값이 커질수록 노란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백탁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가예 2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동일한 양으로 생체외(in vitro)에서 자외선 차단지수(SPF)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평방 1cm²당 2mg을 도포하여 자외선을 일정광량을 조사하여, 홍반이 생기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뒤 홍반이 생기는 데 필요한 광량을 구하고, 광량의 비로 자외선 차단지수(SPF)를 구하였다.
기질 형태 결과
UV type 자외선 차단지수 표준편차
비교예 1 35.8 4.1
실시예 1 43.9 6.5
상기 표 3에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자외선 차단지수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는 강황이 자외선 차단 효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도포한 손
(b): 비교예 1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도포한 손

Claims (5)

  1. 강황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강황을 0.5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첨가제를 97 중량부 초과 99.5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KR1020150016006A 2015-02-02 2015-02-02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60094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06A KR20160094690A (ko) 2015-02-02 2015-02-02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006A KR20160094690A (ko) 2015-02-02 2015-02-02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690A true KR20160094690A (ko) 2016-08-10

Family

ID=5671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006A KR20160094690A (ko) 2015-02-02 2015-02-02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6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321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팜스킨 강황 추출물과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294A (ko) 2008-04-11 2011-1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294A (ko) 2008-04-11 2011-1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321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팜스킨 강황 추출물과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169B1 (ko) 높은 광 안정성을 갖는 코팅된 분말
Mbanga et al. Determin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of some body creams and lotions marketed in Kinshasa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Donglika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rbal sunscreen
RU2635512C2 (ru) Новая фотозащитная система
ES2704874T3 (es)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estabilizar ingredientes que usan compuestos de 2,4-pentanodiona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BR112018001128B1 (pt) Composições para proteção uv
CN110025548A (zh) 一种天然植物防晒组合物及其制备方法
ES2658363T3 (es) Composición y asociación de filtros solares para fotoestabilizar el butil metoxidibenzoilmetano (BMDBM)
Buso et al.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herbal-based sunscreen
US20200038305A1 (en) Sunscreen or Sunblock Composition
Balkrishna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traditional, ayurvedic, and herbal approaches to treat solar erythema
Jangde et al. Herbal sunscreen: An overview
KR20120087600A (ko)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KR20160094690A (ko)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ES2557987T3 (es) Composición anti-decoloración
KR20150122820A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525310A (ja) ジエチルアミノヒドロキシベンゾイル安息香酸ヘキシル及び有機粒子状uvフィルターを含む効果的な日焼け止め組成物
US2021029051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MANGOSTIN, METHOD FO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CN109803630A (zh) 防晒组合物
JP6569304B2 (ja) 日焼け止め組成物
JP2006348013A (ja) 退色防止組成物及び退色防止方法
Jayati et al. Effect of addition Virgin Coconut Oil (VCO) on physical stability and SPF value of sunscreen cream combination of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KR20210139111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ES2534070T3 (es) Una composición de filtro solar es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