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888A -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888A
KR20180064888A KR1020160165305A KR20160165305A KR20180064888A KR 20180064888 A KR20180064888 A KR 20180064888A KR 1020160165305 A KR1020160165305 A KR 1020160165305A KR 20160165305 A KR20160165305 A KR 20160165305A KR 20180064888 A KR20180064888 A KR 2018006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mulsifier
cosmetic composition
oil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244B1 (ko
Inventor
허연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16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유중 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상부와 수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제1유화제와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 유화제, 왁스, 오일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유화제는 제1유화제:제2유화제를 2: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중 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WATER IN OIL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S SOLID CREAM TYPE}
본 발명은 유중 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상부와 수상부를 포함하는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속 유수분 발란스가 깨지면 피부가 더욱 건조해 지거나 피지 분비가 증가해 피부 상태가 악화되기 때문에, 피부의 유수분 발란스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피부의 수분이 부족하면 건조하여 각질이 쉽게 일어나고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피부가 상할 뿐만 아니라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수분 공급을 위한 화장품으로서 워터 드롭 수분 크림이 소비자에게 각광받고 있다. 워터 드롭 수분크림은 피부에 바르게 되면 물방울이 생기고 생긴 물방울이 피부 위에서 수분감을 보충하는 원리로, 기존 수분 크림보다 수분감 보충력이 좋고 유지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워터 드롭 기술은 수분 크림 제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화장료 제품에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얼굴에 아름다운 색상 표현 및 피부 결점을 감춰주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파운데이션 도포시 부드럽고 가볍게 발리며, 피부 부착성 및 화장 효과가 우수하고 시간 경과 후에 피부 번들거림이 없어야 하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의 친유성 타입인 유중수형(W/O)은 외상이 오일이기 때문에 화장 지속성과 내수성이 매우 우수한 반면, 탄화수소류나 에스테르류 오일의 유분감, 왁스의 이물감 등으로 인해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일 수 있으며 유화물의 장기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친수성 타입인 수중유형(O/W)은 가볍고 촉촉한 사용성이 큰 장점이기는 하지만 메이크업 지속력과 내수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착색제들의 분산 상태가 고르지 못해 장기적인 제형 안정도가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근래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적인 안정도가 확보되면서도 촉촉하면서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수분 함량이 높은 조성물이 연구되고, 이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48899호는 물을 함유하는 수상 성분 40~70 중량%; 안료 성분 5~30 중량%; 및 잔량으로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성 성분은 피이지(PEG)/피피지(PPG)-19/19 디메치콘 혹은 라우일피이지(Lauryl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가볍고 청량한 사용감을 부여하지만, 다량의 수상을 포함하고 있어 장기적인 안정도가 불안하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상용성이 안좋아 제형 내에 산화철이 분리되는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 메이크업 화장료가 가지고 있는 커버력과 촉촉함은 유지하면서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성 구현은 물론, 휴대성과 편의성을 갖춘 유중수형 수분 방출 고타입 화장료의 개발을 위해 다각도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장기적인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고 적은 내상에도 수분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성분 조합을 찾아냈다. 또한 다양한 녹는점을 가지는 왁스의 복합 사용으로 적당한 경도를 가지는 고타입 수분 방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상기한 과제는, 유상부와 수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상부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제1유화제와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 유화제, 왁스, 오일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유화제는 제1유화제:제2유화제를 2: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3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왁스는 세레신왁스:폴리에틸렌을 8:1 내지 7: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3 ~ 1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 50 중량%로 포함되고 자외선 차단제는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드롭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부드럽게 발려 사용감이 좋고, 도포하자마자 수분을 방출함에 따라 피부에 대한 수분감 보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청량감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간 보존하거나 온도를 변화시키더라도 성상을 그대로 유지하여 장기 보존 안정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다량의 자외선 차단 물질과 분체를 함유하고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우수한 커버력을 부여하는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드롭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유화 타입이나 유성 타입 화장료에 비해 피부에 부드럽게 발리며, 퍼프에 묻혀 피부에 바르면 터져 나온 수상 성분이 피부에 촉촉한 느낌과 청량감을 부여함은 물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다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여 뛰어난 커버력 및 피부 보호 효과를 극대화하는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타입(고상, 고체 타입, 고체 크림 타입, solid type, solid cream type)의 제형으로 제조되며, 피부에 도포시 왁스 구조 안에 갇힌 수분이 즉각적으로 방출되어 외관상 차별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상부와 수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상부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제1유화제와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 유화제, 왁스, 오일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유상부 25 내지 80 중량% 및 수상부 20 내지 75 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부는 혼합 유화제 0.3 ~ 10 중량%, 고융점왁스인 폴리에틸렌(82℃ ~ 94℃, JEEN 사 제공 원료 사용) 0.5 ~ 10 중량% 및 저융점왁스인 세레신(55℃ ~ 80℃, 일흥화학 제공 원료 사용) 0.3 ~ 10% 중량%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형 밤 타입에 고융점왁스와 저융점왁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고융점왁스가 고온 안정도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제품의 경도를 결정하며, 저융점왁스가 피부에 부드럽게 멜팅되는 느낌을 주며 전반적으로 자연스러운 사용감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왁스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융점 왁스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 부드러운 느낌이 현저히 떨어지고 피부에 퍼짐성이 좋지 않아 전반적인 사용감이 묵직해진다. 저융점 왁스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 부드러운 느낌은 있지만 경도 형성이 어렵고 고온 안정도가 불안해지는 경향이 있다.
나머지 유상부는 오일 0.5 ~ 50 중량%, 자외선 차단제 1 ~ 2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 0.1 ~ 30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상부 내의 유화제를 2종 혼합하고 그 조성비를 조절하여 즉각적인 수분 방출 효과 및 안정도를 확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제1유화제로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유화제는 워터 드롭을 적절히 형성시킬 수 있는지와 온도에 따른 제형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제한된 함량을 적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화제:제2 유화제는 2:1 내지 3:1 중량비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화제 및 제2 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3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 함량이 0.3 중량% 미만일 경우, 수상이 유상안으로 들어가지 못해 불안정한 유화 입자 형성이 되어 장기적인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며, 유화제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화 입자 계면이 매우 안정하게 되어 워터 드롭이 되지 않아 제형의 특징이 사라진다. 상기 함량을 준수하는 것이 제형의 안정성과 특징을 유지할 수 있다.
유상부의 다른 성분인 왁스는 제형을 굳혀 고형상으로 만들기 위한 성분으로서, 화장품 제형에서 쓰이는 어떤 왁스를 사용해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세레신왁스, 오조케라이트, 밀납, 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폴리에틸렌, 트리베헤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세레신왁스:폴리에틸렌을 8:1 내지 7:1 중량비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세레신왁스:폴리에틸렌 조성비가 8:1 초과인 경우, 경도가 매우 단단해져 페이오프가 잘 안 되고 저온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제품 안정성이 떨어지고, 세레신왁스:폴리에틸렌 조성비가 7:1 미만인 경우, 제품의 경도가 매우 물러져 사용시 필요량보다 많은 양이 묻어 사용이 불편하고 고온 안정도가 불안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러한 왁스는 제형의 고형화를 위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3 ~ 17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왁스는 0.3 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제형이 고형화가 되지 않으며, 17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제품의 경도가 매우 단단해져 사용이 불편하며 퍼프나 얼굴에 잘 묻어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 유화제 및 왁스와 더불어 유상부를 구성하는 다른 성분으로 오일이 있다. 상기 오일은 식물성류, 합성에스테르류, 실리콘류, 하이드로카본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오일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분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고, 반대로 50 중량%를 초과하면 수분 방출이 되지 않는다.
상기 수상부는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와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방출될 물 분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조성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기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보습제 0.1 ~ 30 중량% 와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본 발명에서 안료로서 포함되며, 그 함량은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방출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따른다. 일례로, 혼합 유화제, 왁스 및 오일을 왁스의 녹는점 이상으로 용융시켜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자외선 차단제를 오일 일부와 함께 분산하여 분산물을 제조하는 단계; 물, 보습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를 유상부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얻어진 혼합물을 몰드(mold)에 주입 후 왁스의 녹는점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일례로, 수상부는 65 ~ 90℃, 바람직하게는 80 ~ 90℃로 가온하여 수행하고, 유상부는 60 ~90℃, 바람직하게는 85 ~ 90℃로 가온하여 왁스에 다른 성분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수행한다. 상기 교반은 진공 유화조 내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1000 ~ 3000rpm, 바람직하게는 2500rpm의 속도로 20 ~ 3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상기 조성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수상부에 유효 성분으로 주름 개선제, 미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름 개선제로는 아데노신(Adenosine), 예덕나무 추출물, 백굴채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백제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상지 추출물, 녹두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수상부 내에서 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수용성/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 방부제, pH 조절제, 지방산, 유화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염료, 향료,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실리콘, 알파-히드록시산, 소포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비교예 : 고타입 화장료 제형 제조
하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으로 아래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즉시 수분 방출형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와 수상부를 90℃까지 가온하여 각각 균일 혼합한 후, 수상부를 유상부에 천천히 투입하여 유화하였다. 탈포 후 용기에 충진한 후 냉각하여 유중수형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 6
유상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 15.0 15.0 15.0 15.0 1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 5.0 5.0 5.0 5.0 5.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1.0 1.0 1.0 1.0 1.125 1.0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0.5   - - 0.375 0.5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 - - -
피이지-10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 - 0.5 - - -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 - - 0.5 - -
세레신왁스 4.0 4.0 4.0 4.0 4.0 3.5
폴리에틸렌 0.5 0.5 0.5 0.5 0.5 0.5
페녹시에탄올 0.2 0.2 0.2 0.2 0.2 0.2
이산화티탄 10.0 10.0 10.0 10.0 10.0 10.0
산화철 1.5 1.5 1.5 1.5 1.5 1.5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8.0 8.0 8.0 8.0 8.0 8.0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소듐벤조에이트 0.1 0.1 0.1 0.1 0.1 0.1
소듐클로라이드 0.2 0.2 0.2 0.2 0.2 0.2
조성(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유상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 15.0 15.0 15.0 1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 5.0 5.0 5.0 5.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1.5 0.75 1.2 1.0 1.0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 0.75 0.3 0.5 0.5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 - - -
피이지-10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 - - - -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 - - - -
세레신왁스 4.0 4.0 4.0 3.0 5.0
폴리에틸렌 0.5 0.5 0.5 0.5 0.5
페녹시에탄올 0.2 0.2 0.2 0.2 0.2
이산화티탄 10.0 10.0 10.0 10.0 10.0
산화철 1.5 1.5 1.5 1.5 1.5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8.0 8.0 8.0 8.0 8.0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소듐벤조에이트 0.1 0.1 0.1 0.1 0.1
소듐클로라이드 0.2 0.2 0.2 0.2 0.2
실험예 1: 제형 외관 확인 및 경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외관을 확인하고,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경도는 상기 조성물을 실온(25℃)에서 하루 동안 보관한 후에 COMPAC 100Ⅱ CR-500DX 기기를 이용하여 25번 어댑터(Prove)를 사용하여 60mm/m의 속도로 0.25cm의 깊이에 대해 측정하였다.
구분 경도(g/cm2) 외관
비교예1 755 고상
비교예2 723 고상
비교예3 742 고상
비교예4 420 반고상
비교예5 1124 고상
실시예1 730 고상
실시예2 694 고상
실시예3 679 고상
실시예4 704 고상
실시예5 735 고상
실시예6 641 고상
실험예 2: 조성에 따른 사용감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후 워터 드롭 효과와 발림성 및 수분감을 확인하여 아래 표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평가는 27 ~ 41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우수(◎), 양호(○), 미비(△), 나쁨(×)으로 하였다.
구분 워터 드롭 효과 발림성 수분감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의 고타입 조성물의 경우 피부에 부드럽게 도포되고, 도포되자마자 에멀젼이 깨지면서 내부 수상이 즉시 방출되어 수분 방울이 피부 표면에 발생하였다. 그 결과 시원한 느낌과 동시에 촉촉한 사용감이 들고 수분감이 뛰어남을 알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내지 5와 같이 계면활성제 단독 사용할 경우 혹은 혼합 비율이 3:1 초과이거나 2:1 미만일 경우 경도가 단단하게 형성이 되고 피부에 도포가 원활하지 않으며, 수분 방출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제형 안정성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안정성을 측정하고 하기 표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안정성은 각 조성물을 실온, 4℃, 45℃, 50℃, cycle 조건에서 각각 4주 동안 상 안정도를 육안 관찰하여 발한 및 제형 무너짐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때 ‘cycle’은 4℃에서 7시간, 25℃에서 5시간, 40℃에서 7시간, 25℃에서 5시간씩 순환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 안정함, △ : 약간 분리 및 발한, 갈라짐 현상, X : 분리 및 발한, 갈라짐 현상 발생)
구분 실온 4℃ 45℃ 50℃ cycle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X X X
비교예5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의 경우 온도 변화가 있더라도 고타입의 제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의 경우 제조 직후에는 고경도를 가지는 고타입의 제형을 가지나, 온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유상부와 수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상부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제1유화제와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0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 유화제, 왁스, 오일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유화제는 제1유화제:제2유화제를 2: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3 ~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세레신왁스:폴리에틸렌을 8:1 내지 7: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3 ~ 1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 5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 7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고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65305A 2016-12-06 2016-12-06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9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05A KR101898244B1 (ko) 2016-12-06 2016-12-06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05A KR101898244B1 (ko) 2016-12-06 2016-12-06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88A true KR20180064888A (ko) 2018-06-15
KR101898244B1 KR101898244B1 (ko) 2018-09-13

Family

ID=6262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305A KR101898244B1 (ko) 2016-12-06 2016-12-06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4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17B1 (ko) * 2018-10-08 2019-05-1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14B1 (ko) * 2018-11-30 2019-07-26 (주)씨아이티 워터드롭 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2340B1 (ko) * 2018-12-31 2020-03-24 주식회사 뉴앤뉴 워터드롭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WO2020091132A1 (ko) * 2018-10-30 2020-05-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에테르/에스테르 복합 폴리우레탄 폼 화장품
KR20200109175A (ko) *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인터코스코리아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1759744A (zh) * 2020-08-03 2020-10-13 上海绵花棠生物科技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化妆用品
CN114306155A (zh) * 2021-12-17 2022-04-12 上海蔻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乳化唇膏及制备方法和双乳化系流纹唇膏及制备方法
KR102621854B1 (ko) * 2023-04-18 2024-01-05 한국콜마주식회사 우수한 수분감을 가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269B1 (ko) * 2020-12-23 2023-11-1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고온 안정성과 사용감이 향상된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519A (ja) * 2000-03-15 2001-09-26 Kose Corp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KR20140081293A (ko) * 2012-12-21 2014-07-01 코웨이 주식회사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0826A (ko) * 2014-01-02 2015-07-10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82832A (zh) * 2015-03-05 2016-10-0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101678559B1 (ko) * 2015-10-19 2016-11-22 애경산업(주) 분체 함유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519A (ja) * 2000-03-15 2001-09-26 Kose Corp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KR20140081293A (ko) * 2012-12-21 2014-07-01 코웨이 주식회사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0826A (ko) * 2014-01-02 2015-07-10 (주)아모레퍼시픽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82832A (zh) * 2015-03-05 2016-10-0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101678559B1 (ko) * 2015-10-19 2016-11-22 애경산업(주) 분체 함유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17B1 (ko) * 2018-10-08 2019-05-1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91132A1 (ko) * 2018-10-30 2020-05-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에테르/에스테르 복합 폴리우레탄 폼 화장품
KR102004314B1 (ko) * 2018-11-30 2019-07-26 (주)씨아이티 워터드롭 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2340B1 (ko) * 2018-12-31 2020-03-24 주식회사 뉴앤뉴 워터드롭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9175A (ko) *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인터코스코리아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1759744A (zh) * 2020-08-03 2020-10-13 上海绵花棠生物科技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化妆用品
CN114306155A (zh) * 2021-12-17 2022-04-12 上海蔻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乳化唇膏及制备方法和双乳化系流纹唇膏及制备方法
CN114306155B (zh) * 2021-12-17 2023-09-05 上海绵花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乳化唇膏及制备方法和双乳化系流纹唇膏及制备方法
KR102621854B1 (ko) * 2023-04-18 2024-01-05 한국콜마주식회사 우수한 수분감을 가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244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5018B1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KR20140081293A (ko)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175A (ko)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2396A (ko)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를 단독 유화제로 사용한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KR101450387B1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2090A (ko)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728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939A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80002304A (ko)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JP6936075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