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336A - 립스틱 조성물 - Google Patents

립스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336A
KR20070083336A KR1020060016538A KR20060016538A KR20070083336A KR 20070083336 A KR20070083336 A KR 20070083336A KR 1020060016538 A KR1020060016538 A KR 1020060016538A KR 20060016538 A KR20060016538 A KR 20060016538A KR 20070083336 A KR20070083336 A KR 20070083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stick
hardness
comparative example
sweating
discol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6001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3336A/ko
Publication of KR2007008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3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프릴릴트리메티콘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립스틱 조성물은 높은 경도에서도 입술에 사용 시 부드러운 감촉과 가볍고 편안한 느낌을 높여주며 끈적임이 없는 립스틱 조성물로 입술에 광택을 증가시키고 고온에서의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경시에 따른 변색, 변취 및 발한 등의 변화를 최소화힐 수 있다.
카프릴릴트리메티콘, 립스틱, 화장품

Description

립스틱 조성물{Lipstick composition}
본 발명은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프릴릴 트리메치콘을 함유함으로써 높은 경도에서도 입술에 사용 시 부드러운 감촉과 가볍고 편안한 느낌을 높여주며 끈적임이 없는 립스틱 조성물로 입술에 광택을 증가시키고 고온에서의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경시에 따른 변색, 변취 및 발한 등의 변화를 최소화한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은 입술에 색채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보이게 하고 동시에 입술의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입술용 화장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립스틱은 크게 입술에 유연효과, 광택, 사용감을 부여해 주는 유성 성분인 왁스 및 오일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색소 성분,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 등의 각종 첨가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왁스는 경도를 상승시켜 립스틱의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는 고형 성분으로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타린납 등이 사용되어 립스틱 표면에 광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색소성분은 립스틱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크게 유기색소와 무기색소로 구분된다. 유기색소 의 경우 일반적으로 용해성을 가진 것들이 많고, 이러한 염료의 경우 입술에 염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립스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유기 색소의 색상이 다양하고 화사하기 때문에 상기 염료를 불용성의 레이크로 만든 색소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외에 산화철과 같은 무기 색소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색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서도 립스틱에 많은 물성 차이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오일은 립스틱 조성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으로 피마자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 라놀린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과 합성 에스테르오일, 실리콘오일 등 액상의 유성성분이 사용되어 색소 성분을 분산시키고, 립스틱의 부착성과 퍼짐성에 영향을 미치는 등 유성성분의 선택과 함량에 따라 색소의 분산성 및 사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립스틱은 색상 표현력이 우수하며 바르기 쉽고 부드러운 사용감 및 입술의 보호 기능을 가져야 하고, 입술이나 피부 또는 체내에 섭취하였을 경우에도 무해하고, 아울러 입술에서의 라인 번짐이나 뭉침 등이 없어야 하고 변취, 변색 및 발한 등의 경시 변화도 없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 성분 중 왁스의 함량이 많으면 립스틱의 경도가 높고 딱딱해지며 사용감이 무거워져 발림성이 떨어지게 되고, 왁스의 함량이 적게되면 발림성은 좋은 반면, 고온 안정성이 떨어지고 쉽게 뭉그러질 뿐만 아니라, 립스틱의 묻어나는 양이 많아져 입술이 지저분하게 되며 입술의 라인을 따라 번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일 성분으로 라놀린을 사용하는 경우 보습력과 부착력이 우수하여 립스틱에서 흔히 사용되나, 라놀린 자체가 산화되기 쉬워 변취 및 변색의 우려가 있고, 입술에 부담감을 주며, 최근에는 라놀린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가 보고된바 있다.
따라서 오일성분으로서 피마자유를 사용하는 경우 색소에 대한 분산력이 매우 우수하고 입술에 대한 보호 효과가 뛰어나 예로부터 립스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혼합비율은 5.0-60.0중량%까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피마자유의 주된 구성물질은 분자 구조 내에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리시놀레인산으로 열이나 대기중의 라디칼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이중 결합이 끊어지게 되고 이는 분자내의 변형을 일으켜 변취 및 변색 등을 가져오게 된다.
상술한 사용감, 발림성, 변취 및 변색 등의 문제점 이외에도 지금까지 알려진 립스틱의 가장 대표적인 불안정 요소로 오일이 립스틱의 표면으로 번져 나오는 발한을 들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한은 왁스와 오일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립스틱이 열에 따라 수축, 팽창 운동을 하는 과정 중에서 각 성분들의 팽창율 차이로 조성물 내에 발생한 미세한 균열과 친수성이 있는 색소들에 대기중의 수분이 흡착되어 수분의 부피 팽창율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 미세한 균열을 따라 내부의 오일상이 외부로 나오게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발한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피마자유가 발한의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왁스와 오일의 상용성(compatibility) 정도에 따라 발한현상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상용성이 좋은 오일로 구성된 제품에서는 발한현상이 없는 반면 상용성이 떨어지는 오일로 제품화시에는 발한현상이 심하게 나 타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마자유를 대체할 수 있는 기재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글리세린/세바신산/ 이소팔미틴산의 올리고에스터, 2-에틸핵실옥시스테아레이트 등의 원료들이 피마자유 대체 기재로 검토되고 있으며, 그 일부는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의 경우 색소에 대한 분산력이 우수하고 기존의 피마자유를 사용한 것에 비해 사용성은 가볍지만 끈적임이 있으며, 발한이 많이 일어난다.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는 색소에 대한 분산력은 매우 우수하나 끈적임이 심하고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디글리세린/세바신산/이소팔미틴산의 올리고에스터는 색소에 대한 분산력, 도포 및 외관광택이 크게 저하되며 융점 및 경도를 약화시켜 립스틱의 고온 안정성을 약화시킨다. 또한, 2-에틸핵실옥시스테아레이트는 색소에 대한 분산력은 매우 우수하나 도포 및 외관광택이 크게 저하되며 융점 및 경도의 약화로 립스틱의 고온 안정성을 약화시킨다.
기존의 피마자유의 이중결합을 수소화한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은 산화에 대한 안정성은 좋지만 융점이 현저히 높아져 히드록시 지방산으로서의 특징을 상온에서 발휘하기 어려운 등 피마자유 대체용으로 개발된 여러 가지 기재들이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 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립스틱의 사용감촉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리콘 오일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에스터오일류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왁스류와도 상용성이 떨어져 사용감촉 은 개선시킨 반면 발한현상을 촉진시키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프릴릴트리메티콘을 함유시킴으로써 일반 에스터 오일류와 왁스류와도 상용성이 우수하여 발한현상을 최소화 시키고, 일반 립스틱에 비하여 경도를 상승시켜도 사용감촉을 저해시키지 않고 오히려 스틱안정성을 향상시켜 사용 시 립스틱이 부러지는 단점을 극복하였으며 입술에서의 광택을 증가 시키고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변취, 변색 및 발한 등의 경시 변화를 최소화한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프릴릴트리메티콘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드럽고 편안한 사용감을 높이기 위해 에스터 오일류와 왁스류에 상용성이 우수한 카프릴릴 트리메티콘(caprylryl trimethicone)을 사용함으로써 경도가 상승하여 스틱 안정성이 높아져 부러짐에 대한 염려가 줄어들며. 또한 불포화 지방산인 원료들을 배제함에 따라 산화 안정성을 높여 변취 및 변색을 없애고, 경도 상승을 하기 위하여 왁스함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스틱안정성이 우수하고, 그에 따라 왁스 메트릭스가 조밀하므로 발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킬변형 실리콘(alkyl modified silicones)인 카프릴릴 트리메티콘을 함유하는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카프릴릴 트리메티콘은 상온에서 점도가 약 30cps이고, 분자량이 410정도이며, 일반 실리콘오일류인 메치콘과 디메치콘과는 달리 에스터오일과 하이드로카본오일 및 왁스류와도 상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제품에 적용 시 부드러운 사용감과 함께 가볍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카프릴릴 트리메티콘은 Clariant 사에서 제공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카프릴릴 트리메티콘을 립스틱에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를 적용하고, 립스틱의 경도를 높여도 사용감에서는 우수한 부드러운 발림성이 나타내며 경도상승에 따른 스틱 안정성이 향상되어지고 역시 발한현상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카프릴릴 트리메티콘을 립스틱에 1중량% 이하로 사용 시 립스틱의 사용감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50중량% 이상 사용시에는 립스틱의 중요 품질중의 하나인 광택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아래의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배합량은 중량 기준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 : 립스틱 제조
하기 표1에 나타낸 조성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립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 세레신 8 10 12 14 14 14 14
2. 세틸팔미테이트 5 5 5 5 5 5 5
3. 폴리글리세린-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42 40 38 36 26 16 6
4.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5. 트리옥타노인 10 10 10 10 10 10 10
6.카프릴릴 트리메티콘 - - - - 10 20 30
7. 스쿠알란 5 5 5 5 5 5 5
8. 올리브오일 5 5 5 5 5 5 5
9. 색소 5 5 5 5 5 5 5
10. 방부제 q.s q.s q.s q.s q.s q.s q.s
11. 향 q.s q.s q.s q.s q.s q.s q.s
시험예 1: 왁스함량과 카프릴릴트리메티콘 함량에 따른 절단경도 및 꺽임경도, 마찰력 측정
본 발명의 립스틱 조성물과 기존의 립스틱 조성물에 대해 왁스 총 함량과 카프릴릴트리메티콘 함량에 따른 절단경도 및 꺽임경도, 마찰력을 비교하기 위해 세레신왁스 함량에 따른 조성물을 비교예로 하고, 본 발명의 카르릴릴트리메티콘을 사용한 조성물을 실시예로 하여 립스틱 사용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절단경도와 스틱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꺽임경도를 측정하고 마찰력을 측정하여 부드러운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절단경도와 꺽임경도는 모두 샘플을 25도에서 약 2시간 방치 후 후도레오미터(Fudoh rheometer)로 측정하였다.
마찰력은 비트로다인(vitro dyne)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2]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왁스 총함량(중량%) 13 15 17 19 19 19 19
절단경도(g중) 96 118 137 162 158 162 161
꺾임경도(g중) 115 146 188 284 284 295 289
마찰력(g중) 11.4 14.6 18.7 22.5 16.5 14.3 11.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4에서는 왁스 함량이 증가 할수록 절단경도, 꺾임경도 및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3에서는 왁스함량은 동일하고 카프릴릴트리메티콘 함량이 증가하면서 경도는 동일하지만, 마찰력이 낮게 측정되므로써 같은 스틱 안정성에서 비교할 때 실시예 3이 가장 우수한 발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 사용성
20대에서 3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3의 립스틱 조성물로 3회 이상 화장을 실시하게 한 후, 각 조성물에 대한 부드러운 발림성, 가볍고 편안한 느낌, 끈적임 등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양호하다고 평가한 사람수/불량하다고 평가한 사람 수의 비율로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양호 ○: (20/0 ~16/4)
- 보통 △: (15/5 ~5/15)
- 불량 X: (4/16 ~0/20)
[표 3]
평가항목 비교예 실시예
1 2 3 4 1 2 3
부드러운 발림성 가볍고 편안한 느낌 끈적임 ○ X X ○ △ X △ △ △ X X ○ △ △ △ ○ △ ○ ○ ○ ○
시험예 3 : 광택도 측정
실시예 1-3과 비교예 1-4의 제품에 대해서 사용시의 광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광택측정기와 입술에 도포 후 육안 판정으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광택 측정은 니폰덴소쿠(NIPPON DENSHOKU)의 글로스메터(GLOSS METER) VG2000으로 측정하였다.
[표 4]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광택측정기 22.9 20.4 17,3 12.5 18.8 19.2 19.0
육안판정값 4 4 3 2 4 4 4
육안 판정 범례 : 5(우수) → 3(보통) → 1(없음)
상기 표 4와 같이 광택 측정기와 육안판정 시 실시예의 제품이 경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예의 제품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 안정성 측정
실시예 제품과 비교예 제품에 대하여 변색, 변취 및 발한 현상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변색, 변취가 가장 쉽게 되는 50℃조건에서 변색, 변취의 정도에 대해 측정하고, 발한이 가장 쉽게 되는 50℃, 상대습도 70%조건에서 3개월 동안 변색, 변취 및 발한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한 날을 기록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측정조건 항목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50℃ 변색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변취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50℃, 70% 발한 현상 35일 58일 72일 81일 없음 없음 없음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품과 비교예의 제품 모두에서 변색, 변취 현상은 없었으나 발한 현상에서 실시예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비교예의 제품보다 안정성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카프릴릴트리메티콘을 함유한 본 발명의 립스틱은 이를 함유하지 않은 통상적인 립스틱보다 사용감에서 부드러운 느낌과 가볍고 편안한 느낌, 끈적임 없이 매우 우수하고, 사용시의 광택과 안정성에서 우수함을 보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카프릴릴트리메티콘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카프릴릴트리메티콘을 립스틱 조성물의 총량 기준으로 1 내지 50중량% 함유하는 립스틱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카프릴릴트리메티콘을 립스틱 조성물의 총량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립스틱 조성물.
KR1020060016538A 2006-02-21 2006-02-21 립스틱 조성물 KR20070083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538A KR20070083336A (ko) 2006-02-21 2006-02-21 립스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538A KR20070083336A (ko) 2006-02-21 2006-02-21 립스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336A true KR20070083336A (ko) 2007-08-24

Family

ID=3861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538A KR20070083336A (ko) 2006-02-21 2006-02-21 립스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33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7611A1 (en) * 2010-12-15 2013-10-10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pramolecular compound capable of establishing hydrogen bonds, a silicone oil and a wax
KR20180036085A (ko)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9601A (ko) * 2017-07-19 2019-01-29 코스맥스 주식회사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7611A1 (en) * 2010-12-15 2013-10-10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pramolecular compound capable of establishing hydrogen bonds, a silicone oil and a wax
KR20180036085A (ko)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9601A (ko) * 2017-07-19 2019-01-29 코스맥스 주식회사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5888B2 (ja) パウダー形態の化粧品組成物
US7824663B2 (en) Lip gloss composition
KR19980042804A (ko) 플루오르화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고 안락성이 개선된,묻어남이 없는 토픽 조성물, 이의 용도
CN111643401B (zh) 一种高含水量的口红及其制备方法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5203622B2 (ja) 油性化粧料
KR20070083336A (ko) 립스틱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US20040028641A1 (en)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wear
KR100239186B1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JP5060712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1336120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20070018459A (ko) 이층형 팁타입의 액상 립글로스 조성물
KR20160103581A (ko) 소프트한 피부 촉감을 갖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1037A (ko)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09847B1 (ko) 캐스터 오일 프리 립스틱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3967031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900008311B1 (ko) 립스틱 조성물
KR100593526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JP3874702B2 (ja) 口唇用化粧料
JP2001354543A (ja) 固形化粧料
CA3017384C (en) Gloss lip balm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