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847B1 -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847B1
KR102485847B1 KR1020220006016A KR20220006016A KR102485847B1 KR 102485847 B1 KR102485847 B1 KR 102485847B1 KR 1020220006016 A KR1020220006016 A KR 1020220006016A KR 20220006016 A KR20220006016 A KR 20220006016A KR 102485847 B1 KR102485847 B1 KR 10248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lyceryl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tearate
isododec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수
임미진
이석현
한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22000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유화제와 기능성오일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물리적 힘을 통해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스트 용기에서도 분사 및 스포이드, 펌프용기에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 트렌스 포밍 제품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from an emulsified cream state to a mist stat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아이소도데케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물리적 힘을 통해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미스트 및 다양한 용기에서도 분사가 가능하도록 한 트렌스 포밍 제품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수를 선호하던 과거와 달리 현재 소비자들은 적당한 보습 및 영양감을 가지면서도 산뜻한 사용감과 편리한 사용법을 지닌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스트 타입 또는 에어로졸과 같이 간편하게 분사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제품군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통상의 분사형 및 스포이드류 등의 화장품이 개발되어 사용된 이래, 이런 저점도 화장품의 사용은 얼굴에 수분 보충을 위한 기능만을 강조해 온 게 사실이다. 따라서, 최근 화장품의 성장과 함께 젤 미스트 타입의 화장품이 출시되면서 기존 수분 미스트의 부족한 보습력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으며, 분사용 젤 타입 화장품은 겔 타입이라 피부에 분사 시에도 흘러내림이 없으며, 적은 양으로도 겔을 형성할 수 있어, 끈적임이 없고 산뜻한 사용감으로 피부에 보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종래 수분 미스트의 단점을 보완해주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속하는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6819호에는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기존에 겔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 첨가된 카보머, 셀룰로오스류, 잔탄검 등의 다량의 점증제로 인하여, 끈적임이 높아지거나 사용감이 나빠지며, 분사가 잘 되지않는 단점이 있으나, 정제수와 구연산나트륨이 혼합된 용액에 소량의 젤란검을 넣고 고온으로 가열한 후 다가 금속이온을 첨가하여 냉각시켜 겔화시킨 후 이를 분쇄함으로써, 분사가 가능한 젤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이나 크림과 같은 보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제품의 편리성 이외에는 근본적으로 피부 건조감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젤란검 등 보습제를 이용해 분사 가능한 형태로 형상 변환이 일어나는 제형에서 벗어나,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6819호(2013.04.22.공고),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성유화제와 기능성오일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물리적 힘을 통해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성유화제와; 기능성오일류를 포함하여,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오일류는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은 0.1 ~ 5.0 : 0.1 ~ 5.0 : 0.1 ~ 5.0 : 0.1 ~ 5.0 : 0.1 ~ 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의 혼합물 외에, 1,2-헥산다이올,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시트릭애씨드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는 0.1 ~ 5.0중량%,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는 0.1 ~ 5.0중량%, 아이소도데케인은 0.1 ~ 5.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는 0.1 ~ 5.0중량%,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는 0.1 ~ 5.0중량%, 1,2-헥산다이올은 0.1 ~ 5.0중량%,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는 0.1 ~ 5.0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 1.0중량%, 시트릭애씨드는 0.01 ~ 5.0중량% 포함하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유화제와 기능성오일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물리적 힘을 통해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한 요변성 테스트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대한 요변성 테스트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대한 요변성 테스트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3에 대한 요변성 테스트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4에 대한 요변성 테스트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5에 대한 요변성 테스트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예컨데, 기능성유화제는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를 하나로 묶은 것을 지칭하며 본 출원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범위의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에 대한 목록이다. 또한, 기능성오일류는 오일 또는 실리콘(실리콘오일)을 하나로 묶을 것을 지칭하며, 본 출원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범위의 오일 또는 실리콘에 대한 목록이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외에,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글루코오스, 아라키딜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솔베이트60, 폴리솔베이트80, 폴리솔베이트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비즈왁스,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솔비탄올리에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의 기능성유화제와;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 외에,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디메치콘, 썬플라워씨드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매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올리브오일,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쉐어버터, 디부틸아디페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다이에틸헥실카보네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의 기능성오일류를 포함하여,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류는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Stearate)는 스테아릭애씨드와 폴리글리세린-10의 에스터 성분으로, 화장품의 유화를 보조하는 성분이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는 피부에 컨디셔닝 효과로 활기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며, 화장품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의 계면에 흡착되어 잘 섞이도록 하는 활성 물질 역할도 할 수 있으며, 화장품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들의 유화 안정에 도움을 준다.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Glyceryl Stearate Citrate)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의 시트릭애씨드에스터로, 피부컨디셔닝제(유연제), 계면활성제(유화제)로 주로 이용된다.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는 구연산, 글리세린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수분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 성분이다.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윤기를 제공하며, 피부컨디셔닝 역할을 하여 건강한 피부로 개선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Distearate)는 스테아릭애씨드와 폴리글리세린-3의 다이에스터이다. 상기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는 피부컨디셔닝제(유연제), 계면활성제(유화제)로 이용된다.
상기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Cetearyl Ethylhexanoate)는 세테아릴알코올과 2-에틸헥사노익애씨드의 에스터이다. 상기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는 헤어컨디셔닝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는 성분이다.
상기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은 이소도데칸으로도 불리우며, 탄소 12개의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로 제품이 더 잘 퍼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주로 향료나, 용제로 배함되며, 발림성에 유연성을 주고 퍼짐성을 향상시켜 피부에 가볍고 부드러운 크리미한 발림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상기 기능성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외에도,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글루코오스, 아라키딜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솔베이트60, 폴리솔베이트80, 폴리솔베이트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비즈왁스,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솔비탄올리에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오일류는 상기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아이소도데케인 외에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디메치콘, 썬플라워씨드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매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올리브오일,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쉐어버터, 디부틸아디페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다이에틸헥실카보네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은 0.1 ~ 5.0 : 0.1 ~ 5.0 : 0.1 ~ 5.0 : 0.1 ~ 5.0 : 0.1 ~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유화제와;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을 포함하는 기능성오일류의 혼합물 외에, 1,2-헥산다이올,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시트릭애씨드 및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는 0.1 ~ 5.0중량%,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는 0.1 ~ 5.0중량%, 아이소도데케인은 0.1 ~ 5.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는 0.1 ~ 5.0중량%,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는 0.1 ~ 5.0중량%, 1,2-헥산다이올은 0.1 ~ 5.0중량%,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는 0.1 ~ 5.0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 1.0중량%, 시트릭애씨드는 0.01 ~ 5.0중량% 포함하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처방으로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명 함량 (중량%)
제1성분 정제수 To 100
1,2-헥산다이올 0.1-5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5
제2성분 폴리글리세릴 - 10스테아레이트 0.1-5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0.1-5
아이소도데케인 0.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0.1-5
폴리글리세릴 - 3다이스테아레이트 0.1-5
에틸헥실글리세린 0.01-1
제3성분 시트릭애씨드 0.01-5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처방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제1성분 정제수 To 100
1,2-헥산다이올 2.5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2.5
제2성분 폴리글리세릴 - 10스테아레이트 2.5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5
아이소도데케인 2.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5
폴리글리세릴 - 3다이스테아레이트 2.5
에틸헥실글리세린 0.5
제3성분 시트릭애씨드 2.5
비교예 1. 유효성분으로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만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의 처방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효성분 중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제1성분 정제수 To 100
1,2-헥산다이올 2.5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2.5
제2성분 폴리글리세릴 - 10스테아레이트 2.5
에틸헥실글리세린 0.5
제3성분 시트릭애씨드 2.5
비교예 2. 유효성분으로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만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의 처방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효성분 중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제1성분 정제수 To 100
1,2-헥산다이올 2.5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2.5
제2성분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5
에틸헥실글리세린 0.5
제3성분 시트릭애씨드 2.5
비교예 3. 유효성분으로 아이소도데케인만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5의 처방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효성분 중 아이소도데케인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제1성분 정제수 To 100
1,2-헥산다이올 2.5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2.5
제2성분 아이소도데케인 2.5
에틸헥실글리세린 0.5
제3성분 시트릭애씨드 2.5
비교예 4. 유효성분으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만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6의 처방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효성분 중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제1성분 정제수 To 100
1,2-헥산다이올 2.5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2.5
제2성분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5
에틸헥실글리세린 0.5
제3성분 시트릭애씨드 2.5
비교예 5. 유효성분으로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만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7의 처방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효성분 중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제1성분 정제수 To 100
1,2-헥산다이올 2.5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2.5
제2성분 폴리글리세릴 - 3다이스테아레이트 2.5
에틸헥실글리세린 0.5
제3성분 시트릭애씨드 2.5
실험예 1. 요변성 측정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에 대하여 물리적 힘(Shaking)을 통해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점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분사에 알맞는 점도까지 내려가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상기 요변성 측정 시험은 Flow Test 방법으로 평가를 진행한다.
점도 측정 기기로는 린온테크사 FLUIDICAM Rheo를 사용하였으며 시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샘플 10mL와 표준용액 10mL를 준비하여 Syringe Pump에 주입한다. 온도는 실온의 동일한 조건에서 진행하며 표준용액을 먼저 Y자 형태의 Microfluidic Chip 내로 일정한 속도로 주사하며 서서히 샘플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전단률(shear rate)과 점도(Viscosity)는 하기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되며 결과는 도 1내지 도 6과 같다.
Figure 112022005283512-pat00001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도 1)의 경우 Shear rate가 상승할수록 Viscosity가 하락하는 것을 통해 고점도 제형에서 저점도 제형으로 점도가 급격히 낮아짐으로써 요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5(도 2 내지 도 6)의 조성물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요변성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2. 분사 테스트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미스트 용기에 충전하여 20~30대 남/여 20명의 피험자에게 테스트를 하였다. 미스트 용기에 충전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Shaking하고, 세안 후 시험자의 뺨 -상악부위에 샘플을 분사한 후 30초간 방치하여 흘러내림 정도를 관찰하고, 이후, 1분간 문지르고 사용감에 대한 관능테스트를 진행하여, 흘러내림 및 사용감을 판정하였다. 또한, 각 화장료의 점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5점: 대단히 양호(고르게 분사되고, 흘러내림이 전혀 없으며, 끈적임이 전혀 없음), 4점양호, 3점: 보통, 2점:불량, 1점: 대단히 불량)
평가항목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흘러내림 5 4 3 4 3 3
수분감 5 3 2 2 3 2
분사정도 5 3 3 1 1 1
점도 cps(64s, 12rpm, 30sec) 2100 3100 3300 3200 3300 3500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제형의 경우 흘러내림이 없었고, 분사시 피부에 얇은 오일막을 형성하여 수분감이 높으면서도 끈적임이 적어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의 제형은 미스트 상태에서 다시 수중 유형 에멀젼 제형으로 복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는 점도가 높아 분사가 어렵고, 끈적임이 심해 수분감 또한 떨어졌다. 따라서, 분사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사용성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제형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예 1을 통하여, 실시예 1의 경우 Shear rate가 상승할수록 Viscosity가 하락하는 것을 통해 고점도 제형에서 저점도 제형으로 점도가 급격히 낮아짐으로써 요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요변성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아이소도데케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의 혼합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제형은 물리적 힘을 가하면 점도가 변하여 분사가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흘러내림이 없었고, 분사 후 피부에 얇은 오일막을 형성하여, 졸 상태에서 다시 수중 유형 에멀젼 제형으로 복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는 점도가 맞지 않아 분사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아이소도데케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의 혼합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아이소도데케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물리적 힘을 통해 분사 가능한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로써,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5)

  1.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유화제와;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오일류를 포함하여,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은 0.1 ~ 5.0 : 0.1 ~ 5.0 : 0.1 ~ 5.0 : 0.1 ~ 5.0 : 0.1 ~ 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의 혼합물 외에, 1,2-헥산다이올,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시트릭애씨드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는 0.1 ~ 5.0중량%,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는 0.1 ~ 5.0중량%, 아이소도데케인은 0.1 ~ 5.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는 0.1 ~ 5.0중량%,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는 0.1 ~ 5.0중량%, 1,2-헥산다이올은 0.1 ~ 5.0중량%, 리튬마그네슘실리케이트는 0.1 ~ 5.0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 1.0중량%, 시트릭애씨드는 0.01 ~ 5.0중량% 포함하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글루코오스, 아라키딜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솔베이트60, 폴리솔베이트80, 폴리솔베이트2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비즈왁스,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솔비탄올리에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오일류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디메치콘, 썬플라워씨드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매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올리브오일,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쉐어버터, 디부틸아디페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다이에틸헥실카보네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의 기능성오일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06016A 2022-01-14 2022-01-14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8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016A KR102485847B1 (ko) 2022-01-14 2022-01-14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016A KR102485847B1 (ko) 2022-01-14 2022-01-14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847B1 true KR102485847B1 (ko) 2023-01-09

Family

ID=8489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016A KR102485847B1 (ko) 2022-01-14 2022-01-14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8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051A (ko) * 2009-11-19 2011-05-25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256819B1 (ko) 2010-11-30 2013-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081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85943B1 (ko) * 2018-10-12 2020-03-06 주식회사 인터코스 고점도의 특성을 가지는 미스트 타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8005A (ko) * 2019-01-14 2020-07-22 (주)아모레퍼시픽 상전이 성질을 갖는 젤 제형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45838B1 (ko) * 2020-10-21 2021-05-13 (주)나우코스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8153A (ko) * 2019-11-29 2021-12-07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수중유 선스크린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051A (ko) * 2009-11-19 2011-05-25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256819B1 (ko) 2010-11-30 2013-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081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85943B1 (ko) * 2018-10-12 2020-03-06 주식회사 인터코스 고점도의 특성을 가지는 미스트 타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8005A (ko) * 2019-01-14 2020-07-22 (주)아모레퍼시픽 상전이 성질을 갖는 젤 제형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8153A (ko) * 2019-11-29 2021-12-07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수중유 선스크린 조성물
KR102245838B1 (ko) * 2020-10-21 2021-05-13 (주)나우코스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999B1 (ko)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KR20140109804A (ko) 액정 유화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마스크 팩
KR101781566B1 (ko)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를 단독 유화제로 사용한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201102106A (en) Skin care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N111568782B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US20180243204A1 (en) Leave-on hair sty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180064888A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8697625A (zh) 水性化妆品组合物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0664A (ko) 2액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40598B1 (ko)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485847B1 (ko) 수중 유형 에멀젼 상태에서 졸 상태로의 형상 변환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5051A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654576B1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21231B1 (ko) 투명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5B1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2366308B1 (ko) 비저블한 오일입자를 가지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09639B1 (ko) 고함량 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중유형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KR102574547B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