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838B1 -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838B1
KR102245838B1 KR1020200136858A KR20200136858A KR102245838B1 KR 102245838 B1 KR102245838 B1 KR 102245838B1 KR 1020200136858 A KR1020200136858 A KR 1020200136858A KR 20200136858 A KR20200136858 A KR 20200136858A KR 102245838 B1 KR102245838 B1 KR 10224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polyglyceryl
laur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향선
조자운
이상민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주)나우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코스 filed Critical (주)나우코스
Priority to KR102020013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9Solubiliser, Solubilis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500 내지 2,000 cPs의 낮은 점도로 사용감이 가벼움에도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는 유성성분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혼합한 것과 유화안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LENT EMULSION STABILITY}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은 사용부위에 따라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품과 두발에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분류한다.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품에는 피부를 청결히 하고 수분과 유분의 균형(Moisture balance)을 유지하며,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피부 항상성(homeostasis) 기능을 유지시켜 주는 화장품이며, 두발에 사용하는 화장품은 두발을 청결히 하고 영양을 부여하여 두피 및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화장품이다.
이러한 화장품은 기술적 특징에 따라 신소재기술, 제형기술, 평가기술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서 유화기술, 가용화기술, 분산기술에 의해 제품화가 되어지고 있다. 먼저, 유화(Emulsification)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 중에서 한 액체가 미세한 입자 형태로 다른 액체에 분산된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상태의 혼합물을 에멀젼(Emulsion)이라 한다. 주로 유백색의 형상을 갖는 크림류, 로션류, 파운데이션 등에 이러한 혼합물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용화(Solubilization)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아주 작은 피가용 물질을 가용화제(계면활성제, Surfactant)가 물에 용해될 때 일정 농도 이상에서 생성되는 미셀(Micelle)을 이용하여 용해도 이상으로 용해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가용화를 이용하여 만든 제품은 투명한 형상을 갖는 스킨로션, 에센스, 향수 등이 있다.
다음으로, 분산(Dispersion)이란 넓은 의미로 어떤 분산매가 분산상에 퍼져 있는 현상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 고체가 액체 속에 퍼져 있는 현상으로 국한하여 말하며, 메이크업 화장품은 안료를 여러 종류의 분산상에 분산시킨 제품을 말한다.
이중에서 유화(Emulsification)기술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 중에서 한 액체가 미세한 입자 형태로 다른 액체에 분산시킨 것으로 분산 형태에 따라 친수성 유화(Oil in Water, O/W형), 친유성 유화(Water in Oil , W/O형), 다중유화 (Multiple emulsion, O/W/O형 또는 W/O/W형) 등으로 나누고 있다. 유화 기술에 의해 제품화된 유화 제품은 수성 성분과 유성 성분이 피부에 잘 흡착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수분과 유분을 공급하여 매끄러운 피부 상태를 가꾸어 주는 제품으로서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인 물과 오일계에서 한 액체가 다른 액체 속에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일정 시간 동안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나 열역학적으로는 불안정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점도 조절이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점도가 높으면 제품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제형의 안정도가 향상되지만 사용감이 무거운 느낌이 있으며, 점도가 낮으면 사용감이 가벼운 반면에 유상 성분과 수상 성분이 쉽게 분리되어 제형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유화제품에는 유화제(계면활성제) 사용이 필수적이며, 또한 적당한 점도를 유지하고 유상 성분과 수상 성분들이 서로 결합하여 합일, 응집 등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유화제(계면활성제)의 선택과 함량 조절 또한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1에서는 저점도와 안정성을 구현하고자 유화제로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및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유화안정제로서 스테아린산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실시예1의 실제 점도가 4700cPs에 달하고 있어 사용감을 현저하게는 개선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특허문헌2 및 3에서도 저점도와 제형 안정성을 구현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특허문헌2에서는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즈 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고 점증제로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함유하고 있으나 45℃, 순환(Cycling) 항온조 조건에서 안정도를 관찰한 결과, 유화제에 의한 제형 안정성보다는 점증제에 의한 보관 안정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실제로는 유화제에 의해 장기 보관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서는 안정도를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유화제로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를 언제나 혼합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등록특허 제10-1773095호(2017.08.31) 저점도의 비분리형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490713호(2015.02.06) 제형안정성 및 피부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125922호(2012.03.21)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점도를 구현하여 사용감이 가벼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점도를 구현하면서 유화 안정성을 극대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성분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를 혼합한 것과 유화안정제를 함유한다.
이때, 상기 유화안정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는 1.5:1 내지 1:1.5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는 1:1 내지 1:1.5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이고, 상기 유화안정화제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의 함량은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이며, 상기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의 함량은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500 내지 2,000 cPs로의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필름형성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필름형성제의 함량은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성분은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호호바유, 및 메도우 폼씨드 오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성분은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의 입자 크기는 400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500 내지 2,000cPs에 불과하여 사용감이 가벼워 피부에 도포 시 끈적임 없이 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유화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는 유화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던 수중유형 에멀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친수성 유화제(계면활성제)의 조합을 적절히 선택한 후 이를 적당량의 함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유화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계면활성제를 1.5: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유화안정제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 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함유함으로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500 내지 2,000 cPs이 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화제(계면활성제)와 유화안정제 이외에 당업계에서 화장료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성성분 및 첨가제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함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유화제(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고,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 때, 유화제(계면활성제)는 저점도 에멀젼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의 유화제(계면활성제) 총 함량은 저점도 에멀젼 형성의 가장 큰 변수가 되므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계면활성제)의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상부의 배합비율과 맞지 않아 점도가 높아지게 되고,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력이 떨어져 유화 입자가 너무 크게 형성되어 유화 안정도가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화에 의해 생성된 입자들이 저점도를 유지하면서도 상층부로 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유화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안정화제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 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유화안정화제의 함량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안정화제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여 유화안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화안정화제 외에 수용성 필름형성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형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또는 플루란을 사용한다. 이때, 수용성 필름형성제는 에멀젼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미미하나 유화입자의 유동성에 관여하여 유화입자끼리의 합일, 응집 등 열역학적으로 유화안정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필름형성제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사용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에멀젼의 안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화안정도는 증대될 수 있지만 사용감이 산뜻하지 못한 단점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성성분은서 하이드로 카본류인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등, 에스테르계인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 실리콘류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등, 식물유인 호호바유, 메도우 폼씨드오일 등, 2종 이상 다양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감 및 유연한 사용감이 저하되어 사용성이 떨어지며, 1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너무 번질거리는 사용감이 되고 유화입자가 커져서 유화안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활성성분으로서 니아신아마이드, 알부틴 등의 미백 기능성 성분 또는 아데노신 및 레티닐팔미테이트 등의 주름 기능성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유화제(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를 1.0 내지 3.0중량% 사용하였고, 유화안정화제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는 유화제인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의 전체함량을 1.0중량%이하 또는 6.0중량%이상 사용하였고, 비교예 3내지 5는 유화제(계면활성제)로서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와 세테아릴알코올/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을 각각 함유시켜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수성
성분
정제수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글리세린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부틸렌글리콜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유화제(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1.50 1.00 1.50 0.40 3.50 - - -
폴리글리세릴-6라우레이트 1.00 1.50 1.50 0.40 3.50 - - -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 - - - - 3.00 - 1.50
세테아릴알코올/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 - - - - 3.00 1.50
유성
성분
호호바유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이소도데칸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메도우폼씨드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유화안정화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30 0.30 0.30 0.30 0.30 - - -
필름형성제 플루란 0.10 0.10 0.10 0.10 0.10 - - -
방부제 에칠헥실글리세린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방향제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화장료 조성물들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화제(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비이커에 칭량한 뒤 75℃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녹였다. 한편 이온봉쇄제, 보습제를 혼합한 수상을 70℃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녹인 다음 미리 녹인 유상을 가하여 호모믹스로 3000rpm에서 5분정도 유화시킨다. 그 다음 유화안정화제와 필름형성제를 일정량의 정제수에 희석시켜 투입하고 난후 호모믹스로 3000rpm에서 10분정도 균일하게 혼합교반 시킨 후 냉각한다. 냉각온도가 45℃ 정도일 때, 방부제인 에칠헥실글리세린, 방향제인 향료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시켜 혼합한다.
[시험예 1] 장기 보관안정성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5에서 각각 제조한 제형에 대한 장기 보관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온, 4℃, 45℃, 사이클링(cycling- 12시간 45℃, 12시간 -10℃) 의 항온조에 각 제형들을 넣고 30일간 보관하면서 관찰하여 장기 보관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실온
4℃
45℃
사이클링
◎: 매우 안정, ○: 안정, △: 보통, Ⅹ: 분리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화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와 비교예 2의 경우는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모두 안정한 것을 확인한 반면, 비교예 1과 비교예 3 내지 5의 경우에는 온도가 실온 보다 높아지거나 온도가 변화하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점도와 입자사이즈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를 제조한 익일 25℃에서 점도계 LVF(Brookfield viscometer LVF)로 상기 화장료들의 점도를 2분간 측정하였으며, 입자사이즈는 Particle size analyzer(Malvern Mastersizer 2000 particle size analyzer)를 통해 입자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점도 cps 800 1,000 1,500 650 7,000 8,500 5,000 6,500
평균입자크기nm 380 330 300 350 450 520 550 590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계의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의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유화안정화제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과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계의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 내지 5의 경우, 점도를 비교하여 보면 실시예 1 내지 3은 대체적으로 매우 낮은 점도를 나타낸 반면에, 본 발명과 다른 비교예 2 내지 5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3 보다 현저하게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계의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의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전체함량도 1.0중량% 내지 3.0중량%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낮은 점도를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자크기는 일반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입자크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유화의 입자크기가 적으면 적을수록 유화입자끼리의 반발력으로 인해 합일, 응집현상이 감소하여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가 본 발명과 다른 비교예 2 내지 5의 경우보다 입자크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계의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의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유화안정화제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계의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보다 더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사용성에 대한 관능평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3 내지 5에 대한 사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 내지 40대의 여성 35명에게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3 내지 5의 화장료를 한 시료당 일주일씩 총 6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한 시료의 사용이 끝나는 1주 후마다 발림성, 흡수력, 도포시 산뜻한 감촉 및 도포후 끈적임 정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총 6번에 걸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발림성 4.6 4.5 4.5 4.2 4.1 4.2
흡수력 4.5 4.5 4.5 3.8 4.0 3.9
도포시 산뜻한감촉 4.7 4.5 4.8 3.9 3.8 3.7
도포후 끈적임정도 4.3 4.4 4.5 3.7 3.5 3.5
<평가기준> 5: 매우 좋다, 4: 좋다, 3: 보통, 2: 나쁘다, 1: 매우 나쁘다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PEG-free의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유화안정화제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 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가 포함된 실시예 1 내지 3을 사용한 경우가 비교예 3 내지 5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발림성, 흡수력, 도포시 산뜻한 감촉 및 도포후 끈적임 정도 등에서 전반적으로 사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1)

  1.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유성성분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를 혼합한 것을 함유하고, 유화안정제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이고, 상기 유화안정제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는 1.5:1 내지 1:1.5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는 1:1 내지 1:1.5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의 함량은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이며, 상기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의 함량은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500 내지 2,000 cPs로의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필름형성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필름형성제의 함량은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성분은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호호바유, 및 메도우 폼씨드 오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성분은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의 입자 크기는 4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6858A 2020-10-21 2020-10-21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224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58A KR102245838B1 (ko) 2020-10-21 2020-10-21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58A KR102245838B1 (ko) 2020-10-21 2020-10-21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838B1 true KR102245838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858A KR102245838B1 (ko) 2020-10-21 2020-10-21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8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2627A (zh) * 2022-03-09 2022-06-24 中山市博深化学有限公司 一种低粘度值的乳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85847B1 (ko) * 2022-01-14 2023-01-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56558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유도제 및 자가 유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556559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922B1 (ko) 2009-11-19 2012-03-21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90713B1 (ko) 2010-12-21 2015-02-06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73095B1 (ko) 2010-11-30 2017-08-31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의 비분리형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KR20180081814A (ko) * 2015-12-18 2018-07-17 로레알 적어도 2종의 (폴리)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에서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922B1 (ko) 2009-11-19 2012-03-21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773095B1 (ko) 2010-11-30 2017-08-31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의 비분리형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KR101490713B1 (ko) 2010-12-21 2015-02-06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814A (ko) * 2015-12-18 2018-07-17 로레알 적어도 2종의 (폴리)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에서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847B1 (ko) * 2022-01-14 2023-01-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CN114652627A (zh) * 2022-03-09 2022-06-24 中山市博深化学有限公司 一种低粘度值的乳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56558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유도제 및 자가 유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556559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838B1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7793A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US7192599B2 (en) Mattifying oil-in-water emulsion
EP2415459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US9132091B2 (en) Oil-in-water type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080086231A (ko) 폴리올중유형 고밀집 나노 농축 에멀젼을 이용한유중수중유형 역상 다중 에멀젼 상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60117111A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9076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US20210220234A1 (e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High Content Oils Are Stabilized
DE102005013768A1 (de) Schäumbar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JP3093930B2 (ja) 保湿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132800B1 (ja) 水中油型皮膚外用剤
US6335025B1 (en) Water-in-oil emulsion and use thereof in a cosmetic composition
KR102563508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70497B1 (ko) 나노크기의 다중액정막으로 캡슐화된 순수 레티놀을포함하는 주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01139449A (ja) 低粘度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8173112B2 (en) Emulsified composition for hair
KR102458175B1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003095845A (ja) 半透明液状化粧料
KR20200049150A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6450144B2 (ja) リポソーム及びリポソーム含有化粧料
JP4275872B2 (ja) 用時混合型皮膚外用組成物
US8557263B1 (en)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KR20180033341A (ko) 전상온도유화법을 이용한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