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318B1 -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318B1
KR102086318B1 KR1020180028816A KR20180028816A KR102086318B1 KR 102086318 B1 KR102086318 B1 KR 102086318B1 KR 1020180028816 A KR1020180028816 A KR 1020180028816A KR 20180028816 A KR20180028816 A KR 20180028816A KR 102086318 B1 KR102086318 B1 KR 102086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fractive index
cosmetic composition
flexibility
oi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498A (ko
Inventor
조현대
서재용
정주태
최순호
신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2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318B1/ko
Priority to JP2019553851A priority patent/JP6918965B2/ja
Priority to US16/496,477 priority patent/US11213464B2/en
Priority to EP19767757.8A priority patent/EP3590490A4/en
Priority to PCT/KR2019/002841 priority patent/WO2019177336A1/ko
Priority to CN201980001795.9A priority patent/CN110475536B/zh
Publication of KR2019010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5Colour indicators, e.g. pH- or Redox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수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내지 99.90 중량%,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85 중량% 포함하며,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의 굴절률 차는 0 내지 0.02 이고, 감마선이 조사되며, 피부에 적용시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의 변화에 따른 색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은 감마선 조사를 통해 유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조성물내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피부에 적용시 수분의 흡수도 및 휘발에 의한 굴절률의 차의 변화에 의해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색변화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화장료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피부에 자극이 되는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Solid temporal colorimetric hydroge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flexibility by gamma-ray irradiation}
본 발명은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수중유형의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물내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피부에 적용시 수분의 흡수도 및 휘발에 따른 굴절률의 차의 변화에 따른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색변화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색변화 소재를 이용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 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피부의 온도에 반응하여 감기 등의 증상을 알려주는 섬유(마스크), 음식의 최적 섭취온도를 알려주는 용기 및 화폐의 보안용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변화를 이용한 소재로서 전이원소를 도판트(dopant)로 첨가하여 합성하는 방법, 다이아세틸렌계열의 폴리머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중합체의 연결에 의한 컨쥬게이션 화합물로서 특정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흡수하여 나타내는 방법, 소재의 pH 변화를 이용한 방법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재들은 피부의 온도나 pH 등에 의하여 즉각적으로 반응하므로, 피부에 일정시간 사용을 요구하는 마스크팩에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유해 금속 혹은 컨쥬게이션 화합물이 포함되므로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시 용출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가격 경쟁력이나 대량생산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하이드로겔은 그동안 주로 생체 약물 전달 체계 또는 피부의 상처 치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이를 화장품에 응용한 하이드로겔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하이드로겔은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로 친수성 고분자 폴리머를 사용한다. 친수성 고분자는 주로 가지형 겔화 고분자, 전해형 겔화 고분자 등을 적절히 섞어 제품의 형태에 맞게 개발할 수 있으며, 이는 친화성이 큰 하이드로겔로서 피부로 약물의 전달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은, 한천, 카라기난, 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및 알긴 등의 천연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나, 천연고분자는 천연고분자의 상태 혹은 제조 조건에 따라 물성이 변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형타입의 겔은 천연고분자의 특성상 경시적으로 수분이 베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품질 기준를 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모든 마스크팩은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부에 유해한 다량의 방부제가 사용되어,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부 침투에 따른 효능과 더불어 시각적인 확인 방법으로서,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 컨디션, 피부의 온도 및 습도 정도 등에 따라 최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 개념의 색변화 마스크팩 화장료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화장료의 안정적인 생산과 물성의 안정성과 같은 품질 향상 및 방부제에 의한 피부 자극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 제10-2010-0082742호 특허공개 제10-2010-0039776호 특허공개 제10-2011-0075622호 특허등록 제10-1172987호 특허공개 제10-2017-001281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감마선 조사를 통해 유연성을 가지는 조성물내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피부에 적용시 수분의 흡수도 및 휘발에 의한 굴절률의 차의 변화에 따른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색변화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감마선 조사를 통하여 화장료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피부에 자극이 되는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은 가교제 첨가없이도 고분자의 가교 결합을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형성과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기 위한 멸균 목적으로 감마선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감마선 조사에 사용되는 감마선 조사선량은 5 내지 50 kGy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kGy를 사용할 수 있다. 감마선 조사선량이 5kGy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가 형성되지 않아 고형의 겔 형성이 어려우며, 50 kGy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는 높아지나 유연성이 떨어져 쉽게 부서지게 된다.
여기서, 감마선의 조사를 통하여 반응기를 가지는 고분자를 가교함으로서 형성되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타입의 하이드로겔은 일정한 물성을 유지 할 수 있게되며, 감마선의 멸균기능에 의해 화장료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므로, 방부제에 의한 피부 자극 문제를 해결하고 제품의 품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조사되는 방사선으로 감마선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은 명백하며,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방사선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유화 타입의 제형에서 피부에 적용시 수상부 혹은 유상부의 굴절률 차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화장료의 피부 착용 시간에 따라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색변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의, 경시적 색변화는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을 동일하게 혹은 차이를 두어 형성시키고, 피부 적용 시 수분의 흡수도 및 휘발에 의해 수상부 혹은 유상부의 굴절률 차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색변화가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화장료의 최적의 적용 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유화 입자의 크기가 100nm이상에서는 가시광선의 빛이 산란하여 유백색으로 보이는 현상 및 최근 유화 타입의 제형에서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를 줄임으로써 투명한 에멀젼 형태가 구현가능하다는 연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유화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때,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는 25℃에서, 0 내지 0.02,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005이다. 0.0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굴절률 차가 커져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변색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내지 9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9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중유 형태의 유화물 형성이 어렵고 99.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투명한 유백색의 유화물 구현이 어렵다. 또한,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8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함량이 작아 불투명한 유백색의 구현이 어렵고 8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부는 고분자, 굴절률 조절제 및 정제수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고분자는, 수상부의 총 중량% 대비 3.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 중량% 포함되며, 고분자가 수상부 총 중량%의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겔화 형성이 어려우며, 수상부 총 중량%의 30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수상부에 용해가 어렵다.
또한, 굴절률 조절제는 수상부의 총 중량% 대비, 3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포함된다.
굴절률 조절제가 수상부 총 중량%의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분자와의 경쟁적 저해를 일으켜 겔화를 방해하며,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상부의 굴절률을 높이는 조절효과가 적어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는 커지게 되므로 유화물은 유백색으로 형성되게 되고, 그 결과 유화물에서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변색을 관찰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고분자는 양쪽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 및 비이온성 고분자로서, 알콜, 카르복실기, 아민기, 에터, 술폰산 및 케톤 형태 등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어느 것이든 사용 할 수 있으며, 이를 수용액상으로 분산하고 감마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화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 화장료 제조가 가능하다.
양쪽 이온성 고분자로서는, 양쪽 이온성 스타치,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유도체(예, 아크릴아마이드-아크릭액시드-디매칠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메타아크릭액시드 유도체(예, 폴리메타아크릴로일에틸디메틸베타인, N-메타아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제 등)이 있다.
양이온성 고분자로서는, 4급암모늄이 결합된 폴리싸카라이드(예, 양이온이 결합된 셀룰로스, 양이온이 결합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양이온이 결합된 구아검, 양이온이 결합된 로커스트빈검, 양이온이 결합된 스타치, 등) 디메틸이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유도체(예,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마이드의 공중합체, 등), 비닐피롤리돈 유도체(예, 비닐피롤리돈과 메타아크릴아마이드 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과 메틸비닐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등), 메타아크릭액시드 유도체(예, 메타아크릴로일에틸디메틸베타인-메타아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제, 등) 등이 있다.
음이온성 고분자로서는, 폴리아크릭액시드와 그 염류, 폴리메타아크릭액시드와 그 염류, 히아루로닉액시드와 그 염류, 아세틸레이티드 히아루로닉액시드와 그 염류, 지방족 카르복실릭액시드와 그 염류(예, 메틸비닐에터-말레익액시드 공중합체, 카르복시바이닐 폴리머, 등), 다가알콜의 알릴 에터를 가교제로한 폴리아크릴릴산 또는 그의 염류 등이 있다.
비이온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부틸렌글라이콜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비닐피롤리돈-디메틸라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셀룰로즈 및 그 유도체(예, 메틸셀룰로즈, 에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등), 케라틴과 콜라겐 및 그 유도체, 알진과 그 염류, 플루란, 아가, 젤라틴, 타마린시드 폴리싸카라이드, 잔탄검, 카라기난,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펙틴, 구아검, 검 아라빅, 크리스탈린셀룰로즈, 알지닉액시드, 알부민, 카제인, 젤란검, 덱스트린, 키토산 및 그 유도체, 스타치 등이 있다.
이상의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술폰산기 등의 작용기가 많아 반응성이 높은 히아루로닉액시드 또는 그의 염류,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라기난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굴절률 조절제로는 통상적인 수용성의 화장료 성분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하이드릭알콜(예, 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등), 당류(예, 솔비톨, 말티톨, 슈크로즈, 라쿠치통, 자일리톨, 등),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옥시알킬렌 공중합체(예,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공중합체, 등), 폴리옥시알킬렌을 함유하는 알콜(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롤 에터, 등), 실리콘-폴리알킬렌 공중합체(디폴리옥시에틸렌옥시디메틸실란, 등) 등의 극성이 높은 물질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부와 유상부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화를 하기 위한 계면활성제는 수상부 혹은 유상부에 용해가 용이한 부분에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 포함되며, 계면활성제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화물 형성이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화 입자가 가시광선의 파장의 1/4 보다 작아져 투명한 형태로 나타나 본 발명의 색변화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여기서,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화물을 획득 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지방산과 그 염류(예, 소듐라우레이트, 소듐스테아레이트, 포타슘 올리에이트, 등), 알킬설퍼릭액시드와 그 염류, 알킬벤젠술포닉액시드(예, 헥실벤젠술포닉액시드, 옥틸벤젠술포닉액시드, 도데실벤젠술포닉액시드, 등)와 그 염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설퍼릭엑시드와 그 염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퍼릭 에스터와 그 염류, 설퍼석시닉엑시드알킬에스터와 그 염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터설퍼릭액시드와 그 염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틱액시드와 그 염류, 알킬포스포릭액시드와 그 염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포스포릭액시드와 그 염류, 아실글루타믹액시드와 그 염류, 아실술포닉액시드와 그 염류, 알킬술포닉액시드와 그 염류, 알킬아마이드포스포릭액시드와 그 염류, 알킬로일알킬타우린과 그 염류, 아실아미노액시드 및 그 염류 등이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드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혹은 브로마이드(예, 스테아릴드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일드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드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라우일드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등),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혹은 브로마이드(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알킬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잘토늄 클로라이드, 디에틸아미노에틸아마이드스테아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마이드스테아레이트, 알킬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등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예,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터,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터, 등),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터(예,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베헤네이트, 등), 폴리옥시알킬렌케스터오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놀에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알킬렌솔비탄알킬에스터(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롤지방산에스터, 폴리글리세롤알킬에터, 폴리글리세롤지방산에스터, 슈크로즈지방산에스터, 지방산알킬아마이드, 알킬글루코사이드, 폴리옥시알킬렌이 결합된 실리콘, 폴리글리세롤이 결합된 실리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있다.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이미다졸린타입(예, 소디움 2-운데실-N,N,N-(하이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팅)-2-이미다졸린, 2코코일-2-이미다졸리니움하이드록시-1-카복시에틸옥시 디소듐 염, 등), 아미도베타인 타입, 알킬베타인 타입(예,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틱엑시드 베타인, 미리스틸 베타인, 등), 알킬아미도베타인 타입, 알킬설포베타인 타입, 아미도설포베타인 타입, 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 타입, 카보베타인 타입, 아미노카르복실릭베타인 타입 등이 있다.
이상의 계면활성제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자극이 적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상부는 굴절률 조절제 및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상부의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하이드로카본 오일, 에스터계 오일, 천연오일, 고급알콜, 지방산 등을 포함한 유성성분을 포함한다.
실리콘계 오일로서는, 휘발성 실리콘 오일, 비휘발성 실리콘오일로 분류하며, 비휘발성 실리콘오일로서, 선형의 트리메틸실록산으로 켑핑된 폴리디메칠실록산(디메치콘, 점도 5 ~ 1,000,000 cst), 알킬체인이 결합된 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이 있으며, 휘발성 실리콘오일로서 선형의 휘발성 실록산(I), 저분자의 환형의 휘발성 실록산(II), 및 저분자의 분지형 휘발성 실록산(III) 등이 있으며, 선형의 휘발성 실록산(I)으로서 헥사메칠디실록산(MM) 옥타메칠트리실록산(MDM), 데카메칠테트라실록산(MD2M), 도데카메칠펜타실록산(MD3M), 테트라메틸헥사실록산(MD4M), 헥사데카메칠헵타실록산(MD5M)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환형의 휘발성 실록산(II)으로서 헥사메칠사이클로트리실록산(D3), 옥타메칠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D4),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D5), 도데카메칠사이클로헥사실록산(D6)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가지분쇄형 휘발성 실록산(III)으로서 헵타메칠-3-((트리메칠실릴)옥시)트리실록산(M3T), 헥사메칠-3,3,비스((트리메칠실릴)옥시)트리실록산 (M4T)등이 있다.
하이드로카본 오일로서는, 리퀴드파라핀, 리퀴드이소파라핀, 바세린,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쿠알란, 폴리데센 등이 있다.
에스터계 오일로서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스테아린 등이 있다.
천연 오일로서는, 동물성 및 식물성이 있으며, 아보카도 오일, 린시드 오일, 칸데릴라왁스, 마유, 선플라워오일, 케스터오일, 코코넛오일, 라이스브레인 오일, 아몬드 오일, 소이빈 오일, 커넬 오일, 비즈 왁스, 코코넛 버터, 라놀린 등이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라우일알콜, 미리스틸알콜, 팔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헥사데실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헥사도데카놀, 옥틸도데카놀,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등이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릭액시드, 미리스틱액시드, 팔미틱액시드, 스테아릭액시드, 올레익액시드, 리놀릭액시드, 리놀레익액시드, 아라키도닉액시드, 에이코사팬타노익액시드, 도코사헥사노익액시드, 이소스테아릭엑시드, 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액시드 등이 있다.
이상의 오일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오일이 적합하다.
유상부의 굴절률 조절제는, 오일을 포함하여 유상부를 구성하는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낮은 경우에는 굴절률이 낮으며, 분자량이 높은 경우에는 굴절률이 높다. 또한 실리콘계 오일의 경우에는 하이드로카본에 오일에 비하여 굴절률이 현저히 낮은 특징이 있으며, 낮은 굴절률의 오일과 높은 굴절률의 오일을 조합하여 굴절률을 조정 할 수 있다.
유상부의 굴절률은 하기의 수학식1에 의하여 굴절률을 조절한다.
Figure 112018024759011-pat00001
(RImix : 혼합된 오일의 굴절률, Wi : 사용된 오일의 개별의 무게, ni : 사용된 오일의 개별 굴절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는 일반적인 수중유형태의 화장료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혼합용해하는 단계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60~85℃, 바람직하게는 80℃에서 4,000rpm으로 50~70분간, 바람직하게는 60분간 혼합 용해한다.
(2) 유상부의 각 성분들을 혼합용해하는 단계
유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혼합 용해한다.
(3) 혼합용해된 수상부를 혼합용해된 유상부로 유화하여 유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혼합용해된 수상부에 혼합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60~85℃, 바람직하게는 80℃에서 4,000rpm으로 8~20분간, 바람직하게는 10분간 유화한다.
(4) 유화물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
유화물을 용기에 투입한 후 감마선을 5 내지 50kGy의 조사선량 범위내에서, 5kgy, 15kGy, 35kGy 및 50kGy의 조사선량 차이를 두어 조사한다.
(5) 유동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이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최종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 외에도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미백제, 주름개선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향료, 색소, 살균제, pH 조절제, 사용감 개선제 및 산화안정화제 등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은 감마선 조사를 통해 유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조성물내의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피부에 적용시 수분의 흡수도 및 휘발에 의한 굴절률의 차의 변화에 의해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색변화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마선 조사를 통하여 화장료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피부에 자극이 되는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효능 측정을 위한 실험과정에서 통상적인 측정실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실시예 1> 수상부 및 유상부의 중량%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물의 확인
표 1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성상을 확인 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10.00 6.00 4.00 2.00 0.50
히아루로닉액시드 1.50 1.00 0.80 0.50 0.20
카라기난 1.50 1.00 0.80 0.50 0.2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05 2.00 3.00 4.00 5.00
글리세린 10.00 8.00 5.00 3.00 0.50
정제수 76.85 62.00 36.40 20.00 8.6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01 1.00 2.00 2.50 3.00
디메치콘 0.045 9.50 24.00 33.75 41.00
헥실라우레이트 0.045 9.50 24.00 33.75 41.00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유상부의 중량%가 0.1 ~ 85 중량%로서 모두 유백색의 유화물 생성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계면활성제 중량%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물의 형성 유무 확인
표 2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성상을 확인 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10.00 4.00 4.00
히아루로닉액시드 1.50 0.80 0.80
카라기난 1.50 0.80 0.8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04 10.00 20.00
글리세린 10.00 5.00 5.00
정제수 76.85 23.40 44.4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01 5.00 10.00
디메치콘 0.05 25.50 7.50
헥실라우레이트 0.05 25.50 7.50
합계 100.00 100.00 100.0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계면활성제로 사용된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의 중량%가 0.05 ~ 30 중량%로서 모두 유화물 생성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감마선 조사 양에 따른 겔 형성 유무 확인
표 3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별도의 용기에 담아 감마선 조사선량을 5kgy, 15kGy, 35kGy 및 50kGy의 차이를 두어 조사한 후 유동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6.00
히아루로닉액시드 1.00
카라기난 1.0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3.00
글리세린 8.00
정제수 61.0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00
디메치콘 9.50
헥실라우레이트 9.50
합계 100.00
조사 선량 강도(kgf/cm2) 경도(g/cm2)
5kGy 230.62 7,760.96
15kGy 370.75 10,107.36
35kGy 440.28 14,078.00
50kgy 511.12 18,647.40
상기 표 4의 감마선 조사 양에 따른 겔의 강도 및 경도 확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감마선 조사량 5 ~50 kgy에서 모두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 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사량이 높아 질수록 강도 및 경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고분자 중량%에 따른 감마선 조사 겔 형성 유무 확인
표 5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별도의 용기에 담아 25kGy/hr의 조사선량을 통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1.00 2.50 4.00
히아루로닉액시드 0.25 0.50 1.00
카라기난 0.25 0.50 1.0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4.00 4.00 4.00
글리세린 3.00 2.00 1.00
정제수 21.50 20.5 19.0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50 2.50 2.50
디메치콘 33.75 33.75 33.75
헥실라우레이트 33.75 33.75 33.75
합계 100.00 100.00 100.00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고분자로 사용된 폴리비닐알콜, 히아루로닉액시드 및 카라기난이 수상부 총 중량% 기준 5 ~ 20 중량%에서 모두 감마선 조사선량 25kGy에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겔 형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수상부 및 유상부의 굴절률 차에 따른 투명도의 확인
표 6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별도의 용기에 담아 25kGy/hr의 조사선량을 통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투명도를 확인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실시예 5-1 실시예 5-2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6.00 6.00
히아루로닉액시드 1.00 1.00
카라기난 1.00 1.0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2.50 2.50
글리세린 37.20 24.80
정제수 32.30 44.7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00 1.00
디메치콘 19.00 19.00
헥실라우레이트 0.00 0.00
옥토크릴렌 0.00 0.00
합계 100.00 100.00
항목 굴절률 (25℃)
실시예 5-1 실시예 5-2
수상부 1.4043 1.3843
유상부 1.4043 1.4043
굴절률 차 0.0000 0.0200
투명성 1 2
<1:투명, 2:약간 불투명, 3:불투명>
상기 표 7의 수상부 및 유상부의 굴절률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 0.02 이하에서는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6> 수상부 및 유상부의 굴절률 차에 따른 투명에서의 유백색으로의 색변화 확인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겔을 2mm의 두께로 자른 후 건강한 성인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각각 피부에 부착하여, 투명에서 유백색으로 변화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 하였다. 각 평가 결과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항목 색변화의 정도
5분 30분 60분 90분 120분
실시예 5-1 ** *** **** **** ****
실시예 5-2 - ** ** *** ***
< -: 변화 없음, *: 약간변함, **: 보통, ***: 우수, ****:매우 우수 >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의 유상부와 수상부의 피부 적용시 굴절률 차에 따른 색변화의 정도를 확인 한 결과, 실시예 5-1의 경우,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색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5-2의 경우, 초기에 약간 불투명한 유백색으로 시작하여 변화 폭은 높지 않았지만 색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수상부 및 유상부의 중량%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물의 확인
표 9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성상을 확인 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10.00 10.00 2.00 1.00
히아루로닉액시드 1.50 1.50 0.50 0.20
카라기난 1.50 1.50 0.50 0.2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05 0.05 3.00 3.00
글리세린 10.00 10.00 1.00 1.00
정제수 76.92 76.90 5.00 2.6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01 0.01 2.00 2.00
디메치콘 0.01 0.02 43.00 45.00
헥실라우레이트 0.01 0.02 43.00 45.00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의 유상부의 중량%가 0.10 미만인 경우에는 유백색의 유화물 형성이 어려우며, 유상부의 중량%가 85 이상에서는 유중수형의 유화물 형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2> 계면활성제 중량%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물의 형성 유무 확인
표 10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성상을 확인 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비교예 2-1 비교예 2-2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10.00 4.00
히아루로닉액시드 1.50 0.80
카라기난 1.50 0.8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03 23.00
글리세린 10.00 5.00
정제수 76.86 41.4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01 12.00
디메치콘 0.045 6.50
헥실라우레이트 0.045 6.50
합계 100.00 100.00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계면활성제로 사용된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의 중량%가 0.05이하에서는 유화물에서 오일이 뜨는 현상이 발생 하였으며 중량%가 30이상에서는 반투명한 형태의 유화물이 생성되어 본 발명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비교예 3> 감마선 조사 양에 따른 겔 형성 유무 확인
표 3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별도의 용기에 담아 감마선 조사선량에 차이를 두어 조사한 후 유동성을 가지는 고형겔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조사 선량 강도(kgf/cm2) 경도(g/cm2)
2kGy 80.67 2,711.40
80kgy 887.78 31,471.61
상기 표 11의 감마선 조사 양에 따른 겔의 강도 및 경도 확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감마선 조사량 2kGy에서는 겔의 강도가 아주 낮아 본 연구의 고형의 형태로 보기는 힘들며 80 kgy에서는 모두 고형으로서 유연성을 가지지 않고 쉽게 부서지는 현상이 확인되여 본 연구의 유연성을 가지지 못한다.
<비교예 4> 고분자 중량%에 따른 감마선 조사 겔 형성 유무 확인
표 12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 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별도의 용기에 담아 25kGy/hr의 조사선량을 통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비교예 4-1 비교예 4-2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0.40 5.00
히아루로닉액시드 0.25 1.00
카라기난 0.25 1.5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4.00 4.00
글리세린 3.00 1.00
정제수 22.10 17.50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50 2.50
디메치콘 33.75 33.75
헥실라우레이트 33.75 33.75
합계 100.00 100.00
상기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4의 고분자로 사용된 폴리비닐알콜, 히아루로닐액시드 및 카라기난이 수상부 총 중량% 기준 3 중량%에서는 감마선 조사선량 25kGy에서 늘어나는 형태로 본 발명의 고형 겔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고분자의 함량이 수상부 총 중량% 기준 25 중량%에서는 높은 점도로 인한 흐름성이 떨어지며 감마선 조사선량 25kGy에서 겔의 강도가 너무 높아 유연성을 가지기 힘들다.
<비교예 5> 수상부 및 유상부의 굴절률 차에 따른 투명도의 확인
표 13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정량 칭량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혼합 용해한 후 별도의 용해된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유화 한 후 별도의 용기에 담아 25kGy/hr의 조사선량을 통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투명도를 확인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
비교예 5-1 비교예 5-2 비교예 5-3
수상부 폴리비닐알콜 6.00 6.00 6.00
히아루로닉액시드 1.00 1.00 1.00
카라기난 1.00 1.00 1.00
폴리에틸렌글라이콜(20)솔비탄 스테아레이트 2.50 2.50 2.50
글리세린 0.00 0.00 0.00
정제수 69.5 69.5 69.5
유상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디메치콘 16.86 9.07 0.00
헥실라우레이트 2.14 9.93 2.69
옥토크릴렌 0.00 0.00 16.31
합계 100.00 100.00 100.00
항목 굴절률 (25)
비교예 5-1 비교예 5-2 비교예 5-3
수상부 1.3425 1.3425 1.3425
유상부 1.4125 1.4425 1.5425
굴절률 차 0.0700 0.1000 0.2000
투명성 3 3 3
< 1:투명, 2:약간 불투명, 3:불투명 >
상기 표 14의 수상부 및 유상부의 굴절률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5의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 0.07 이상에서는 불투명성을 확인할 수 있어,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다.
<비교예 6> 수상부 및 유상부의 굴절률 차에 따른 투명에서의 유백색으로의 색변화 확인
표 13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겔을 2mm의 두께로 자른 후 건강한 성인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각각 피부에 부착하여, 투명에서 유백색으로 변화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 하였다. 각 평가 결과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항목 색변화의 정도
5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비교예 5-1 - - - - -
비교예 5-2 - - - - -
비교예 5-3 - - - - -
< -: 변화 없음, *: 약간변함, **: 보통, ***: 우수, ****:매우 우수 >
상기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6의 유상부와 수상부의 피부 적용시 굴절률 차에 따른 색변화의 정도를 확인한 결과, 비교예 5-1, 5-2, 5-3는 자체적으로 투명에서 유백색으로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7)

  1.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수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내지 99.90 중량%,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85 중량% 포함하며,
    상기 수상부는 고분자, 굴절률 조절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는 수상부의 총 중량% 대비 3.0 내지 30 중량% 포함되고, 상기 굴절률 조절제는 수상부의 총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 포함되며,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의 굴절률 차는 0 내지 0.02 이고, 감마선이 5 내지 50 kGy 조사되어 고형의 겔형성이 되고 유연성을 가지며, 피부에 적용시 수분의 흡수도 및 휘발에 의한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의 변화에 따른 색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양쪽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 또는 비이온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히아루로닉액시드, 히아루로닉액시드 염류,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절제는 폴리하이드릭알콜, 당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옥시알킬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알킬렌을 함유하는 알콜, 실리콘-폴리알킬렌 공중합체를 포함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굴절률 조절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하이드로카본 오일, 에스터계 오일, 천연오일, 고급알콜 및 지방산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의 굴절률 조절제는 오일을 포함하여 유상부를 구성하는 성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13. 삭제
  14.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혼합용해하는 단계(S1);
    유상부의 각 성분들을 혼합용해하는 단계(S2);
    혼합용해된 수상부를 혼합용해된 유상부로 유화하여 유화물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유화물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S4); 및
    유동성을 가지는 고형 겔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내지 99.90 중량%,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85 중량% 포함하며,
    상기 수상부는 고분자, 굴절률 조절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는 수상부의 총 중량% 대비 3.0 내지 30 중량% 포함되고, 상기 굴절률 조절제는 수상부의 총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 포함되며,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의 굴절률 차는 0 내지 0.02 이고, 감마선이 5 내지 50 kGy 조사되어 고형의 겔형성이 되고 유연성을 가지며, 피부에 적용시 수분의 흡수도 및 휘발에 의한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 차의 변화에 따른 색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는,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60~85℃에서 4,000rpm으로 50~70분간 혼합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혼합용해된 수상부에 혼합용해된 유상부를 투입하고, 60~85℃에서 4,000rpm으로 8~20분간 유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7. 삭제
KR1020180028816A 2018-03-12 2018-03-12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208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16A KR102086318B1 (ko) 2018-03-12 2018-03-12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JP2019553851A JP6918965B2 (ja) 2018-03-12 2019-03-12 ガンマ線照射による柔軟性を有する固形の経時的色変化ヒドロゲル化粧料組成物
US16/496,477 US11213464B2 (en) 2018-03-12 2019-03-12 Solid temporal colorimetric hydroge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flexibility by gamma-ray irradiation
EP19767757.8A EP3590490A4 (en) 2018-03-12 2019-03-12 SOLID COSMETIC COMPOSITION WITH COLOR FADING HYDROGEL WITH FLEXIBILITY DUE TO GAMMA RADIATION
PCT/KR2019/002841 WO2019177336A1 (ko) 2018-03-12 2019-03-12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CN201980001795.9A CN110475536B (zh) 2018-03-12 2019-03-12 通过照射伽马射线具备柔韧性的固体的历时颜色变化水凝胶化妆品成分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16A KR102086318B1 (ko) 2018-03-12 2018-03-12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98A KR20190107498A (ko) 2019-09-20
KR102086318B1 true KR102086318B1 (ko) 2020-03-09

Family

ID=6790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16A KR102086318B1 (ko) 2018-03-12 2018-03-12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3464B2 (ko)
EP (1) EP3590490A4 (ko)
JP (1) JP6918965B2 (ko)
KR (1) KR102086318B1 (ko)
CN (1) CN110475536B (ko)
WO (1) WO20191773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2755A (ko) 2022-12-02 2024-06-11 주식회사 팜스킨 방사선 처리 초유 가수분해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824A (ja) 2004-02-13 2005-08-25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透明性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08046541A2 (de) 2006-10-19 2008-04-24 Beiersdorf Ag Filmbildende gelkomposition zur wund- bzw. hauptpflege
KR101328408B1 (ko) 2012-10-23 2013-11-13 주식회사 제닉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KR101582660B1 (ko) * 2014-07-14 2016-01-0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129A (ja) * 1993-09-09 1995-03-28 Kao Corp 皮膜形成型パック化粧料
ZA966814B (en) * 1995-08-18 1998-02-12 Colgate Palmolive Co Clear cosmetic gel composition.
JP4596774B2 (ja) * 2003-12-26 2010-12-15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化粧料
KR100841742B1 (ko) * 2006-12-14 2008-06-27 화인코주식회사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에이용되는 조성물
KR101009051B1 (ko) 2008-10-08 2011-01-17 정희준 온도감응색변화조성물
KR101294224B1 (ko) 2009-12-28 2013-08-07 신성철 온도감응 색변화용 포장체
KR101116252B1 (ko) 2010-06-03 2012-03-09 정희준 온도감응색변화미끄럼방지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시공방법
WO2012009299A1 (en) * 2010-07-13 2012-01-19 Cephalon, Inc. Improved methods for the sterilization of bendamustine
KR101172987B1 (ko) 2011-02-18 2012-08-09 유연조 자외선을 이용한 색 변화 매니큐어의 제조방법
KR101388641B1 (ko) * 2012-08-24 2014-04-24 한국콜마주식회사 반투명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4812359A (zh) * 2012-11-30 2015-07-29 莱雅公司 变色组合物
CN103071181B (zh) * 2013-02-01 2015-04-29 刘昌桂 一种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38688B1 (ko) * 2014-04-07 2016-07-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수중유형 나노에멀젼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
KR101763912B1 (ko) 2015-07-24 2017-08-02 (주)뷰티화장품 pH 변화에 따른 색 변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하이드로겔 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824A (ja) 2004-02-13 2005-08-25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透明性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08046541A2 (de) 2006-10-19 2008-04-24 Beiersdorf Ag Filmbildende gelkomposition zur wund- bzw. hauptpflege
KR101328408B1 (ko) 2012-10-23 2013-11-13 주식회사 제닉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KR101582660B1 (ko) * 2014-07-14 2016-01-0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2755A (ko) 2022-12-02 2024-06-11 주식회사 팜스킨 방사선 처리 초유 가수분해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98A (ko) 2019-09-20
CN110475536A (zh) 2019-11-19
EP3590490A1 (en) 2020-01-08
US11213464B2 (en) 2022-01-04
JP6918965B2 (ja) 2021-08-11
JP2020515615A (ja) 2020-05-28
US20200306150A1 (en) 2020-10-01
WO2019177336A1 (ko) 2019-09-19
CN110475536B (zh) 2022-10-04
EP3590490A4 (en)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015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7608B1 (ko)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7060823A1 (ja) 皮膚外用剤
KR101645440B1 (ko)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1812877B1 (ko) 주름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8408B1 (ko)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JP6567755B1 (ja)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6537395A (ja) 経皮送達用油中ポリオール型エマルション
JP2006528222A (ja) 清澄な水中油型乳剤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1370328B1 (ko) 사용감과 보습력이 우수한 지용성 물질을 담지한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JP2009149624A (ja) 皮膚用化粧料
JP6600455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2086318B1 (ko) 감마선 조사를 통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형의 경시적 색변화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2673707B1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2080458B1 (ko)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0957A (ko)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5227B1 (ko)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KR2015010728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2587916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JP2001303020A (ja) 透明液状組成物
JP3878629B2 (ja) 複合化水性ゲ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複合化水性ゲルを含有するゲル化製剤、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KR101638013B1 (ko) 안정한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7037A (ko) 피부 효능 물질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