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519A -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519A
KR20090108519A KR1020080068802A KR20080068802A KR20090108519A KR 20090108519 A KR20090108519 A KR 20090108519A KR 1020080068802 A KR1020080068802 A KR 1020080068802A KR 20080068802 A KR20080068802 A KR 20080068802A KR 20090108519 A KR20090108519 A KR 2009010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methylenebis
benzotriazolyltetramethylbutylphenol
cosmetic composition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238B1 (ko
Inventor
양창준
김경섭
유재원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0980112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998848B/zh
Priority to PCT/KR2009/001851 priority patent/WO2009125995A2/ko
Priority to CN2012101252903A priority patent/CN102670416A/zh
Publication of KR2009010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바람직하게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를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booster)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특히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능을 부여하면서도 뻑뻑하지 않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지니며 투명하게 발리어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자외선, 차단, 분백류,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UV block cosmetic composition of powder}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능을 부여하면서도 뻑뻑하지 않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지니며 투명하게 발리어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됨에 따라 자외선에 대한 노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선번(sun burn), 흑화, 홍반 등의 피부 손상이 날로 가속화되고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삶이 윤택해지면서 생활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뿐만 아니라, 스키, 골프, 해수욕 등의 레저활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요구가 나날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과도하게 피부에 조사될 경우 각종 피부 질환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다. 이들 자외선은 피부의 흑화(선탠)나 장기간 피폭시 피부의 조기 노화를 일으키는 장파장 자외선(UV-A), 피부의 염증, 홍반 등 피부화상(선번)을 일으키는 중파장 자외선(UV-B) 및 대기 중에 흡수되어 지표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는 단파장 자외선(UV-C)로 나뉘어 진다.
예전에는 장파장 자외선(UV-A)이 염증치료에 효과가 있다 해서 환영받는 추세였으나, 최근 진피층 내 단백질의 변성, 모세혈관 확장, 핵산(DNA)의 파괴 등에 의한 피부노화를 촉진하여 경계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편, 피부의 표피부분에서 대부분 흡수되는 중파장 자외선(UV-B)은 표피에 급격히 작용하여 화상을 입히기 때문에 유해 자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장파장 자외선은 1년 내내 피부에 와 닿고 있지만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피부는 늙게 된다.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목적으로 과거부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가 개발되어 왔고 화장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분백류 화장료에서도 자외선 차단효과 부여를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분백류 화장료는 분체-오일의 2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비, 제형 및 사용목적에 따라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우더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제품은 화장의 마지막 단계에 피부에 도포되어 대략 8~12시간 동안 부착되어 있고, 이 시간 중 외출 등에 의해 자외선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최근 출시되고 있는 분백류 화장료의 경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능을 부여한 기능성 제품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자외선 차단기능의 부여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원료, 즉 화학적 차단제와 물리적 차단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화학적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라고도 하며, 자외선 영역의 파장범위를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에 반응하는 것을 방어하며 과량의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자극이나 각종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어 대부분 국가에서 배합 한도량을 규정하고 있다. 물리적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라고도 하며 자외선 영역의 파장범위의 빛을 산란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에 반응하는 것을 방어한다.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비교적 안전하여 최근 각광을 받고 있지만 제품에 적용시 물질자체의 굴절률이 높은 특성으로 인하여 커버력이 높아서 피부가 허옇게 떠보이는 백탁현상을 유발하고,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도포시 사용감이 거친 단점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알루미나, 실리카 등을 적정량 입히고(Dopping), 스테아린산, 올레익산 등의 지방산을 이용하여 비누화 반응을 실시해 표면처리하는 방법, 실리콘, 알킬실란 등으로 표면처리하는 방법, 탈크 위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을 입히는 복합화 방법, 무기 분체 또는 유기수지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단순 혼합하여 분체를 제조하는 방법, 졸-겔 법으로 티타늄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하여 기재 표면 또는 내부에 함침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0039819),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을 함침하는 방법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상기에서 금속염, 실리콘, 실란 등으로 표면 개질하는 방법은 가장 일 반적으로 시행하는 방법으로 퍼짐성과 매끄러움성을 증진시키고, 분산성을 다소 향상시키나, 투명성이 낮아 피부에 도포시 허옇게 되는 백탁현상의 문제가 그대로 존재한다.
최근 소비자들의 분백류 화장료 제품 선호경향을 살펴보면 사용시 종래의 두꺼운 커버력의 화장효과에 비해 내추럴하면서 맨얼굴의 질감을 살릴 수 있는 화장효과가 요구되며 따라서, 자외선 차단 기능을 부여한 분백류 화장료에서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거칠고 뻑뻑한 사용감과 백탁현상을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우 높은 수준(SPF 50, PA+++)의 자외선 차단능을 지니면서도 거칠고 뻑뻑한 사용감이 없으며,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특히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booster)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이 분체에 피복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특히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분백류 화장료 제형에서 자외선 차단능을 높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던 중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으로는 원하는 수준의 높은 자외선 차단능을 얻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도입하였으나 이들의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자외선 차단능 수치는 증가하지만, 커 버력으로 인해 백탁현상이 유발되고, 거칠고 뻑뻑한 사용감이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원료를 사용하여 시험하던 중,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산 차단 효능을 매우 촉진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명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booster)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은 그 자체로도 자외선 차단능을 지니고 있지만, 그 차단능은 다른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높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은 다른 자외선 차단제, 특히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배합적용 시에 비약적인 자외선 차단능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로는 씨바 스페셜티 케미컬사에서는 미립자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50 중량부 수분산액(상품명: Ciba Tinosorb M)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 대신에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자체가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경우에는 제조과정 또는 보관 중에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이 응집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효능을 촉진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경우 그 입경범위에 따라 자외선 차단능력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나며, 최적의 입경 범위는 130~180nm로 본 원료를 단독으로 사용시에는 원료자체의 응집으로 입경이 증가하여 극미립의 효과를 가지지 못해 덜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떠한 기재에 균일하게 분산하여 사용하여야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피복 분체의 경우 입경범위가 130~180nm로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분체에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에서 베이스 분체로 사용되는 물질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판상 체질 안료가 바람직하고,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황산바륨, 탄산칼슘, 실리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며, 탈크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에 있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보다 적을 시에는 모분체의 표면적에 걸쳐 균일한 표면처리를 행하기 어려우며, 20 중량%를 초과할 시에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 부틸페놀이 입자끼리의 응집으로 인해 자외선 흡수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바람직하게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에 의해 그 효능이 촉진될 수 있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3-(4-메칠벤질리덴)캄파,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틸파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소듐페닐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효능촉진 정도를 고려할 때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자외선 흡수제는 몸에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하는 동안, 자외선의 높은 에너지로 인해 자외선 흡수제 자체의 구조는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외선 차단능력이 시간에 따라 감퇴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경우 자외선-분자간 상호작용이 극히 짧은 시간 내에 발생하여 자외선 에너지에 의한 라디칼 생성 등의 불필요한 메커니즘을 방지하며, 이러한 효과적인 에너지 분산의 메커니즘으로 광에 안정하여, 자외선 차단효과가 오래 지속되며, 다른 자외선 차단제의 광안정성을 높여주어 자외선 차단효과를 증폭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매우 높은 수준(SPF 50+, PA+++)의 자외선 차단능을 지녀 화장 후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거칠고 뻑뻑한 사용감이 없으며 및 투명하게 발리어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의 제조
미립자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50 중량부 수분산액을 이용한 수계의 습식처리공정을 거쳐 유무기 복합 분체인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를 제조하였다. 모분체가 되는 분체로는 탈크를 이용하였다.
먼저 모분체인 탈크를 더한 후 탈크 함량의 30 중량부에 해당하는 함량만큼 미립자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50 중량부 수분산액을 첨가하고, 탈크함량의 8 중량부에 해당하는 함량만큼 수산화알루미늄을 더해 교반하였다. 그 후에 여과와 세정을 반복해 미립자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 틸부틸페놀 50 중량부 수분산액에 함유되어 있는 분산제 등을 제거하였다. 세정 후 건조 분쇄 과정을 거쳐 얻어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탈크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1에 수록하였다.
얻어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탈크에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한 측정결과 8~9 중량%이었다.
<실시예 2>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탈크 40.5 중량부, 마이카 30 중량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 중량부, 산화아연 5 중량부, 이산화티탄 2.5 중량부, 및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유무기 복합 분체(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8 중량% 피복 탈크) 1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 분쇄하여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1~2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부)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탈크 41.0 31.0 56.0 53.0
마이카 30.0 30.0 30.0 30.0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산화아연 4.0 4.0 4.0 4.0
이산화티탄 3.0 3.0 3.0 6.0
유무기 복합 분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함량) 15.0 (1.2) 25.0 (2.0) - -
<실시예 A~D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의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부)에 따라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A 실시예 B 실시예 C 실시예 D
탈크 61.0 38.0 63.0 38.0
마이카 30.0 30.0 30.0 30.0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2.0 - - -
유무기 복합 분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함량) - 25.0 (2.0) - 25.0 (2.0)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 - 7.0 7.0
유동파라핀 7.0 7.0 - -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A와 B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과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예 B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부스팅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2와 실시예 A 내지 D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지수 및 자외선A 차단등급을 측정하였고, 관능평가를 통해 사용감 및 백탁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자외선차단지수( SPF ) 측정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2의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SPF)를 측정하였다. 시료가 2mg/cm2 수준이 되도록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도포하고 15분 건조 후 SPF 290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시료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In vitro SPF 38.79 54.92 27.42 37.22
표준오차 3.15 2.12 2.73 3.01
상기 표 3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2, 3의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이 같은 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배합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자외선 B 차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3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절반에 불과하지만 오히려 자외선 차단지수가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이 자외선 B 차단능에 있어서 상승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실시예 A 실시예 B 실시예 C 실시예 D
In vitro SPF 1.43 7.31 10.23 29.34
표준오차 0.73 1.13 1.84 2.47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단독 사용한 실시예 A에 비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를 사용한 실시예 B의 경우 자외선 B 차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를 단독 사용한 실시예 B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단독 사용한 실시예 C와 상기 2종의 원료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D를 비교해보면, 2종의 원료를 함께 사용시에 자외선 B 차단능 상승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자외선A 차단등급( PA ) 측정
본 실험은 화장품법 제9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6조 규정에 의한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2 에서 제조한 분백류 화장료의 자외선 A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체 건강한 18-50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피시험자의 등 부위에 상기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의 분백류 화장료를 2mg/cm2 두께로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그 후, Xenon lamp를 장착한 Multi-port Solar simulator 601-300W(Solar Light사, 미국)를 광원으로하여 자외선 A 조사 2-4시간 경과 후 숙련자 2인이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을 판정하고 그 판정 값을 이용하여 자외선 A 차단지수를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5 및 7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A 차단등급은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류된다.
Figure 112008050949504-PAT00001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PFA 수치 6.27 8.89 4.10 6.12
표준오차 0.41 0.69 0.35 0.47
자외선 A 차단지수 (PFA) 자외선 A 차단등급 (PA) 자외선 A 차단효과
2 이상 4 미만 PA+ 있음
4 이상 8 미만 PA++ 많이 있음
8 이상 PA+++ 매우 많이 있음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탈크를 포함하는 실시예 2, 3의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은 같은 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배합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자외선 A 차단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2, 3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절반에 불과하지만 오히려 자외선A 차단효과가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이 자외선 A 차단능에 있어서도 상승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분 실시예 A 실시예 B 실시예 C 실시예 D
PFA 수치 0.12 1.38 0.89 5.37
표준오차 0.01 0.18 0.11 0.53
상기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단독 사용한 실시예 A에 비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를 사용한 실시예 B의 경우 자외선 A 차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를 단독 사용한 실시예 B와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단독 사용한 실시예 C와 상기 2종의 원료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D를 비교해보면, 2종의 원료를 함께 사용시에 자외선 A 차단능 상승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20∼50세의 여성 50 명을 대상으로 브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고 도포시의 사용감 및 백탁현상을 하기 표 8의 평가기준에 따라 관능평가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5 매우 우수
4 우수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감 4.1 4.3 4.2 3.0
백탁현상 4.1 4.2 4.1 2.7
상기 표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탈크를 포함하는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의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이 이산화티탄이 많이 사용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피부 도포시 사용감과 백탁현상 억제에 있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탈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7)

  1.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booster)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분백류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는 분체에 피복된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피복 분체는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함량이 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및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68802A 2008-04-11 2008-07-15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KR101049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12757.7A CN101998848B (zh) 2008-04-11 2009-04-10 粉末相防晒化妆品组合物
PCT/KR2009/001851 WO2009125995A2 (ko) 2008-04-11 2009-04-10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2012101252903A CN102670416A (zh) 2008-04-11 2009-04-10 粉末相防晒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3924 2008-04-11
KR1020080033924 2008-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519A true KR20090108519A (ko) 2009-10-15
KR101049238B1 KR101049238B1 (ko) 2011-07-13

Family

ID=455004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02A KR101049238B1 (ko) 2008-04-11 2008-07-15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07649A KR101455833B1 (ko) 2008-04-11 2011-10-20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649A KR101455833B1 (ko) 2008-04-11 2011-10-20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492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015A1 (ko) * 2011-07-08 2013-01-17 주식회사 선진화학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복합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KR101322869B1 (ko) * 2011-05-18 2013-10-29 주식회사 케미랜드 옥틸 메톡시 시나메이트가 코팅된 Talc 복합 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7101001A (ja) * 2015-12-04 2017-06-08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トラネキサム酸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KR20200020349A (ko) 2018-08-17 2020-02-26 김동명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일 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미립자, 그 미립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미립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690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60142463A (ko)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2835B1 (ko) 2018-04-27 2019-04-26 정인선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4316B2 (ja) * 1990-11-22 1998-12-09 鐘紡株式会社 固型粉末化粧料
US6436378B1 (en) * 2001-02-28 2002-08-20 Colgate-Palmolive Company Composi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69B1 (ko) * 2011-05-18 2013-10-29 주식회사 케미랜드 옥틸 메톡시 시나메이트가 코팅된 Talc 복합 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3009015A1 (ko) * 2011-07-08 2013-01-17 주식회사 선진화학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복합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JP2017101001A (ja) * 2015-12-04 2017-06-08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トラネキサム酸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KR20200020349A (ko) 2018-08-17 2020-02-26 김동명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일 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미립자, 그 미립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미립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238B1 (ko) 2011-07-13
KR20110132294A (ko) 2011-12-07
KR101455833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238B1 (ko)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KR101996254B1 (ko)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 bmdbm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7527B1 (ko)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690181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й форме
KR101261784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2233B1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1723A (ko)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3110A (ko)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KR102534801B1 (ko)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1093601A (zh) 用于ir保护的使用二氧化钛颗粒的化妆品组合物
KR101691532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20150106244A (ko) 자외선 차단 및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
KR101254515B1 (ko) 분말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33593A (ko)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JP3920380B2 (ja) 紫外線遮断機能を有する保湿剤分散体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KR102532227B1 (ko)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유무기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3058A (ko) 자외선 에이 차단용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CN112190492A (zh) 一种有机-无机复合防晒化妆品添加剂及制备方法
KR20120062150A (ko)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된 견운모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8379B1 (ko) 자외선흡수제가 포집된 이산화티타늄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3795B1 (ko) 유해 광 차단용 유무기 융합 형태의 하이브리드 복합 조성물
KR20190063213A (ko)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9860A (ko)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4134066A1 (en) Anti-pollution composite powder having uv and fine dust blocking func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