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304A -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304A
KR20180002304A KR1020160081640A KR20160081640A KR20180002304A KR 20180002304 A KR20180002304 A KR 20180002304A KR 1020160081640 A KR1020160081640 A KR 1020160081640A KR 20160081640 A KR20160081640 A KR 20160081640A KR 20180002304 A KR20180002304 A KR 20180002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x
composition
melting point
c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원
강경원
천중기
안순애
강명구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8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304A/ko
Priority to PCT/KR2017/006815 priority patent/WO2018004247A1/ko
Publication of KR2018000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4중량%의 융점 70℃ 이상인 고융점 왁스 및 5 내지 40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Description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TYPE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AX HAVING HIGH MELTING POINT}
본 명세서는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유화 화장료 제형은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유화 유형에 따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수상이 외상인 형태를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는 청량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으나,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유상성분(오일)의 역할이 중요하다.
유화 입자의 계면은 유동적인 특정을 나타내므로, 수중유형 유화 제형에 있어서 오일 함량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유화 입자간 합일, 내상 석출, 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중유형 유화 제형에서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적으로 포함하기 위해 종래 고급 알코올 등의 유화 안정제를 포함시켜 계면 구조에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 제형을 안정화 시키는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이 경우 제형의 점도가 상승하게 되어 도포력과 사용감에 있어서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도포력이 우수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위한 유화 제형 제공을 위하여 저점도 제형으로 안정화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0192호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저점도 제형인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일을 고함량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습력이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습력이 우수하며 도포력 및 사용감이 가벼운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적으로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4중량%의 융점 70℃ 이상인 고융점 왁스 및 5 내지 40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저점도 제형인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오일을 고함량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보습력이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보습력이 우수하며 도포력 및 사용감이 가벼운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적으로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 후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이란 단일 입자의 지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 범위는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유화 입자의 95% 이상이 상기 범위 내에 속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천연 유래”란 천연물로부터 자연적으로 수득되는 성분,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을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간단한 개질을 거친 성분을 포함하고,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학 합성 성분을 배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다.
상기 조성물은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여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유화 제형의 안정성이 유지되고, 점도가 낮을 수 있다.
상기 고융점 왁스는 융점이 70℃ 이상으로, 내상인 유상에 포함되어 유상성분과 함께 고형상 또는 페이스트상이나 겔상과 같은 반고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상이 흐름성 없는 고형상 또는 반고형상이 되므로 유화 입자의 합일이나 내상 석출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융점 왁스의 융점은 예를 들어 70 ℃ 이상, 71 ℃ 이상, 72 ℃ 이상, 73 ℃ 이상, 74 ℃ 이상, 75 ℃ 이상, 76 ℃ 이상, 77 ℃ 이상, 78 ℃ 이상, 79 ℃ 이상, 80 ℃ 이상, 81 ℃ 이상, 82 ℃ 이상, 83 ℃ 이상, 84 ℃ 이상, 85 ℃ 이상, 86 ℃ 이상, 87 ℃ 이상, 88 ℃ 이상, 89 ℃ 이상 또는 90 ℃ 이상이고, 100 ℃ 이하, 99 ℃ 이하, 98 ℃ 이하, 97 ℃ 이하, 96 ℃ 이하, 95 ℃ 이하, 94 ℃ 이하, 93 ℃ 이하, 92 ℃ 이하, 91 ℃ 이하, 90 ℃ 이하, 89 ℃ 이하, 88 ℃ 이하, 87 ℃ 이하, 86 ℃ 이하, 85 ℃ 이하, 84 ℃ 이하, 83 ℃ 이하, 82 ℃ 이하, 81 ℃ 이하 또는 8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유화 제형의 내상 석출이나 유화 입자의 합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융점 왁스의 예로는 해바라기씨 왁스(Sunflower Seed Wax), 비즈 왁스(beez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호호바씨 왁스(Jojoba Seed Wax), 쟈스민꽃 왁스(Jasmine Flower Wax),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또는 합성왁스(Synthetic Wax),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융점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융점 왁스의 함량은 예를 들어,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또는 3.5 중량% 이상이고,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고융점 왁스의 함량은 조성물 내에 포함할 오일의 양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고함량의 오일을 유화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보습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내상에 포함되는 성분으로서, 조성물의 보습력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유상성분 중 상기 고융점 왁스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유상성분 중 상기 고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부형제를 제외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예를 들어 저융점 왁스, 액상 버터,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천연 유래 오일 및 실리콘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도우폼씨 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녹차씨오일 및 동백오일 등의 천연 유래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디카프릴릭 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이소헥사데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및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에칠트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헵타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오일 라우릴 에스테르(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 라이스브랜 왁스(Oryza Sativa(Rice) Bran wax), 아스트로카리움무루무루씨드버터(Astorocayum Murumuru Seed Butter) 등 50℃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왁스; 액상 쉐어버터(Shear Butt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예를 들어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1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3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 28 중량% 이상, 29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1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33 중량% 이상, 34 중량% 이상, 또는 35 중량% 이상이고, 40 중량% 이하, 39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7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33 중량% 이하, 32 중량% 이하, 31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은 10중량% 내지 40중량%, 20중량% 내지 40중량%, 또는 30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조성물에 우수한 보습력을 부여하고, 유연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오일을 상기와 같이 넓은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여도 안정적으로 유화 조성물 내에 오일을 포함시킬 수 있다. 특히 고함량, 예를 들어 20중량% 이상, 25중량% 이상 또는 30중량% 이상의 오일을 함유하면서도 안정적인 유화 제형을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보습력과 유연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안정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고융점 왁스와 오일을 중량비로 1 :1 내지 1 : 2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 5 내지 1 : 15, 예를 들어 1 : 1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고함량의 오일을 유화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보습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상성분은 상기 고융점 왁스와 상기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상 또는 반고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제형의 내상을 구성하는 유상성분이 고형상 또는 반고형상의 흐름성 없는 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유화 입자 간의 합일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할 경우의 내상 석출이나 전상과 같은 문제가 없어 제형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상이 별도의 고형상 또는 반고형상으로 존재하여 제형을 안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점도에 구애 받지 않고 저점도의 제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화 입자는 0.5㎛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은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0.9㎛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0㎛ 이상, 또는 4.5㎛ 이상이고,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또는 4㎛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 입자의 평균입경은 0.5㎛ 내지 5㎛, 예를 들어 1㎛ 전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감이 부드럽고 보습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저점도의 유화 제형을 형성하여 도포력이 우수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점도가 100 cps 이상, 200 cps 이상, 300 cps 이상, 400 cps 이상, 500 cps 이상, 600 cps 이상, 700 cps 이상, 800 cps 이상, 900 cps 이상, 1000 cps 이상, 1100 cps 이상, 1200 cps 이상, 1300 cps 이상, 1400 cps 이상, 1500 cps 이상, 1600 cps 이상, 1700 cps 이상, 1800 cps 이상, 1900 cps 이상, 또는 2000 cps 이상이고, 4000 cps 이하, 3900 cps 이하, 3800 cps 이하, 3700 cps 이하, 3600 cps 이하, 3500 cps 이하, 3400 cps 이하, 3300 cps 이하, 3200 cps 이하, 3100 cps 이하, 3000 cps 이하, 2900 cps 이하, 2800 cps 이하, 2700 cps 이하, 2600 cps 이하, 2500 cps 이하, 2400 cps 이하, 2300 cps 이하, 2200 cps 이하, 2100 cps 이하, 또는 2000 cps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점도가 3000 cps 이하, 100 cps 내지 3000 cps 또는 2000 cps 내외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크림타입과 같은 뻑뻑한 사용감을 갖지 않으며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에멀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저점도의 유화 제형에서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어, 가벼운 사용감과 도포력이 우수한 저점도 제형의 특징과 우수한 보습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상성분은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유화시킬 수 있는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이지/피피지-18/18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8/18 Dimethicon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Glycol Stear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 올레이트(Glyceryl Oleate),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피이지-3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라우릴 피이지.피피지-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화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에멀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은 고융점 왁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화 조성물이고, 비교예 1~3은 지방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화 조성물이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해바라기씨 왁스 3.00 3.00 - - - -
카나우바 왁스 - - 3.00 - - -
세테아릴알콜 - - - 3.00 - 0.30
베헤닐알콜 - - - - 3.00 -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오일 5.00 5.00 5.00 5.00 5.00 5.0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25.00 25.0 25.00 25.00 25.00
스쿠알란 - 25.00 - - -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보머 0.10 0.10 0.10 0.10 0.10 0.1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4 0.04 0.04 0.04 0.04 0.04
[시험예 1] 물성 및 안정도 평가
(1) 점도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DV-II+ Pro Viscometer,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를 이용하여 30℃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2) 안정도 평가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45℃에서 1개월간 보관하고, 육안으로 제형의 분리, 전상 등을 통해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분리나 전상이 없이 조성물이 균일한 유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양호로 평가하고, 상분리가 발생한 경우 분리로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점도
(30oC, cps)
1,850 1,940 2,070 22,130 19,950 2,710
안정도
(45oC 1개월)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분리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고융점 왁스를 포함한 실시예 조성물은 점도가 2000cps 전후로 저점도를 나타내면서도, 고온 안정도가 우수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2는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여 수상에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점도를 상승시켜 제형을 안정화시키므로, 점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방 알코올의 함량을 저감시킬 경우에는 점도를 낮출 수는 있으나, 이 경우 유상의 융점이 낮아지며, 분산상이 액상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고온에서의 안정도를 유지할 수 없어 제형이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보습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0~30대 성인 여성 22명의 전박에 도포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량을 측정(단위: a.u.)하여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여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수분량 측정은 Coreneometer CM825를 사용하였으며, 조성물 도포 및 유지 중의 온도는 20℃를 유지하였다.
도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2는 비교예 3에 비하여 현저하게 피부 수분량이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융점의 왁스 성분이 제형을 안정화시킬 뿐 아니라 피부 표면에서 왁스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여 보습력을 보다 증진시켰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실시예의 조성물은 저점도에서의 유화 제형의 안정도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4중량%의 융점 70℃ 이상인 고융점 왁스 및 5 내지 40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왁스는 융점이 70℃ 내지 100℃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왁스는 해바라기씨 왁스(Sunflower Seed Wax), 비즈 왁스(beez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호호바씨 왁스(Jojoba Seed Wax), 쟈스민꽃 왁스(Jasmine Flower Wax),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또는 합성왁스(Synthetic Wa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상기 고융점 왁스를 제외한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저융점 왁스,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천연 유래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왁스와 상기 오일을 고융점 왁스 : 오일의 중량비로 1 : 1 내지 1 : 20 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도가 4000cps 이하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도가 100cps 내지 4000cps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유상성분은 상기 고융점 왁스와 상기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상 또는 반고형상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평균입경 0.5㎛ 내지 10㎛의 유화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을 조성물 종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60081640A 2016-06-29 2016-06-29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2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40A KR20180002304A (ko) 2016-06-29 2016-06-29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6815 WO2018004247A1 (ko) 2016-06-29 2017-06-28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40A KR20180002304A (ko) 2016-06-29 2016-06-29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304A true KR20180002304A (ko) 2018-01-08

Family

ID=6078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640A KR20180002304A (ko) 2016-06-29 2016-06-29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02304A (ko)
WO (1) WO20180042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49A (ko) * 2018-09-13 2020-03-23 (주)아모레퍼시픽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KR102439781B1 (ko) * 2022-03-22 2022-09-02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230012707A (ko) * 2021-07-16 2023-01-2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외곽 에멀전층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781B1 (ko) * 1997-10-01 2000-07-01 성재갑 오일을다량함유한화장수조성물
FR2786692B1 (fr) * 1998-12-03 2002-08-30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e a forte teneur en cire et ses utilisations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et dermatologique
US20060260633A1 (en) * 2005-05-19 2006-11-23 Wyatt Peter J Cosmetic composition system with thickening benefits
KR101494272B1 (ko) * 2008-04-30 2015-02-17 (주)아모레퍼시픽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KR101867847B1 (ko) * 2011-11-18 2018-06-19 코웨이 주식회사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49A (ko) * 2018-09-13 2020-03-23 (주)아모레퍼시픽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KR20230012707A (ko) * 2021-07-16 2023-01-2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외곽 에멀전층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39781B1 (ko) * 2022-03-22 2022-09-02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247A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561010B1 (ko) 유중 수형 유화화장료
JP5671394B2 (ja) 化粧料用乳化組成物
KR20180002304A (ko)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JP2009242326A (ja) 美白液状化粧料
KR101676696B1 (ko) 수중유형 화장료
KR102575095B1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679235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2506722B1 (ko) 저점도 수중유중수형 다중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7022422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2526209B1 (ko) 액정 에멀전 기반의 저점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019178069A (ja) O/w/o型乳化化粧料
JP2008094811A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15168627A (ja) 水中油型化粧料
KR100983387B1 (ko) 수중유 화장료
JP5869629B2 (ja) 化粧料用乳化組成物
TW201919578A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KR20190035148A (ko)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JP2554518B2 (ja) 毛髪化粧料
EP4349320A1 (en) Multilay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JP7173624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7359436B2 (ja) 入浴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