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921A -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921A
KR20240056921A KR1020220137004A KR20220137004A KR20240056921A KR 20240056921 A KR20240056921 A KR 20240056921A KR 1020220137004 A KR1020220137004 A KR 1020220137004A KR 20220137004 A KR20220137004 A KR 20220137004A KR 20240056921 A KR20240056921 A KR 20240056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ellulose
weight
oil
makeu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수향
안유진
이화영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921A/ko
Priority to PCT/KR2023/015208 priority patent/WO2024090831A1/ko
Publication of KR2024005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유상부, 수상부, 유화제, 및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에스터(ester)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Bas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그 제형의 형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유성 성분, 색상 부여와 피부 결점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우더 성분, 경도 및 제형 안정화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왁스 및 오일 성분, 그리고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한다.
파운데이션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료에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 광택감이 있는 입자를 첨가하거나 고굴절 오일을 첨가하는 방법, 또는 오일 점증제를 다량 첨가하는 방법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광택감이 있는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마찰이나 외부 압력에 의해 입자가 쪼개져 특유의 광택을 잃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고굴절 오일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용매로 사용된 기타 오일 등이 혼합되는 과정에서 오일 고유의 굴절률을 잃어 광택 개선 및 유지에 한계가 있다. 특히, 고굴절 오일을 다량 함유할 경우 메이크업 화장료의 밀착력이 떨어지고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일 점증제를 다량 첨가하는 경우 텁텁하면서도 뻣뻣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광택감 및 광택 지속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감이 개선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택감, 광택 지속력, 및 밀착감이 우수하면서도 보습력이 증진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상부, 수상부, 유화제,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에스터(ester)계 오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트라이메틸실릴셀룰로오스(Trimethylsilyl Cellulose), 및 메틸에틸셀룰로오스(Methyl 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상부에 포함되는 에스터계 오일은 C12-15알킬벤조에이트(Alkyl benzoat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및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5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택감, 광택 지속력, 및 밀착감이 우수하면서도 보습력이 증진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조성물에 대한 묻어남을 테스트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택 지속력을 테스트한 사진이다.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유화제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에스터(ester)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트라이메틸실릴셀룰로오스(Trimethylsilyl Cellulose), 및 메틸에틸셀룰로오스(Methyl 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유상부에 상술한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포함됨으로써 밀착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광택감과 광택 지속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에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에스터계 오일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광택 지속력과 밀착감이 우수하면서도 보습력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에스터계 오일이 혼합되어, 피부에 도포 시 유연한 막을 형성하면서 향상된 광택 지속력, 밀착감, 및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에 포함되는 에스터계 오일은 C12-15알킬벤조에이트(Alkyl benzoat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및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5 중량%, 또는 0.1 내지 30 중량%, 또는 0.1 내지 25 중량%, 또는 0.1 내지 20 중량%, 또는 0.1 내지 15 중량%, 또는 0.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20 중량%, 또는 1 내지 15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 또는 10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미끌거림이 생겨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도 상술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상부 및 수상부 각각에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상부 및 수상부 각각에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보습력이 증진된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 또는 0.1 내지 25 중량%, 또는 0.1 내지 20 중량%, 또는 0.1 내지 15 중량%, 또는 0.1 내지 10 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 또는 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1.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3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간 상용성이 좋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지고,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상부는 정제수, 금속이온봉쇄제, 및 보습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는 유상부 또는 수상부에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Polyglyceryl)계, 피이지(PEG, Polyethylene Glycol)계의 유화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중량%, 또는 0.1 내지 8 중량%, 또는 0.1 내지 6.5 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 또는 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감 개선이 미미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유상부 10 내지 60 중량%, 수상부 10 내지 75 중량%, 유화제 0.1 ~ 10 중량%, 및 안료 0.1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유화제,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에스터(ester)계 오일 외에 기타 오일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계 오일은 C9-12알케인(Alkane), C15-19알케인(Alkane), 및 아이소도데칸(Isododecan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오일은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디페닐디메치콘(Diphenyl Dimethicone), 디메치콘올(Dimethiconol), 및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Polyphenylsilsesquioxan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HMC),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AMC),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HS), 및 호모살레이트(HMS)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는 안료로 무기 분말, 유기 분말, 무기 백색 안료, 무기 적색계 안료, 무기 황색계 안료, 무기 녹색계 안료, 무기 청색계 안료, 펄 안료, 금속 분말 안료, 유기 안료, 천연 색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및 마이카(Mic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45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35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또는 0.1 내지 20 중량%, 또는 1 내지 30 중량%, 또는 1 내지 25 중량%, 또는 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안료가 45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안료가 잘 분산되지 않아 발림성이 두껍고 뻑뻑하여 사용감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방부제, 항균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유화 베이스 조성물의 제조(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과 같이 유화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먼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상1의 물질을 평량하여 70℃로 가열한 후 혼합하였다. 유상2의 물질은 120℃로 고온 용융한 후 유상1과 혼합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유상2의 물질을 상온에서 용해하여 유상1과 혼합하였으며, 이러한 단계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표 1의 수상 원료를 평량하고 70℃로 가열한 후 혼합하고, Agitator를 이용하여 5분간 교반하였다.
유상1 및 유상2의 혼합물에 안료를 분산시키고 수상 원료를 투입한 후, Homogenizer를 이용하여 5~10분간 유화하였고, 유화 시 온도는 70~75℃를 유지하였다. 유화 후 40℃까지 냉각하고, 향료를 투입한 다음 1분간 추가 유화하여 유화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유상1 폴리글리세릴-10펜타아이소스테아레이트 5.0 5.0 5.0 5.0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 1.5 1.5 1.5 1.5
유상 오일 26.0 26.0 26.0 31.0
유상2 에틸셀룰로오스 1.0 1.0 - 1.0
C12-15알킬벤조에이트 10.0 10.0 10.0 -
에탄올 (상온 용해) - - - 5.0
안료 파우더류 20.0 20.0 20.0 20.0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금속이온봉쇄제 0.1 0.1 0.1 0.1
마그네슘설페이트 0.7 0.7 0.7 0.7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 - - -
수상 보습제 8.0 8.0 8.0 8.0
방부제 0.7 0.7 0.7 0.7
향료 향료 0.1 0.1 0.1 0.1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유중수 타입의 조성물에 대하여 제형 안정성, 발림성, 보습감, 밀착감, 묻어남, 광택 지속력 등을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대하여, 제형 안정성을 테스트하였다.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경우 '안정', 약간의 제형 변화가 있는 경우 '보통', 제형의 분리 및 변색이 있는 경우 '불안정'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2를 선택하여, 각 온도(4℃, 25℃, 37℃, 45℃) 조건으로 각 기간(1개월, 2개월, 3개월) 동안 보관한 후 제형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도 1 참조), 제품의 제형 안정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1개월 2개월 3개월
4℃ 안정 안정 안정
25℃ 안정 안정 안정
37℃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은 1개월 내지 3개월간 각 온도(4℃, 25℃, 37℃, 45℃ 조건에서 제형이 모두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각 온도(4℃, 25℃, 37℃, 45℃) 조건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 제품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제품의 제형상 안정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37℃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는 각 온도(4℃, 25℃, 37℃, 45℃) 조건에서 1개월 보관 후 관찰하였을 때, 모두 안정한 제형을 나타냈다.
3. 사용감 관능 평가
표 1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파운데이션 형태로 제조하여, 25 ~ 36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피부에 도포 시 느끼는 발림성, 보습감, 밀착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15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10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5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5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X
구분 발림성 보습감 밀착감 전반적인 만족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상기 평가기준 중 발림성은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뻑뻑하지 않고 매끄럽게 발리는 느낌을 의미하며, 보습감은 피부에 도포 시 느껴지는 촉촉한 보습 느낌을 말한다. 밀착감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번짐 없이 고르게 도포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테스트 결과,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묻어남 평가
Bio skin plate의 2cm*5cm 면적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 0.1g씩 도포하고 10분간 건조시킨다. 그 후 티슈 한 장을 펼쳐 손바닥을 이용하여 유사한 힘으로 눌렀을 때, 티슈에 묻어나는 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Bio skin plate에 내용물을 도포한 후 티슈로 찍어낸 후 Bio skin plate를 촬영한 것이고, 도 2의 (b)는 Bio skin plate의 내용물을 티슈로 찍어낸 후 티슈를 촬영한 것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2의 묻어남이 더 적은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화장 밀착력에 대한 우수함을 나타낸다.
5. 광택 지속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 지속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Micro-TRI-gloss (BYK Gardner, Germany) 기기를 이용하였다. 테스트를 위하여 Bio skin plate를 사용하였으며, plate의 실험부위(3cm*3cm)에 제품 도포 전과 후의 광택도를 각 시간 별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험부위에 제품을 0.1g씩 도포하고, 해당 지점의 광택도를 85°로 3번씩 측정하여 그 평균 값(단위: GU)을 표 5 및 도 3에 나타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도포전 2.60 2.60 2.60 2.60
도포직후 6.80 6.55 4.90 4.50
1시간 4.50 4.30 3.33 3.60
2시간 4.20 3.90 3.00 3.23
광택도 평가 결과, 표 5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의 광택감 및 광택지속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1 내지 2는 실시예 1 내지 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광택도를 나타냈지만, 에스터 오일만 적용한 비교예 1보다 셀룰로오스 유도체만 적용한 비교예 2의 광택 지속력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용하였다.

Claims (6)

  1. 유상부, 수상부, 유화제,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에스터(ester)계 오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트라이메틸실릴셀룰로오스(Trimethylsilyl Cellulose), 및 메틸에틸셀룰로오스(Methyl 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C12-15알킬벤조에이트(Alkyl benzoat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및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5 중량% 포함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37004A 2022-10-24 2022-10-24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6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04A KR20240056921A (ko) 2022-10-24 2022-10-24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CT/KR2023/015208 WO2024090831A1 (ko) 2022-10-24 2023-10-04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04A KR20240056921A (ko) 2022-10-24 2022-10-24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921A true KR20240056921A (ko) 2024-05-02

Family

ID=9083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004A KR20240056921A (ko) 2022-10-24 2022-10-24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6921A (ko)
WO (1) WO20240908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866B1 (ko) * 2008-05-23 2010-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3349A (ko) * 2013-01-15 2014-07-28 주식회사 제닉 Ow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7756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74529B1 (ko) * 2020-10-28 2023-09-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화 겔 베이스를 포함하는 광택 화장료 조성물
KR102439781B1 (ko) * 2022-03-22 2022-09-02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831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487B2 (en) Comfortable,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lored cosmetic compositions
EP2729218B1 (en) Comfortable,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high gloss and a non-tacky feel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493879A1 (en)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ackiness
CN113262178A (zh) 一种滋润的丝缎亮光唇釉及其制备方法
KR101129410B1 (ko)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1060881B1 (ko) 입술 메이크업용 또는 입술 케어용 무광택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336120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101521266B1 (ko)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87A (ko) 수중유화 겔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3336A (ko) 립스틱 조성물
KR102319499B1 (ko) 묻어남이 개선된 왁스-프리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9125A (ko) 유분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633662B1 (ko) 저비중 마스카라 조성물
KR102321533B1 (ko)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2131491A (zh) 包含薄片状玻璃的粉饼化妆品组合物
KR102321529B1 (ko) 무수형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6064A (ko) 지속력이 우수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