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880B1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3880B1 KR102583880B1 KR1020160056514A KR20160056514A KR102583880B1 KR 102583880 B1 KR102583880 B1 KR 102583880B1 KR 1020160056514 A KR1020160056514 A KR 1020160056514A KR 20160056514 A KR20160056514 A KR 20160056514A KR 102583880 B1 KR102583880 B1 KR 102583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oil
- emulsifier
- emulsion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title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2875 nonionic emulsifi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40008099 dimethico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13870 dimethyl polysiloxa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20006037 cross link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IREAODMQYCOAGP-UHFFFAOYSA-N 3-(hexadecanoylamino)propyl-trimeth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CCC(=O)NCCC[N+](C)(C)C IREAODMQYCOAG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40037624 palmitamidopropyltrimonium chlor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ZUOUZKKEUPVFJK-UHFFFAOYSA-N phenylbenzene Natural products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6267 bi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BIIFPGSPJYLRR-UHFFFAOYSA-M 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CCCCC[N+](C)(C)C VBIIFPGSPJYLRR-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YSJGOMATDFSEED-UHFFFAOYSA-M behentrim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CCCCCCCCC[N+](C)(C)C YSJGOMATDFSEED-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75506 behentrimonium chlor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2788 cetrimonium chlor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WOWHHFRSBJGXCM-UHFFFAOYSA-M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CCC[N+](C)(C)C WOWHHFRSBJGXCM-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WWVIUVHFPSALDO-UHFFFAOYSA-N n-[3-(dimethylamino)propyl]octadecanamid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NCCCN(C)C WWVIUVHFPSALD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MGAJHYFGBHHRR-UHFFFAOYSA-M trimethyl(3-octadecoxyprop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CCCCCOCCC[N+](C)(C)C QMGAJHYFGBHHRR-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QILCOQZDHPEAZ-UHFFFAOYSA-N Palmitinsaeure-oct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O)OCCCCCCCC OQILCOQZDHPEA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696 est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GJQLBGWSDGMZKM-UHFFFAOYSA-N ethylhexyl palmit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C)CCCCC GJQLBGWSDGMZK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913 palmi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4
- 229940100518 polyglyceryl-4 isostearate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15975 1,2-hexanediol Drugs 0.000 description 3
- IUMSDRXLFWAGNT-UHFFFAOYSA-N 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Chemical compound C[Si]1(C)O[Si](C)(C)O[Si](C)(C)O[Si](C)(C)O[Si](C)(C)O[Si](C)(C)O1 IUMSDRXLFWAG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HKSXSQHXQEMOK-UHFFFAOYSA-N hexane-1,2-diol Chemical compound CCCCC(O)CO FHKSXSQHXQEM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XMSXQFUHVRWGNA-UHFFFAOYSA-N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Chemical compound C[Si]1(C)O[Si](C)(C)O[Si](C)(C)O[Si](C)(C)O[Si](C)(C)O1 XMSXQFUHVRWGN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PCSVZSSVZVIGE-UHFFFAOYSA-N hex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 IPCSVZSSVZVIG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1722 methyl gluceth-20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4 o/w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63 silicon-bas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TUBPSFQENHCYBW-HVDRVSQOSA-N (2s)-2-aminopentanedioic acid;2-[bis(2-hydroxyethyl)amino]ethanol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OCCN(CCO)CCO TUBPSFQENHCYBW-HVDRVSQOSA-N 0.000 description 1
- DDGPBVIAYDDWDH-UHFFFAOYSA-N 3-[dodecyl(dimethyl)azaniumyl]-2-hydroxypropane-1-sulfon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N+](C)(C)CC(O)CS([O-])(=O)=O DDGPBVIAYDDW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XNVGIXVLWOKEQ-UHFFFAOYSA-N Disodium Chemical compound [Na][Na] QXNVGIXVLWOK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4 Palmi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84 Pickering emuls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UHFFFAOYSA-M alaninate Chemical compound CC(N)C([O-])=O QNAYBMKLOCPYG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BTBJBAZGXNKLQC-UHFFFAOYSA-N ammonium lauryl sulfate Chemical compound [NH4+].CCCCCCCCCCCCOS([O-])(=O)=O BTBJBAZGXNKL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3953 ammonium lauryl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74 anionic emuls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RUAUOIMASANKQ-UHFFFAOYSA-N cocamidopropyl beta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NCCC[N+](C)(C)CC([O-])=O MRUAUOIMASAN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3507 cocamidopropyl 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0421 coco gluc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7642 disodium cocoamphodi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868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YGAXLGGEEQLLKV-UHFFFAOYSA-L disodium;4-dodecoxy-4-oxo-2-sulfonatobutanoate Chemical compound [Na+].[Na+].CCCCCCCCCCCCOC(=O)CC(C([O-])=O)S([O-])(=O)=O YGAXLGGEEQLLK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OTZDAYCYVMXPC-UHFFFAOYSA-N dodecyl hydrogen sulf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S(O)(=O)=O MOTZDAYCYVMX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264 dodecyl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4 emulsify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FNALCNOMXIBKG-UHFFFAOYSA-N 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CCO SFNALCNOMXIB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5 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QEPLUUGTLDZJY-UHFFFAOYSA-N n-Pen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O)=O WQEPLUUGTLDZ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50 sodium laureth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5560 sodium lauryl sulfo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8109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SXHLENDCVBIJFO-UHFFFAOYSA-M sodium;2-[2-(2-dodecoxyethoxy)ethoxy]ethyl sulf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CCOCCOCCOS([O-])(=O)=O SXHLENDCVBIJF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UAJTZZNRJCKXJN-UHFFFAOYSA-M sodium;2-dodecoxy-2-oxoetha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C(=O)CS([O-])(=O)=O UAJTZZNRJCKXJ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48 suspo-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44 synergistic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8912 triethanolamine cocoyl glutamate Drug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중수형(W/O+S) 에멀젼은 우수한 수분 증발 차단력 부여, 통기성 밀폐막 형성 등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점도 안정화가 쉽지 않아 다양한 화장품 제형 적용에 한계성을 지닌다.
본 발명에서는 유중수형(W/O+S) 에멀젼 형성에서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 간의 상호 관계가 제형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의 존재 하에 이온성 유화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에는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다가 일정 농도 이상에서는 하락되고, 더욱 농도가 증가하면 전상이 일어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유중수형(W/O+S) 에멀젼 형성에서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 간의 상호 관계가 제형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의 존재 하에 이온성 유화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에는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다가 일정 농도 이상에서는 하락되고, 더욱 농도가 증가하면 전상이 일어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체와 유화제의 상호 관계성에 기인한 저점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중수형(Water-in-Ester Oil; W/O 또는 Water-in-Silicone Oil; W/S) 에멀젼은 외상이 에스터계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로, 피부 도포 시 수분 증발 차단력이 우수하고 통기성 밀폐막을 형성하여 기초 화장품 제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에멀젼은 수중유형(O/W) 에멀젼 대비 물과 땀에 의해 씻기는 성질이 적기 때문에, 선크림 및 메이크업 제품 등에서 높은 SPF 지수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화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W/O 또는 W/S 에멀젼을 저점도로 만들 경우, 피부 발림성이 우수하고, 선크림 및 색조 제품에서 분체의 뭉침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멀젼은 기초 제품부터 선크림, 색조 제품까지 다양한 제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최근에는 W/O, W/S 그리고 에스터계 오일과 실리콘 오일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Water-in-Oil and Silicone (W/O+S) 에멀젼이 화장품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W/O+S 에멀젼은 저점도 특히, 1,000 내지 12,000 cps 범위의 점도에서는 내상인 물 입자의 응집 및 용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지 못해, 제품 상용화가 가능한 정도의 안정한 W/O+S 제형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W/O+S 에멀젼의 저점도화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점도는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계면을 강화하려는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연구진들에 의해 저분자 유화제와 피커링(Pickering)을 형성할 수 있는 분체를 한 제형 내에 동시에 적용할 경우 계면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비특허문헌 1 내지 7]. 대표적인 연구로 비이온성 유화제와 피커링 형성 분체의 상호 관계(synergistic interaction)에 의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비특허문헌 8]와, 분체에 이온성 유화제를 소량 첨가하여 분체의 표면을 개질시킴으로써 안정성을 변화시키는 연구[비특허문헌 9,10]가 있다. 상기 연구들은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비이온성 유화제가 분체의 빠른 계면 도달을 돕고, 이렇게 계면에 위치하게 된 분체는 저분자 구조의 유화제에 비해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계면을 강화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분체에 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할 경우, 이온성 유화제의 양에 따라 분체의 표면 특성을 변화시켜 분체가 계면에 (분산)-(응집)-(재분산)되게 함으로써 유화의 안정성이 (증가)-(감소)-(재증가)되는 일련의 양상을 보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유화제와 분체의 상호 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O/W 에멀젼에서 진행되어 왔다. W/O 또는 W/S 에멀젼에서는 소수의 연구가 존재하나[비특허문헌 11 내지 13]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 사이의 관계성이 W/O+S 에멀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Mulqueen, P., Recent advances in agrochemical formulation, Adv. Colloid Interface Sci., 106, 83 (2003).
Gelot, A., Friesen, W. and Hamza, H. A., Emulsification of oil and water in the presence of finely divided solids and surface-active agents, Colloids Surf., 12, 271 (1984).
Hanssander, H., Johansson, B. and Tornell, B., The mechanism of emulsion stabilization by small silica (Ludox) particles, Colloids Surf., 40, 93 (1989).
Tambe, D. E. and Sharma, M. M., Factors controlling the stability of colloid-stabilized emulsions, Colloids Interface Sci., 157, 244 (1993).
Lagaly, G., Reese, M. and Abend, S., Smectites as colloidal stabilizers of emulsion, Appl. Clay Sci., 14, 83 (1999).
Gosa, K-L. and Uricanu, V., Emulsions stabilized with PEO-PPO-PEO block copolymers and silica, Colloids Surf., 197, 257 (2002).
Legrand, J., Chamerois, M., Placin, F., Poirier, J. E., Bibette, J. and Leal-Chalderon, F., Solid colloidal particles inducing coalescence in bitumen-in-water emulsions, Langmuir, 21, 64 (2005).
Pichot, R., Spyropoulos, F. and Norton, I. T., Mixed-emulsifier stabilised emulsions, J. Colloid Interface Sci., 329, 284 (2009).
Binks, B. P. and Rodrigues, J. A., Synergistic interaction in emulsions stabilized by a mixture of silica nanoparticles and cationic surfactant, Langmuir, 23, 3626 (2007).
Binks, B. P. and Rodrigues, J. A., Enhanced stabilization of emulsions due to surfactant-induced nanoparticle flocculation, Langmuir, 23, 7436 (2007).
Lucassen-Reynders, E. H. and van den Tempel, M., Stabilization of water-in-oil emulsions by solid particles, J. Phys. Chem., 67, 731 (1963).
Tembe, D. E. and Sharma, M. M., Factors controlling the stability of colloid-stabilized emulsions, J. Colloid Interface Sci., 157, 244 (1993).
Binks, B. P. and Lumsdon, S. O., Catastrophic phase inversion of water-in-oil emulsions stabilized by hydrophobic silica, Langmuir, 16, 2539 (2000).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성 유화제 및 이온성 유화제와 분체의 상호 관계가 W/O+S 에멀젼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오일 및 분체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가 W/O+S 에멀젼 형성에서 작용하는 역할 및 관계성을 전반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화장품에 적용이 가능한 수준의 저점도의 안정한 W/O+S 에멀젼의 형성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체 1 내지 5 중량%;
이온성 유화제 0.1 내지 0.5 중량%; 및
비이온성 유화제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W/O+S 에멀젼의 형성에 있어서,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 간의 상호 관계성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관찰하였다.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의 사용 유무와 함량을 변화시켜 에멀젼을 제조한 결과, 비이온성 유화제의 함량이 일정할 때 이온성 유화제, 특히 양이온성 유화제의 단독 첨가는 안정성을 하락시키고, 분체의 단독 첨가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가 일정한 함량으로 사용되는 조건에서 조건에서 양이온성 유화제의 함량을 특점 범위 조건으로 사용하면 에멀젼의 점도는 하강하면서 안정성을 우수하게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은 표 1의 조건으로 제조된 각 에멀젼의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표 3의 조건으로 제조된 각 에멀젼의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표 3의 조건으로 제조된 각 에멀젼의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분체 1 내지 5 중량%;
이온성 유화제 0.1 내지 0.5 중량%; 및
비이온성 유화제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에스터계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water-in-oil and silicone(W/O+S)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1,000 내지 12,000 cps, 또는 2,000 내지 5,000 cps의 저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도 범위에서 피부 발림성이 우수하고, 선크림 및 색조 제품에서의 분체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 이온성 유화제 및 비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분체는 입경이 1 nm 내지 10 ㎛, 또는 1 내지 5 ㎛일 수 있다. 상기 분체의 종류는 실리콘계 분체, 유기계 분체, 우레탄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분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체는 디메치콘(Dimethicone),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비닐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디페닐 디메치콘/비닐디페닐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폴리실리콘(Polysilicone), 폴리실리콘 크로스폴리머(Polysilicone Crosspolymer), 폴리메틸메타크릴산(Polymethylmethacrylate), 나일론 파우더(Nylon Powd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분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또는 2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온성 유화제는 분체의 표면을 개질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유화제로 양이온성 유화제 또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이온성 유화제는 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Palmitamidopropyltrimonium Chloride, PATC),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스테아라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Stearamidopropyl Dimethylamin),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Steartrimonium Chloride), 스테아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Stea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음이온성 유화제는 소듐 라우레쓰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글리세릴하이드록시프로필 라우르디모늄 클로라이드(Glyceryhydroxypropyl Laurdimonium Chloride),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 티이에이-코코일 글루타메이트(TEA-Cocoyl Glutam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듐 메칠 코코일 타우레이트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소듐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 티이에이-코코일 알라니네이트(TEA-Cocoyl Alaninate), 팔미틱 애씨드(Palmitic Acid), 스테아릭 애씨드(Stear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이온성 유화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 0.1 내지 0.4 중량%, 또는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이온성 유화제의 함량이 0.5 중량%를 초과하면 안정성이 저하되고, 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분체의 빠른 계면 도달을 도와,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이온성 유화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습제로는 글리세린(Glycerin), 메칠 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외에 오일, 염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W/O+S
에멀젼
원료
비이온성 유화제로는 Cetyl PEG/PPG-10/1 Dimethicone (EVONIK, Germany, HLB=5) 및 Polyglyceryl-4 Isostearate (EVONIK, Germany, HLB=5)를 사용하였다.
분체로는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VDMSC)(SHINETSU, Japan) 및 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DDVDDSC)(SHINETSU, Japan)를 사용하였다.
분체 표면을 코팅하는 용도의 양이온성 유화제로는 Palmitamidopropyltrimonium Chloride (PATC)(EVONIK, Germany, HLB=14)를 사용하였다.
유상에 사용된 오일로는 Cyclopentasiloxane (KCC, Korea), Cyclohexasiloxane (Dow Corning, USA) 및 Ethylhexyl Palmitate (NISSHIN OILLIO, Japan)를 사용하였다.
수상의 염으로는 Sodium Chloride (한주소금, Korea)를 사용하였다.
또한, 증류수(Water)는 Murk Millipore (Murk Bio, USA) 장치를 통과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2. W/O+S
에멀젼
제조
W/O+S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 비이온성 유화제와 오일을 75-80℃에서 용해시킨 후, 분체를 투입하고 디스퍼로 완전히 분산시켜 유상을 제조하였다. 또한, 양이온성 유화제와 보습제, 염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75-80℃에서 용해시켜 수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투입하고, 호모 믹서(T.K. ROBOMIX, PRIMIX Corporation, Japan)로 5 분간 유화를 진행하여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천천히 교반하며 25℃까지 냉각시켜 에멀젼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3. 물성 측정 방법
(1) 경시 안정성 측정
에멀젼의 경시 안정성은 25℃, 50℃, 60℃ 조건의 냉온장고(MICOM 제어시스템, LG, Korea) 및 형광기(LS, Korea)를 사용하여 각각 2 주를 기준으로 경시에 따른 에멀젼의 분리 유무를 확인하였다.
상기 조건의 경시 후에도 층 분리 없이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할 경우 안정하다고 판단하였으며, 경시 확인 중 어느 조건 하나에서라도 불안정한 결과가 관찰될 경우 그 시점을 해당 에멀젼의 층 분리 시점으로 보았다.
(2) 입자 형성 방식 및 입자 크기 측정
에멀젼의 유화 입자는 광학 현미경(TYPE 301-371, Leica Mikroskopie & System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양이온성 유화제의 첨가 유무 및 함량에 따른 입자의 변화 양상 관찰을 통해 입자 형성 방식을 확인하였다.
(3) 전상 유무 확인
에멀젼의 전상 유무는 전기 전도도 측정기(CARD Hitester 3244-60, HIOKI, Japan)를 이용하여 제조된 에멀젼의 제형에 리드 양 쪽을 꼽고 저항 값(Ω)을 측정하여 저항 값이 나타나지 않으면 전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저항 값이 나타나면 전상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4) 점도 측정
에멀젼의 점도는 점도계(BROOKFIELD Engineering, USA; spindle numbur = 4, speed = 3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1. (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이온성 유화제) 조합에 따른
에멀젼의
입자 형성 패턴 및 안정성 비교
W/O+S 에멀젼 형성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온 비이온성 유화제에 분체와 이온성 유화제를 적용할 경우의 에멀젼의 안정성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의 사용유무와 함량을 변화시켜가며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wt % | ||||||||||
a | b | c | d | e | f | g | h | i | ||
비이온성 유화제 | Cetyl PEG/PPG-10/1 Dimethicone | 2.50 | ||||||||
Polyglyceryl-4 Isostearate | 1.00 | |||||||||
오일 | Cyclopentasiloxane | 25.00 | ||||||||
Ethylhexyl Palmitate | 9.00 | |||||||||
분체 | DDVDDSC | - | - | 2.50 | ||||||
염 | Sodium Chloride | 1.00 | ||||||||
양이온성 유화제 | PATC | - | 0.5 | - | 0.1 | 0.25 | 0.5 | 2.0 | 4.0 | 8.0 |
1,2-hexanediol | 1.00 | |||||||||
Water | to 100 |
상기 제조된 에멀젼의 점도 및 안정성 확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 | b | c | d | e | |
점도 (cps) | 2900 | 2900 | 2800 | 1800 | 1800 |
고온·형광 안정성* | 안정 | Oil out*** | 안정 | 안정 | 안정 |
전상 유무 | - | - | - | - | - |
f | g | h | i | ||
점도 (cps) | 1700 | 1300 | 1800 | 3400 | |
고온·형광 안정성 | 표면 약간 불안** | Oil out | Oil out | Oil out | |
전상 유무 | - | - | - | 전상 |
*: 60 ℃ 14일, 50 ℃ 60일, 형광 14일 간의 안정성 확인 결과
**: 에멀젼의 층 분리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표면 상태가 매끈하지 않음
***: 층이 분리되어 상층부 유상이 토출된 경우에는 oil out, 하층부 수상이 토출된 경우에는 water out으로 표기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체 없이 비이온성 유화제에 양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한 경우 비이온성 유화제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 2(a) 및 2(b) 비교). 비이온성 유화제에 분체를 함께 사용할 경우 일정 시점까지 점도는 강하되며 안정성은 그대로 우수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 2(c)-2(f)). 그러나 양이온성 유화제의 함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안정성이 저하되고(표 2(g)-2(h)), 전상이 일어날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 2(i)).
본 발명에서 도 1은 표 1의 조건으로 제조된 각 에멀젼의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비이온성 유화제에 양이온성 유화제를 함께 적용할 경우 입자 사이즈의 변화는 거의 없다(도 1(a) 및 2(b)). 이는 저점도 유화제를 기반으로 하는 에멀젼 형성 방식에는 변화가 없으나, W/O+S 에멀젼에 HLB가 높은 양이온성 유화제를 적용하게 됨으로써 계면에서의 유화제 패킹(Packing)에 변화를 주어 안정성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이온성 유화제에 분체를 함께 적용할 경우 입자 사이즈가 증가하며 유화 입자 형성 방식이 변화하게 되는데(도. 1(a) 및 1(c) 비교), 이는 분체가 계면으로 이동하여 계면 형성에 함께 관여함으로써 일어나는 변화로 판단된다. 즉, 비이온성 유화제에 의한 에멀젼 시스템과 분체에 의한 피커링 시스템이 결합적으로 일어나는 액상수화제형(suspoemulsion)을 형성한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동량의 분체 조건에서 양이온성 유화제의 함량을 증가함에 따라 입자 사이즈가 감소되면서 분산성이 향상되어 균일한 입자 형태를 보이다가(도. 1(c)-1(f)), 응집이 일어나는 형태를 보이며(도. 1(g)-1(h)), 최종적으로 전상이 일어나며 다시 입자 분산성이 향상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i)).
비이온성 유화제에 분체를 적용할 경우 전반적으로 점도는 하강시키면서도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는 것을 통해 마이크로 사이즈 입자가 그 자체만으로 피커링 유화를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유화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효과적인 안정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피커링 유화에서 입자의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탈착 에너지가 증가하므로 안정도를 높인다는 사실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 Dickinson, E., Use of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in the formation and stabilization of food emulsions, Trends in Food Sci . & Tech., 24, 4 (2012)].
실험예
2.
오일 종류의 변화에 따른 (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이온성 유화제)
에멀젼의
입자 형성 방식의 변화 비교
비이온성 유화제, 분체 및 이온성 유화제 사이의 에멀젼 안정화의 관계성이 오일 종류를 변경할 시에도 일관된 경향성을 보이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오일의 종류를 변화시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wt % | |||||||
a | b | c | d | e | f | ||
비이온성 유화제 | Cetyl PEG/PPG-10/1 Dimethicone | 2.50 | |||||
Polyglyceryl-4 Isostearate | 1.00 | ||||||
오일 | Cyclohexasiloxane | 25.00 | |||||
Ethylhexyl Palmitate | 9.00 | ||||||
분체 | DDVDDSC | - | 2.50 | ||||
염 | Sodium Chloride | 1.00 | |||||
양이온성 유화제 | PATC | - | - | 0.25 | 0.50 | 2.00 | 8.00 |
1,2-hexanediol | 1.00 | ||||||
Water | to 100 |
상기 제조된 에멀젼의 안정성을 하기 표 4에 나타냈으며, 입자 형성 패턴을 도 2에 나타내었다.
a | b | c | d | e | f | |
점도 (cps) | 3100 | 2500 | 2500 | 2400 | 2400 | 3000 |
고온·형광 안정성 | 안정 | 안정 | 안정 | 표면 약간 불안 | Oil out | Oil out |
전상 유무 | - | - | - | - | - | 전상 |
상기 표를 통해, 유화가 안정화 되는 적정 조건(비이온성 유화제:분체:양이온성 유화제의 함량 비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양이온성 유화제의 함량 증가에 따른 에멀젼 안정화의 경향성은 일관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정 수준까지는 양이온성 유화제 증량에 따라 점도가 떨어지며 안정성은 우수하게 유지되다가(표 4(a)-4(c)) 그 후에는 안정성이 떨어지고(표 4(d) 및 4(e)), 양이온성 유화제가 과량 사용될 경우 전상이 일어났다(표 4(f)).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도 비이온성 유화제만으로 유화를 시킬 경우와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 및 분체를 함께 사용할 경우 입자 사이즈가 변화하고(도 2(a) 및 2(b)), 비이온성 유화제와 분체의 사용량이 일정할 때 양이온성 유화제를 증량시킴에 따라 에멀젼 입자가 분산(도 2(c) 및 2(d)), 응집(도 2(e)), 전상(도 2(f))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험예
3.
폴리올 종류의 변화에 따른
에멀젼의
점도 변화 비교
보습제(폴리올)의 종류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Wt % | |||
a | b | ||
비이온성 유화제 | Cetyl PEG/PPG-10/1 Dimethicone | 2.50 | |
Polyglyceryl-4 Isostearate | 1.00 | ||
오일 | Cyclohexasiloxane | 25.00 | |
Ethylhexyl Palmitate | 9.00 | ||
분체 | DDVDDSC | 2.50 | |
염 | Sodium Chloride | 1.00 | |
양이온성 유화제 | PATC | 0.50 | |
1,2-hexanediol | 1.00 | ||
보습제 | Glycerin | 20.00 | |
METHYL GLUCETH-20 | - | 20.00 | |
Water | To 100 |
상기 제조된 에멀젼의 안정성을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a | b | |
점도 (cps) | 5200 | 10000 |
고온·형광 안정성 | 안정 | 안정 |
전상 유무 | - | - |
상기 표를 통해, 보습제의 첨가가 점도의 향상을 가져오며, 특히 보습제의 종류에 따라 에멀젼의 점도가 차이가 남을 확인하였다. 즉, 보습제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켜 적용을 함으로써 다양한 점도 및 사용감의 안정한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9)
- 분체 1 내지 5 중량%;
양이온성 유화제 0.1 내지 0.5 중량%; 및
비이온성 유화제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는 디메치콘(Dimethicone),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비닐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디페닐 디메치콘/비닐디페닐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폴리실리콘(Polysilicone), 폴리실리콘 크로스폴리머(Polysilicone Crosspolymer), 폴리메틸메타크릴산(Polymethylmethacrylate), 나일론 파우더(Nylon Powd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양이온성 유화제는 팔미타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Palmitamidopropyltrimonium Chloride, PATC),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스테아라미도프로필 디메칠아민 (Stearamidopropyl Dimethylamin),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Steartrimonium Chloride), 스테아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Stea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점도는 1,000 내지 12,000 cps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분체는 입경이 1 nm 내지 10 ㎛인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351 | 2016-01-21 | ||
KR20160007351 | 2016-01-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7808A KR20170087808A (ko) | 2017-07-31 |
KR102583880B1 true KR102583880B1 (ko) | 2023-10-05 |
Family
ID=5941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6514A KR102583880B1 (ko) | 2016-01-21 | 2016-05-09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388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375A (ko) | 2019-06-25 | 2021-01-05 | (주)아모레퍼시픽 | 무계면활성제형 화장료 조성물 |
KR20220039921A (ko) | 2020-09-21 | 2022-03-30 | (주)아모레퍼시픽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KR102608661B1 (ko) * | 2023-05-10 | 2023-12-04 | 애경산업(주) | 유중수형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52117B2 (ja) | 2007-04-26 | 2013-11-27 | 株式会社 資生堂 |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069639A1 (ja) | 2012-11-02 | 2014-05-08 | ライオン株式会社 | デオドラン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5013856A (ja) | 2013-06-07 | 2015-01-22 | 花王株式会社 |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
JP2015199712A (ja) | 2014-04-03 | 2015-11-12 | ライオン株式会社 | デオドラント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2866B1 (ko) * | 2008-05-23 | 2010-12-2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
KR101355051B1 (ko) * | 2012-05-09 | 2014-01-27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JP6396781B2 (ja) * | 2013-12-27 | 2018-09-26 | ライオン株式会社 | 粉体含有化粧料組成物 |
-
2016
- 2016-05-09 KR KR1020160056514A patent/KR1025838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52117B2 (ja) | 2007-04-26 | 2013-11-27 | 株式会社 資生堂 |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069639A1 (ja) | 2012-11-02 | 2014-05-08 | ライオン株式会社 | デオドラン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5013856A (ja) | 2013-06-07 | 2015-01-22 | 花王株式会社 |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
JP2015199712A (ja) | 2014-04-03 | 2015-11-12 | ライオン株式会社 | デオドラント組成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7808A (ko) | 2017-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0789B1 (ko) |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 |
KR102583880B1 (ko)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
WO2007060823A1 (ja) | 皮膚外用剤 | |
KR102070826B1 (ko) |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
TWI709414B (zh) | 透明度得到改善的高含量神經醯胺的奈米乳液、 包括其的化妝品組成物及其製備方法 | |
KR101163862B1 (ko) |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EP2915524A1 (en) | Sunscreen cosmetic | |
TWI765911B (zh) | 水包油化妝品組成物 | |
DE102012002950A1 (de) | Stabile Wasser in Öl Emulsionen mit HLB-ähnlichen Emulgatoren | |
CN105030569B (zh) | 分散组合物及化妆料 | |
KR102245838B1 (ko) |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 |
JP6130094B2 (ja) | 水中油型乳化化粧料 | |
KR20130011800A (ko) |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US20210220234A1 (en) |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High Content Oils Are Stabilized | |
KR102395902B1 (ko) |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56842A (ko) |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JP6674816B2 (ja) | 油中水型乳化組成物 | |
KR102337010B1 (ko) |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02304A (ko) |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JP5269243B1 (ja) |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組成物 | |
JP2017081848A (ja) | 水中油型皮膚外用剤 | |
WO2022137636A1 (ja) |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 |
KR102086318B1 (ko) |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 |
JP6640556B2 (ja) | 水中油型液体入浴剤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9155241A (ja) | 多層処理粉体含有水性皮膚外用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